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359B1 - Apparatus of life rop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life r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59B1
KR102123359B1 KR1020170153167A KR20170153167A KR102123359B1 KR 102123359 B1 KR102123359 B1 KR 102123359B1 KR 1020170153167 A KR1020170153167 A KR 1020170153167A KR 20170153167 A KR20170153167 A KR 20170153167A KR 102123359 B1 KR102123359 B1 KR 10212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wire
building
horizontal wir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6097A (en
Inventor
김정렬
김연실
김홍직
서정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59B1/en
Publication of KR2019005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명줄 장치는, 건축물의 상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고, 양측에 제 1고리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브래킷부; 상기 복수개의 브랫킷부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고, 양단이 서로 다른 브래킷부의 상기 제 1고리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평와이어에 외삽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제 2고리가 구비되는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제 2고리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와 연결되는 수직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부가 복수개의 브라캣부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수평이동반경을 확장시켜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수평와이어가 와이어고정편에 관통됨으로써 수평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어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e lifeli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cke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ding, the first ring is provided on both sides; Horizontal wire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and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rings of different bracket portions; A mov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at is extrapolated to the horizontal wir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and having a second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the other end includes a vertical wire connected to the operator.
In addition, as the moving part can move past a plurality of bracket parts, the worker's horizontal moving radius can be extend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the horizontal wire is penetrated through the wire fixing piece, thereby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horizontal wire to increase stability. have.

Description

구명줄 장치{Apparatus of life rope}Lifeline device {Apparatus of life rope}

본 발명은 구명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작업 중인 작업자에게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명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lin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eline device connected to a worker under construction to prevent a worker from falling.

일반적으로 비계(Scaffolding)란 건축공사 시, 건축물의 외측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등으로 이용된다. 즉 비계를 이용하는 작업자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게 되며, 비계의 설치와 해체작업 중 추락사고의 발생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비계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반경 내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대를 안전난간대에 걸어 이동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In general, scaffolding is a temporary installation that is installed to work outside of a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and is used as a material transport or a platform for workers' passage and work. That is, the worker using the scaffolding works at a high position, and the occurrence of a fall accident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scaffolding.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scaffold, by installing a safety rail within the working radius, the safety rail connected to the worker is moved to the safety rail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하지만 비계의 해체 작업 시, 가장 높은 층의 비계부터 하나씩 해체하여 비계부재를 아래층의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비계를 해체하게 되는 곳은 안전난간대를 함께 해체하기 때문에 안전대를 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안전대를 걸기 위한 별도의 안전대 부착설비의 설치가 요구된다.However, when the scaffold is dismantled, the scaffolding of the highest floor is disassembled one by one, and the scaffolding member is delivered to the worker on the lower floor. Therefore, where the scaffolding is dismant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fety guard cannot be fastened because the safety guard is dismantled together.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afety guard attachment facility for the safety guard is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은 건설업에서 사용되는 안전대 부착설비로는 구명줄이 있으며, 상기한 구명줄은 작업자의 안전대와 연결되어, 추락발생 시 작업자로부터 추락을 저지하기 위한 줄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명줄은 로프(Rope)또는 레일(Rail) 등과 같이 유연하거나 단단한 고정줄이 이용되며, 작업자가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평구명줄과, 추락사고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구명줄을 포함한다. 부연하면 수평구명줄은 비계의 양측에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수직부재에 클램프를 설치하여 구명줄의 양단을 클램프에 결합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수직구명줄은 일단을 옥상에 고정하고 타단을 작업자와 연결시켜 설치하게 된다. A safety belt attachment facility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described above has a lifeline, and the lifeline is connected to a worker's safety belt, and is composed of a string for preventing a fall from an operator when a fall occurs. That is, the lifeline includes a flexible or rigid fixing line, such as a rope or rail, and includes a horizontal lifeline provided to enable the operator to move horizontally, and a vertical lifeline provided vertically to prevent a fall accident. do. If it is added, the horizontal lifeline can be used by installing the vertical member on both sides of the scaffold and the clamps on the vertical member to connect both ends of the lifeline to the clamp, and the vertical lifeline is fixed by fixing one end on the roof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with a worker. do.

종래의 구명줄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61101호가 개시되어 있다.As a technique for the conventional lifelin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1101 is disclosed.

