KR101975293B1 -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 Google Patents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93B1
KR101975293B1 KR1020180118785A KR20180118785A KR101975293B1 KR 101975293 B1 KR101975293 B1 KR 101975293B1 KR 1020180118785 A KR1020180118785 A KR 1020180118785A KR 20180118785 A KR20180118785 A KR 20180118785A KR 101975293 B1 KR101975293 B1 KR 10197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ixed
rope
work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6170A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293B1/en
Publication of KR2018011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점검, 보수 등의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고소작업대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실수가 발생하는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고소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면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다수 개의 수평바(18)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안전로프(30)가 관통되거나 안전로프(30)에 매듭 고정된 안전 연결고리(31)가 걸림 고정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고리(20)와, 상기 고정고리(20)와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작업자의 엑스 반도(60)에 걸림 고정되며, 고소작업대(50)의 발판(51)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길이가 가변 되는 안전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소작업대(5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소작업대(50)의 일측에 설치고정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safety work, which can prevent a worker's falling accident at a worksite, such as a mistake of a worker in a work such as construction, inspection, maintenance, etc. or a mistake of a driver driving a worker's work plat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work bench provided with an apparatus and its safety apparatus,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8 supported by the column 1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8 which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columns 10, A safety loop 20 in which a safety connection loop 31 in which the rope 30 is inserted or fixed to the safety rope 3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afety connection loop 31 can be easily locked,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worker's X-ray 60 and includes a safety rope 30 whose length is limited only within the footrest 51 of the elevation work platform 50, And fixing means 40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elevation table 50 so as to be removable.

Description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work bench for safety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공사, 점검, 보수 등의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고소작업대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실수가 발생하는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고소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work station for a high altitude work and a safety work station equipped with the safet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altitude work station in which an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echanism for a high-altitude work station that can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down while working on a high-altitude work platform, and a high work bench provided with the safety mechanism.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고소작업차라 할 수 있다.Generally, as the city has become a high-rise area, various special equipment for high-altitude work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multipurpose. An example of this is the high-altitude worker.

고소작업차(高所作業車)는 고소에서 공사, 점검, 보수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이며, 작업상, 승강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작업발판이 상승, 하강 등을 하는 설비 중에서 동력을 이용하고 불특정한 장소에 자주(自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A high-altitude work vehicle is a machine used for work such as construction, inspection, and repair at a high-altitude workplace, and is composed of an elevator and the like in operation. It is supposed that the work scaffold can be used freely in an unspecified place by using the power among the facilitie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고소작업차를 주행장치에 의해 분류하면 트럭 식, 크롤러 식, 휠 식이 있으며, 작업장치에 의해 분류하면 신축 붐 형, 굴절 붐 형, 수직 승강 형 등이 있다. 작업상의 높이가 2m 이상의 고소작업차는 노동부장관이 정한 구조규격을 구비함과 동시에 작업계획, 작업지휘자, 신호, 사용제한, 붐 등의 강하에 의한 위험방지, 안전대의 사용, 자체검사 등에 대한 조치가 정해져 있다There are truck type, crawler type, and wheel type when the high-performance work car is classified by the traveling device, and a new boom type, a refraction boom type, and a vertical lift type are classified by the working device. The work vehicle with a height of 2m or more is equipped with the structural standard prescribed by the Minister of Labor and measures against danger due to work plan, work conductor, signal, use restriction, boom descent, use of safety band, Be fixed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는 이동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다단 붐(boom)의 선단에 고소작업대(당업계에서는 '바스켓'이라 하기도 함)가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 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소작업대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 건물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 되고 있다.Such a high-altitude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mobile work station (sometimes referred to as a "basket"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p of a multi-stage boom and is used for transportation of goods to high-rise apartments or buildings, It is used extensively for roadside, street and traffic lights, maintenance costs for repairing and repairing buildings, and maintenance work for poles by boarding workers on the workbench.

상기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고소작업대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서로 일체가 되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서로 신호가 맞지 않을 경우 고소작업대에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낙하사고가 발생 될 여지가 높으며, 실제 그러한 사고가 발생 되고 있다.The operator of the high-altitude work vehicle has to work together with the operator working at the high-altitude workbench and the driver who drives the high-altitude workbench. If the signals do not match each oth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n operator, Such an accident is actually happen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당 업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특허출원 제10-2005-0103806호(발명의 명칭 :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및 특허출원 제10-2014-0001041호(발명의 명칭 : 고소안전 작업대) 및 특허출원 제10-2014-0051332호(고소작업대용 안전 가드 장치) 및 특허출원 제10-2015-0020840호(발명의 명칭 :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를 들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ior arts proposed in the related art are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103806 (entitled "Advanced Work Platform with Safety Device") and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01041 No. 10-2014-0051332 (Safety guard apparatus for elevating work station) and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20840 (Name of invention: Elevation work desk equipped with safety apparatus) .

