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799B1 -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799B1
KR102249799B1 KR1020190175352A KR20190175352A KR102249799B1 KR 102249799 B1 KR102249799 B1 KR 102249799B1 KR 1020190175352 A KR1020190175352 A KR 1020190175352A KR 20190175352 A KR20190175352 A KR 20190175352A KR 102249799 B1 KR102249799 B1 KR 10224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oil
hydraulic block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99B1/ko
Priority to US16/940,161 priority patent/US11260716B2/en
Priority to DE202020104834.1U priority patent/DE202020104834U1/de
Priority to CN202021765794.8U priority patent/CN212796445U/zh
Priority to KR1020210055101A priority patent/KR102260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0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details, e.g. antifreeze for suspension fluid, pumps, retarding mean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6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hydro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4Fluid spring with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20Mounting of accessories, e.g. pump,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6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allowing controlled deformation dur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3Distributor valve unit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e.g. valves, pump or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4Height Control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부와, 오일저장부에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구동부와, 모터구동부에 결합되고 오일저장부와 연결되며 오일을 증폭시키는 유압블록부와, 유압블록부에 결합되고 모터구동부와 유압블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장착패키지 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ELECTRIC DRIVING TYPE HEIGHT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구성품들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시켜 장착패키지 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개발비용을 절감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주행중 노면에서 받은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한다. 또한 샤시 스프링 및 샤시 스프링의 고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먼저 전자콘트롤 유니트에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차체에 고정된 벨로우즈형의 에어스프링에 공급하게 된다. 벨로우즈형의 에어스프링은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차고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주게 된다.
한편, 유압장치를 통해 차고 조절이 가능한바, 유압 공급을 위해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와, 유압을 생성하는 오일펌프와,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는 동력원과, 유압회로를 작동시키는 밸브블록들을 필요로 하며, 각 구성 부품은 유압을 전달하는 파이프 및 신호를 주고받는 배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된다.
그러나, 유압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 배치되므로, 공간적으로 제약사항이 많은 차량내에서 이들 부품을 설치하고 연결하는 과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 구조는 타 차종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별 구성품들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시켜 장착패키지 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개발비용을 절감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부; 상기 오일저장부에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구동부; 상기 모터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오일저장부와 연결되며, 오일을 증폭시키는 유압블록부; 및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저장부는 상기 모터구동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저장통부; 상기 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오일이 주입되는 저장입구부; 상기 저장입구부를 개페하는 저장마개부; 및 상기 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압블록부로 오일을 배출하는 저장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출구부는 상기 저장통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출구관부; 및 상기 출구관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연결하여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출구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출구부는 상기 출구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출구걸림부; 및 상기 출구실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출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저장부는 상기 저장통부와 상기 모터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저장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블록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록몸체부; 상기 오일저장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안내하는 제1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상기 제1유로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밸브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유로부; 상기 제2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 상기 제2밸브부와 상기 제1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블록펌프부; 상기 제2유로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차고조절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유로부; 및 상기 제3유로부를 개폐하는 제3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는: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부를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부는 차체에 조립되는 제1브라켓부; 상기 제1브라켓부에서 연장되는 제2브라켓부; 및 상기 제2브라켓부에서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제3브라켓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3브라켓부와 상기 오일저장부에 형성되는 저장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 상기 유압블록부와 상기 제2브라켓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는 제5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는 오일저장부와, 모터구동부와, 유압블록부와, 제어부가 상하로 적층되어 모듈화가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부를 통해 차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패키지 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차종에 관계없이 호환 가능하여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는 모터구동부가 오일저장부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모듈 부피를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차고 상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차고 유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차고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1)는 오일저장부(10)와, 모터구동부(20)와, 유압블록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하로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이 될 수 있다.
