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64B1 -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4664B1 KR102174664B1 KR1020157020540A KR20157020540A KR102174664B1 KR 102174664 B1 KR102174664 B1 KR 102174664B1 KR 1020157020540 A KR1020157020540 A KR 1020157020540A KR 20157020540 A KR20157020540 A KR 20157020540A KR 102174664 B1 KR102174664 B1 KR 102174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dryer
- unit
- operation information
- capac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5—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the level of grain in grain tan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33—Dry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농작물 수확기(1)는, 수확물을 수납하는 탱크와,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부(51)와, 건조 시설(7)로부터 보내져 온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부(61)와, 현상 수량과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부(62)와, 종료 타이밍을 통지하는 통지부(6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확 후에 건조 시설에서 건조시키는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작물 수확기, 당해 농작물 수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농작업을 관리하는 농작업 관리 방법,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 및 이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수확 후에 건조 시설에서 건조시키는 농작물로서, 예를 들어 쌀이나 보리가 있다. 쌀이나 보리를 수확하는 수확기(일반적으로는 콤바인이라고 불리고 있음)에서는, 소정의 예취 면적을 갖는 포장(圃場) 내를 주행하면서 전처리부에서 곡간을 예취하고, 이 예취한 곡간을 탈곡부에 공급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가 이루어진 곡립을 곡립 탱크에 저류하는 수확 작업이 행해진다. 곡립 탱크가 곡립으로 가득차면, 그 곡립은 트랙 등의 운반 차량에 옮겨 적재되고, 건조기 시설에 반입되어, 건조 처리를 받는다. 곡립 등의 수확물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그날에 수확된 수확물은 그날 중에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건조기 시설에 있어서의 건조 처리의 능력과, 이 건조기 시설에 반입하는 수확물을 수확하는 수확기의 수량의 균형화가 중요하다.
예취 주행 중의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인 벼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연산 수단에 의해 산출한 단위 예취 면적당 곡립의 수확량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를 설치한 콤바인이, 특허문헌 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운전자는, 수확 작업 주행에 있어서의 단위 예취 면적당 곡립의 수확량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미예취 행정에 있어서의 곡립의 수확량도 예상 가능하다. 따라서, 건조기 센터의 건조 처리 능력 이상의 수확 작업은 행하지 않고 작업을 중단하여, 곡립 탱크 내에 저류한 곡립을 운반 차량에 옮겨 적재하여 건조기 센터에 반입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건조기 센터는 공동체가 운영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며, 이 콤바인이 아니라, 많은 콤바인으로부터의 곡립의 반입도 수용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미리 알려져 있는 건조기 센터의 건조 처리 능력만으로, 자기의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을 계획해도, 반입한 곡립이 내일로 연장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예취 작업으로부터 건조 처리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예취 개시로부터 만탱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곡립 센서의 검출 시간의 총합을 소요 시간으로서 구하고, 그 소요 시간을, 출력측의 발신기에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여 지정된 휴대 전화에 송신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콤바인이, 특허문헌 2로부터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기 중의 관계 작업자는, 수신한 휴대 전화에 표시되는 예취 개시로부터 만탱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첫회의 전체 작업 시간을 알 수 있고, 1일의 목표 수확량을 수확할 때까지의 수확 작업의 전부에 필요로 하는 개략의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계 작업자는, 다음 공정의 준비를 수확 작업이 완료되는 추정 시간에 맞추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 운전자는, 그날에 수확하는 목표 수확량을, 목표 수확량 설정 다이얼에 의해 설정하고, 컨트롤러에 설정값으로서 기억시켜 작업을 개시하지만, 이 목표 수확량은,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정격의 1일당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즉, 이 공지 기술에 있어서도, 미리 알려져 있는 건조기 센터의 건조 처리 능력에만 기초하여 자기의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이 계획되므로, 건조기 센터의 혼잡 상태에 따라서는, 반입한 곡립이 내일로 연장될 가능성이 발생한다.
