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482B1 - 작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482B1
KR102245482B1 KR1020187034281A KR20187034281A KR102245482B1 KR 102245482 B1 KR102245482 B1 KR 102245482B1 KR 1020187034281 A KR1020187034281 A KR 1020187034281A KR 20187034281 A KR20187034281 A KR 20187034281A KR 102245482 B1 KR102245482 B1 KR 10224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635A (ko
Inventor
세이이치 오카무라
간타 다케치
다이스케 나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25Regulating or controlling density or shape of the ba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75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75Discharge devices
    • A01F15/0883Discharge devices for round ba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6Wrapping device incorpo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75Discharge devices
    • A01F2015/0891Weighing the finished bale before falling to gr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성형기에 의해 성형한 성형재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작물을 소정 형상의 성형재로 성형하는 성형기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성형재에 관한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와, 성형재에 설치되며, 또한 성형재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무선 태그와,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와 성형재의 성형재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서 취득한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와 취득부에서 취득한 성형재 정보를 관련짓는 관련지음부를 갖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물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작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롤 베일러 등에 농장의 목초 등을 도입한 후, 당해 목초를 당해 롤 베일러에 의해 롤 형상으로 성형하여 다시 농장에 배출하는 농작업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롤 베일러로부터 배출된 롤 베일은, 트럭 등의 운반차에 의해 보관 장소에 쌓아 올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소61-145956호의 마이크로 필름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도 6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롤 베일러에서 성형 직후에 있어서는, 롤 베일은 농장에 점재되게 되지만, 개별로 롤 베일을 파악하기 위해, 롤 베일 또는 롤 베일을 곤포하는 곤포재에 작업자가 수기로, 날짜, 번호 등의 메모를 기입하는 기입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롤 베일러에 대한 기입 작업은 힘들며, 롤 베일러를 보관 장소에 쌓아 올린 경우에는 메모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어, 메모의 내용을 파악하는 작업도 힘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성형기에 의해 성형한 성형재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작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작물을 소정 형상의 성형재로 성형하는 성형기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성형재에 관한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와, 상기 성형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성형재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무선 태그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성형재의 상기 성형재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무선 태그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성형재 정보를 관련짓는 관련지음부를 갖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재의 중량을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중량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중량 검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중량 검출 장치가 검출한 중량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중량을 관련짓는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재의 수분을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수분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수분 검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수분 검출 장치가 검출한 수분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수분을 관련짓는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기에 의해 상기 성형재를 성형한 시간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계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계시 장치에서 계시한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시간을 관련짓는다.
상기 무선 태그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출력하는 무선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무선 태그 리더는,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성형재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의해 얻어진 성형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있다.
상기 성형기는, 상기 성형재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기에 의해 성형한 성형재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롤 베일러의 전체도이다.
도 3은 농장에서 롤 베일러를 주행시켜 성형재를 성형한 도면이다.
도 4a는 취득부가 취득한 태그 식별 정보, 중량 및 수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관련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중량, 수분, 태그 식별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취득부가 취득한 태그 식별 정보, 중량, 수분, 시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관련지음부에 의해 관련지어진 중량, 수분, 태그 식별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보관 장소에서 롤 성형재를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작물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목초, 건초, 벼 등의 작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작물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물 관리 시스템은, 성형기에 설치된 정보 출력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기(20)는, 농장 등의 작물을 수집하고, 수집한 작물을, 롤 형상이나 직사각 형상(큐브 형상)의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기계이다. 성형기(20)는, 예를 들어 작물을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롤 베일러, 홀 크롭 등이다.
먼저, 롤 베일러를 예로 들어, 성형기(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베일러(20)는 차체(21)와, 차체(21)에 설치된 주행 장치(22)와, 차체(21)에 설치된 성형 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2)는, 차륜을 갖는 차륜식의 주행 장치(22)이다. 또한, 주행 장치(22)는, 크롤러 벨트를 갖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22)여도 된다. 롤 베일러(20)는 엔진 등의 원동부를 갖고 자주하는 자주식이어도, 트랙터 등의 견인차(24)에 의해 견인되는 견인식이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롤 베일러(20)는 차체(21)의 전방부가 연결부를 통해 트랙터 등에 연결되는 견인식이다.