오일저장부(10)는 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모터구동부(20)는 오일저장부(10)에 삽입된다. 이러한 모터구동부(20)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된다. 일예로, 모터구동부(20)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구동몸체부(21)가 오일저장부(10)에 삽입되어 모듈 부피를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몸체부(21)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결합부(22)가 유압블록부(30)의 상측에 안착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유압블록부(30)는 모터구동부(20)에 결합되고, 오일저장부(10)와 연결되며, 오일을 증폭시킨다. 일예로, 유압블록부(30)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모터구동부(20)에 의해 유압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제어부(40)는 유압블록부(30)에 결합되고, 모터구동부(20)와 유압블록부(30)를 제어한다. 일예로, 제어부(40)는 유압블록부(30)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어하우징부(41)와, 제어하우징부(41)에 연결되고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어커넥터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하우징부(41)는 유압블록부(30)에 삽입되어 밸브를 제어하고, 모터구동부(20)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1)는 차량에 2개 장착되며, 전륜과 후륜 또는 좌측륜과 우측륜으로 나누어 유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저장부(10)는 저장통부(11)와, 저장입구부(12)와, 저장마개부(13)와, 저장출구부(14)를 포함한다.
저장통부(11)는 모터구동부(2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111)가 형성된다. 일예로, 저장통부(11)는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용기 형상을 하고, 길이와 폭이 유압블록부(30)와 대응될 수 있다. 저장통부(11)는 중앙부에 삽입홀부(111)가 형성되어 모터구동부(20)가 삽입되므로, 모듈 부피를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저장통부(11)는 외부에서 유량 인지 가능하도록 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외측에는 눈금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입구부(12)는 저장통부(11)에 형성되고, 오일이 주입된다. 저장마개부(13)는 저장입구부(12)를 개폐한다. 일예로, 저장입구부(12)는 저장통부(11)의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는 저장마개부(13)를 제거한 후 저장입구부(12)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저장출구부(14)는 저장통부(11)에 형성되고, 유압블록부(30)로 오일을 배출한다. 일예로, 저장출구부(14)는 저장통부(1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로 배치되는 저장출구부(14)는 각각 독립된 유압유로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출구부(14)는 출구관부(141)와, 출구실링부(142)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출구관부(141)는 저장통부(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오일을 배출한다. 일예로, 2개의 출구관부(141)는 저장통부(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오일을 안내하도록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출구실링부(142)는 출구관부(141)와 유압블록부(30)를 연결하여 오일 누출을 방지한다. 일예로, 출구실링부(142)는 유압블록부(3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고, 출구관부(141)는 출구실링부(142)에 삽입될 수 있다. 출구실링부(142)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출구관부(141)가 출구실링부(142)에 지지되어 저장통부(11)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출구부(14)는 출구걸림부(143)와 출구삽입부(144)를 포함한다.
출구걸림부(143)는 출구관부(14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예로, 출구걸림부(143)는 출구관부(14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출구삽입부(144)는 출구실링부(142)에 형성되고, 출구걸림부(143)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일예로, 출구삽입부(144)는 출구실링부(142)의 내측에 홈 형상을 하거나, 출구실링부(142)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출구걸림부(143)는 출구삽입부(14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저장부(10)는 저장완충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완충부(15)는 저장통부(11)와 모터구동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한다. 일예로, 저장완충부(15)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삽입홀부(111)가 형성되는 저장통부(11)의 내측에 부착되거나 모터구동부(20)의 외측에 부착되어 진동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저장부(10)는 저장결합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결합부(16)는 한 쌍이 저장통부(1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예로, 저장결합부(16)의 반대측에 저장출구부(1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블록부(30)는 블록몸체부(31)와, 제1유로부(32)와, 제1밸브부(33)와, 제2유로부(34)와, 제2밸브부(35)와, 블록펌프부(36)와, 제3유로부(37)와, 제3밸브부(38)를 포함한다.