수확기에 의해 수확한 수확물을 이동 탑재하여 반송하는 반송차와, 반송되어 온 수확물의 건조 등의 조제를 행하는 복수의 조제 시설과, 이들 복수의 조제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 센터에 각각 정보 단말기를 구비하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정보를 전달 가능하게 하는 수확물 관리 시스템이 특허문헌 3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조제 시설은, 조제를 행하고 있는 수확물의 종류나 처리 능력이나 수용 가능량 등의 조제 시설 정보를 상기 관리 센터에 송신하고, 반송차는, 관리 센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반송처로 하는 조제 시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3에는, 수확 작업 중에 수확기로부터 반송차에 직접 혹은 관리 센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포장 위치나 수확 완료의 수확물의 양(또는 만량 예측 시간)이 송신됨으로써, 수확기에 대해 반송차를 효율적으로 배차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날에 수확된 곡립이 그날 중에 건조되기 위해, 수확기가 어느 정도 수확하면 좋을지라고 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이 특허문헌 3으로부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그날에 수확된 수확물을 그날 중에 건조하기 위해, 건조기 시설에 있어서의 건조 처리의 능력과, 이 건조기 시설에 반입되는 수확물을 수확하고 있는 농작물 수확기의 수량이 균형화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는, 수확물을 수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부와,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져 온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부와,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부와, 상기 종료 타이밍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농작물 수확기는, 현상에 있어서 자기의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수량과, 현상의 건조기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어느 시점에서 수확을 종료하면, 건조 시설에 반입한 수확물이 모두 그날 중에 건조되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통지함으로써, 건조기 시설에 있어서의 건조 처리의 능력과 농작물 수확기의 수량을 균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업 관리부는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건조 용량 결정부가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져 오는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건조 용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이, 이 건조 용량과, 실제로 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에 기초하여 판정되므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건조 용량이 정확하면, 확실하게 금일 중에 건조할 수 있는 양의 수확물을 수확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건조 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최신의 건조기 가동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현상 수량의 산정 또는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의 결정 혹은 그 양쪽이, 시간 경과와 함께 반복하여 행해지고, 그때마다 상기 작업 관리부가 상기 종료 타이밍을 재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건조기의 가동 시간이나 가동 조건은, 건조해야 할 수확물의 수분에 의해 달라진다. 이로 인해, 수분별로 건조기를 가동시키고 있는 건조 시설은 적지 않다. 이러한 건조 시설에 대해서도 적응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서는,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는 수확물의 수분별의 건조기 가동 상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수분을 산정하는 수분 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이 상기 수분별의 건조기 가동 상황과 상기 수확물의 수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일반적인 농작물 수확기에는, 통신 회선을 통해 건조 시설의 컴퓨터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 전용의 회선 통신부를 새롭게 장비하는 것보다는, 곡립 수확기의 운전자가 지참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를 통신부로서 이용하면 적합하다. 그 때, 곡립 수확기와 휴대 통신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곡립 수확기의 차량 탑재 LAN에 설치된 데이터 입출력부와 휴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 사이에서 행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 통신으로서, USB 접속 등의 유선 통신이나 Wi-Fi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당해 농작물 수확기의 제어 유닛에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다. 즉, 건조 시설의 컴퓨터 시스템과의 교신을 위해 필요해지는 농작물 수확기의 통신부를, 휴대 통신 단말기의 통신부로 대용하는 것이다.
태블릿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서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어플)을 인스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기 수량 산정부와 상기 건조 용량 결정부와 상기 작업 관리부와 상기 통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구성을 채용하면 적합하다.