성형 장치(23)는, 롤 형상으로 하는 작물을 도입하는 도입부(25)와, 도입부(25)에 의해 도입된 작물을 수용하는 수용부(26)와, 수용부(26)에 넣어진 작물을 회전 롤러 등에 의해 롤러 형상의 성형재 K로 성형하는 성형부(27)와, 성형부(27)에서 성형한 성형재 K를 배출하는 배출부(28)를 갖고 있다. 따라서, 성형 장치(23)에 의해, 작물은 소정 크기의 롤 형상의 성형재 K로 성형되고, 성형 후, 외부로 배출된다. 설명의 편의상, 롤 형상의 성형재 K를 롤 성형재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성형 장치(23)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작물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장치이면 된다. 예를 들어, 성형 장치(23)는, 작물을 체인에 의해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체인식이어도, 벨트에 의해 롤 형상으로 하는 벨트식이어도, 그 밖의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성형 장치(23)는, 롤 성형재 K의 측면에 네트 등의 곤포재(29)를 권취하는 기구(권취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롤 성형재 K의 측면에 곤포재(29)가 권취된 상태에서 배출부(28)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출력 장치(10)는, 성형 장치(23)에 의해 성형된 성형재 K에 관한 정보(이후, 성형재 정보)를 출력 가능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출력 장치(10)는, 통신 장치(11)와, 중량 검출 장치(12)와, 수분 검출 장치(13)와, 계시 장치(14)를 갖고 있다. 통신 장치(11)에는, 중량 검출 장치(12), 수분 검출 장치(13) 및 계시 장치(14)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장치(11)는, 근거리, 혹은, 장거리의 통신을 무선 등으로 행하는 장치이며, 성형기(20)의 외부의 기기와 접속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는, 통신 규격인 IEEE802.11 시리즈의 Wi-Fi(Wireless Fidelity, 등록 상표), IEEE802.15 시리즈의 BlueTooth(등록 상표) 등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또한, 통신 장치(11)는, 휴대 전화 통신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어도, 데이터 통신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어도, 그 밖의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중량 검출 장치(12)는, 성형 장치(23)에 의해 성형된 성형재 K의 중량, 즉, 외부로 배출 시의 성형재 K의 중량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중량 검출 장치(12)는, 성형 장치(23)에 설치된 로드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량 검출 장치(12)는, 검출한 중량을 성형재 정보로서 통신 장치(11)에 출력한다. 중량 검출 장치(12)는, 중량을 출력할 때마다, 출력하는 중량에 관리 번호 등의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통신 장치(11)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검출 장치(13)는, 성형 장치(23)에 의해 성형된 성형재 K의 수분(수분량), 즉, 외부로 배출 시의 성형재 K의 수분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수분 검출 장치(13)는, 성형재 K의 유전율을 사용하여 당해 성형재 K의 수분을 측정하거나, 혹은, 성형재 K의 전기 저항을 사용하여 당해 성형재 K의 수분(수분 함유율)을 측정하거나, 성형재 K에 적외선 혹은 마이크로파 등을 조사함으로써 수분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다. 수분 검출 장치(13)는, 수분을 검출하는 것이면 어떠한 장치여도 된다.