하지만 종래의 구명줄은,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구명줄이 연결됨으로써, 클램프와 클램프 사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여 수평이동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하나의 수평구명줄을 다수의 작업자가 이용하여 위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클램프를 체결한 수직부재를 해체하게 되면 안전대의 체결높이를 확보하기 불가하여 사용에 불편이 따르며, 비계의 각 층마다 설치와 해체작업이 요구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ifelin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lifeline is connected by using a plurality of clam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moved only between the clamp and the clamp, thereby limiting horizontal movement, and multiple operators use one horizontal lifeline. This can improve the risk. In addition, if the vertical member with the clamp is disassembled,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fastening height of the safety belt, which incurs inconvenience in use, and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work is required for each floor of the scaffold, which may degrade work efficiency.

한편, 옥상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경우, 구명줄의 일단이 건축물의 상부의 한 점에 고정되어 있어, 작업 반경에 한계가 발생하고, 추락사고 발생 시 작업자의 진자운동이 크게 적용되어 위험성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lifeline installed on the roof, one end of the lifeline is fixed at one point of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limiting the working radius, and when a fall accident occurs, the worker's pendulum motion is applied to increase the risk.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외측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인 비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반경을 넓혀 효율적이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구명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lifeline device that is efficient and improves safety by widening the moving radius of a worker working on a scaffold that is a temporary installation installed to work outside the building.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명줄 장치는, 건축물의 상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고, 양측에 제 1고리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브래킷부; 상기 복수개의 브랫킷부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고, 양단이 서로 다른 브래킷부의 상기 제 1고리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평와이어에 외삽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제 2고리가 구비되는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제 2고리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와 연결되는 수직와이어를 포함한다.A lifelin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nd are provided with first rings on both sides; Horizontal wire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and both ends fixed to the first rings of different bracket portions; A mov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at is extrapolated to the horizontal wir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and having a second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the other end includes a vertical wire connected to the operator.

여기서 상기 브래킷부는, 일측이 건축물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수직리브와, 일단이 상기 수직리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양측에 제 1고리가 구비되는 고정리브와, 일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결리브와,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건축물의 상부 내측둘레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racket portion, a vertical rib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abuts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ib, the other e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and fixed ribs are provided with first rings on both sides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rib, the connecting rib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ib,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and includes a support rib disposed to contact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Can be.

또한 상기 제 1고리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ring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또한 상기 수평와이어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wires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또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고정리브의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연결편과, 내주면이 상기 수평와이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와이어가 관통되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연결편에 외주면이 결합되는 와이어고정편을 포함하는 횡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횡단부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the connecting piece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fixed ri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wire is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wire, and includes a wire fixing piec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It may further include a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또한 상기 이동부는, 내측둘레가 상기 와이어고정편의 외측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에 대응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구명줄 장치.In addition, the moving part, the lifeline device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is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fixing piece, a mo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ie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편의 폭과 상기 이동홈의 폭은, 상기 수평와이어의 외측둘레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width of the mov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wire.

또한 상기 지지리브는,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스크류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ib, one end may be coupled with a screw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또한 상기 브랫킷부는,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 중 건축물의 모서리측에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2개의 브래킷부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부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ement rib for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bracket portion,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bracket portions provid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corner side of the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본 발명에 의한 구명줄 장치는, 작업자와 연결된 수직와이어가 이동부에 의하여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수직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지 않아 추락 시 진자운동의 발생을 저하시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lifeli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ire connected to the operator is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by the moving part, so that one end of the vertical wire is not fix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pendulum motion when falling, thereby improving safety.

또한 고정리브가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수평와이어가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어, 연결 가능한 작업자의 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수직와이어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 작업이 효율적이고, 하나의 수평와이어에 한 명의 작업자가 배치됨으로써 안전하게 이용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rib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a plurality of horizontal wires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s,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nnectable workers, and the vertical wires connected to each worker are not affected by each other The work is efficient and can be safely used by placing one worker on one horizontal wire.