농작물 수확기의 차내에 반입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그 제어계에 내장된 농작물 수확기도 본 발명의 주제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휴대 통신 단말기측에서 고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휴대 통신 단말기에 인스톨되는 대지 작업 정보 표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 통신 단말기에 인스톨되는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 및 그러한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권리의 대상이다. 예를 들어, 그러한, 수확물을 탱크에 수납하는 농작물 수확기의 제어 유닛과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인스톨되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 기능과,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진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 기능과,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 기능과, 상기 종료 타이밍을 통지하는 통지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술한 관련되는 기능부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나 본 발명의 농작업 관리 방법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기록 매체는, USB 메모리나 SD 카드(상표명) 등의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 및 농작업 관리 방법을 확장함으로써,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 기능이 부가되면, 휴대 통신 단말기측에서,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타이밍을 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종료 타이밍을,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상기 농작물 수확기에 탑재되어 있는 통지 디바이스를 통해 통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휴대 통신 단말기가, 항상 운전자가 몸에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면, 상기 종료 타이밍을, 휴대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통지 디바이스를 통해 통지하는 것도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하나인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수량 센서와 식미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제어계와 이 콤바인에 내장된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콤바인과 이 콤바인에 내장된 스마트폰과 건조 시설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차트도이다.
도 7은 식미 측정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하나인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수량 센서와 식미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제어계와 이 콤바인에 내장된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콤바인과 이 콤바인에 내장된 스마트폰과 건조 시설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차트도이다.
도 7은 식미 측정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도 1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특징짓고 있는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농작물 수확기(이하 단순히 수확기라 칭함)(1)에는, 제어계로서, 수확기(1)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유닛(53)과, 수확기(1)의 수확 작업 장치를 제어하는 작업 제어 유닛(5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측정계로서, 수확물을 수납하는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부(5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계를 구성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6)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어계와 측정계는 차량 탑재 LAN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차량 탑재 LAN과 데이터 처리 모듈(6)은 데이터 입출력부(50)와 데이터 입출력부(60)를 통해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지만, 물론, 제어계와 측정계와 데이터 처리 모듈(6)을 동일한 차량 탑재 LAN으로 접속해도 된다.
이 데이터 처리 모듈(6)에는, 통신부(61), 작업 관리부(62), 통지부(63), 건조 용량 결정부(64), 건조 의뢰부(65)가 포함되어 있다. 통신부(61)는, 공중 LAN, 휴대 전화 회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처리 모듈(6), 즉, 수확기(1)와 원격지의 건조 시설(7)의 컴퓨터 시스템을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한다. 건조 시설(7)의 컴퓨터 시스템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건조 시설(7)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군(81, 82…)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가 생성된다. 건조 의뢰부(65)가, 건조 시설(7)에 건조기 가동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건조 시설(7)은 수확기(1)에 건조기 가동 정보를 송신한다.
데이터 처리 모듈(6)은, 수량 산정부(51)에서 현상의 수량을 나타내는 현상 수량과, 건조 시설(7)로부터 보내져 온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한다. 이 현상 수량과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그날에 수확된 수확물을 그날 중에 건조하기 위해서는, 나머지 어느 정도 수량이 증가해도 좋은지 여부, 즉, 이 수확기(1)에 의한 금일의 수확 작업을 언제 종료해야 하는지라고 하는 종료 타이밍을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건조 용량 결정부(64)가, 수취한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로부터, 건조 시설(7)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한다. 또한, 건조 시설(7)에 있어서의 건조기군(81, 82…)의 가동 상황은, 시시각각 변동하므로, 현상 수량의 산정이나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의 결정은, 시간 경과와 함께 반복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이 작업 관리부(62)에 전송되면, 작업 관리부(62)는, 이 반입 가능 건조 용량과 수량 산정부(51)로부터 보내져 온 현상 수량으로부터,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한다. 아직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이 현상 수량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확 작업은 속행되지만, 반입 가능 건조 용량과 현상 수량의 차는 작아진 경우에는, 작업 관리부(62)는, 현시점이 종료 타이밍인 것으로 하고, 수확 작업의 중지를 요구하는 작업 중지 커맨드를 출력한다.
또한, 작업 관리부(62), 건조 용량 결정부(64), 건조 의뢰부(65)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독립된 기능부로서 취급되고 있지만, 이들 기능부는, 실질적으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며, 통합화하는 것, 또는 더욱 분할화하는 것은 자유이다.
