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19B1 -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619B1
KR102246619B1 KR1020207018146A KR20207018146A KR102246619B1 KR 102246619 B1 KR102246619 B1 KR 102246619B1 KR 1020207018146 A KR1020207018146 A KR 1020207018146A KR 20207018146 A KR20207018146 A KR 20207018146A KR 102246619 B1 KR102246619 B1 KR 102246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rystal form
added
solu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357A (ko
Inventor
지안페이 왕
양 장
웬유앤 주
지안 리
슈후이 첸
Original Assignee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0008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6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RAT1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7

Description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산은 동물 체내의 퓨린계 화합물의 대사 산물이다. 인류에게 있어서, 인체내에 요산을 지속적으로 산화 분해하는 요산 효소가 결핍하게 되면, 요산은 인체 내에서 퓨린 대사의 최종 산물로 장과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며, 그중 신장을 통한 배출은 인체 내의 요산 배출의 주요 경로이다. 인체의 정상적인 요산 농도 범위의 상한치는 남성은 400 μmol/L(6.8 mg / dL), 여성은 360 μmol/L(6 mg / dL)이다. 인체내 요산 레벨 이상은 요산 생성의 증가 또는 요산 배출의 감소에 의한 것이 많다. 요산 레벨 이상과 관련된 질병은 고요산혈증, 통풍 등이 있다.
고요산혈증은 인체내 퓨린 물질의 신진대사가 흐트러짐으로 인하여 인체내 요산의 합성이 증가 또는 배출이 감소하여 혈액 중의 요산 수치가 비 정상적으로 높은 질병이다. 통풍성 관절염은 요산이 인체 혈액 내의 농도가 7 mg/dL를 초과하는 경우, 요산이 모노 나트륨염 형태로 관절, 연골 및 신장에 적치되어 신체의 면역 체계의 과잉 반응(민감)을 초래하여 고통스러운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부위는 엄지 관절, 발목 관절, 무릎 관절 등이다. 급성 통풍 발작 부위는 붉어지고 부어오르고 뜨거워지며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일반적으로 자정에 발작하여 사람을 수면에서 놀라서 깨어나게 한다. 초기의 통풍은 하지의 관절에 많이 발생한다. 고요산혈증은 통풍 관절염의 병리적 기초이며, 약물을 사용하여 혈액속의 요산 농도를 낮추는 것은 통풍 관절염을 예방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구미에서는 고요산혈증과 통풍 질환의 발병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역학적 연구결과는 통풍성 관절염의 발병 인구는 전체 인구의 1 내지 2 %를 차지하며 성인 남성의 가장 주요한 관절염의 유형임을 표명하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2021 년에는 1770 만 명의 통풍 환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중국에서는, 조사에 따르면 20 내지 74 세 연령층의 인구 중 25.3 %의 인구의 혈중 요산 함량이 높으며, 0.36 %의 인구가 통풍 질환을 앓고 있다. 현재의 임상 치료 약물로는 주로 1) 예를 들어,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제인 알로푸리놀과 훼부리쿠 등과 같은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 2) 예를 들어, 뿌로베네시도 및 벤즈브로마론 등과 같은 요산의 배설을 촉진하는 약; 3 )예를 들어, 콜히친 등과 같은 염증 억제제가 있다. 이러한 약물은 치료상 모두 일정한 결함이 있으며, 치료 효과가 나쁘고 부작용이 크며 비용이 높은 것은 그 임상 응용 중의 몇 가지 주요 난관이다. 보도에 따르면, 40 내지 70 %의 환자가 표준 절차의 치료를 받은 후, 혈 중 요산의 함유량이 예상되는 치료 목표(<6mg/dL)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요산 배출 촉진제로서 그 작용 메커니즘은 근위세관의 브러쉬 모양 연막에 위치한 URAT1트랜스포터를 억제하는 것을 통하여 요산의 재 흡수를 줄이는 것이다. 요산은 체내의 퓨린의 대사 산물이며 주로 원형태로 사구체에 의하여 여과된 후, 세뇨관을 통하여 재 흡수 및 재 분비되며, 마지막으로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극히 일부가 장간막 세포에서 장속으로 분비된다. 근위세관의 S1세그멘트는 요산의 재 흡수의 장소이며, 98 내지 100%의 여과된 요산은 여기에서 세뇨관 상피세포의 브러쉬 모양 연막에서 요산트랜스 포터 URAT1 및 유기 음이온 트랜스포터OAT4를 통하여 상피 세포에 들어간다. 상피 세포에 들어있는 요산은 다시 세뇨관 기저막을 거쳐 세뇨관 주위 모세 혈관에 재흡수된다. 근위세관의 S2세그멘트는 요산이 재분비되는 장소이며, 분비량은 사구체 여과량의 약 50 %이다. 신간질 중의 요산은 먼저 세뇨관 상피 세포의 기저막의 음이온 트랜스포터 OAT1, OAT3을 거쳐 상피 세포에 들어간다. 상피 세포에 들어간 요산은 브러쉬 모양 연막에 또 일종의 음이온 트랜스포터 MRP4를 거쳐 세뇨관 공동내에 배출된다. 근위세관의 S3세그멘트는 요산이 분비된 후의 재흡수 장소일 수 있으며, 재흡수량은 사구체 여과량의 약 40 %이며, 또한, 제 1 차 재흡수와 유사하게 URAT1은 관건적인 재흡수 트랜스포터 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요산염 트랜스포터 URAT1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면 체내 요산의 배출을 강화하여 혈 중 요산 레벨을 저하시켜 통풍 발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2015 년 12 월 미국 FDA는 첫 URAT1억제제인 Zurampic(Leinurad)을 승인하였다. 이의 200 mg의 용량과 크산틴 산화 효소 억제제 XOI (예를 들면 Febuxostat 등)을 병용하여 고요산혈증 및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을 승인하였지만 병용하는 경우와 크산틴 산화 효소 억제제를 단독 투여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부가 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Zurampic 400mg의 용량이 승인되지 않은 원인은 용량이 높을 경우 현저한 독성 부작용 (신장 관련 유해 사례가 발생하는 비율, 특히 신결석 발병률)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FDA는 Zurampic의 라벨에 검은 색 테두리의 경고를 적어 의료 관계자에게 Zurampic가 급성 신부전의 위험을 초래하며, 특히 XOI와 병용하지 않는 경우 더 잘 나타나며, 허가 된 용량을 초과하여 Zurampic 을 사용하는 경우, 신부전을 일으킬 위험이 더 높아짐을 경고 할 것을 요구하였다. 동시에 FDA는 Zurampic가 시장에 나온 후 아스트라제네카에서 신장 및 심장혈관의 안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찰할 것을 요청하였다. 따라서 신형의 안전적인 혈중 요산을 감소시키는 약물이 본 분야의 강한 수요가 될 것이다.