블록몸체부(31)는 제어부(40)와 모터구동부(20) 사이에 배치된다. 일예로, 블록몸체부(31)는 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으며, 블록몸체부(31)에는 오일을 이동시키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부(32)는 오일저장부(10)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안내한다. 일예로, 2개의 제1유로부(32)에는 출구실링부(142)가 각각 압입되고, 출구실링부(142)에 저장출구부(14)가 연결되어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제1밸브부(33)는 제1유로부(32)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유로부(32)를 개폐한다. 일예로, 제1밸브부(33)는 제어부(40)에서의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제1유로부(32)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제2유로부(34)는 제1유로부(3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밸브부(33)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밸브부(35)는 제2유로부(34)에 형성되고, 제2유로부(34)를 개폐한다. 일예로, 제2밸브부(35)는 제어부(40)에서의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제2유로부(34)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블록펌프부(36)는 제2밸브부(35)와 제1밸브부(3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유로부(34)에 형성되고, 모터구동부(20)에 의해 구동된다. 일예로, 모터구동부(20)의 편심축 회전으로 인해 블록펌프부(36)는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블록펌프부(36)에서 생성된 유압에 의해 오일은 제1밸브부(3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유로부(37)는 제2유로부(34)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차고조절부(39)에 타단부가 연결된다. 일예로, 제3유로부(37)는 블록펌프부(36)와 제1밸브부(3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유로부(34)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차고조절부(39)는 각 휠에 장착되고 유압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차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제3밸브부(38)는 제3유로부(37)를 개폐한다. 일예로, 제3밸브부(38)는 제어부(40)에서의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제2유로부(34)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1)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50)는 오일저장부(10)와 유압블록부(30)를 고정시킨다. 일예로, 고정부(50)는 차체에 결합되면서 오일저장부(10)와 유압블록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부(51)와, 고정브라켓부(51)를 오일저장부(10) 및 유압블록부(30)와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부(51)는 제1브라켓부(511)와, 제2브라켓부(512)와, 제3브라켓부(513)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부(511)는 차체에 조립된다. 일예로, 제1브라켓부(511)는 차체의 장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하여 면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2브라켓부(512)는 제1브라켓부(511)에서 연장된다. 일예로, 제2브라켓부(512)는 제1브라켓부(511)에 연결되고, 적층된 제어부(40)와 유압블록부(30)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브라켓부(513)는 제2브라켓부(512)에서 오일저장부(10)와 유압블록부(30)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결합부(52)와 결합된다. 일예로, 제3브라켓부(513)는 제2브라켓부(512)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오일저장부(10)와 유압블록부(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결합부(52)는 제1결합부(521)와, 제2결합부(522)와, 제3결합부(523)와, 제4결합부(524)와, 제5결합부(525)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521)는 제3브라켓부(513)와 유압블록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일예로, 제1결합부(521)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유압블록부(30)의 상측에 안착되어 제3브라켓부(513)를 지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522)는 제3브라켓부(513)와 오일저장부(10)에 형성되는 저장결합부(16) 사이에 배치된다. 일예로, 제2결합부(522)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3브라켓부(513)의 상측에 안착되어 저장결합부(16)를 지지할 수 있다.
제3결합부(523)는 제1결합부(521)와 제2결합부(522)를 관통하여 유압블록부(30)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3결합부(523)는 저장결합부(16)와, 제2결합부(522)와, 제3브라켓부(513)와, 제1결합부(521)를 순차로 관통하여 유압블록부(3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될 수 있다.
제4결합부(524)는 유압블록부(30)와 제2브라켓부(512) 사이에 배치된다. 일예로, 제4결합부(52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유압블록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5결합부(525)는 제4결합부(524)를 관통하여 유압블록부(30)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5결합부(525)는 제2브라켓부(512)와 제4결합부(524)를 순차로 관통하여 유압블록부(30)의 측면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일저장부(10)에 모터구동부(20)를 삽입하고, 모터구동부(20)의 저면이 유압블록부(3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모터구동부(20)와 유압블록부(30)를 볼트 결합한다. 그리고, 유압블록부(30)의 저면에 제어부(40)를 밀착시키고, 유압블록부(30)와 제어부(40)를 볼트 결합한다.