통지부(63)는, 작업 관리부(62)에 의해 판정된 작업 중지 커맨드를 포함하는 종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 및 램프나 버저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건조 시설(7)의 컴퓨터 시스템은, 통신부(70), 건조 의뢰 처리부(71), 건조기 가동 정보 작성부(72), 데이터 입력부(73)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70)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처리 모듈(6), 즉, 수확기(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행한다. 건조 의뢰 처리부(71)는, 수확기(1)로부터 보내져 온 건조 의뢰에 기초하여, 건조 의뢰의 대기 행렬을 생성한다. 데이터 입력부(73)는, 건조 시설(7)에 있어서의 건조기군(81, 82…)을 제어하고 있는 건조기 제어 유닛(80)으로부터 건조기군(81, 82…)의 동작 데이터를 입력하고, 건조기 가동 정보 작성부(72)에 전송한다. 건조기 가동 정보 작성부(72)는, 수취한 동작 데이터로부터, 건조기군(81, 82…)의 가동 상황, 예를 들어 대기하고 있는 건조기의 수나 그 건조 용량, 가동 중 건조기의 종료 시간 등을 판독하고, 건조 의뢰 처리부(71)에서 생성되어 있는 대기 행렬도 고려하여 건조기 가동 정보를 생성한다. 이 건조기 가동 정보는, 수확기(1)의 건조 의뢰부(65)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현시점의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확기(1)에 송신한다.
상술한 기본 구성에 의해, 이 수확기(1)는, 지금까지 수확한 수확물의 수량과, 건조 시설(7)의 현상의 가동 상황으로부터, 앞으로 어느 정도 수확해도 건조 시설(7)로 금일 중에 건조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통지함으로써, 운전자는,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확기(1)에는, 통신 회선을 통해 건조 시설(7)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61)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 모듈(6)을,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휴대 통신 단말기로 구축하고, 그 데이터 입출력부(60)와, 수확기(1)의 데이터 입출력부(50)를 데이터 전송 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입출력부(60)와 데이터 입출력부(50)의 접속에는, USB 접속 등의 유선 통신이나, Wi-Fi 등의 무선 통신이 적합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하나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농작물 수확기는 크롤러식의 자탈형 콤바인(이하 단순히 콤바인이라고 칭함)(1)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수확물은 곡립이다. 도 2에 콤바인(1)의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 콤바인(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콤바인(1)은, 각형 파이프재 등의 복수의 강재를 연결한 기체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11)를 장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우반부의 전방측에는, 엔진(E)이 탑재되고, 그 상부에 운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13)에는, 운전석(16), 조종 레버(17),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18) 등이 배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좌측의 전단부에는, 작업 주행 시에 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수확 대상의 작물 곡간을 예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12)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의 좌반부에는, 예취부(12)에 의해 반송된 예취 곡간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예취 곡간의 착립부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고, 이 탈곡 처리에서 얻은 곡립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우반부의 후방측에는, 탈곡 장치(14)로부터 스크류 리프팅식의 공급 컨베이어(31)를 통해 리프팅 반출한 곡립을 저류하는 판금제의 곡립 탱크(15)가 탑재되어 있다. 곡립 탱크(15)에는, 곡립 탱크(15)에 저류한 곡립을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9)가 장비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서는, 모식적으로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곡립 탱크(15)의 하부에 곡립의 중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21)가 장비되고, 곡립 탱크(15)의 내부에, 식미 센서(22)를 내장한 식미 측정 기구(30)가 장비되어 있다. 