WO2009070740는 Leinurad을 개시하였으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1
.
본 발명은 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패턴에서 회절각 2θ가 7.50±0.2°, 13.04±0.2°, 21.43±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Ⅰ)화합물의 A결정형을 제공한다.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2
본 발명은 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패턴에서 회절각 2θ가 7.50±0.2°, 13.04±0.2°, 21.43±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Ⅰ)화합물의 A결정형을 제공한다.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3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패턴이 회절각 2θ가 7.50±0.2°, 9.66±0.2°, 13.04±0.2°, 14.42±0.2°, 17.46±0.2°, 18.57±0.2°, 21.43±0.2°, 26.18±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은 도1에 표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는 표1에 표시되는 것과 같다.
A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
번호 2θ각(°) 면간거리(Å) 상대강도 (%) 번호 2θ각(°) 면간거리(Å) 상대강도(%)
1 7.495 11.786 7.0 28 27.320 3.262 0.5
2 9.660 9.148 2.8 29 27.795 3.207 1.1
3 12.208 7.244 0.3 30 28.531 3.126 1.8
4 13.590 6.510 0.5 31 28.809 3.096 6.1
5 13.044 6.782 32.4 32 29.611 3.014 4.2
6 13.751 6.435 0.4 33 29.910 2.985 2.3
7 13.768 6.427 0.5 34 30.611 2.918 4.0
8 14.422 6.136 4.5 35 30.703 2.910 3.5
9 15.524 5.704 7.9 36 31.362 2.850 1.0
10 17.465 5.074 2.8 37 31.517 2.836 5.1
11 18.573 4.773 30.2 38 32.527 2.751 3.5
12 18.551 4.779 28.6 39 33.358 2.684 4.3
13 20.156 4.402 0.5 40 33.795 2.650 6.3
14 20.268 4.378 1.0 41 34.482 2.599 9.7
15 20.417 4.346 1.6 42 35.189 2.548 0.3
16 20.513 4.326 1.6 43 35.441 2.531 0.7
17 21.432 4.143 100.0 44 36.131 2.484 0.6
18 21.765 4.080 7.4 45 36.042 2.490 0.8
19 22.285 3.986 0.7 46 36.418 2.465 0.4
20 22.830 3.892 13.9 47 36.787 2.441 0.7
21 22.978 3.867 16.6 48 37.100 2.421 1.3
22 23.589 3.769 5.2 49 37.326 2.407 1.8
23 24.217 3.672 1.6 50 37.851 2.375 5.2
24 24.820 3.584 2.7 51 38.190 2.355 0.4
25 25.261 3.523 5.4 52 38.572 2.332 1.8
26 25.583 3.479 0.4 53 39.239 2.294 0.5
27 26.183 3.401 9.2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169.42±3℃에서 하나의 흡열 피크의 시작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DSC 패턴은 도2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열중량 분석 곡선은 100±3℃에서의 질량 손실이 0.04491%에 달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A결정형의 TGA 패턴은 도3에 표시되는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패턴에서 회절각 2θ가 9.88±0.2°, 10.56±0.2°, 20.38±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식(Ⅰ)화합물의 B결정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X-선 분말 회절패턴이 회절각 2θ가 9.88±0.2°, 10.56±0.2°, 12.23±0.2°, 13.04±0.2°, 14.62±0.2°, 17.57±0.2°, 20.38±0.2°, 26.89±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XRPD 패턴은 도4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는 표2에 표시된 바와 같다:
B결정형의 XRPD 스펙트럼 분석 데이터
번호 2θ각(°) 면간거리(Å) 상대강도(%) 번호 2θ각(°) 면간거리(Å) 상대강도(%)
1 3.315 26.6304 52.6 27 23.675 3.7549 9.9
2 3.62 24.3886 25.2 28 24.344 3.6533 3.4
3 9.885 8.9405 31.4 29 25.292 3.5184 15.8
4 10.559 8.3711 75.6 30 25.843 3.4447 27.1
5 12.233 7.2291 9.9 31 26.889 3.313 40.2
6 13.04 6.7839 19.7 32 27.456 3.2458 7.7
7 13.376 6.6139 12.9 33 28.11 3.1717 33.4
8 13.686 6.4646 22 34 28.522 3.1269 10.3
9 14.27 6.2017 3 35 29.04 3.0723 15.9
10 14.62 6.0538 26.8 36 29.294 3.0462 16.9
11 15.46 5.7269 8.6 37 29.554 3.02 6.1
12 15.861 5.583 12.9 38 29.966 2.9794 8.7
13 16.52 5.3616 5.6 39 30.163 2.9604 11.2
14 17.573 5.0427 23.4 40 30.495 2.9289 9.7
15 18.017 4.9195 4.9 41 30.935 2.8883 12.6
16 18.546 4.7801 6.2 42 31.426 2.8443 7.7
17 19.036 4.6582 29.8 43 31.982 2.7961 5.5
18 19.31 4.5929 19.2 44 32.45 2.7568 22.1
19 19.803 4.4794 56.7 45 33.418 2.6792 7.1
20 20.379 4.3541 100 46 34.583 2.5915 4.3
21 20.737 4.2798 16.2 47 36.14 2.4833 6.9
22 21.09 4.209 10.5 48 36.667 2.4488 5
23 21.745 4.0837 14.1 49 37.562 2.3925 2.6
24 22.043 4.0291 9.3 50 38.311 2.3474 4.3
25 22.548 3.94 17.6 51 38.899 2.3133 6.1
26 23.179 3.8342 26.2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163.51±3℃에서 하나의 흡열 피크의 시작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DSC 패턴은 도5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열중량 분석 곡선은 120±3℃에서 질량 손실이 0.1191%에 달하고, 120±3℃ 내지 153.60±3℃에서 질량 손실이 0.6282%에 달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B결정형의 TGA 패턴은 도6에 표시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식(Ⅰ) 화합물은 URAT1 (요산 수송 단백질)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HEK293 세포계에서, URAT1가 매개하는 14C-요산 수송에 더 우월한 체외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식 (Ⅰ) 화합물은 비교적 좋은 약물 대사 안정성을 가지며, 동시에 약물의 경구 흡수의 생물 이용률도 크게 향상시키고; 그 결정형은 용해도가 좋고 안정성이 비교적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양호한 제약 전망을 가지고 있다.
도1은 A결정형의 Cu-Kα선의 XRP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2는 A결정형의 DSC 패턴을 나타낸다.