제어부(40)는 유압블록부(30)의 각종 밸브 제어를 가능하도록 유압블록부(30)와 연결되고, 모터구동부(20)는 유압블록부(30)에 삽입되어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저장통부(11)에 형성되는 삽입홀부(111)에 모터구동부(20)가 삽입되어 모듈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통부(11)에 형성되는 출구관부(141)는 유압블록부(30)에 압입되는 출구실링부(142)에 지지되어 오일 누출을 막고 저장통부(11)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고정브라켓부(51)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결합부(52)는 고정브라켓부(51)를 오일저장부(10)와 유압블록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시켜 모듈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오일저장부(10)와, 모터구동부(20)와, 유압블록부(30)와, 제어부(40)가 일체화된 하나의 모듈이 되므로, 별도의 유압 라인 또는 배선 설치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50)가 모듈화된 부품을 차체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차고 상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밸브부(33)가 제1유로부(32)를 폐쇄하고, 제2밸브부(35)가 제2유로부(34)를 개방하며, 제3밸브부(38)가 제3유로부(37)를 개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모터구동부(20)가 작동되어 블록펌프부(36)가 구동되면, 오일저장부(10)에서 공급되는 오일이 제2유로부(32)를 통해 블록펌프부(36)에 공급되고, 유압이 증폭된 후 제3유로부(37)를 통해 차고조절부(39)에 공급되어 차고를 상승시킨다.
도 6은 도 3에서 차고 유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밸브부(38)가 제3유로부(37)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차고조절부(39)에 공급된 유압이 유지되어 차고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3밸브부(38)는 노멀클로즈드 밸브가 적용되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차고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차고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밸브부(33)가 제1유로부(32)를 개방하고, 제2밸브부(35)가 제2유로부(34)를 폐쇄하며, 제3밸브부(38)가 제3유로부(37)를 개방한다. 그리고, 블록펌프부(36)의 구동이 중지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차고조절부(39)에 공급된 오일은 제3유로부(37)와 제1유로부(32)를 통해 오일저장부(10)로 이동되어 차고가 낮아진다. 이때, 차고 하강 속도는 제1밸브부(33)의 개방량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1)는 오일저장부(10)와, 모터구동부(20)와, 유압블록부(30)와, 제어부(40)가 상하로 적층되어 모듈화가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부(50)를 통해 차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패키지 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차종에 관계없이 호환 가능하여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오일저장부 11 : 저장통부
12 : 저장입구부 13 : 저장매개부
14 : 저장출구부 15 : 저장완충부
16 : 저장결합부 20 : 모터구동부
30 : 유압블록부 31 : 블록몸체부
32 : 제1유로부 33 : 제1밸브부
34 : 제2유로부 35 : 제2밸브부
36 : 블록펌프부 37 : 제3유로부
38 : 제3밸브부 39 : 차고조절부
40 : 제어부 50 : 고정부
51 : 고정브라켓부 52 : 고정결합부

Claims (10)

  1.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부;
    상기 오일저장부에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구동부;
    상기 모터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오일저장부와 연결되며, 오일을 증폭시키는 유압블록부; 및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는
    상기 모터구동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저장통부;
    상기 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오일이 주입되는 저장입구부;
    상기 저장입구부를 개페하는 저장마개부; 및
    상기 저장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압블록부로 오일을 배출하는 저장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출구부는
    상기 저장통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출구관부; 및
    상기 출구관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연결하여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출구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출구부는
    상기 출구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출구걸림부; 및
    상기 출구실링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출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는
    상기 저장통부와 상기 모터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저장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블록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모터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블록몸체부;
    상기 오일저장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안내하는 제1유로부;
    상기 제1유로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
    상기 제1유로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밸브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유로부;
    상기 제2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
    상기 제2밸브부와 상기 제1밸브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블록펌프부;
    상기 제2유로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차고조절부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3유로부; 및
    상기 제3유로부를 개폐하는 제3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부를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부는
    차체에 조립되는 제1브라켓부;
    상기 제1브라켓부에서 연장되는 제2브라켓부; 및