상기 나열된 선행기술은 모두 고소작업대라는 점에서 그 기술분야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분야는 특허출원 제10-2014-0051332호라 할 수 있다.Although all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are similar to the technical field in that they are altitude workbenches, the technical field that can prevent a worker's fall accident can be referred to as 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51332.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 제10-2014-0051332호도 고소작업대가 심하게 요동을 칠 경우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다는 한계성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51332 also has a limit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solve a fall accident of a worker when a work table is severely rocked.

1. 특허출원 제10-2005-0103806호(발명의 명칭 :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1.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103806 (title of invention: work platform with safety device installed) 2. 특허출원 제10-2014-0001041호(발명의 명칭 : 고소안전 작업대)2.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01041 (title of invention: safety work bench) 3. 특허출원 제10-2014-0051332호(고소작업대용 안전 가드 장치)3.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51332 (safety guard for elevating work station) 4. 특허출원 제10-2015-0020840호(발명의 명칭 :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4.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20840 (title of invention: work table with safety devic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소작업대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작업자와 운전자의 신호 전달 오류 및 강풍에 의한 고소작업대의 심한 요동에도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및 그 안전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above problem and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into a serious accident when the worker and the driver signal transmission errors and the severe workings caused by the strong wind in the worksite using the work platfor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work bench for safe work and a safety work bench equipped with the safety work benc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소작업대의 내부에서 제약 없이 활동적이면서 효율적인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fall accident of a worker in advance, and to facilitate an efficient and efficient operation without any restrictions within a high work ben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S)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면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다수 개의 수평바(18)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안전로프(30)가 관통되거나 안전로프(30)에 매듭 고정된 안전 연결고리(31)가 걸림 고정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고리(20)와, 상기 고정고리(20)와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작업자의 엑스 반도(60)에 걸림 고정되며, 고소작업대(50)의 발판(51)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길이가 가변 되는 안전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소작업대(5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소작업대(50)의 일측에 설치고정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safety mechanism S for high work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one or a plurality of safety mechanisms S, And a safety connection ring 31 which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0 and through which the safety rope 30 is inserted or fixed to the safety rope 30,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ing 20 is engaged with the fixing ring 2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ing 20 is engaged with the x-ray 60 of the worker. The safety rope 30 includes a fixing rope 30 and a fixing means 40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table 5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ing table 50.

또한, 상기 지주(10)는 차양플레이트(70)가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서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수평지지대(1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지지대(12)의 일측에는 비와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필요한 냉, 난방 전기기기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차양플레이트(70)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11 to support the horizontal plate 12 so that the horizontal plate 12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12, A sunshade plate 70 capable of blocking rain and sunlight and fixing the electric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necessary for an operator can be constructed.