또한 이동부가 복수개의 브라캣부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수평이동반경을 확장시켜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수평와이어가 와이어고정편에 관통됨으로써 수평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되어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moving part can move past a plurality of bracket parts,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xtending the horizontal moving radius of the worker. As the horizontal wire penetrates through the wire fixing piece, the tension of the horizontal wire is adjusted to increase stability.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줄 장치가 건축물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명줄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명줄 장치의 브라캣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구명줄 장치의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구명줄 장치의 이동부가 브라캣부를 지나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구명줄 장치의 보강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eline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eline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at part of the lifeline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part of the lifeline device of Figure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of the lifeline device of FIG. 1 moves through the bracket par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rib of the lifeline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of being able to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even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줄 장치(10)는 비계(S)를 이용한 건설 작업 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B)의 옥상과 같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구명줄 장치(10)의 이용을 비계(S)를 이용한 건설 작업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명줄 장치(10)를 필요로 하는 다른 건설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명줄 장치(10)는 복수개의 브랫킷부(100), 수평와이어(200), 이동부(300), 수직와이어(400)를 포함한다.1 to 6, the lifelin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eventing a worker's fall accident during construction work using the scaffolding (S), the upper portion such as the roof of the building (B) Can be installed on. However, the use of the lifeline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work using the scaffolding (S), it may be applied to other construction work that requires the lifeline device 10. The lifeline device 10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100, a horizontal wire 200, a moving portion 300, and a vertical wire 400.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100)는 후술(後述) 할 수평와이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B)의 상부 외측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100)는 건축물(B)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건축물(B)의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부(100)의 양측에는 반원 형상의 제 1고리(101)가 구비되며, 제 1고리(101)에는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부(100)는 수직리브(110), 고정리브(120), 연결리브(130), 지지리브(140), 횡단부(150) 및 보강리브(160)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are for fixing the horizontal wir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That is,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ding B, and is preferably disposed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The first ring 101 of a semicircle shap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portion 100, and the horizontal wire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ring 101. The bracket portion 100 includes a vertical rib 110, a fixed rib 120, a connecting rib 130, a support rib 140, a crossing portion 150 and a reinforcing rib 160.

상기 수직리브(110)는 일측이 건축물(B)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직리브(100)는 막대형상으로 건축물(B)의 외측둘레를 따라 건축물(B)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일면이 건축물(B)의 외측면에 맞닿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rib 110 is arranged so that one side abuts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B). The vertical ribs 100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B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in the shape of a bar, and one side is preferably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surface of the building B.

상기 고정리브(120)는 상기 수평와이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수직리브(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리브(120)는 막대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수직리브(1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축물(B)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상향경사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120)의 양측 각각에는 반원 형상의 상기 제 1고리(101)가 구비된다. 상기 제 1고리(101)는,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리(101)의 양단은 상기 고정리브(12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된다.The fixing rib 120 is for fixing the horizontal wire 2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ib 110,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That is, the fixed rib 120 is in the shape of a ro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ib 1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so as to further protrude from the building B.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fixing rib 120 is provided with the first ring 101 in a semicircle shape. The first ring 10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120). Both ends of the first ring 10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side surfaces of the fixed rib 120.

상기 연결리브(130)는 상기 고정리브(120)와 상기 수직리브(11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고정리브(1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중심부에 상기 수직리브(11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수직리브(110), 상기 고정리브(120) 및 상기 연결리브(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리브(120)가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일측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rib 130 is for connecting the fixed rib 120 and the vertical rib 1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rib 120,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ib 110 in the center Can be combined. If it is further expan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rib 110, the fixed rib 120 and the connecting rib 130 are integrally formed, and as the fixed rib 120 i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one side is triangular. Can be formed.

상기 지지리브(140)는 상기 브라캣부(100)를 건축물(B)의 상부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13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건축물(B)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리브(140)는 막대형상으로 일면이 건축물(B)의 상부 내측둘레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리브(140)는 건축물(B)의 상부 내측둘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직리브(110), 상기 고정리브(120), 상기 연결리브(130)를 건축물(B)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지지리브(140)는,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130)의 타단과 스크류(141)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141)를 통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140)는 일면에 돌출 배치되는 보조지지편(14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편(142)은 상기 건출물(B) 옥상 내측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파라펫(Parapet)의 폭에 맞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지지편(142)은 상기 지지리브(14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건축물(B)의 내측면과 파라펫 사이에 배치되어, 건축물(B)에 상기 지지리브(14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rib 140 is for fixing the bracket part 100 to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B,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130, the other end is inside the building (B) Is placed. That is, the support ribs 140 are arranged in a bar shape so that one surface abuts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That is, the support rib 1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to stably support the vertical rib 110, the fixed rib 120, and the connecting rib 130 from the building B. Can be. If it is further expanded, the support rib 140, one end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130 and the screw 141,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through the screw 141. In addition, the support rib 14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iece 142 that protrudes on one surface, and the auxiliary support piece 142 is a parapet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of of the building (B). ) Can be provided to protrude according to the width. That is, the auxiliary support piece 142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ilding B and the parapet by being protruded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rib 140,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support rib 140 in the building B. Can be fixed.