    상기 제2브라켓부에서 상기 오일저장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제3브라켓부와 상기 유압블록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3브라켓부와 상기 오일저장부에 형성되는 저장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
    상기 유압블록부와 상기 제2브라켓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부에 결합되는 제5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KR1020190175352A 2019-12-26 2019-12-26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KR10224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52A KR102249799B1 (ko) 2019-12-26 2019-12-26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US16/940,161 US11260716B2 (en) 2019-12-26 2020-07-27 Electric height control device
DE202020104834.1U DE202020104834U1 (de) 2019-12-26 2020-08-20 Elektrische Höhenregelungsvorrichtung
CN202021765794.8U CN212796445U (zh) 2019-12-26 2020-08-21 电动高度控制装置
KR1020210055101A KR102260509B1 (ko) 2019-12-26 2021-04-28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52A KR102249799B1 (ko) 2019-12-26 2019-12-26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101A Division KR102260509B1 (ko) 2019-12-26 2021-04-28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99B1 true KR102249799B1 (ko) 2021-05-10

Family

ID=728400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52A KR102249799B1 (ko) 2019-12-26 2019-12-26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KR1020210055101A KR102260509B1 (ko) 2019-12-26 2021-04-28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101A KR102260509B1 (ko) 2019-12-26 2021-04-28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60716B2 (ko)
KR (2) KR102249799B1 (ko)
CN (1) CN212796445U (ko)
DE (1) DE202020104834U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898A (ja) * 2006-12-18 2008-07-03 Advics:Kk 車両の運動制御装置の支持構造
JP2018188147A (ja) * 2014-04-17 2018-11-29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ヴス・アーゲー・ウント・コ・オーハーゲー 一体型給気ユニット
JP2019018699A (ja) * 2017-07-18 2019-02-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液圧制御装置
KR101987686B1 (ko) * 2016-10-18 2019-09-30 윤용주 공압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822A (ja) * 1991-08-30 1993-07-27 Tokico Ltd 車高調整システム
JP5424751B2 (ja) * 2009-07-10 2014-02-2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4065387A (ja) * 2012-09-25 2014-04-17 Showa Corp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US9702349B2 (en) * 2013-03-15 2017-07-11 ClearMotion, Inc. Ac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
JP6067455B2 (ja) * 2013-03-28 2017-01-25 株式会社ショーワ 自動二輪車の車高調整装置
ITUA20163740A1 (it) * 2016-05-24 2017-11-24 Sistemi Sospensioni Spa Sospensione per veicolo con ammortizzatore idraulico rigenerativo e con sistema di regolazione dell'assetto del veicol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898A (ja) * 2006-12-18 2008-07-03 Advics:Kk 車両の運動制御装置の支持構造
JP2018188147A (ja) * 2014-04-17 2018-11-29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ヴス・アーゲー・ウント・コ・オーハーゲー 一体型給気ユニット
KR101987686B1 (ko) * 2016-10-18 2019-09-30 윤용주 공압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 시스템
JP2019018699A (ja) * 2017-07-18 2019-02-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液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7638A1 (en) 2021-07-01
KR102260509B1 (ko) 2021-06-03
DE202020104834U1 (de) 2020-09-21
US11260716B2 (en) 2022-03-01
CN212796445U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719B1 (ko) 차고 조절장치
KR20210026062A (ko) 차고 조절장치
KR102249799B1 (ko)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US20160272272A1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apparatus
KR102622504B1 (ko) 차고 조절장치
KR102032450B1 (ko) 차량용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KR102173985B1 (ko) 멀티 챔버형 에어스프링 장치
CN102062128B (zh) 用于控制油流入单侧缸体的阀
WO2023125961A1 (zh) 液压式主动悬架及具有其的车辆
KR20200124518A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KR102657468B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및 이의 블록
KR100271285B1 (ko) 차량용 능동 현가장치
KR20210026057A (ko) 차고 조절장치
KR20240003930A (ko) 유압식 차고 조절장치
KR20220032763A (ko)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KR102591718B1 (ko) 차고 조절장치
KR20240003931A (ko) 유압식 차고 조절장치
KR102212321B1 (ko) 엘피아이 시스템용 맥동완화장치
CN220168439U (zh) 减振器的安装座、减振器和车辆
KR100444456B1 (ko)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레벨링 시스템
JPH109328A (ja) 車高調整装置
KR20210026064A (ko) 차고 조절장치
KR20220040182A (ko) 전동식 차고 조절장치
KR20210026063A (ko) 차고 조절장치
KR20210119224A (ko) 엘피아이 시스템용 맥동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