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204B1 -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204B1 KR102248204B1 KR1020197004952A KR20197004952A KR102248204B1 KR 102248204 B1 KR102248204 B1 KR 102248204B1 KR 1020197004952 A KR1020197004952 A KR 1020197004952A KR 20197004952 A KR20197004952 A KR 20197004952A KR 102248204 B1 KR102248204 B1 KR 1022482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flow path
- dispensing valve
- valv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발포성 음료가 충전된 용기(2)로부터 중력에 의하여 음료를 따르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1)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구성 요소(11, 18)로 구성되어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10)로서, 공기 구멍(27)을 가지고, 용기의 귀때를 포함하는 단부에 장착 가능한 주출 밸브(10)와, 주출 밸브(10)가 장착된 용기(2)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케이스(30)와, 주출 밸브(10)의 유로를 흐르는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유지 케이스(30)에 배설된 초음파 진동자(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포성 음료를 글라스 등에 따르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맥주 등의 발포성 음료를 글라스 등에 따르는 음료 공급 장치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맥주 서버가 알려져 있다. 이 맥주 서버는 그곳을 통과하면서 흐르는 맥주를 순간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냉매 압축 회로를 가진 강력한 냉각기를 내장하고, 별도로 설치된 맥주통 및 탄산가스 봄베에 관로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맥주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글라스에 따랐을 때에 상질의 고운 거품이 형성된 맥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맥주 서버는 탄산가스 봄베 및 맥주통의 설치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거나, 맥주통에 남아 있는 맥주의 소비 기한에 주의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맥주 배관로의 정기적인 세정이 필요하기도 하기 때문에, 특히 소형 점포에게는 설비 비용, 소요 공간 및 보수의 관점에서 약간 부담이 큰 설비일 수 있다. 세정 방법에 대하여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이 제안되어 있지만, 더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편한 구성이고 보수도 용이하지만, 상질의 거품이 형성된, 글라스에 따라 발포성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발포성 음료가 충전된 용기로부터 중력에 의하여 상기 음료를 따르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로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상기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로서,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용기의 귀때를 포함하는 단부에 장착 가능한 주출 밸브와, 상기 주출 밸브가 장착된 상기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케이스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상기 유지 케이스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발포성 음료가 충전된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귀때를 포함하는 단부에 장착 가능한 주출 밸브로서,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상기 귀때를 열고 나서, 상기 유로가 닫힌 상태의 상기 주출 밸브를 상기 용기의 상기 단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상기 주출 밸브가 장착된 단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계속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음료가 주입되는 글라스를 준비하여 상기 주출 밸브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글라스에 상기 음료를 따르는 단계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의 개방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강력한 냉각기나, 별도로 설치되는 탄산가스 봄베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편한 구성으로, 예를 들면 보통의 병맥주 또는 캔맥주로부터 상질의 거품을 가진, 잔에 따른 맥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질의 거품을 가진 잔에 따른 발포성 음료는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된 용기로부터, 맥동이 발생하지 않게 주출 밸브를 통과하여 흐르는 발포성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출 밸브는 유지 케이스에는 고정되지 않고, 또한 그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것이므로, 그 내부의 세정 및/또는 소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방 상태의 병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폐쇄 상태의 병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캔용 주출 밸브가 캔맥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방 상태에 있는 캔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방 상태의 병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폐쇄 상태의 병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의 캔용 주출 밸브가 캔맥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방 상태에 있는 캔용 주출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1)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포성 음료가 맥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맥주 이외의 발포성 음료에 대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는 적용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1)(이하, "음료 공급 장치"라고 약칭한다)는 맥주병(2)의 주둥이를 포함하는 단부에 장착 가능한 병용 주출 밸브(10)로서,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유로를 개폐하는 병용 주출 밸브(10)와, 병용 주출 밸브(10)가 장착된 맥주병(2)을 경사진 각도 α로 유지하는 유지 케이스(30)와, 병용 주출 밸브(10)를 통과하여 흐르는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 진동자(40)와, 병용 주출 밸브(10)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를 구비한다.