수분 검출 장치(13)는, 검출한 수분을 성형재 정보로서 통신 장치(11)에 출력한다. 수분 검출 장치(13)는, 수분을 출력할 때마다, 출력하는 수분에 관리 번호 등의 관리 정보를 부가하여 통신 장치(11)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시 장치(14)는, 성형기(20)에 의해 성형재 K를 성형한 시간을 계측하는 장치이다. 계시 장치(14)는, 예를 들어 시간(서력, 월, 일 등의 날짜, 시각)을 계측하는 타이머이다. 계시 장치(14)는, 성형 장치(23)의 동작에 기초하여, 성형재 K의 성형을 개시한 개시 시간, 성형재 K의 성형을 종료한 종료 시간, 성형재 K를 배출한 배출 시간 등을 통신 장치(11)에 출력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출력 장치(10)는, 중량 검출 장치(12), 수분 검출 장치(13) 및 계시 장치(14)를 갖고 있지만, 중량 검출 장치(12), 수분 검출 장치(13) 및 계시 장치(14) 중 어느 1개 이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는, 성형기(20)에 있어서, 성형재 K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면 되고, 중량 검출 장치(12), 수분 검출 장치(13) 및 계시 장치(14)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1)는, 성형재 정보(중량, 수분, 시간) 및 관리 번호를 롤 베일러(20)의 작업 종료 후나 롤 베일러(20)에서 롤 성형재 K를 성형할 때마다, 혹은, 정기적으로, 외부의 컴퓨터에 송신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량 검출 장치(12), 수분 검출 장치(13)가, 계측값(중량, 수분)에 관리 정보를 부가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통신 장치(11)가, 계측값(중량, 수분)을 취득할 때마다 관리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1)에 의해, 성형재 정보 및 관리 정보를 외부의 컴퓨터에 송신할 때에, 적어도 날짜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물 관리 시스템은, 무선 태그, 즉,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30)를 구비하고 있다. RFID 태그(30)는 성형재 K에 설치되어 있다. RFID 태그(30)는 적어도 성형재 K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태그이다. 식별 정보란, 성형재 K를 특정, 즉,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식별 정보는, 성형재 K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성형재 K마다 개별로 할당된 유니크한 번호(시리얼 번호)여도 되고, 그 밖의 정보여도 된다.
도 3은 농장 등에 롤 베일러(20)를 주행시켜 성형재 K를 성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베일러(20)에서는, 롤 성형재 K를 성형할 때마다 롤 성형재 K를 농장에 배출하기 때문에, 농장에는 롤 베일러(20)로부터 배출된 많은 롤 성형재 K가 존재한다.
작업자 등은, 미리 RFID 태그(30)를 준비해 두고, 농장에 배출된 롤 성형재 K에 RFID 태그(30)를 설치한다. 작업자는, 롤 성형재 K의 1개당, 1개의 RFID 태그(30)를 설치한다. 농장에서는, 롤 성형재 K는, 측부(측면)가 농장의 지면에 접하고 있어 옆으로 쓰러진 상태이다. 또한, 롤 성형재 K의 측부에는, 네트 등의 곤포재(29)가 권취되어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롤 성형재 K의 측부에 권취된 곤포재(29)에 RFID 태그(30)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30)는 곤포재(29)에 설치되어 있지만, 곤포재(29) 이외의 개소에 설치해도 되고, 롤 성형재의 저부(저면)에 설치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물 관리 시스템은, 관리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 장치(40)는, 서버, 휴대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란, 운반이 용이한 컴퓨터이며, 스마트폰(다기능 휴대 전화), 태블릿 등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장치(40)는 서버이다.
서버(40)는 취득부(41)와, 제1 기억부(42)를 갖고 있다. 취득부(41)는, 서버(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며,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제1 기억부(4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며, 취득부(41)가 취득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 등을 기억한다.
취득부(41)에 의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의 취득 방법은,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RFID 리더(50)에 판독하고, 판독한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하는 방법이 있다. 즉, 작물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30), 즉,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를 수신 가능한 RFID 리더(50)(무선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있다.
RFID 리더(50)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운반 가능한 휴대형의 리더이며, 판독부(51)와, 출력부(52)를 갖고 있다. 판독부(51)는, 안테나 등이며, RFID 태그(30)가 패시브형의 RFID 태그(30)인 경우, RFID 태그(30)에 전파를 조사하고, RFID 태그(30)로부터 송신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판독부(51)는, RFID 태그(30)가 액티브형의 RFID 태그(30)인 경우, RFID 태그(30)에 대하여 식별 정보의 요구를 행하고 요구에 따라서 RFID 태그(30)로부터 송신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판독부(51)는, RFID 태그(30)가 액티브형의 RFID 태그(30)인 경우, RFID 태그(30)에 식별 정보의 요구를 행하지 않고, RFID 태그(30)로부터 임의로 송신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출력부(52)는, 근거리, 혹은, 장거리의 통신을 무선 등으로 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출력부(52)는, 장거리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인 경우, 판독부(51)에 의해 취득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한다. 또한, 출력부(52)는,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인 경우, 판독부(51)에 의해 취득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작업자 등이 소지하는 컴퓨터(이후, 작업자 컴퓨터라 함)(60)에 송신한다.