상기 횡단부(150)는 작업자가 상기 브래킷부(100)를 횡단하여 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편(151)과 와이어고정편(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단부(150)는,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rossing part 150 is a configuration for an operator to move across the bracket part 100,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iece 151 and a wire fixing piece 152. A plurality of cross sections 150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120.

상기 연결편(151)은 상기 고정리브(120)의 일측에 돌출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편(151)은 일단이 상기 고정리브(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리브(120)의 외측으로 돌출배치되며,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51)의 폭은 상기 수평와이어(200)의 외측둘레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piece 151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fixed rib 120. 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15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ed rib 120, is disposed protruding outward of the fixed rib 120,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120 may be provided have.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iece 151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wire 200.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은 상기 연결편(151)에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연결편(151)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의 내주면은 상기 수평와이어(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은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fixing piece 15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horizontal wire 200 may be penetrated. The wire fixing piece 152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15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ece 151.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fixing piece 15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wire 200, the horizontal wire 200 may be penetrated. A plurality of wire fixing pieces 152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ibs 120.

상기 보강리브(160)는 상기 브래킷부(1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래킷부(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리브(160)는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100) 중 건축물(B)의 모서리 양측에 서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2개의 브래킷부(100)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부(100)를 서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보강리브(160)는 건축물(B)의 서로 다른 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2개의 브래킷부(100)의 상부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브래킷부(1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부(100)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와이어(200)를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rib 160 is for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bracket portion 100 an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100. In the reinforcing rib 160,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bracket portions 100, which are vertic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rner of the building B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100, so that the bracket portions 100 are provided. Connect each other. That is, the reinforcing rib 160 can structurally reinforce the bracket portion 100 by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bracket portions 100 vertically provid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building B, and The horizontal wire 200 provided in the bracket 100 is stably supported.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부(100)의 외측을 따라 구비되어, 건축물(B)의 외측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양단이 상기 제 1고리(101)에 각각 고정된다. 즉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부(100) 중 건축물(B)의 양단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2개의 브래킷부(100)의 상기 제 1고리(101)에 각각 고정되어 건축물(B)의 외측둘레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에 관통 배치된다. 즉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양단이 상기 제 1고리(101)에 고정되고, 중심부가 복수개의 와이어고정편(152)에 관통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에 의하여 장력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리브(120)가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수평와이어(200)가 서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상기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씩 구비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상기 수평와이어(200)의 개수는 건출물(B)의 크기 및 작업환경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고리(101)와 상기 횡단부(150)는 상기 수평와이어(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rizontal wire 20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100, it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 Both ends of the horizontal wire 200 are fixed to the first ring 101, respectively. That is, the horizontal wire 200 is fixed to the first ring 101 of the two different bracket portions 10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uilding B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100, respectively. )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horizontal wire 200 is disposed through the wire fixing piece 152. That is, both ends of the horizontal wire 200 are fixed to the first ring 101, and a central portion is dis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wire fixing pieces 152, so that tension can be adjusted by the wire fixing pieces 152. have. The horizontal wire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120,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wires 200 are arranged by the fixed rib 120 being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It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to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horizontal wires 200 are shown to be provided in thre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s 120, but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wires 200 is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B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t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the first ring 101 and the crossing portion 150 is preferably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wire 200.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수평와이어(200)에 외삽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수평와이어(200)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이동부(300)의 내측둘레는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의 외측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151)에 대응하는 이동홈(300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의 외측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300h)은 상기 연결편(151)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300)의 내측으로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와이어고정편(152)을 지나 관통할 때, 상기 연결편(151)이 상기 이동홈(300h)에 배치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300)는 서로 다른 브라캣부(100)를 지나 이동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동홈(300h)의 폭은, 상기 수평와이어(200)의 외측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와이어(200)는 상기 이동부(300)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홈(300h)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300)는 외주면에 제 2고리(301)가 구비된다.The moving part 300 i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extrapolated to the horizontal wire 200 and is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200.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ving part 30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fixing piece 152, and a moving groove 300h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iece 151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part 300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fixing piece 152, and the moving groove 300h is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iece 151, so that the moving part 300 The wire fixing piece 152 may be penetrated inward, and when the moving part 300 passes through the wire fixing piece 152, the connecting piece 151 is disposed in the moving groove 300h. It is easily movable. Therefore, the moving part 300 is movable through different bracket parts 100.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moving groove (300h)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wire 200, the horizontal wire 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moving groove 300h from the inside of the moving part 300 Can be stably disposed. The mov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a second ring 30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수직와이어(400)는 상기 수평와이어(20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명줄로, 일단이 상기 제 2고리(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와 연결된다. 즉 작업자는 안전대를 착용하여 상기 수직와이어(4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수직와이어(400)가 연결됨에 따라 비계(S)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와이어(400)가 상기 제 2고리(3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동부(300)에 의하여 상기 수평와이어(2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추락발생 시, 일단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진자운동의 발생이 적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작업자는 상기 이동부(300)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100)를 지나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수평이동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수직와이어(400)는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수평와이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평와이어(200)가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작업자는 서로 다른 수직와이어(200)에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며 작업이 가능하다.The vertical wire 400 is a lifeline arranged vertically on the horizontal wire 200,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31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erator. That is, the worker can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wire 400 by wearing a safety belt, and the worker can stably move the scaffold S as the vertical wire 400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vertical wire 400 can be moved along the horizontal wire 200 by the moving part 300 by being coupled to the second ring 310, and when a fall occurs, one end is not fixed, so the pendulum moves Stability can be improved due to less occurrence of.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horizontally move through the plurality of brackets 100 through the moving part 300, thereby extending the horizontal moving radius,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The vertical wire 40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s the horizontal wire 200 is provided,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horizontal wires 200. At this time, the horizontal wire 200 is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and work without being influenced by different vertical wires 200.