병용 주출 밸브(10)는 왕관뚜껑이 벗겨진 맥주병(2)의 주둥이부에 씌워 설치하는 설치 기부(11)과 설치 기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노즐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기부(11)와 노즐부(18)는 병용 주출 밸브(10)의 종축선(La)과 동축에 배치된다. 설치 기부(11)는 그 전체 형상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에 걸쳐 외경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단차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맥주병(2)의 선단부에 씌워 설치하는 대경의 병 고정부(12)와, 노즐부(18)의 후술하는 제2 접속부(19)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제1 접속부(13)를 가진다. 설치 기부(11)의 내부에는, 음료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공동 또는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 기부(11)의 병 고정부(12)의 내부의 구멍(14)은 왕관(도시하지 않음) 장착을 위한 팽윤부 또는 두꺼운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맥주병(2)의 선단부에 꼭 끼게 감합하는 부분(14a)을 가지고 있다.
제1 접속부(13) 선단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원통형의 밸브체(15)가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1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3장(도 3에서는 2장이 개시되어 있다)의, 종축선(La)에 관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접속판(16)에 의하여 제1 접속부(13)의 원통형의 벽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13)의 선단부에는, 노즐부(18)에 대한 빠짐 방지부로 기능하는 링 모양의 제1 팽윤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 기부(11)의 맥주병(2)에의 설치 및 설치 기부(11)와 노즐부(18)의 상호 접속시에는, 설치 기부(11) 및 노즐부(18)는 주로 반경 방향으로 변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형이 재료의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 발생하도록, 설치 기부(11) 및 노즐부(18)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18)는 설치 기부(11)의 제1 접속부(13)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 설치하는 제2 접속부(19)와 음료의 토출단을 포함하는 직선 관 모양부(21)로 단차가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19)는 음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제1 접속부(13)의 외경에 꼭 끼게 감합하는 내경을 가지고 있다. 제2 접속부(19)는 설치 기부(11)의 제1 접속부(13)의 제1 팽윤부(17)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안쪽으로의 제2 팽윤부(22)를 빠짐 방지를 위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접속부(19)를 설치 기부(11)의 제1 접속부(13)에 씌워 연결할 때, 제2 팽윤부(22)는 제1 팽윤부(17)를 넘어간다. 또한, 제2 접속부(19)의 외주면에는 링 모양으로 돌출된 제1 칼라(23) 및 제2 칼라(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칼라(23)에는, 병용 주출 밸브(10)를 개변하기 위하여 노즐부(18)를 설치 기부(11)에 대하여 종축선(La)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후술하는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의 작용판(51)이 계합하여 종축선(La) 방향의 힘을 가한다.
제2 접속부(19)의 선단 측에는, 설치 기부(11)의 밸브체(15)가 삽입되어 꼭 끼게 감합하는 원형의 밸브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밸브체(15)가 밸브구(25)에 삽입되어 유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노즐부(18)가 설치 기부(11)에 대하여 종축선(La)의 방향으로 선단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체(15)가 밸브구(25)로부터 떨어져서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병용 주출 밸브(10)에 있어서의 유로의 개폐는 설치 기부(11)에 대하여 노즐부(18)를 종축선(La)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노즐부(18)의 직선 관 모양부(21)는 그 선단이 비스듬하게 잘린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그 내부에 음료를 흘려보내기 위한 비교적 굵은 음료 관로(26)와 음료 관로(2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음료 관로(26)보다 충분히 가는 공기 관로(27)를 가지고 있다. 공기 관로(27)는 음료 주출 시에 음료의 맥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용 주출 밸브(10)가 개방 상태일 때에 설치 기부(11)의 내부의 공동과 대기를 연통하는 공기 구멍으로 기능한다.