도3은 A결정형의 TGA 패턴을 나타낸다.
도4는 B결정형의 Cu-Kα선의 XRP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5는 B결정형의 DSC 패턴을 나타낸다.
도6은 B결정형의 TGA 패턴을 나타낸다.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본문에 사용되는 이하 용어와 짧은 문구는 하기 뜻을 구비한다. 하나의 특정된 짧은 문구 또는 용어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을 경우, 불확정되거나 불명확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되며 통상의 뜻에 따라 이해해야 한다. 본문에 상품명칭이 나타날 경우, 이는 이와 대응되는 상품 또는 이의 활성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간체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숙지하고 있는 다양한 합성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하 예를 든 구체적인 실시형태, 이와 기타 화학합성방법으로 결합된 실시형태 및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숙지하고 있는 등가적 대체방안,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화학 반응은 적합한 용매에서 완료되고,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화학적 변화 및 그에 필요한 시약 및 물질에 적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획득하기 위해, 당업자는 기존의 실시 방식에 기초하여 합성 단계 또는 반응 과정을 변경하거나 또는 선택하는 것이 때때로 필요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용매는 시판되고 추가 정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된 모든 용매는 시중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약어를 사용한다. DCM은 디클로로메탄을 나타내며,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나타내며,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나타내며, EtOH는 에탄올을 나타내며, MeOH는 메탄올을 나타내며, TFA는 트리플르오로아세트산을 나타내며, TsOH는 p-톨루엔술폰산을 나타내며, mp는 융점을 나타내며, EtSO3H는 에탄술폰산을 나타내며, MeSO3H는 메탄술폰산을 나타내며, ATP는 아데노신3인산을 나타내며, HEPES는 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에테인설폰산을 나타내며, EGTA는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니트릴로)테트라아세트산(Ethylenebis(oxyethylenenitrilo)tetraacetic acid)을 나타내며, MgCl2 염화마그네슘을 나타내며, MnCl2은 염화망간을 나타내며, DTT는 디티오트레이톨을 나타낸다.
X선 분말 회절(X- ray powder diffractpmeter, XRPD)방법
기기 모델: Bruker D8 advance X-선 회절계
테스트 방법: XRPD 검출에 약 10 내지 20 mg의 샘플이 사용됨.
상세한 XRPD수치는 다음과 같다.
X선관:Cu, kα, (λ = 1.54056Å)
X선관 전압:40kV, 광파이프 전류:40mA
발산 슬릿: 0.60mm
탐지기 슬릿: 10.50mm
산란 방지 슬릿: 7.10mm
스캔 범위: 4 내지 40도(또는 3 내지 40도)
스텝 폭:0.02도
스텝 시간: 0.12초
샘플트레이 회전속도: 15 rpm
시차 주사 열량 분석(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기기 모델: TA Q2000 시차 주사 열량계
테스트 조건: 테스트를 위해 샘플(~ 1 mg)을 DSC 알루미늄 포트에 놓고, 50mL/min N2의 조건 하에서, 샘플을 10℃/min의 가열 속도로 25℃ 내지 300℃로 가열한다.
열중량 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zer, TGA)
기기 모델:TA Q5000IR열중량 분석기
테스트 조건: 테스트를 위해 샘플(2 내지 5mg)을 TGA 백금 포트에 놓고, 25mL/min N2의 조건 하에서, 샘플을 10℃/min의 가열 속도로 실온에서부터 질량 손실이 20%로 될때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지만,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한 제한이 아니다.
실시예1: 식(Ⅰ)화합물의 제조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4
합성경로: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5
단계1: 화합물 2의 합성
3구 플라스크 (10L)에 디메틸술폭시드 4.5L를 넣고 교반하면서 칼륨 tert- 부톡 사이드 (836.66g, 7.46mol, 2eq)를 첨가하고, 첨가 완료 후 전부 용해될 때까지 10분간 교반한 뒤 빙욕에서 반응액이 내부온도가 20 내지 25 ℃가 될 때까지 냉각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화합물1 (500.05g, 3.73mol, 1eq)의 디메틸술폭시드 (500mL) 용액을 드롭하고 드롭 완료 후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시킨 다음 계속하여 이황화 탄소(283.86g, 3.73mol, 1eq)를 드롭하고 드롭완료 후, 계속하여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1250g, 7.46mol, 2eq)를 드롭하고 드롭완료 후, 계속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탄산칼륨 (515.52g, 7.46mol, 1eq)을 첨가하고, 내부온도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지속적으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 (10L)로 희석한 후, 1M염산(2L) 및 물(2L)을 넣고 10분간 교반하고 방치하여 반응액을 분리시켰다. 물층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물(2L×3)로 세척하였다. 물층을 합병하고 에틸아세테이트(3L)로 추출하였다. 모든 유기상을 합병하여 포화식염수 (2L×2)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같은 규모로 6배치를 투입하고 합병 후 검붉은 유상의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72시간 방치한 후 대량의 고체가 석출되고 거기에 에탄올 (2L)을 넣고 30 분간 교반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여 진공 건조시켜 화합물 2를 수득하였다. 1HNMR(400MHz,CDCl3)δ:4.32(q,J=7.2Hz,2H),4.19(q,J=7.2Hz,2H),3.56(s,2H),3.25(t,J=6.8Hz,2H),3.19(t,J=14.4Hz,2H),2.26-2.17(m,2H),1.37(t,J=7.2Hz,3H),1.27(t,J=7.2Hz,3H);MSm/z=364.8[M+H]+.
단계2: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2(241.00g, 0.66mol)를 에탄올(1L)에 용해하고, 오토클레이브(5L)내에서 아르곤 가스의 보호하에 라니 니켈(120g)을 첨가하고, 다시 에탄올 (2L)를 보충하여 추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잘 닫고 아르곤 가스로 3회 치환한 후 수소로 3회 치환하고 솥내의 압력이 2.0MP에 도달할 때까지 수소를 넣고, 교반하면서 오토클레이브의 내부온도가 85℃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28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중지하고 반응계를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로 매회 0.5L씩 3회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합병하고 스핀건조하여 화합물3을 얻었다. 1HNMR(400MHz,CDCl3)δ:7.09(s,1H),4.26(q,J=7.2Hz,2H),3.20(t,J=6.8Hz,2H), 3.12(t,J=14.4Hz,2H),2.20-2.10(m,2H),1.30(t,J=6.8Hz,3H);MSm/z=247.0[M+H]+.