작업자 컴퓨터(60)는, RFID 리더(50)의 출력부(52)로부터 송신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한다. 작업자 컴퓨터(6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또한, RFID 리더(50)에 의해,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할 때에, 미리, RFID 리더(50)에 작업자에 관한 정보(유저 정보)를 등록해 두고, RFID 리더(50)에 등록한 유저 정보와 함께, RFID 리더(50)가 판독한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RFID 리더(50)는 표시부(53)를 갖고 있다. 표시부(53)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 모니터 등이며, 다양한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RFID 리더(50)의 표시부(53)는, 유저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등록 화면에서는, 작업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유저 ID,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를 입력 가능하다. 작업자는, RFID 리더(50)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등을 사용하여, 등록 화면에 유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유저 정보를 RFID 리더(50)에 등록한다.
RFID 리더(50)에 유저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 컴퓨터(60)에 유저 등록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 등록 화면에 입력된 유저 정보를 작업자 컴퓨터(60)에 등록하고, 작업자 컴퓨터(60)에 등록한 유저 정보를 RFID 리더(50)에 전송함으로써, RFID 리더(50)에 유저 정보를 등록해도 된다.
이와 같이, RFID 리더(50)에 등록한 유저 정보를,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40)에 송신함으로써, 서버(40)는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와 유저 정보를 관련지어 제1 기억부(42)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RFID 리더(50)로부터 서버(40)에 식별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미리 RFID 리더(50) 또는 작업자 컴퓨터(60)를 서버(40)에 접속하고, 서버(40)에 유저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서버(40)에 대하여 유저 정보의 등록을 행해도 된다. 또한, 서버(40)는, 유저 정보의 등록을 행한 경우에,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 등을 발행하고, RFID 리더(50) 또는 작업자 컴퓨터(60)에 송신한다. RFID 리더(50) 또는 작업자 컴퓨터(60)는 서버(40)에서 발행된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 등을 등록한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 컴퓨터(60) 또는 RFID 리더(50)는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서버(40)에 로그인한 후,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한다.
서버(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RFID 리더(50) 또는 작업자 컴퓨터(60)로부터 송신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 및 유저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40)의 취득부(41)는, 서버(40)가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 및 유저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 및 유저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서버(40)의 취득부(41)는,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성형재 K의 성형재 정보를 취득한다. 서버(40)는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성형재 정보(중량, 수분, 시간)를 수신한다. 취득부(41)는, 서버(40)가 성형재 정보(중량, 수분, 시간)를 수신하였을 때에, 당해 성형재 정보를 취득한다.
서버(40)는 관련지음부(43)와, 제2 기억부(44)를 갖고 있다. 관련지음부(43)는, 서버(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기억부(44)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설명의 편의상,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태그 식별 정보」라 하는 경우가 있다.
관련지음부(43)는, 취득부(41)에서 취득한 태그 식별 정보와, 취득부(41)에서 취득한 성형재 정보를 관련짓는다. 관련지음부(43)에 의한 관련짓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소정의 날짜(예를 들어, 2016년 10월 3일)에 있어서의 취득부(41)가 취득한 태그 식별 정보, 성형재 정보인 중량 및 수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재 정보는, 롤 성형재 K가 성형될 때마다 발생하는 것이며, 성형재 정보의 개수가, 롤 성형재 K의 개수와 대응한다. 또한, 롤 성형재 K에는, 1개의 롤 성형재 K에 대하여 1개의 RFID 태그(30)가 설치되기 때문에, 태그 식별 정보의 개수가, 롤 성형재 K의 개수와 대응한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관리 번호는, 롤 성형재 K가 성형될 때마다 번호가 커지고, 번호가 커질수록, 성형된 시각이 늦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4b는 관련지음부(43)에 의해 관련지어진 롤 성형재 K의 중량 및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지음부(43)는, 소정의 날짜에 대응하는 관리 번호를 참조하여, 관리 번호가 가장 작은 롤 성형재 K에 대응하는 중량 및 수분과, 복수의 태그 식별 정보 중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태그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다. 또한, 관련지음부(43)는, 관리 번호가 가장 큰 롤 성형재 K에 대응하는 중량 및 수분과, 복수의 태그 식별 정보 중에서 번호가 가장 큰 태그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다. 즉, 관련지음부(43)는, 관리 번호 및 태그 식별 정보를 각각 순서대로 배열하고, 순서대로 배열된 관리 번호에 대응하는 중량 및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다. 관련지음부(43)에 의해, 관련지어진 성형재 정보(중량, 수분)와, 태그 식별 정보는, 제2 기억부(44)에 기억된다.