유지 케이스(30)는 본체부(31)와 뚜껑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1)는 병용 주출 밸브(10)가 장착된 맥주병(2)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병렬로, 병용 주출 밸브(10)를 아래쪽으로 하고, 수평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 α로 유지한다. 또한, 본체부(31)는 맥주병(2)의 낙하 또는 흘러내림을 막는 스토퍼(33)를 가지고 있다. 맥주병(2)을 유지하는 각도 α는 초음파 진동을 맥주에 가하지 않은 경우에, 글라스(3)에 따른 맥주의 거품이 거의 억제될 수 있을 정도로 음료가 완만하게 유출될 것, 병용 주출 밸브(10)의 공기 관로(27)가 기능하여 맥동이 방지될 것, 및 주출 시간이 너무 길어지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25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이 각도 α는, 예를 들면 맥주병(2)의 용량, 병용 주출 밸브(10)의 유로의 크기 형상, 병용 주출 밸브(10)의 공기 관로(27)의 배치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하여 그 최적값이 바뀔 수 있다.
스토퍼(33)는 맥주병(2)의 선단부 가까이의 잘록한 부분에 감합하는 폭을 가지는 U자 홈(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스토퍼(33)는 맥주병(2)의 잘록한 부분을 U자 홈에 삽입함으로써 맥주병(2)의 낙하 또는 흘러내림을 저지한다. 다만, 맥주병(2)의 잘록한 부분이 아니라, 병용 주출 밸브(10)의 설치 기부(11)의 병 고정부(12)의, 예를 들면 도 3의 A로 나타내는, 단차가 있는 단부에 U자 홈이 계합하는 스토퍼(33)를 가진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본체부(31)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펠티어 소자를 사용한 냉각판(34)이 맥주병(2)의 몸통 부분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된 맥주병(2)이 사용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맥주의 주출을 더 저온 상태에서 실시하기 위하여 냉각판(34)이 본체부(31)에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모두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음파 진동자(40)를 구동하기 위한 초음파 발진기 및 펠티어 소자 구동 장치도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31)는 그 정면 아래쪽 부분에 전방으로 튀어나온 글라스 탑재부(35)도 있다. 글라스 탑재부(35)에는 글라스(3)의 위치 결정을 위한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케이스(30)의 뚜껑부(32)는 도 2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은 힌지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본체부(31)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맥주병(2)을 본체부(31)에 세팅할 때에는, 뚜껑부(32)를 세게 튀기면서 세팅한다. 또한, 뚜껑부(32)에는, 초음파 발진기(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키기 위한 초음파 시동 버튼(37)이 설치되어 있다.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는 수동으로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를 종축선(La)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는 굴곡된 판 모양의 작용판(51)과, 작용판(51)이 종축선(La)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유지 케이스(30)의 본체부(31)에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52)을 구비한다. 작용판(51)은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의 제2 접속부(19)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칼라(23)에 계합하여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용판(51)은 주출 밸브가 설치된 맥주병(2)의 세트 시에 제1 칼라(23)가 작용판(51)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대소 2개의 둥근 구멍이 연속하여 일부 서로 겹쳐서 형성된 오뚜기 형태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맥주병(2)을 세트할 경우에는, 조작자는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의 제1 칼라(23)가 오뚜기 형태의 구멍의 큰 구멍 부분을 통과하였다면, 맥주병(2)을 작용판(51)에 대하여 어긋나게 함으로써 제1 칼라(23)를 오뚜기 형태의 구멍의 작은 구멍 부분에 계합시킬 수 있다.
작용판(51)의 선단측에는, 조작자가 손을 대는 데 적합한 형상의 핸들부(51a)가 형성되고, 한편, 기단측에는, L자형으로 굴곡된 초음파 진동자 부착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자(40)는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를 통과하여 흐르는 음료에 효과적으로 초음파 진동을 가하기 위하여, 노즐부(18)의 직선 관 모양부(21)에 밀접하게 접하도록, 작용판(51)의 초음파 진동자 부착부(51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40)는 병용 주출 밸브(10)가 개방될 때, 작용판(51) 및 노즐부(18)와 함께 종축선(La)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를 사용하여 맥주를 글라스(3)에 따르는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냉장고 등에 보관하여 차게 한 맥주가 충전된 맥주병(2)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맥주병(2)의 왕관뚜껑을 제거하고, 유로가 닫힌 상태의 병용 주출 밸브(10)를 맥주병(2)의 선단부에 손으로 끼워 넣는다.