단계3: 화합물4의 합성
화합물3(406.2g, 1.65mol, 1eq)을 아세토니트릴(6L)에 용해시킨 후 N-브로모숙신이미드(1484.2g, 6.60mol, 4eq)를 천천히 추가하고, 얻은 반응액을 23 내지 25℃에서 12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반응액을 약 1.0L로 농축시켰다. 여과하여 고체를 제거하고, 여과액에 아황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 (1L)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에틸아세이트를 매회 2L씩 추가하여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을 추가하여 건조시켰다.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시켰다. 잔류물에 석유에테르(3L)를 추가하고 30℃에서 30분간 충분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석유에테르로 잔류물이 남지 않을 때까지 매회 200mL씩 5회 세척하였다. 모든 유기상을 합병하여 스핀건조하고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에 석유에테르(100 mL)를 넣고 충분히 교반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여 진공 건조시켜 화합물 4를 수득하였다. 1HNMR(400MHz,CDCl3)δ:4.24(q,J=7.2Hz,2H),3.19(t,J=6.8Hz,2H), 2.95(t,J=14.4Hz,2H),2.17-2.07(m,2H),1.29(t,J=7.2Hz,3H).
단계4: 화합물5의 합성
화합물4(340.21g, 1.05mol), 사이클로프로필보론산(108.12g, 1.26mol), 무수인산칼륨(444.98g, 2.10mol), 아세트산팔라듐(12.03g, 53.58mmol)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3.86 g, 50.05mmol)을 톨루엔과 물의 혼합 용매 (10:1, 3.4L/340mL)에 넣고, 반응 플라스크를 질소로 6회 치환한 뒤 오일 배스에 넣었다. 반응액을 내부온도가 80℃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티오시아누루산(6.51g 을 34mL의 에탄올에 현탁)을 추가하여 0.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유사한 규모(300.00g의 화합물4)로 5배치를 투입하고 합병하여 처리하였다. 여과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에틸아세테이트 (250mL×2)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병하고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시켰다. 여과하여 건조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검은 유상의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20시간 방치한 후 황색의 고체가 석출되고 거기에 석유에테르(3L)를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진공 건조시켜 화합물 5를 얻었다. 1HNMR(400MHz,CDCl3)δ:4.29(q,J=7.2Hz,2H), 3.23(t,J=6.4Hz,2H),3.16(t,J=14.8Hz,2H),2.24-2.18(m,2H),1.95-1.85(m,1H),1.35(t,J=6.8Hz,3H),1.09-1.07(m,2H),0.77-0.75(m,2H).
단계5: 화합물6의 합성
화합물5(619.27g, 2.16mol)를 수산화나트륨 (173.55g, 4.33mol)의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액(3L/3L)에 첨가하고, 반응액의 내부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액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유사한 규모 (750.17의 화합물5)로 1배치를 투입하고 합병하여 처리하였다. 합병 후의 반응액을 석유에테르(4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물 (1.5L×2) 로 2회 역세척하였다. 수상을 합병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수상에 물을 넣어 13L로 희석하고 희염산(3 M)을 천천히 첨가하여 pH=2로 조절하여 담황색의 고체가 대량으로 석출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3.0L×2)로 세척하였다. 드레인하여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고 진공오븐 60℃에서 진공건조시켜 화합물 6을 얻었다. 1HNMR(400MHz,DMSO-d 6)δ:12.79(brs,1H),3.23(t,J=14.8Hz,2H),3.07(t,J=6.8Hz,2H),2.27-2.20(m,2H),2.19-2.02(m,1H),1.09-1.04(m,2H),0.68-0.66(m,2H).
단계6: 화합물7의 합성
교반하에 화합물6(641.27g, 2.48mol), 트리에틸아민(754.07g, 7.45mol) 및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1025.34g, 3.73mol)를 tert-부탄올(6.5L)에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100℃의 오일 배스에 넣어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완료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유사한 규모(650.00g의 화합물6)로 4배치를 투입하고 합병하여 처리하였다. 반응액을 합병하고 감압농축하여 tert-부탄올을 제거하였다. 남은 검은색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10L)로 용해시키고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 5.0L×2)으로 세척한 다음 포화식염수(5.0L)로 세척하였다.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건조시켰다.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시켜 브라운 블랙의 고체의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으며 방치한 뒤 고체가 석출하였다. 석유에테르(8L)를 조질의 생성물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는 석유에테르(1L) 로 여러번 세척하고 필터 케이크를 진공 오븐 60℃에서 진공건조시켜 화합물 7을 얻었다. 1HNMR(400MHz, CDCl3)δ:6.31(brs,1H),3.11(t,J=14.8Hz,2H),2.66(t,J=6.8Hz,2H),2.23-2.15(m,2H),1.82-1.75(m,1H),1.51(s,9H),0.94-0.90(m,2H),0.68-0.65(m,2H).
단계7: 화합물8의 합성
화합물7(1199.17g, 3.64mol)을 에틸아세테이트(2L)에 넣고 잘 섞은 후 염화수소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4L, 16.00mol, 4M)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15℃에서 2.5시간 반응시킨 후 40℃의 온수욕에 넣어 계속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짙은 적색 고체가 대량으로 석출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는 에틸아세테이트(2.0L) 로 나뉘어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진공오븐 60℃에서 진공건조시켜 화합물 8을 얻었다. 1HNMR(400MHz,DMSO-d 6)δ:3.17(t,J=14.8Hz,2H),2.82(t,J=6.8Hz,2H), 2.25-2.15(m,2H),2.00-1.94(m,1H),0.99-0.95(m,2H),0.58-0.54(m,2H);MSm/z=229.8[M+H-HCl]+.
단계8: 화합물9의 합성
3L의 3구 플라스크 내에 화합물8(301.25g)을 테트라히드로푸란(600mL)에 넣고, 내부 온도가 0 내지 10℃가 될때 까지 빙욕에서 교반하여 냉각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35.72g)을 드롭하고 드롭 완료 후 빙욕을 철수하고 내부온도 10 내지 15℃에서 약 10분간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는 테트라히드로푸란(100mL×2)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합병하여, 용액 A를 얻었다.
테트라히드로푸란(2L)에 티오포스겐(257.48g)을 넣은 5L의 반응 플라스크에 넣었다. 빙욕에서 교반하여 내부온도가 0 내지 10℃가 될 때까지 냉각시키고 천천히 용액 A를 보온하에 약 5.5시간 내에 드롭 완료하고 계속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테트라히드로푸란(150mL×2)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합병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테트라히드로푸란 (400mL)을 첨가하여 용액 B를 얻어서 준비하였다.