또한, 도 4a에서는, 서버(40)의 취득부(41)는, 중량 및 수분을 취득하지만, 취득한 성형재 정보가 중량만인 경우, 당연히, 관련지음부(43)는, 중량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다. 또한, 취득한 성형재 정보가 수분만인 경우, 관련지음부(43)는,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다.
또한, 성형재 정보에 시간(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관리 번호 대신에 시간(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을 사용하여, 중량 및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는, 소정의 날짜(예를 들어, 2016년 10월 3일)에 있어서의 롤 성형재 K의 중량, 수분, 배출 시간, 취득부(41)가 취득한 태그 식별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재 정보에는 관리 번호는 부여되어 있지 않다.
도 5b는 관련지음부(43)에 의해 관련지어진 성형재 정보와, 태그 식별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지음부(43)는, 소정의 날짜에 있어서의 롤 성형재 K의 배출 시간을 참조하여, 성형재 정보에 있어서 가장 배출 시간이 빠른 중량 및 수분과, 복수의 태그 식별 정보 중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태그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다. 또한, 관련지음부(43)는, 성형재 정보에 있어서 배출 시간이 가장 늦은 중량 및 수분과, 복수의 태그 식별 정보 중에서 번호가 가장 큰 태그 식별 정보를 대응짓는다. 관련지음부(43)는, 개시 시간, 종료 시간 등을 사용하여, 롤 성형재 K의 중량 및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즉, 관련지음부(43)는, 성형재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에 기초하여, 중량 및 수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다. 또한, 성형재 정보가 시간(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만인 경우, 관련지음부(43)는, 시간과 태그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다.
이상과 같이, 작물 관리 시스템은,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10)와, 성형재 K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RFID 태그(30)와, 관리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농장에 배출된 롤 성형재 K를 구별하기 위해, 롤 성형재 K의 표면 등에 수기로, 롤 성형재 K에 관한 정보(날짜, 농업 등)를 기재하지 않아도, 롤 성형재 K에 설치된 태그 식별 정보를 RFID 리더(50) 등으로 판독하여 관리 장치(40)에 출력하는 것만으로, 롤 성형재 K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가 중량 검출 장치(12)를 갖고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의 관련지음부(43)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태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성형재 K의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가 수분 검출 장치(13)를 갖고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의 관련지음부(43)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태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롤 성형재 K의 수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가 계시 장치(14)를 갖고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의 관련지음부(43)에 있어서 관련지어진 태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롤 성형재 K의 성형 시의 시간(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베일러(20)에 의해 성형된 롤 성형재 K는, 보관 장소 J에 쌓아 올려져 보관된다. 복수의 롤 성형재 K에 있어서 RFID 태그(30)의 방향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RFID 태그(30)의 위치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보관 장소 J에 쌓아 올려진 소정의 롤 성형재 K에 대하여 RFID 리더(50)를 대면,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판독한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함으로써, 소정의 롤 성형재 K의 중량, 수분, 개시 시간, 종료 시간, 배출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 리더(50)는 요구부(54)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구부(54)는, RFID 리더(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구부(54)는, 판독부(51)에서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성형재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요구부(54)는,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성형재 정보의 요구를 서버(40)에 출력한다. 서버(40)는, RFID 리더(50)의 요구부(54)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제2 기억부(44)를 참조하여, 요구에 대응하는 태그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성형재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서버(40)는, 추출한 성형재 정보를, 당해 성형재 정보의 요구를 행한 RFID 리더(50)에 대하여 송신한다. RFID 리더(50)는, 서버(40)로부터 송신된 성형재 정보를 수신한 후, 요구부(54)의 요구에 의해 얻어진 성형재 정보를 표시부(53)에 표시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롤 베일러(20)에 설치된 통신 장치(11)로부터 직접 서버(40)에 성형재 정보를 송신하고 있지만, 작업자 컴퓨터(60)에 성형재 정보를 송신한 후, 당해 성형재 정보를 작업자 컴퓨터(60)로부터 서버(40)에 송신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물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작물 관리 시스템의 변형예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베일러(20)는 RFID 태그(30), 즉,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를 수신 가능한 RFID 리더(무선 태그 리더)(70)를 구비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롤 베일러(20)에 설치된 RFID 리더(70)를 탑재 리더라 한다. 