다음으로, 유지 케이스(30)의 뚜껑부(32)를 열어, 병용 주출 밸브(10)가 장착된 맥주병(2)을 주둥이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그리고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의 공기 관로(27)가 음료 관로(26)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또한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의 작용판(51)이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의 제1 칼라(23)와 제2 칼라(24)와의 사이에 있도록 유지 케이스(30)의 본체부(31)에 세팅한다.
다음으로, 글라스(3)를 병용 주출 밸브(10)의 아래쪽에 준비한다.
다음으로, 병용 주출 밸브(10)의 유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의 작용판(51)의 핸들부(51a)를 병용 주출 밸브(10)의 종축선(La)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끌어내린다.
그렇게 하면, 맥주가 중력에 의하여 유출되기 시작하므로, 글라스(3)에 따른 양이 소정의 양에 이르렀을 때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ON으로 하여 초음파 진동자(40)를 작동시킨다. 또한, 맥주가 모두 다 유출되면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OFF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음파 진동자(40)가 초음파 진동을 맥주에 가함으로써 거품이 발생한다. 바꾸어 말하면, 초음파 진동자(40)가 작동하지 않으면 거품의 발생이 거의 없는 맥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40)를 작동시키기 시작하는 맥주의 상기 소정의 양은 바람직한 거품의 양이나 탄산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또한, 작동시키기 시작했다면, 전량을 다 따를 때까지 작동을 계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의 양은, 예를 들면 맥주병(2)에 포함되어 있던 전량의 70% 또는 그 이상에 대응하는 양이다.
다음으로, 맥주를 따른 글라스(3)를 음료 공급 장치(1)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유지 케이스(30)의 뚜껑부(32)를 열고, 비워진 맥주병(2)을 음료 공급 장치(1)로부터 꺼내고, 또한 병용 주출 밸브(10)를 맥주병(2)으로부터 제거한다. 맥주병(2)으로부터 제거한 병용 주출 밸브(10)는 설치 기부(11)로부터 노즐부(18)를 뽑아내면 그것들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수도물 또는 세제를 사용하여 세정하거나 또는 열탕 등에 의한 소독을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음료 공급 장치(1)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별도로 설치된 탄산가스 봄베 및 맥주통을 사용하지 않고, 초음파 진동자(40)에 의하여 형성된 상질의 거품을 가진 잔에 따른 맥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초음파 진동자(40)가 작동하지 않으면 따른 맥주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음료 공급 장치(1)가 구성되어 거품이 주로 초음파 진동자(40)의 진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초음파 진동자(40)가 작동하지 않으면 따른 맥주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맥주병(2)이 일정한 비교적 완만한 경사 각도 α로 유지되는 동시에, 맥동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관로(27)가 병용 주출 밸브(10)에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1)는 냉장된 맥주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구성의 펠티어 소자를 사용한 냉각판(34)이 사용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냉매 압축 회로를 가진 강력한 냉각기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와 설치 공간의 감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병용 주출 밸브(10)는 음료 공급 장치(1)의 유지 케이스(30)에는 고정되지 않고, 또한 설치 기부(11)와 노즐부(18)라는 2개의 구성요소로부터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의 세정 및/또는 소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수동 밸브 개방 기구(50)를 대신하여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를 구비하고,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대신하여 주출 버튼(137)이 유지 케이스(130)의 뚜껑부(132)에 구비되며, 및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와 초음파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가진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에 있어서,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와 다르다. 따라서,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의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는 피니언(153)이 고정된 샤프트를 가진 전동 모터(154)와, 피니언(153)이 서로 맞물리는 랙(155)이 고정된 슬라이드 판(152)과 슬라이드 판(152)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작용판(151)을 구비한다. 전동 모터(154)는 유지 케이스(130)의 본체부(131)에 고정되는 데 대하여, 슬라이드 판(152)은 병용 주출 밸브(10)의 종축선(L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 케이스(130)의 본체부(131)에 의하여 지지된다. 작용판(151)에는,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에 계합할 수 있도록, 선단 측이 개방된 U자 모양의 절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U자 모양의 절결은 그 폭이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의 제2 접속부(19)의 외경보다 약간 크지만, 제1 칼라(23) 및 제2 칼라(2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의 것이다. 그 결과, 작용판(151)으로부터 노즐부(18)에 대하여 병용 주출 밸브(10)의 종축선(La) 방향으로 힘이 미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40)가 노즐부(18)의 직선 관 모양부(21)에 밀접하게 접하도록 슬라이드 판(152)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 케이스(130)의 뚜껑부(132)에 구비된 주출 버튼(137)은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의 전동 모터(154) 및 초음파 발진기(도시하지 않음)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주출 버튼(137)이 눌려지면,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한편,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가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병용 주출 밸브(10)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즉 슬라이드 판(152) 및 작용판(151)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의 전동 모터(154)를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는 동시에, 타이머에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초음파 발진기를 작동시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출 버튼(137)이 한번 더 눌리면, 제어 장치는 병용 주출 밸브(10)의 유로가 닫히도록, 전동 모터(154)를 소정의 회전수만큼 역전시킨다.