히드라진 수화물(112.94g)을 테트라히드로푸란(2.5L)에 추가하고 빙욕에서 내부온도가 5 내지 10℃가 될 때까지 교반하여 냉각시켰다. 용액B를 보온하에 약 2시간내에 드롭 완료하고 계속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을 정지시켰다. 빙욕을 철거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세탈(333.45g)을 첨가하고, 내부온도가 60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보온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정지시켰다.
반응액을 스핀건조하고 잔류물에 에틸아세테이트(2L)와 순수한 물(1L)을 넣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10%의 브롬화수소산으로 pH를 5 내지 6이 되게 조절한 다음 계속하여 5분간 교반하고 10분간 방치하였다. 액체를 분리하고 수상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순수한 물(500mL×2)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합병하고 에틸아세테이트(1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병하여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을 넣고 건조하였다.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액은 건조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여 화합물9의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에 n-헵탄(2.0L) 및 tert-부틸메틸에테르(150mL)를 첨가하여 18시간 슬러리화(교반 속도 550회전/분) 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n-헵탄(150mL)으로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고, 필터 케이크를 진공오븐 60℃에서 진공건조하여 화합물 9를 얻었다. 1HNMR(400MHz,CDCl3)δ:7.82(s,1H),3.20(t,J=14.8Hz,2H),2.74(t,J=6.8Hz,2H),2.28-2.10(m,2H),1.98-1.82(m,1H),1.06-1.02(m,2H),0.75-0.71(m,2H);MSm/z=313.9[M+H]+.
단계9: 화합물 10의 합성
아세토니트릴(3L)을 5L의 3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교반하면서 먼저 화합물9(303.25g) 및 탄산칼륨 (261.83 g)을 첨가 하였다. 그리고 브로모이소부틸산에틸메틸(203.85g)을 첨가하고, 반응계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내부온도가 60 내지 65℃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보온하에 약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가열을 멈추고 교반하면서 15 내지 20℃가 될 때까지 자연냉각시켰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틸아세테이트(100mL×3)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합병하고 건조될때까지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에틸아세테이트/n-헵탄=1:5 내지 2:1)로 정제하여 화합물10을 얻었다. 1HNMR(400MHz,CDCl3)δ:8.20(s,1H),3.68(s,3H),3.19(t,J=14.4Hz,2H),2.57(t,J=6.8Hz,2H),2.22-2.12(m,2H),1.93-1.83(m,1H),1.67(s,6H),1.08-1.03(m,2H),0.73-0.69(m,2H);MSm/z=414.0[M+H]+.
단계10: 화합물 11의 합성
아세토니트릴 (3.17L)을 5L의 3구 플라스크에 넣었다. 교반하에 화합물10 (317.22g) 및 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26.94g)을 넣고 16 내지 20℃로 보온하면서 5분간 교반하였다. N-브로모숙신이미드(158.60g)를 넣고 보온하면서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흑색의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칼럼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에틸 아세테이트/헵탄=0 내지 50%)로 정제하여 340.62g의 황색의 고체인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3.50L)에 용해시킨 후 순수한 물 (700mL×4)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적당한 량의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여 건조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건조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을 얻었다. 1HNMR(400MHz,CDCl3)δ:3.73(s,3H),3.22(t,J=14.4Hz,2H), 2.53(t,J=6.8Hz,2H),2.24-2.14(m,2H),1.95-1.91(m,1H),1.71(d,J=4.4Hz,6H),1.11-1.07(m,2H),0.78-0.74(m,2H);MSm/z=491.7[M+H]+,493.7[M+H+2]+.
단계11:식(Ⅰ)화합물의 합성
5L의 반응 플라스크에 테트라히드로푸란 (1.2L)을 넣고 교반하에 화합물11 (243.03g)을 첨가하였다. 전부 용해된 후, 순수한 물 (1.2L)을 추가하고 그 다음 수산화리튬 1수화물(125.46g)을 넣고 20 내지 25 ℃로 보온하면서 약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액을 40℃에서 감압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에 순수한 물(1L)을 첨가하고, tert-부틸메틸에테르(300mL)로 스트리핑하고 유기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10L의 3구 플라스크에 넣고 빙욕에서 온도를 5 내지 10℃까지 낮추었다. 40%의 브롬화수소산 용액으로 pH를 2 내지 3으로 조정하여 담황색의 고체가 대량으로 석출하였다. 계속하여 30분 동안 교반하고 다시 측정 한 pH는 2 내지 3 그대로였다. 계속하여 2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순수한 물(150mL×3)로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고 순수한 물(1500mL)을 넣어 실온에서 1시간 슬러리화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순수한 물(150mL×2)로 세척하고, 필터 케이크를 수집하여 40℃에서 3시간 진공건조시켜 식(Ⅰ)화합물을 얻었다. 1HNMR(400MHz,CD3OD) δ:3.27(t,J=15.6Hz,2H),2.60-2.47(m,2H),2.27-2.17(m,2H),2.10-2.03(m,1H),1.68(d,J=1.2Hz,6H),1.15-1.10(m,2H),0.80-0.71(m,2H);MSm/z=477.99[M+H]+,480.1[M+H+2]+.
실시예2: 식(Ⅰ) 화합물의 A결정형의 제조
식(Ⅰ) 화합물(50mg)을 유리병에 넣고 각각 메탄올(0.4mL)을 첨가하고, 현탁액 또는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현탁액 샘플을 항온믹서기(40℃)에 넣고, 40℃에서 60시간 셰이킹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샘플을 수집하였다. 상기 전부 용해된 샘플을 실온에서 휘발시킨 후 원심 분리하고 샘플을 수집하였다. 상기 샘플을 진공건조박스(40℃)에 넣어 밤새 건조시킨 후 그 결정형을 XRPD로 검출하여 얻은 최종 생성물의 결정형은 식(Ⅰ) 화합물 A결정형이였다.
식(Ⅰ) 화합물(50mg)을 유리병에 넣고 각각 에틸아세테이트(0.4mL)를 첨가하고, 현탁액 또는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현탁액 샘플을 항온믹서기 (40℃)에 넣고, 40℃에서 60시간 셰이킹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샘플을 수집하였다. 상기 전부 용해된 샘플을 실온에서 휘발시킨 후 원심 분리하고 샘플을 수집하였다. 상기 샘플을 진공건조박스(40℃)에 넣어 밤새 건조시킨 후 그 결정형을 XRPD로 검출하여 얻은 최종 생성물의 결정형은 식(Ⅰ) 화합물 A결정형이였다.
실시예3: 식(I) 화합물의 B결정형의 제조
식(Ⅰ) 화합물(50mg)을 유리병에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0.4mL)을 첨가하고 전부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상기 용해된 샘플을 실온에서 휘발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샘플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샘플을 진공건조박스(40℃)에 넣어 밤새 건조시킨 후 그 결정 형태에 대해 XRPD 검출을 통해 얻은 최종 생성물의 결정형은 식(Ⅰ)화합물의 B결정형이다.