본 발명에 의한 구명줄 장치(10)는, 수직와이어(400)가 이동부(300)에 의하여 수평와이어(200)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추락 시 진자운동의 발생을 저하시키며,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lifelin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ire 400 is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200 by the moving part 300,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pendulum motion in the event of a fall, and the horizontal movement is possibl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고정리브(120)가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수평와이어(300)가 고정리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어, 연결 가능한 작업자의 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각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수직와이어(400)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 작업이 효율적이다.In addition, the fixed rib 120 is disposed to be inclined upward, a plurality of horizontal wires 300 can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1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connectable workers, to each worker The connected vertical wires 400 are not affected by each other, so the work is efficient.

또한 이동부(300)가 복수개의 브라캣부(100)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수평이동반경을 확장시켜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수평와이어(200)가 와이어고정편(152)에 관통됨으로써 수평와이어(200)의 장력이 조절되어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ving part 300 can move past the plurality of bracket parts 100,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extending the horizontal moving radius of the worker, and the horizontal wire 200 penetrates the wire fixing piece 152. By this, the tension of the horizontal wire 200 can be adjusted to increase stabilit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구명줄 장치 100 : 브래킷부
101 : 제 1고리 110 : 수직리브
120 : 고정리브 130 : 연결리브
140 : 지지리브 141 : 스크류
142 : 보조지지편 150 : 횡단부
151 : 연결편 152 : 와이어고정편
160 : 보강리브 200 : 수평와이어
300 : 이동부 300h : 이동홈
301 : 제 2고리 400 : 수직와이어
B: 건축물 S : 비계
10: lifeline device 100: bracket
101: first ring 110: vertical rib
120: fixed rib 130: connecting rib
140: support rib 141: screw
142: auxiliary support piece 150: cross section
151: connecting piece 152: wire fixing piece
160: Reinforcement rib 200: Horizontal wire
300: moving part 300h: moving groove
301: second ring 400: vertical wire
B: Building S: Scaffolding

Claims (10)