제2 실시형태의 음료 공급 장치(100)에 의하면, 초음파 발진기가 적절한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작동하므로, 맥주의 거품의 양을 균일화할 수 있는 동시에, 주출 버튼(137)을 누른 조작자가 다른 일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는 병용 주출 밸브(10)를 닫을 수도 있으므로, 1개의 맥주병(2)의 맥주를 복수의 글라스(3)에 나누어 따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가 병용 주출 밸브(10)의 개방만을 행하는 전동 밸브 개방 기구로 대체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병용 주출 밸브(10)를 대신하여 캔맥주용 주출 밸브(210)(이하 "캔용 주출 밸브"라고 부른다)를 구비함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와 다르다. 그 때문에, 주로 캔용 주출 밸브(210)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의 캔용 주출 밸브(210)는 맥주 캔(4)의 귀때를 포함하는 단부에 장착된다. 그 때문에, 캔용 주출 밸브(210)는 맥주 캔(4)의 단부에 씌워 설치하는 설치 기부(211)와, 설치 기부(21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노즐부(18)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부(18)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와 동일하다. 설치 기부(211)는 맥주 캔(4)의 단부에 씌워 설치하는 직경이 큰 실질적으로 원판 형태의 캔 고정부(212)와, 노즐부(18)의 제2 접속부(19)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제1 접속부(213)를 가지고 있다. 제1 접속부(213)는 캔 고정부(212)의 단면으로부터 수직이 아니라, 수직으로부터 약 30도 경사진 각도 β로 뻗어 있다. 설치 기부(211)의 캔 고정부(212)의 내부에는, 팽윤부가 형성된 맥주 캔(4)의 단부에 씌워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멈춤쇠(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30도의 각도 β는 일례이며, 여러 조건, 예를 들면 캔의 굵기, 유지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의 캔의 설치 각도 α등에 의하여 변할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세트된 캔용 주출 밸브(210)가 부착된 캔맥주(4)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유지 케이스의 본체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는 설치 기부(211)의 캔 고정부(212)의 단면에 계합한다.
캔용 주출 밸브(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기부(211)의 캔 고정부(212)가 맥주 캔(4)에 씌워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제1 접속부(213)가 캔 고정부(212)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나와 있는 점에 있어서 병용 주출 밸브(10)와 다르다. 그러나, 그 외의 구성, 즉 설치 기부(211)의 제1 접속부(213) 및 노즐부(18)의 구성은 병용 주출 밸브(10)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유로의 개폐의 양태 및 노즐부(18)가 설치 기부(211)로부터 분리 가능하다는 특징 및 공기 관로(27)의 효과에 의하여 주출 중의 맥동이 방지된다고 하는 특징도 병용 주출 밸브(10)와 같다.