또한, 상기 지주(10)는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지주(10)의 하단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핀(13)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40)에는 탄성핀(13)이 고정되는 고정홈(42)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10 may be configured to facilitate height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pin 1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n 13 having elasticity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42 to which the elastic pins 13 ar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안전로프(30)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따라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안전 연결 고리(31)가 매듭 고정된 자바라식 로프(32) 또는 작업자의 이동 반경에 따라 로프의 길이가 고정고리(20)를 중심으로 가변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끝단으로 밸런스 웨이트(33)가 고정된 밸런스 형 로프(34)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afety rope 30 may have a length of the rope according to the movement radius of the operator or the length of the rope of the operator,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afety rope 30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worker's radius, And a balance type rope (34) having a balance weight (33) fix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balance weight (33) can be varied around the fixed ring (20).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지주(1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며, 지주(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41)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40 may be a circular or polygonal pipe so that the column 1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order to maintain a rigid fixed state when the column 10 is inserted, (41) can be constituted.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는 고소작업대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작업자와 운전자의 신호 전달 오류 및 강풍에 의한 고소작업대의 심한 요동발생시에도 작업자 안전 기구에 견인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완벽하게 해소함에 따라 안전한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이 보장됨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afety work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features and the safety work station equipped with the safet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ignal transmission error between a worker and a driver during a high-altitude work and a severe fluctuation of a high- Since it is in a state of being pulled by the safety mechanis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working space by completely eliminating a fall acciden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s safety is guaranteed.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고소작업차에 설치된 고소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고소작업대에 고정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 기구가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9는 본원 발명의 안전 로프 중 밸런스형 로프가 작업자의 엑스반도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원 발명의 안전 로프 중 자바라 식 로프가 작업자의 엑스반도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igh work bench provided in a conventional high work ca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5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means is fixed to a high work table
FIG. 6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5
7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9 is an example of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lanced rope among the safety rop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to the x-
10 is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safety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ope of the bellows is bound to the x-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S)는 도 3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면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다수 개의 수평바(18)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안전로프(30)가 관통되거나 안전로프(30)에 매듭 고정된 안전 연결고리(31)가 걸림 고정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고리(20)와, 상기 고정고리(20)와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작업자의 엑스 반도(60)에 걸림 고정되며, 고소작업대(50)의 발판(51)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길이가 가변 되는 안전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4, the safety mechanism S for high work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afety mechanisms S, A safety connection ring 31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10 and having a safety rope 30 penetrated or knotted to the safety rope 30 is fastened to the safety rope 3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ing 2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ing ring 20 while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ring 20 is fastened to the x- And a safety rope (30) whose length is limited only within a limited range.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차(80)의 고소작업대(5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소작업대(50)의 일측에 설치고정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고리(20)는 작업자의 작업반경에 간섭이 없도록 절곡부(11)부근에 고정할 수도 있다.The fixing ring 40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40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table 5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elevating table 50 of the elevating table car 80, It may be fixed near the bending portion 1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orking radius of the bending portion 11.

또한, 상기 지주(1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지주를 고정 시켜 제작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고정 시키게 될 경우 지주가 회전을 하거나 유동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lumn 10 can be manufactured by fixing one or two columns, and when the two columns are fix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henomenon that the column rotates or flows can be minimized.

상기 지주(10)에는 차양플레이트(70)가 설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서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수평지지대(1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평지지대(12)의 일측에는 비와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필요한 냉, 난방 전기기기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차양플레이트(70)가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11 to form a horizontal support 12 so that the awning plate 70 can be fixed to the support 10, And a sunshade plate 70 capable of blocking the sunlight and fixing the electric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necessary for the operator.

상기 차양플레이트(70)는 박판, 목재,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플레이트(71)를 구성시켜 작업자에게 필요한 선풍기, 전기난로 등의 냉, 난방 전기기기(미도시) 및 작업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를 탈부착 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plate 71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a wood, a fiber, or the like, and the beveling plate 7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fan, (Not shown) and a camera (not shown)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us can be detachably installed.

또한, 상기 지주(10)는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지주(10)의 하단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핀(13)이 설치되며,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40)에는 탄성핀(13)이 고정되는 고정홈(42)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The support 10 may be configured to facilitate height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pin 1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n 13 having elasticity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42 to which the elastic pins 13 are fixed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지주(10)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술되는 고정나사(41)를 통해서도 가능함은 물론, 탄성핀(13)을 통해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height of the support 10 may be adjusted by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 fixing screw 41 or an elastic pin 13.

또한, 상기 안전로프(30)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따라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밸런스 형 로프(34)와 자바라식 로프(3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rope 30 may use any one selected from the balanced rope 34 and the JAVA type rope 32 so that the length of the safety rope 30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working radius of the operator.

먼저, 밸런스 형 로프(34)는 도 3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이동 반경에 따라 로프의 길이가 고정고리(20)를 중심으로 가변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끝단으로 밸런스 웨이트(33)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지주(10)로부터 멀어지면, 밸런스 웨이트(33)는 고정고리(20)에 가깝게 되는 것이고, 이와 반대가 되면, 밸런스 웨이트(33)는 하중에 의해 고정고리(20)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3 and 9, the balance type rope 34 has a balance weight 33 at one of its ends so that the length of the rope can be varied around the fixed ring 20 according to the moving radius of the worker, Is fixed. As a result, when the worker moves away from the support 10, the balance weight 33 is brought close to the fixing ring 20, and vice versa, the balance weight 33 is lowered below the fixing ring 20 by a load I will go.

이밖에 자바라식 로프(32)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에 안전 연결 고리(31)가 매듭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JAVA LASH ROPE 32 has knotted safety connection rings 31 at both ends thereof.