탑재 리더(70)는 제1 실시 형태의 RFID 리더(50)와 마찬가지로 판독부(51)를 구비하고 있다. 판독부(5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탑재 리더(70)는 성형부(27)에서 성형한 성형재 K를 배출하는 배출부(28) 또는 배출부(28)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출부(28)는 수용부(26)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직사각 형상의 커버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의 후방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어 있다. 탑재 리더(70)의 판독부(51)는, 커버의 내측으로 향해져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 성형재 K에 설치된 태그 식별 정보를 검출 가능하다.
탑재 리더(70)는 통신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탑재 리더(70)의 판독부(51)는, 롤 성형재 K가 배출부(28)로부터 배출될 때마다, 당해 롤 성형재 K에 설치된 RFID 태그(30)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태그 식별 정보를 통신 장치(11)에 출력한다. 통신 장치(11)는, 태그 식별 정보를 수취하면, 태그 식별 정보를 서버(40) 등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 장치(11)는, 성형재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한다. 또한, 탑재 리더(70)에 있어서, 통신 장치(1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설치하고, 탑재 리더(70)로부터 직접 서버(40)에 태그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롤 성형재 K의 RFID 태그(30)의 설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롤 성형재 K를 곤포하는 곤포재(29)에 RFID 태그(30)를 설치해 두고, 권취 기구에 의해 곤포재(29)를 감음으로써, RFID 태그(30)를 롤 성형재 K에 설치한다. 혹은, 롤 베일러(20)의 성형 장치(23)에 RFID 태그(30)를 롤 성형재 K에 부착하는 부착기를 설치해 두고, 권취 기구에 의해 롤 성형재 K에 곤포재(29)를 권취할 때에, 부착기가 곤포재(29)에 RFID 태그(30)를 부착해도 된다. 롤 성형재 K에 대한 RFID 태그(30)의 설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이어도 된다.
서버(40)는 통신 장치(11) 또는 탑재 리더(70)로부터 송신된 태그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40)는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성형재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40)의 관련지음부(43) 및 제2 기억부(44)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작물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롤 성형재 K가 롤 베일러(20)로부터 배출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탑재 리더(70)에 의해, 롤 성형재 K에 설치된 태그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롤 성형재 K에 설치된 태그 식별 정보의 취득을 자동화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 또는 탑재 리더(70)로부터 서버(40)에 태그 식별 정보를 송신할 때에는, 미리 통신 장치(11) 또는 탑재 리더(70)에 유저 정보의 등록을 행하고, 통신 장치(11) 또는 탑재 리더(70)는 태그 식별 정보와 함께 유저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롤 베일러(20)에 설치된 통신 장치(11) 또는 탑재 리더(70)로부터 직접 서버(40)에, 성형재 정보, 태그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작업자 컴퓨터(60)를 경유하여, 성형재 정보, 태그 식별 정보를 서버(40)에 송신해도 된다. 작업자 컴퓨터(60)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통신 장치(11) 및 탑재 리더(70)에 유저 정보의 등록은 행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 컴퓨터(60)에 유저 등록을 해 두고, 당해 작업자 컴퓨터(60)로부터 서버(40)에, 성형재 정보 및 태그 식별 정보를 송신할 때에 작업자 컴퓨터(60)에 등록된 유저 정보를 송신하면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정보 출력 장치(10)는,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성형재 K의 단백질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검출 장치여도 되고, 성형재 K의 비타민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검출 장치여도 되고, 성형재 K의 녹말값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검출 장치여도 되고, 성형재 K의 섬유질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검출 장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RFID 태그(30)의 식별 정보와 성형재 정보를 관련지었지만, 이것에 더하여, 작업의 위치와 성형재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성형기(20), RFID 리더(50), 작업자 컴퓨터(60) 중 어느 것에, GPS 등의 측위 위성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당해 위치 검출 장치에서 검출한 위치와, 성형재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또한, 미리 목초(작물)의 품종을, 성형기(20), 관리 장치(40), RFID 리더(50), 작업자 컴퓨터(60) 등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해 두고, 작물의 품종과 성형재 정보를 관련지어도 된다.