이와 같은 캔용 주출 밸브(210)를 구비한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캔맥주(4)로부터 초음파 진동자(40)에 의하여 형성된 상질의 거품을 가진 잔에 따른 맥주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는 사람이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조작하여 초음파 진동자(40)를 작동시키는 것이지만, 병용 주출 밸브(10)가 개방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초음파 진동자(40)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그것은, 예를 들면, 글라스(3)의 액면(液面)을 감시하는 액면 센서에 의해, 또는 병용 주출 밸브(10)가 개방된 것, 즉 노즐부(18)가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광 센서 또는 근접 센서와 타이머를 조합한 구성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실시형태의 것보다 더 단순한 구성으로서 수동 밸브 개방 장치 (50)를 구비하지 않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그 경우, 병용 주출 밸브(10)의 개방은 사람의 손으로 직접 병용 주출 밸브(10)의 노즐부(18)를 설치 기부(11)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는 냉장된 맥주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구성의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각판(34)이 사용되고 있지만, 냉장되지 않은 맥주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나 냉각 능력을 올리고 싶은 경우에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냉매 압축 회로를 가진 냉각기 등 냉각 능력이 높은 냉각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자(40)를 작동시킨 후, 맥주가 모두 다 유출되면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OFF로 하지만, 맥주가 모두 다 유출되기 전에 초음파 시동 버튼(37)을 OFF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의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는 피니언(153)이 고정된 샤프트를 가진 전동 모터(154)와, 피니언 (153)이 서로 맞물리는 랙(155)이 고정된 슬라이드 판(152)과, 슬라이드 판(152)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작용판(151)을 구비하고 있지만, 자동 밸브 개폐 기구(150)는 이외의 구성, 예를 들면, 푸셔 등의 장치를 사용한 것이라도 좋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개변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변된 다른 실시 형태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10 병용 주출 밸브
11 설치 기부
12 병 고정부
13 제1 접속부
15 밸브체
18 노즐부
19 제2 접속부
25 밸브구
26 음료 관로
27 공기 관로
30 유지 케이스
31 본체부
32 뚜껑부
40 초음파 진동자
50 수동 밸브 개방 기구
10 병용 주출 밸브
11 설치 기부
12 병 고정부
13 제1 접속부
15 밸브체
18 노즐부
19 제2 접속부
25 밸브구
26 음료 관로
27 공기 관로
30 유지 케이스
31 본체부
32 뚜껑부
40 초음파 진동자
50 수동 밸브 개방 기구
Claims (6)
- 발포성 음료가 충전된 용기로부터 중력에 의하여 상기 음료를 따르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로서,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상기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로서,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용기의 귀때를 포함한 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설치 기부와, 상기 설치 기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노즐부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설치 기부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와,
상기 주출 밸브가 장착된 상기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케이스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상기 유지 케이스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이 상기 주출 밸브의 노즐부에 형성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밸브의 유로를 자동적으로 개폐하는 자동 밸브 개폐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자동 밸브 개폐 기구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하였을 때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 발포성 음료가 충전된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귀때를 포함한 단부에 장착 가능한 주출 밸브로, 공기 구멍을 가지고, 상기 음료의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로서, 상기 용기에 장착되는 설치 기부와, 상기 설치 기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노즐부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상기 설치 기부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주출 밸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상기 귀때를 열고 나서, 상기 유로가 닫힌 상태의 상기 주출 밸브를 상기 용기의 상기 단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상기 주출 밸브의 장착된 단부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계속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음료가 주입되는 글라스를 준비하고 상기 주출 밸브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글라스에 상기 음료를 따르는 단계와,
상기 주출 밸브의 상기 유로의 개방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유로를 흐르는 상기 음료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에 포함되어 있던 상기 음료의 전량의 70% 이상이 상기 글라스에 따라졌을 때 개시되는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99356 | 2016-10-07 | ||
JP2016199356A JP6807697B2 (ja) | 2016-10-07 | 2016-10-07 | 発泡性飲料供給装置及び発泡性飲料供給方法 |