실시예4: 식(I)화합물의 A결정형의 용해도 시험
1.희석제 및 이동상의 제조
희석제: 300mL의 순수한 물과 100 mL의 순수한 아세토니트릴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1L의 유리병에서 혼합하고 초음파로 10 분간 탈기하여 준비하였다.
이동상A:0.1%의 인산 수용액
예 : 2.0mL의 인산을 2000mL의 물에 넣은 뒤 10분간 초음파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으로 냉각 될 때까지 방치하여 이동상 A로 하였다.
이동상B:아세토니트릴.
2. 대조 용액의 제조(A결정형 자체를 대조 샘플로 하였다.)
5mg의 A 결정형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시료병에 넣고 희석액10mL을 넣고 5 분간 초음파한 후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히고 균일하게 혼합하며, 작업 대조 용액 STD-1로 표시하였다.
5mg의 A 결정형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시료병에 넣고 희석액10mL을 넣고 5 분간 초음파한 후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히고 균일하게 혼합하며, 작업 대조 용액 STD-2로 표시하였다.
3.선형 용액의 제조
상기 작업 대조용 용액 STD-1을 단계적으로 1배, 10배, 100배, 1000배 및 2000배로 희석하여 선형 용액 L1, L2, L3, L4 및 L5로 표기하였다.
4.용해도 테스트 시험
각각 6mg의 A결정형을 칭량하여 8mL의 유리병에 넣고 그 다음 정확하게 3mL의 부동한 용매(0.1N 염산 용액, 0.01N 염산 용액, 정제수, pH3.8 완충액, pH4.5 완충액, pH5.5 완충액, pH6.0 완충액, pH7.4 완충액, pH6.8 완충액)를 넣어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에 교반자를 첨가하여, 37℃에서 빛을 피하여 잘 교반하였다. 교반 후 pH7.4의 완충액 및 pH6.8의 완충액 중의 고체가 전부 용해되었으며, 각각 6mg의 A 결정형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완충액에 보충하고 다시 충분히 교반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4시간 및 24시간 교반한 후 샘플링하고 원심 분리하여 용액을 여과막으로 여과한 후 HPLC로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중, HPLC 분석 방법은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다.
HPLC분석방법
장치 Agilent 1200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Ascentis Express C18(4.6mm×100 mm, 2.7μm)
이동상A A = 0.1% 인산 수용액
이동상B 아세토니트릴
유속 1.5mL/min
로딩 체적 5.0μL
검출 파장 250nm
칼럼 온도 40℃
희석제 3/1(V/V)순수한 물/아세토니트릴
운행시간 18min
구배 시간(min) A (%) B (%)
0.00 95 5
13.00 5 95
15.00 5 95
15.01 95 5
18.00 95 5
결과는 표4와 같다.
A결정형이 9 종류의 매질에서의 용해도 테스트 결과
용매 용해도
(4 hrs)(mg/mL) (24 hrs)(mg/mL)
0.1 N HCl <LOQ <LOQ
0.01 N HCl <LOQ <LOQ
pH 3.8완충액 <LOQ <LOQ
pH 4.5완충액 0.001 0.001
pH 5.5완충액 0.066 0.066
pH 6.0완충액 0.214 0.204
pH 6.8완충액 1.961 1.840
pH 7.4완충액 3.820 4.049
순수한 물 0.045 0.058
주:LOQ는 정량 한계보다 낮음을 나타내고, 상기 부동한 PH의 완충액은 각 PH의 특정된 염용액을 나타낸다.
결론:식(Ⅰ) 화합물의 A결정형은 pH가 높은 완충액에서 양호한 용해도를 가진다.
테스트 예1:식(Ⅰ) 화합물의 체외평가
1. 각 작업액의 제조
1)DMSO를 200배 작업액의 용매로 하고, 저장액을 각 투여농도의 200배의 작업액으로 희석하였다.
A결정형:0, 0.002, 0.006, 0.02, 0.06, 0.2 및 0.6mmol/L;
lesinurad:0, 0.06, 0.2, 0.6, 2, 6 및 20 mmol/L。
2)항크스평형염류완충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 Cl-없음)을 운송 단백질 URAT1의 2배의 작업액 용매로 하고, 1)의 200배 작업용액을 100배 희석하여 각 투여농도의 2배의 작업액을 수득하였다.
3)Hanks' Balanced Salt Solution(Cl-없음)을 사용하여 약물 운송 단백질URAT1 표준 기질의 2배의 작업액을 제조하여, 2)의 각 농도의 2배 작업액과 같은 용량으로 혼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2. 투여방법
2.1. 섭취형 세포의 억제실험
섭취억제실험에 사용된 세포 배양 배지는 DMEM배지에 10%FBS(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를 추가한 것이다.
인간 약물 트렌스포터의 과발현 세포주(HEK293A-URAT1) 및 블랭크 벡터 세포(HEK293A-pcDNA3.1)를 소생 및 계대배양한 후 성장이 양호한 부착세포를 선택하여 트립신으로 소화시켜 단일세포 현탁액으로 분산시킨 후 배지로 세포의 밀도를 2.0~3.0×105세포/mL로 조절하고 그 다음 세포 현탁액을 1mL/웰의 양으로 24웰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 5%CO2, 포화 공기습도의 인큐베이터에서 세포가 웰을 카바할 때까지 2 내지 3일간 배양하였다.
우선 배양 플레이트 내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Hanks완충염 용액(Cl-없음)으로 1회 세척한 후, 각 웰내에 37℃ Hanks완충염 용액(Cl-없음)을 추가하고 10분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방사능 표식을 포함한 500μL의 프로브 기질 용액으로 24개 웰의 Hanks완충염 용액(Cl-없음)을 치환한 후 약물투여를 시작하였고; 약물투여 완료 후(2분) 각각의 미리 냉각시킨 완충염 용액으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세포를 3회 세척하였고; 그 다음 웰 당 400μL 0.1mmol/L NaOH를 추가하여 세포를 분해시키고; 세포 분해액을 취하여 섬광 바이알에 넣고 3mL의 Aquasol-2섬광용액을 추가하고 Tri-CSarb 2910TR액체 섬광 계수기를 사용하여 샘플 중의 방사능 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운송실험 중 매개 농도 및 양성대조, 블랭크 대조(mock)에 3웰을 설정하였다.