식미 센서(22)로부터는, 품질 데이터로서 곡립의 수분값과 단백값의 측정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이 식미 센서(22)는 수확물의 수분 측정 센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량 센서(21)는, 기체 프레임(10)에 장착된 로드셀이며, 이 로드셀에 곡립 탱크(15)가 적재되어 있다. 즉, 이 수량 센서(21)는, 곡립 탱크(15)를 포함하여 거기에 저류된 곡립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수확 곡립의 수량을 측정한다. 소정의 샘플링 시간마다 수량 센서(21)에 의해 증가량을 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당 수량이 얻어진다. 그 때, 주행 속도를 고려하면, 소정 거리당 수량을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미 센서(22)는, 도 4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탱크(15)의 측벽에 외측으로부터 장착된 식미 측정 기구(30)에 내장되어 있다. 식미 측정 기구(30)는, 평행 자세와 현수 자세 사이에서 개폐 요동하는 측정대(30a)를 곡립 탱크 내부측에 구비하고 있다. 측정대(30a)는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갖는 통 형상 케이스로 덮여 있다. 또한, 측정대(30a)는, 탈곡 장치(14)로부터 공급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송되고, 임펠러에 의해 곡립 탱크(15)에의 투입구(15a)로부터 방출된 곡립의 일부가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평 자세의 측정대(30a)는, 투입구(15a)로부터 비상해 오는 곡립을 받아낼 수 있다. 소정량의 곡립이 측정대(30a)에 적재된 단계에서, 식미 센서(22)에 의한 측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분광 분석이 이용되고 있고, 곡립 수분이나 단백값의 측정이 가능하고, 수분이나 단백, 나아가서는 그들의 성분비로부터 구해지는 식미값을 측정값으로 할 수 있다. 식미 센서(22)에 의한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대(30a)는 현수 자세로 요동되고, 이에 의해 측정대(30a)의 적재되어 있었던 곡립이 방출된다. 곡립이 방출되고, 다음 측정 샘플링 시간이 되면, 다시 측정대(30a)가 수평 자세로 요동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조 시설(7)의 구성 요소는 실질적으로 도 1에서 나타내어진 것과 동일하지만, 건조 시설(7)의 건조기군(81, 82…)이, 수확물, 즉, 곡립의 수분에 따라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입되는 곡립의 수분에 의해 클래스 나눔을 행하고, 그 클래스마다 건조 작업이 행해진다. 따라서, 수확물인 곡립의 수분에 의해, 당일의 수용 가능한 양이 다르므로, 건조기 가동 정보에는, 곡립의 수분에 따른 건조기 가동 상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5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처리 모듈(6)은, 운전자가 지참하는 휴대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에 의해 구축되어 있다. 이하에, 콤바인(1)의 제어계와, 이 콤바인(1)의 제어계에 내장되는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기능부를 설명한다.
콤바인(1)측의 제어계에 구축되어 있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능부는, 주행 제어 유닛(53)과, 작업 제어 유닛(54)과, 센서 관리 모듈(5)과,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18)에 접속되어 있는 통지부(63a)와, 데이터 입출력부(50)이다. 주행 제어 유닛(53)은, 차량 주행에 관한 다양한 제어 정보를 취급하는 ECU이며, 예를 들어 차량 탑재 LAN을 통해 센서 관리 모듈(5)로부터 취득한,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주행 거리, 연비 등의 데이터를 취급한다. 작업 제어 유닛(54)은, 예취부(12)나 탈곡 장치(14) 등의 예취 수확 장치를 제어하는 ECU이며, 센서 관리 모듈(5)로부터 취득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예취 수확 장치의 조작 상태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급한다.
센서 관리 모듈(5)에는, 본 발명에 특히 관계되는 것으로서, 수량 센서(21)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부(51), 및 식미 센서(22)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곡립의 수분을 산정하는 수분 산정부(52)가 구축되어 있다. 물론, 센서 관리 모듈(5)은, 상술한 수분 검출 센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식미 센서(22)나 수량 센서(21) 이외에, 주행 속도 센서나 주행 거리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를 입력하여, 다른 기능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 입출력부(50)는, 운전자가 지참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비교적 근거리에서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부이며, Wi-Fi나 블루투스(등록 상표) 등의 프로토콜로 동작한다.