10 : 정보 출력 장치
12 : 중량 검출 장치
13 : 수분 검출 장치
14 : 계시 장치
20 : 성형기
28 : 배출부
30 : RFID 태그(무선 태그)
40 : 관리 장치
41 : 취득부
43 : 관련지음부
50 : RFID 리더(무선 태그 리더)
51 : 판독부
52 : 출력부
53 : 표시부

Claims (7)

  1. 작물을 소정 형상의 성형재로 성형하는 성형기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성형재에 관한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와,
    상기 성형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성형재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무선 태그와,
    상기 성형재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성형재의 상기 성형재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성형재 정보를 관련짓는 관련지음부를 갖는 서버와,
    상기 무선 태그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무선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서버에 성형재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서버의 취득부는, 상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성형재 정보와, 상기 무선 태그 리더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서버의 관련지음부는, 상기 취득부가 상기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취득한 성형재 정보와, 상기 무선 태그 리더로부터 취득한 식별 정보를 관련짓는, 작물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재의 중량을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중량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중량 검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중량 검출 장치가 검출한 중량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중량을 관련짓는, 작물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재의 수분을 검출하고 또한 검출한 수분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수분 검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수분 검출 장치가 검출한 수분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수분을 관련짓는, 작물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성형기에 의해 상기 성형재를 성형한 시간을 상기 성형재 정보로서 출력하는 계시 장치를 갖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계시 장치에서 계시한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관련지음부는,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시간을 관련짓는, 작물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태그 리더는,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성형재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구하는 요구부와,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의해 얻어진 성형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있는, 작물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는, 상기 성형재를 롤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인, 작물 관리 시스템.
  7. 삭제
KR1020187034281A 2016-10-12 2017-10-11 작물 관리 시스템 KR10224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1264A JP6808436B2 (ja) 2016-10-12 2016-10-12 作物管理システム
JPJP-P-2016-201264 2016-10-12
PCT/JP2017/036725 WO2018070391A1 (ja) 2016-10-12 2017-10-11 作物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635A KR20190003635A (ko) 2019-01-09
KR102245482B1 true KR102245482B1 (ko) 2021-04-29

Family

ID=6190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281A KR102245482B1 (ko) 2016-10-12 2017-10-11 작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124850A1 (ko)
EP (1) EP3466246B1 (ko)
JP (1) JP6808436B2 (ko)
KR (1) KR102245482B1 (ko)
CN (1) CN109195442A (ko)
WO (1) WO2018070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676B2 (en) * 2019-09-05 2023-12-26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aling materials
US20220167560A1 (en) * 2020-11-30 2022-06-02 Agco Corporation Laden weight estimation using rfid tagged bales
EP4262354A1 (en) * 2020-12-19 2023-10-25 Agco Corporation Method for supplying a bale identification tag to an aggregate of agricultural bales
US20220201938A1 (en) * 2020-12-30 2022-06-30 Agco Corporation Randomized epc generation for bale identification tag
WO2022229737A1 (en) * 2021-04-26 2022-11-03 Agco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labeling hay bales with corrected yield
US20230041824A1 (en) * 2021-08-03 2023-02-09 Deere & Company Bale tagg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349A1 (en) * 2007-10-30 2009-04-30 James Thomas Noonan Cotton Harvester For Producing Modules Which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And Oriented
JP2009136195A (ja) * 2007-12-05 2009-06-25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から有用物質を生産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収穫装置
JP2010089870A (ja) *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物品管理システム、方法、サーバ、icタグリーダ及び物品管理プログラム
JP5836465B1 (ja) * 2014-10-20 2015-12-24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放射線計測装置および放射線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24195A1 (de) * 1984-04-26 1985-07-03 Landmasch Forschzent Fadenandruecker an pressen fuer stroh, heu und dgl.