상기 밸런스 형 로프(34)와 자바라식 로프(32)의 핵심은 안전로프의 길이를 고소작업대 내부까지 제한시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지만 아울러 작업반경 내에서 안전로프(30)가 작업자의 작업에 장애물이 되어서는 아니 되어야 하는 것이며, 나아가 안전로프(30)에 의한 보수용 기구들이 낙하 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The balance rope 34 and the core of the JAVA type rope 32 are designed to limit the length of the safety rope 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workbench to prevent an accident of the operator in advance. In addition, the safety rope 30, So that the maintenance equipment by the safety rope 30 should not fall down.

이를 감안한 본원 발명의 안전로프(30)는 지주로부터 멀어질 경우 자바라식 로프(32)는 신축력에 의해 늘어난 다음 지주와 가까워지면 줄어들게 되며, 밸런스 형 로프(34)는 작업자가 지주로부터 멀어지면 밸런스 웨이트(33)가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작업자의 추가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afety rop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away from the support, the rope (32) is stretched due to the stretching force and then reduced when the rope (30) approaches the support and the balance rope (34) (33)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stopper and restricts further movement of the worker.

이에 따라 상기 밸런스 웨이트(33)는 중량물이어야 하며, 동시에 안전로프의 끝단과 단단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되어야 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매듭을 지을 수도 있는바, 모두 고정고리(20)를 관통하지 못하게 형성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balance weight 33 is required to be heavy and at the same time to be firmly fixed to the end of the safety rope. In addition, the balance weights 33 may be knotted at the ends as shown in FIG. 3, (20).

한편, 상기 안전로프(30)는 상술 된 내용 이외에도 태엽(미도시) 또는 윈치(미도시) 등을 응용하여 구성시킬 수 있으나 작업자의 행동을 고소작업대 내부에 제한시킨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기술분야라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rope 30 can be constructed by applying a spring (not shown) or a winch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tents, but it can be said that the same technical field have.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지주(1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되며, 지주(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41)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40 may be a circular or polygonal pipe so that the column 1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order to maintain a rigid fixed state when the column 10 is inserted, (41) can be constructed.

상기 고정수단(40)을 파이프의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고정나사(41)만으로도 지주(10)의 높이 조절은 실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means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the height of the post 10 can be actually adjusted by the fixing screw 41 alone.

상술 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은 본원 발명에서 제시한 고정수단 이외에도 안전 기구(S)가 고소작업대(5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고정할 경우 용접고정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means 40 can be employ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safety mechanism S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vation bench 50, in addition to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You can understand it.

S: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10: 지주 11:절곡부
12: 수평지지대 13: 탄성핀
14: 수평바 20: 고정고리
30: 안전로프 31: 안전 연결 고리
32: 자바라식 로프
33: 밸런스 웨이트 34: 밸런스 형 로프
40: 고정수단 41: 고정나사
42: 고정홈 50: 고소작업대
51: 발판 60: 엑스 반도
70: 차양 플레이트 71: 장착 브라켓
80: 고소작업차
S: Safety equipment for high altitude work
10: support 11: bend
12: horizontal support 13: elastic pin
14: Horizontal bar 20: Retaining ring
30: Safety rope 31: Safety connection ring
32: JAVA LASIK ROPE
33: Balance weight 34: Balanced rope
40: fastening means 41: fastening screw
42: fixing groove 50: elevating table
51: Scaffolding 60: X-
70: shade plate 71: mounting bracket
80: High working car

Claims (6)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50)의 일측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면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다수 개의 수평바(14)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지주(10)가 고정되되, 지주(10)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지주(1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나사(4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주(10)의 상단 일측에는 고정고리(20)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고정고리(20)에는 안전로프(30)가 관통되거나 안전로프(30)에 매듭 고정된 안전 연결고리(31)가 걸림 고정이 용이한 형태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안전로프(30)는 고정고리(20)와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작업자의 엑스 반도(60)에 걸림 고정되며, 고소작업대(50)의 발판(51)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안전 연결 고리(31)가 매듭 고정된 자바라식 로프(32) 또는 작업자의 이동 반경에 따라 로프의 길이가 고정고리(20)를 중심으로 가변 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 끝단으로 밸런스 웨이트(33)가 고정된 밸런스 형 로프(34)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In the elevated workbench,
The elevation table 5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may have one or a plurality of elevations. When the elevation table 50 has a plurality of elevations, a column 10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4 is fixed. (10) is inserted and fixed, and is fixed by a fixing screw (41) in a state where the column (10) is inserted,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10) The safety collar 20 is formed and the safety collar 31 is fixed to the safety collar 20 through the safety collar 30 or the safety collar 31 fixed to the safety rope 30,
The safety rope 30 is fixed to the fixing ring 20 while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rope 30 is engaged with the x-ray 60 of the worker and is limited in length only within the foot 51 of the elevating table 50 So that the length of the rope can be varied around the fixed ring 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radius of the JAVA LASH ROPE 32 or the operator's knotted safety connection loop 31 at both ends, And a balanced type rope (34) to which the upper portion (33) is fix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18785A 2018-10-05 2018-10-05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KR101975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85A KR101975293B1 (en) 2018-10-05 2018-10-05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85A KR101975293B1 (en) 2018-10-05 2018-10-05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170A KR20180116170A (en) 2018-10-24
KR101975293B1 true KR101975293B1 (en) 2019-05-07