도 1의 기본 원리에서 설명된, 작업 관리부(62)와 건조 용량 결정부(64)와 건조 의뢰부(65)는, 여기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로서 구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업 관리부(62)는, 콤바인측의 데이터 입출력부(50)와 스마트폰측의 데이터 입출력부(60)를 통해, 수량 산정부(51)와 수분 산정부(52)로부터 현상 수량과 저류 곡립의 수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취한다. 또한, 스마트폰에는, 본래적으로, 소유자 ID 관리부(66)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전송 가능한 통신부(61)나 디스플레이(67)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통지부(63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소유자 ID 관리부(66)의 기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인증을 행함으로써, 콤바인(1)에서 생성된 정보의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를 이용함으로써, 특별한 통신 기능을 콤바인(1)에 준비하지 않아도, 원격지의 건조 시설(7)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스마트폰의 통지부(63b)를 이용하여, 작업 관리부(62)에서 판정된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67)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15)에 수납되어 있는 곡립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 기능, 건조 시설(7)로부터 보내진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통신부(61)를 통해 수취하는 통신 기능과, 현상 수량과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 기능과, 종료 타이밍을 통지하는 통지 기능 등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 이 기록 매체를, 데이터 처리 모듈(6)로서의 스마트폰에 장착하여, 그들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내장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차트도를 사용하여, 콤바인(1)과 이 콤바인(1)에 내장된 스마트폰과 건조 시설(7)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한다.
콤바인(1)이 수확 작업을 시작하면, 작업 제어 유닛(54)으로부터 스마트폰[데이터 처리 모듈(6)]에 작업 개시 이벤트가 보내진다(#01). 작업 개시 이벤트를 받음으로써,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콤바인 작업 관리에 관한 프로그램인, 작업 관리부(62)와 건조 용량 결정부(64)와 건조 의뢰부(65)가 기동한다. 이 콤바인 작업 관리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행해지므로, 시간 체크가 행해진다(#02). 이 시간 조건이 성립하면, 작업 관리부(62)가 콤바인(1)의 센서 관리 모듈(5)에 곡립의 수량과 수분의 데이터를 요청한다(#03). 또한, 건조 의뢰부(65)가 건조기 센터(컴퓨터 시스템)(7)에 금일 중의 곡립 건조를 의뢰하기 위해 현상의 건조기 가동 정보를 요청한다(#04). 콤바인(1)의 센서 관리 모듈(5)은, 현상의 수량과 수분의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되돌린다(#05). 건조 시설(7)의 건조기 가동 정보 작성부(72)가 곡립 수분별의 건조기 가동 상황을 포함하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스마트폰에 되돌린다(#06).
건조 용량 결정부(64)가, 수확 곡립의 수분과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반입 가능 건조량을 산정한다(#07). 또한 작업 관리부(62)가, 현상 수량과 산정된 반입 가능 건조량으로부터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산정한다(#08). 여기서 산정된 종료 타이밍이 현시점인지 여부, 즉, 여기서 수확 작업을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10). 아직 수확 작업의 종료까지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중간 통지로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67)(#11) 및 콤바인(1)의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18)(#12)에 통지한다. 그 후, 스텝 #02로 되돌아가, 다음 콤바인 작업 관리의 개시 시간까지 대기한다.
스텝 #10에서 종료 타이밍이 현시점이며, 수확 작업의 종료가 판정되면, 작업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다(#13). 이 작업 종료 이벤트를 받아,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67)에는, 수확 작업의 종료를 촉구하는 코멘트가 표시된다(#14). 또한, 콤바인(1)의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18)에는, 수확 작업의 종료를 촉구하는 점멸 표시가 행해진다. 물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67)나 차량 탑재 디스플레이(18)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것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67)에서의 표시 대신에, 혹은 동시에 스마트폰을 진동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끌도록 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시설(7)은 단일인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복수의 건조 시설(7)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건조 시설(7)로부터 보내져 오는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최적의 건조 시설(7)을 선택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처리 모듈(6)은, 콤바인(1)의 제어계 또는, 운전자가 지참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데이터 처리 모듈(6)을 포장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통신 기능이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에 구축되어도 된다. 그 경우, 통지부(63)는 콤바인(1)측에 장비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식미 센서(22)를 내장한 식미 측정 기구(30)의 측정대(30a)는, 수평 자세와 현수 자세 사이의 요동하는 것이었지만, 그 밖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정대(30a)를, 식미 측정 기구(30)의 박스 형상의 케이스로부터 진퇴 이동시키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그 때, 식미 측정 기구(30)는, 신장된 상태의 측정대(30a)가, 탈곡 장치(14)로부터 공급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송되어 곡립 탱크(15)의 투입구(15a)로부터 방출되는 곡립을 받아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구조에서는, 소정량의 곡립이 측정대(30a)에 적재된 단계에서, 측정대(30a)가 식미 측정 기구(30)의 내부에 인입되고, 식미 센서(22)에 의한 측정이 행해진다.