건축물의 상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건축물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수직리브와, 일단이 상기 수직리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양측면 각각에 반원 형상의 제 1고리가 구비되는 막대 형상의 고정리브와, 일단이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리브의 상부와 결합되는 연결리브와,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건축물의 상부 내측둘레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브래킷부;
상기 복수개의 브랫킷부의 외측을 따라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 중 상기 건축물의 일측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상기 브래킷부의 상기 고정리브에 구비되는 상기 제 1고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수평와이어;
상기 수평와이어에 외삽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제 2고리가 구비되는 이동부; 및
일단이 상기 제 2고리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와 연결되는 수직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브랫킷부는,
상기 복수개의 브래킷부 중 상기 건축물의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브래킷부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부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구명줄 장치.
A rod-shaped vertical rib dispos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ding,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ib, and the other end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 A rod-shaped fixed rib having a first ring of a semicircle on each side surface, a connecting ri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rib and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rib, and one e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A plurality of bracket parts including a support rib connected to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and disposed to abut against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are horizontally provided,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ring provided at the fixing ribs of the different bracket portion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uilding. Horizontal wire;
A mov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at is extrapolated to the horizontal wir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horizontal wire, and having a second 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the other end includes a vertical wire connected to the operator,
The bracket portion,
A lifeline device comprising a reinforcing rib structurally reinforcing the bracket portion by coupling both ends to upper portions of the bracket portion, which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rner of the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 portion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고리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ing,
Lifeline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와이어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horizontal wire,
Lifeline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고정리브의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연결편과,
내주면이 상기 수평와이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와이어가 관통되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연결편에 외주면이 결합되는 와이어고정편을 포함하는 횡단부를 더 포함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portion,
A connecting piec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xed rib,
A lifeline devic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wir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wire penetrates, and further comprising a cross section including a wire fixing piec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내측둘레가 상기 와이어고정편의 외측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에 대응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ving part,
The inner circumference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fixing piece,
A lifeline device in which a mov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iec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는,
상기 고정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ross section,
Lifeline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ib.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폭과 상기 이동홈의 폭은,
상기 수평와이어의 외측둘레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width of the moving groove,
Lifeline devic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일단이 상기 연결리브의 타단에 스크류로 결합되는 구명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rib,
A lifeline device having one end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ib.
삭제delete
KR1020170153167A 2017-11-16 2017-11-16 Apparatus of life rope KR102123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67A KR102123359B1 (en) 2017-11-16 2017-11-16 Apparatus of life r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167A KR102123359B1 (en) 2017-11-16 2017-11-16 Apparatus of life ro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97A KR20190056097A (en) 2019-05-24
KR102123359B1 true KR102123359B1 (en) 2020-06-16

Family

ID=6668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67A KR102123359B1 (en) 2017-11-16 2017-11-16 Apparatus of life r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01B1 (en) * 2019-08-12 2021-09-14 강명석 Transfer apparatus for life line
KR102405308B1 (en) * 2019-09-04 2022-06-02 강명석 Transfer apparatus for life l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364A (en) * 2006-08-21 2008-02-28 Sekisui House Ltd Safety rop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139A (en) * 1998-06-09 1999-12-21 Hyuga Kensetsu:Kk Fall proofing safety device
KR20080112494A (en)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세미코 Drop prevention frame for construction building
NL2008121C2 (en) * 2012-01-13 2013-07-16 Xsplatforms B V ANCH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364A (en) * 2006-08-21 2008-02-28 Sekisui House Ltd Safety rope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97A (en)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957B2 (en) Catwalk for a grain bin or the like and a plank used in the construction thereof
KR102123359B1 (en) Apparatus of life rope
US10604951B2 (en) Support member for joinable scaffolding planks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KR101449654B1 (en) Angle and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inspecting bridge
JP4659563B2 (en) Temporary scaffold device for dismantling and method for dismantling ultra-high structure using the device
KR200483715Y1 (en) Safe scaffolding
US20070151801A1 (en) Collapsible ladder cage
KR102497770B1 (en) U-head jack for system support
KR20190123441A (en) Cover for a gap between scaffold planks
JP2016089445A (en) Device for supporting safety net and scaffolding
KR101674878B1 (en) Scaffolding System Comprising a Scaffolding Element and Method for Erecting a Scaffolding System
KR200480473Y1 (en) Folding platform for vertical ladder and vertical ladder having the same
KR102118725B1 (en) Workbench support device
KR20200129741A (en) Apparatus for Bracket
KR100828576B1 (en) Railing for moveable scaffolding frame
KR101134360B1 (en) safety net for evading collision
KR10155991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alling down
KR20190071798A (en) Car for elevator system
KR101253030B1 (en) inner open method safety net with pully and ball bearing
KR101181453B1 (en) Apparatus for protection net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demounting protection net using the same
KR20170109973A (en) Lower cage of gang form with supporting tool
KR101864270B1 (en) Scaffolding
KR200419382Y1 (en) Post assembly for inspecting cable way
KR20240027422A (en) Portable foothold for telegrapf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