JPS61145956A (ja) 1984-12-20 1986-07-03 Canon Inc 原稿検出機構
JPS61145956U (ko) 1985-03-01 1986-09-09
JP4847099B2 (ja) * 2005-10-28 2011-12-28 京セラ株式会社 読取装置及び外出データキャリア決定方法
US20070185612A1 (en) * 2006-02-08 2007-08-09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ntory of aggregated post-consumer goods
JP5187526B2 (ja) * 2008-02-19 2013-04-24 ヨシモトポール株式会社 圧縮梱包体製造システム
US8516954B2 (en) * 2010-08-30 2013-08-27 Cnh America, Llc Method of tagging square bales
BE1021133B1 (nl) * 2013-02-21 2016-01-05 Cnh Industrial Belgium Nv Landbouwbalenpers met vliegwielremsturing
AU2014308544B2 (en) * 2013-08-20 2017-02-23 Tama group A wrapp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baled harvested agricultural materials
BR102015008710B1 (pt) * 2014-04-23 2022-10-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stema para rastrear uma unidade de produto agrícola colhida e método de utilização de um dispositivo de identificação por radiofrequência (rf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349A1 (en) * 2007-10-30 2009-04-30 James Thomas Noonan Cotton Harvester For Producing Modules Which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And Oriented
JP2009136195A (ja) * 2007-12-05 2009-06-25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から有用物質を生産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並びにセルロース系バイオマス収穫装置
JP2010089870A (ja) * 2008-10-06 2010-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物品管理システム、方法、サーバ、icタグリーダ及び物品管理プログラム
JP5836465B1 (ja) * 2014-10-20 2015-12-24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放射線計測装置および放射線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6246B1 (en) 2023-08-09
WO2018070391A1 (ja) 2018-04-19
EP3466246A4 (en) 2020-02-19
KR20190003635A (ko) 2019-01-09
US20190124850A1 (en) 2019-05-02
JP2018061472A (ja) 2018-04-19
CN109195442A (zh) 2019-01-11
EP3466246A1 (en) 2019-04-10
JP6808436B2 (ja)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82B1 (ko) 작물 관리 시스템
CN104936430B (zh) 农作业机、农作业管理方法
KR102318141B1 (ko) 농작 관리 시스템 및 농작물 수확기
US11627724B2 (en) Agricultural drone for use in livestock feeding
US117165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based analysis of multiple agricultural entities
KR102174664B1 (ko)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901886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sensor association
CA2854497C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gricultural commodities, e.g. crop inventories
CN105432174A (zh) 利用农作物湿度数据
JP6957345B2 (ja) 作物管理システム
JP2002167810A (ja) 建設機械の稼働情報読取方法、読取装置及び稼働情報管理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建設機械
CA2911502C (en) Ticket-based harves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276154B1 (ko) 작업 장치, 작업 차량, 작업기 및 관리 시스템
CN105959409A (zh) 车辆里程捕捉及传输装置和方法
JPH0720416B2 (ja) 動物取付用個体識別タグ
CN106157604A (zh) 一种警用综合交通巡逻执法终端
CN205540105U (zh) 基于无线传感网的智慧物流车载终端信息采集装置
US20230085068A1 (en) Gondola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212846930U (zh) 一种用于区块链信息采集的农产品运输监控系统
CN208621981U (zh) 一种温度监控设备
US20230084186A1 (en) Gondola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419902B1 (en) Agricultural data transportation system
WO2024019926A1 (en) Gondol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01224A (ko)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TWM600423U (zh) 區塊鏈服務資訊提供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