2.2. 데이터의 처리
2.2.1. 억제작용의 계산
방사능 표식 기질 투여군의 트렌스포터 세포만을 포함한 섭취 값(베이스background군, 즉 블랭크 벡터 세포의 섭취 값U0을 덜어냄)을 100%(대조, Uc)라고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테스트 화합물을 추가한 후의 각 투여군에서 베이스를 덜어낸 후의 섭취 값과 대조군의 섭취 값의 백분율(%)을 계산하고 각 농도가 트렌스포터의 활성에 대한 억제율(IR)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트렌스포터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작용의 강약을 나타내며, 그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다:
IR =1- [100×(U-U0)/(Uc-U0)]%
매개 투여농도에 3개의 반복(즉, n=3)을 설정하고 Mean ± standard error (SD)용 Microsoft® Excel 2010소프트웨어의 통계학 계산공식으로 계산하였다.
각 트렌스포터의 각각의 투여농도 억제율(IR)에 근거하여 Prism5.0을 통하여 Microsoft®Excel 2010소프트웨어의 Forecast함수와 결합하여 화합물이 약물 트렌스포터의 운송 활성에 영향을 주는 IC50을 계산하였다.
2.2.2. 통계학방법
각 샘플의 평균차 분석은 t-test(P<0.05는 차이가 현저한것으로 한다)를 사용하였다.
3. 실험결과
식(Ⅰ) 화합물,lesinurad는 요산 트랜스포터URAT1를 매개로 하는 14C-UA의 섭취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P<0.001), IC50는 각각 0.034μmol/L 및 6.01μmol/L였다. URAT1에 대한 식 (Ⅰ) 화합물의 억제작용은 참조화합물lesinurad의 약 177배로, 억제작용이 더 현저하였다.
테스트 예2:식(Ⅰ) 화합물의 약물동태학 평가
실험목적: 식(Ⅰ) 화합물의 일회 정맥주사, 위내투여 및 8일간 중복하여 위내투여한 후의 암수 SD랫트의 체내의 혈장의 약물동태학.
실험과정:
1. 본 실험에서 12마리 SD랫트는 암수 각각 반반이며 북경VITAL RIVER Co.,Ltd.에서 제공받았다. 중량이 비슷한 기준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에 수컷 3마리 암컷 3마리이며, 구체적인 투여 및 채혈방법은 표5, 표6과 같다:
투여방법
조별 군별 동물수 투여량 농도 투여체적 용매 투여 경로 투여 빈도
수컷 암컷 (mg/kg) (mg/mL) (mL/kg)
1 3 3 2.0 1.0 2.0 5% DMSO+95% (10%HP-β-CD) IV 1회
2 3 3 4.0 1.0 4.0 0.5% (w/v) MC PO 1회
모든 동물은 첫 날 약물투여 전 하루밤 금식을 시키며 약물투여 4시간후 음식공급을 회복한다.
주: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HP-β-CD는 히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MC는 메틸셀룰로스를 나타낸다.
IV는 정맥주사 투여를, PO는 위내투여를 나타낸다.
채혈방법
군별 동물번호 샘플링 시간(hr)
수컷 암컷
1 R1, R2, R3 R4, R5, R6 투여 전 및 투여 후 0.083, 0.25, 0.5, 1, 2, 4, 6, 8, 10, 24 h
2 R7, R8, R9 R10, R11, R12 투여 전 및 투여 후 0.25, 0.5, 1, 2, 4, 6, 8, 10, 24 h
항응혈제: K2-EDTA
2. 샘플의 수집 및 분석방법
실험 동물은 경정맥을 찔러 0.15mL의 혈액샘플을 채취하고 즉시 라벨링한 K2-EDTA(0.5M)를 포함한 원심 분리 튜브에 옮겨 30분 이내에 혈장 (원심 분리 조건: 3000g, 4℃, 15분)을 원심분리 하였다. 검증된 LC/MS/MS 분석방법을 채용하여 혈장농도를 측정하고; WinNonlin ™ Version 6.3(Pharsight, Mountain View, CA)약동학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비구획 모델에 의해 혈장 농도를 처리하고 선형대수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약물동태학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결론
SD랫트 정맥 내 투여 후, 식 (Ⅰ) 화합물은 체내에서 신속하게 분포되고 또한 천천히 제거되며, 수컷 랫트의 혈장 제거율은 9.76±2.29mL/min/kg, 정상 상태의 겉보기 분포용적(Vdss )은 1.65±0.440L/kg이고, T1/2 및 AUC0-inf는 각각 2.52±0.671h 및 3530±723ngㆍh/mL이고; 암컷 랫트의 혈장 제거율은 6.41±0.656mL/min/kg, 정상 상태의 겉보기 분포용적(Vdss)은 1.55±0.408L/kg이고, 소실 반감기 (T1/2)와 AUC0-inf는 각각 3.04±1.12h 및 5240±544ngㆍh/mL였다.
SD랫트에 식(Ⅰ) 화합물 4.0mg/kg을 1회 위내 투여 한 후 수컷 랫트의 피크 도달 농도(Cmax)는 1130±483ng/mL이고, AUC0-inf는 2510ngㆍh/mL이고, 피크 도달 시간(Tmax)은 0.417±0.144h이며, 소실 반감기(T1/2) 는 1.72h이고; 암컷 랫트의 피크 도달 농도(Cmax)는 2110±1350ng/mL이며, AUC0-inf는 9010±4670ngㆍh/mL이며, 피크도달 시간(Tmax)은 0.667±0.289h이며, 소실 반감기(T1/2)는 3.48±0.835h였다. 수컷 랫트의 생체이용률은 35.6%이고 암컷 랫트의 생체이용률은 86.0%였다(주: AUC0-inf은 0시간에서 무한대로 갈 경우의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식 (Ⅰ) 화합물은 약물대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동시에 약물의 경구 흡수의 생체이용률도 크게 향상시켰다.

Claims (14)

  1. X-선 분말 회절패턴이 회절각 2θ가 7.50±0.2°, 13.04±0.2°, 21.43±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Ⅰ) 화합물의 A결정형.
    Figure 112020064514062-pct00006
  2. 제1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패턴이 회절각 2θ가 7.50±0.2°, 9.66±0.2°, 13.04±0.2°, 14.42±0.2°, 17.46±0.2°, 18.57±0.2°, 21.43±0.2°, 26.18±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Ⅰ) 화합물의 A결정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결정형은 하기와 같은 분석 데이터의 XRPD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결정형.
    Figure 112020138694232-pct00015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169.42±3℃에서 하나의 흡열 피크의 시작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결정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중량 분석 곡선은 100±3℃에서 질량 손실이 0.04491%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결정형.