Family

ID=6413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85A KR101975293B1 (en) 2018-10-05 2018-10-05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484B1 (en) 2022-10-12 2023-03-03 최귀환 Baskets for high-rise work vehicles sunsha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750B1 (en) 2020-05-13 2021-04-06 황인호 Window Workbench For One man Having Compatible Structure
CN112324125A (en) * 2020-10-28 2021-02-05 江苏博宇建筑工程设备科技有限公司 Hanging boat for building maintenance
KR102436975B1 (en) * 2022-04-14 2022-08-26 황종예 Ring rope structure with safe guide function
KR102532009B1 (en) * 2022-12-19 2023-05-12 우리해양 주식회사 Light buoyage for sailing rou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53Y1 (en) 2006-06-20 2006-09-20 심등용 Pipe connection structure
KR101288774B1 (en) 2013-03-07 2013-07-22 김성탄 Fall prevention safety removable safety vest belt structure
JP2014144865A (en) * 2013-01-30 2014-08-14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Safety device of picking fork lift tru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505Y2 (en) * 1993-05-19 1998-07-02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Workbench for work vehicle
JP3474114B2 (en) * 1997-12-01 2003-12-08 株式会社クボタ Cold air equipment for work equipment
KR100561693B1 (en) 2004-04-27 2006-03-17 (주)일렉콤 Double cap for adding addition in use
JP2013030531A (en) 2011-07-27 2013-02-07 Central Glass Co Ltd Dry etching agent
KR101427411B1 (en) 2012-06-27 2014-08-07 심우형 Porp hammering apparatus
KR20140006011U (en) * 2013-05-22 2014-1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Upper portable ladders of gondola
KR101539393B1 (en) 2013-08-19 2015-07-27 김재학 Led lamp
KR20170047835A (en) * 2015-10-26 2017-05-08 장동학 Convenient Pole for Length Adjust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953Y1 (en) 2006-06-20 2006-09-20 심등용 Pipe connection structure
JP2014144865A (en) * 2013-01-30 2014-08-14 Mitsubishi Nichiyu Forklift Co Ltd Safety device of picking fork lift truck
KR101288774B1 (en) 2013-03-07 2013-07-22 김성탄 Fall prevention safety removable safety vest belt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484B1 (en) 2022-10-12 2023-03-03 최귀환 Baskets for high-rise work vehicles sunsh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170A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293B1 (en) The elevated workbench equipped with safety equipment for safety work and its safety equipment
KR102036152B1 (en) Climbing apparatus
KR101390150B1 (en) Fall preventing guard railing
KR102426503B1 (en)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CN111852314B (en) Multi-functional high security's building cat ladder
KR101629707B1 (en) Separate Safety Unit of Aerial Work Platforms
JP2013095571A (en) Elevator device
CN102556890B (en) Self-lifting mounting platform for steel head material hoister and mounting method for mounting platform
KR101538893B1 (en)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KR101982334B1 (en) Standing tent equipment for high altitude work
KR102411789B1 (en) Anti-fall system of a sophisticated work
CN105113415B (en) Hydraulic pressure sliding sash climbing frame
KR102123359B1 (en) Apparatus of life rope
JP2008179469A (en) Guide rail arranging method in elevator device
US902949A (en) Scaffold.
JP6446075B2 (en) How to build a curing net
CN219507600U (en) Construction lifting device for climbing frame
CN205000623U (en) Integrated form intelligence lift protective screen
KR101614655B1 (en) Up-and-Down Type Runaway Approach Lamp Post
KR102609173B1 (en) High place operation tower and high place operation tower assembly having the same
CN218581143U (en) Liftable scaffold for building outer wall
CN216340744U (en) Liftable gate-type scaffold
CN220393233U (en) Auxiliary construction device for high-altitude operation
KR102390718B1 (en) Aerial lift vehicle
KR102236750B1 (en) Window Workbench For One man Having Compati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