PCT/JP2017/036528 WO2018066703A1 (ja) | 2016-10-07 | 2017-10-06 | 発泡性飲料供給装置及び発泡性飲料供給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543A KR20190028543A (ko) | 2019-03-18 |
KR102248204B1 true KR102248204B1 (ko) | 2021-05-04 |
Family
ID=6183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4952A KR102248204B1 (ko) | 2016-10-07 | 2017-10-06 |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807697B2 (ko) |
KR (1) | KR102248204B1 (ko) |
CN (1) | CN109689565B (ko) |
TW (1) | TW201819282A (ko) |
WO (1) | WO20180667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023B1 (ko) * | 2018-05-10 | 2019-07-08 | 김신광 | 음료 자동 공급 장치 |
JP2021011277A (ja) | 2019-07-04 | 2021-02-04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飲料サーバー |
JP7410468B2 (ja) * | 2019-07-04 | 2024-01-10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注出ノズルおよび飲料サーバ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7096A (ja) | 1999-05-14 | 2000-11-28 | Sapporo Breweries Ltd | 発泡性飲料注出用タ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注出装置 |
JP2002145398A (ja) * | 2000-11-08 | 2002-05-22 | Yoshinobu Toyomura | ビール飲料容器用補助ケース |
JP2003165599A (ja) | 2001-11-28 | 2003-06-10 | Mitsumi Electric Co Ltd | 発泡促進装置 |
JP2012144258A (ja) * | 2011-01-06 | 2012-08-02 | Tekkusu Iijii:Kk | 容器入り発泡飲料用泡立て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536671A (en) * | 2002-05-23 | 2008-08-29 | Eiji Yoshida | Beverage dispenser with system to prevent deterioration of quality |
JP2011126587A (ja) | 2009-12-21 | 2011-06-30 | Suntory Holdings Ltd | 飲料供給装置の管路洗浄装置 |
-
2016
- 2016-10-07 JP JP2016199356A patent/JP6807697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10-06 TW TW106134554A patent/TW201819282A/zh unknown
- 2017-10-06 WO PCT/JP2017/036528 patent/WO201806670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0-06 CN CN201780056110.1A patent/CN10968956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10-06 KR KR1020197004952A patent/KR1022482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7096A (ja) | 1999-05-14 | 2000-11-28 | Sapporo Breweries Ltd | 発泡性飲料注出用タ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注出装置 |
JP2002145398A (ja) * | 2000-11-08 | 2002-05-22 | Yoshinobu Toyomura | ビール飲料容器用補助ケース |
JP2003165599A (ja) | 2001-11-28 | 2003-06-10 | Mitsumi Electric Co Ltd | 発泡促進装置 |
JP2012144258A (ja) * | 2011-01-06 | 2012-08-02 | Tekkusu Iijii:Kk | 容器入り発泡飲料用泡立て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07697B2 (ja) | 2021-01-06 |
CN109689565A (zh) | 2019-04-26 |
KR20190028543A (ko) | 2019-03-18 |
WO2018066703A1 (ja) | 2018-04-12 |
JP2018058632A (ja) | 2018-04-12 |
CN109689565B (zh) | 2020-12-04 |
TW201819282A (zh) | 2018-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204B1 (ko) | 발포성 음료 공급 장치 및 발포성 음료 공급 방법 | |
CN107205574B (zh) | 用于制备饮料消费品的单元、装置和系统 | |
AU2017231581B2 (en) |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 |
US20180370784A1 (en) | Container for receiving beverages and device for filling the container | |
TW200934719A (en) |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such a container with liquid | |
JP6600225B2 (ja) | 飲料ディスペンサ | |
KR20200131284A (ko) | 분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 |
JP2012144267A (ja) | 飲料ノズルの洗浄装置 | |
JP7217512B2 (ja) | 発泡性飲料の注出方法、および、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 |
JP2006264736A (ja) | 発泡飲料注出装置 | |
JP6556027B2 (ja) | 飲料ディスペンサ | |
JP6431306B2 (ja) |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 |
JP7261608B2 (ja) | 飲料供給装置 | |
JP6832835B2 (ja) | 飲料注出バルブ、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 |
JP4223906B2 (ja) | 飲料サーバー用洗浄器 | |
JP2007084127A (ja) | 飲料供給装置 | |
JP7263395B2 (ja) | 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 |
WO2021002467A1 (ja) | 飲料サーバー | |
JP7328140B2 (ja) |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 |
US11820642B2 (en) | System for dispensing liquid from inverted container | |
WO2021002468A1 (ja) | 注出ノズル | |
JP2005263265A (ja) | 飲料注出装置 | |
JPH10172058A (ja) | 飲料自動販売機 | |
JP2016210480A (ja) | 飲料注出装置 | |
JP2023173344A (ja) | 飲料ディスペンサの自動化機構及び飲料ディスペ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