  7. 삭제
  8. X-선 분말 회절패턴에서 회절각 2θ가 9.88±0.2°, 10.56±0.2°, 20.38±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식(Ⅰ) 화합물의 B결정형.
    Figure 112020138694232-pct00016
  9. 제8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패턴이 회절각 2θ가 9.88±0.2°, 10.56±0.2°, 12.23±0.2°, 13.04±0.2°, 14.62±0.2°, 17.57±0.2°, 20.38±0.2°, 26.89±0.2°인 위치에서 특징적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Ⅰ) 화합물의 B결정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결정형은 하기와 같은 분석 데이터의 XRPD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결정형.
    Figure 112020138694232-pct00017
  11. 제8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 곡선은 163.51±3℃에서 하나의 흡열 피크의 시작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결정형.
  12. 삭제
  13. 제8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중량 분석 곡선은 120±3℃에서 질량 손실이 0.1191%에 달하고; 120±3℃ 내지 153.60±3℃에서 질량 손실이 0.6282%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결정형.
  14. 삭제
KR1020207018146A 2017-11-23 2018-11-20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46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81960.2 2017-11-23
CN201711181960 2017-11-23
PCT/CN2018/116351 WO2019101058A1 (zh) 2017-11-23 2018-11-20 一种urat1抑制剂的晶型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357A KR20200084357A (ko) 2020-07-10
KR102246619B1 true KR102246619B1 (ko) 2021-04-30

Family

ID=6663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46A KR102246619B1 (ko) 2017-11-23 2018-11-20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95087B2 (ko)
EP (1) EP3712148B1 (ko)
JP (1) JP6892968B2 (ko)
KR (1) KR102246619B1 (ko)
CN (1) CN111386268B (ko)
AU (1) AU2018370811B2 (ko)
CA (1) CA3083295C (ko)
NZ (1) NZ765226A (ko)
TW (1) TWI774881B (ko)
WO (1) WO2019101058A1 (ko)
ZA (1) ZA2020035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1367B (zh) * 2022-11-09 2023-06-30 山东海雅医药科技有限公司 痛风药物有关物质的高效液相色谱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3555A1 (zh) 2013-05-13 2014-11-20 上海恒瑞医药有限公司 环烷基甲酸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06032377A (zh) 2015-03-12 2016-10-19 天津药物研究院有限公司 四氮唑类urat1抑制剂、制备方法及其在高尿酸血症和痛风治疗上的用途
CN107266377A (zh) 2016-04-08 2017-10-20 浙江京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urat1抑制剂的轴手性对映体的多晶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69753A1 (es) 2007-11-27 2010-02-17 Ardea Biosciences Inc Compuestos de 1,2,4-triazol y composiciones, utiles en la modulacion de los niveles de acido urico sanguineo
CN105399694B (zh) * 2015-12-11 2017-09-15 浙江京新药业股份有限公司 药物Lesinurad轴手性对映体
CN109790155B (zh) 2016-05-23 2022-02-18 东宝紫星(杭州)生物医药有限公司 噻吩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其在医药上的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3555A1 (zh) 2013-05-13 2014-11-20 上海恒瑞医药有限公司 环烷基甲酸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06032377A (zh) 2015-03-12 2016-10-19 天津药物研究院有限公司 四氮唑类urat1抑制剂、制备方法及其在高尿酸血症和痛风治疗上的用途
CN107266377A (zh) 2016-04-08 2017-10-20 浙江京新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urat1抑制剂的轴手性对映体的多晶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70811A1 (en) 2020-06-25
EP3712148B1 (en) 2021-07-07
WO2019101058A1 (zh) 2019-05-31
JP2021504353A (ja) 2021-02-15
TWI774881B (zh) 2022-08-21
TW201925192A (zh) 2019-07-01
JP6892968B2 (ja) 2021-06-23
CA3083295C (en) 2021-05-04
US20200361917A1 (en) 2020-11-19
NZ765226A (en) 2022-11-25
CA3083295A1 (en) 2019-05-31
EP3712148A4 (en) 2020-12-30
KR20200084357A (ko) 2020-07-10
EP3712148A1 (en) 2020-09-23
US10995087B2 (en) 2021-05-04
CN111386268B (zh) 2022-04-19
CN111386268A (zh) 2020-07-07
AU2018370811B2 (en) 2021-01-21
ZA202003581B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115093A (zh) Cftr調節劑之結晶形式
CN110092745B (zh) 一种含芳环的化合物及其应用
CN106458857A (zh) AHU‑377结晶型游离酸、半钙盐、α﹣苯乙胺盐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043646B1 (en) (E)-N-{3-(8-Chloro-11H-10-oxa-1-aza- dibenzo[a,d]cyclohepten-5-ylidene)-propyl]-phenyl} -methanesulfonamide as a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 AND METHODS OF USE
CN108727267B (zh) 一类urat1抑制剂及其应用
KR102246619B1 (ko) Urat1 억제제의 결정형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3502675A (ja) 核タンパク質阻害剤の結晶形及びその使用
US20230303542A1 (en) Solid forms of a parp14 inhibitor
CN111606890A (zh) 含丙烯酰基的核转运调节剂及其用途
WO2020147838A1 (zh) 一种egfr抑制剂的盐、晶型及其制备方法
WO2020258882A1 (zh) 1,4-[二(1,2-苯并异硒唑-3(2h)-酮)]丁烷的晶型及其制备方法与应用
IL282444B1 (en) A mono-aqueous potassium hydroxide of a thianopyridone derivativ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WO2024046292A1 (zh) 喹啉衍生物抑制剂的晶型及其制备方法及用途
CN110092799B (zh) 一种环状化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EP3753942B1 (en) Crystal form of 3,4-dihydrothieno[3,2-d]pyrimidin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23222122A1 (en) Solid forms of a compound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uricemia or gout
JPWO2004020433A1 (ja) 新規結晶
JP2024516222A (ja) チオフェン誘導体の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409014A (zh) 喹啉衍生物抑制劑的晶型及其製備方法及用途
WO2023084313A2 (en) Therapeutic benzamide cocrystals
EP3144304A1 (en) Novel crystalline polymorph of pyridin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3003253A (zh) 2-{2-[[(4-甲氧基-2,6-二甲基苯基)磺酰基]-(甲基)氨基]乙氧基}-n-甲基-n-[3-(4-甲基哌嗪-1-基)环己基]乙酰胺的酸加成盐及其作为缓激肽b1受体拮抗剂的用途
WO2019001325A1 (zh) 雷西纳得的晶型xv及其制备方法
JPH05262774A (ja) ピロロ[3,2−eピラゾロ[1,5−a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循環器系疾患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