또한, 식미 측정 기구(30)의 배치 장소는, 곡립 탱크(1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탈곡 장치(14)로부터 곡립 탱크(15)에의 곡립 반송 경로(3)의 적당한 개소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속 측정 처리가 가능한 식미 측정 기구(3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반송 중의 곡립, 특히 투입구(15a)로부터 방출된 비상 중의 곡립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량 센서(21)는, 곡립 탱크(15)의 저면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단일의 로드셀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보다 정확한 측정을 행하기 위해, 곡립 탱크(15)의 저면의 4개의 코너 영역에 각각 로드셀을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5)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농작물 수확기로서 쌀, 보리, 옥수수 등의 곡립 콤바인이 취급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가 필요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모든 수확기가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된다.
본 발명은 건조 시설과의 사이에서 건조 처리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농작물 수확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농작물 수확기(콤바인)
15 : 곡립 탱크
21 : 수량 센서(로드셀)
22 : 식미 센서
51 : 수량 산정부
52 : 수분 산정부
61 : 통신부
62 : 작업 관리부
63 : 통지부
64 : 건조 용량 산정부
65 : 건조 의뢰부
7 : 건조 시설(컴퓨터 시스템)
71 : 건조 의뢰 처리부
72 : 건조기 가동 정보 생성부
80 : 건조기 제어 유닛
81, 82 : 건조기
15 : 곡립 탱크
21 : 수량 센서(로드셀)
22 : 식미 센서
51 : 수량 산정부
52 : 수분 산정부
61 : 통신부
62 : 작업 관리부
63 : 통지부
64 : 건조 용량 산정부
65 : 건조 의뢰부
7 : 건조 시설(컴퓨터 시스템)
71 : 건조 의뢰 처리부
72 : 건조기 가동 정보 생성부
80 : 건조기 제어 유닛
81, 82 : 건조기
Claims (14)
- 수확물을 수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곡립량을 측정하는 수량 센서와,
상기 수량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주행 중에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부와,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져 온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부와,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부와,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업 관리부는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농작물 수확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수량의 산정 또는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의 결정 혹은 그 양쪽이, 시간 경과와 함께 반복하여 행해지고, 그때마다 상기 작업 관리부가 상기 종료 타이밍을 재산정하는, 농작물 수확기.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는 수확물의 수분별의 건조기 가동 상황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수분을 산정하는 수분 산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이 상기 수분별의 건조기 가동 상황과 상기 수확물의 수분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농작물 수확기.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당해 농작물 수확기의 제어 유닛에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농작물 수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량 산정부와 상기 건조 용량 결정부와 상기 작업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농작물 수확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수확물을 탱크에 수납하는 농작물 수확기의 제어 유닛에 대해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며,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곡립량을 측정하는 수량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주행 중에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 기능과,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진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 기능과,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 기능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타이밍이 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삭제
- 수확물을 탱크에 수납하는 농작물 수확기의 제어 유닛과 데이터 교환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농작업 관리 방법이며,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곡립량을 측정하는 수량 센서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주행 중에 상기 탱크에 수납되어 있는 수확물의 현상 수량을 산정하는 수량 산정 스텝과,
건조 시설로부터 보내진 건조기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건조기 가동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 스텝과,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작업의 종료 타이밍을 판정하는 작업 관리 스텝과,
상기 건조기 가동 정보로부터 상기 건조 시설에 있어서의 본 기기를 위한 당일 반입 건조 가능한 반입 가능 건조 용량을 결정하는 건조 용량 결정 스텝이 구비되고,
상기 현상 수량과 상기 반입 가능 건조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종료 타이밍이 산정되는, 농작업 관리 방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64835 | 2013-03-26 | ||
JP2013064835A JP6059056B2 (ja) | 2013-03-26 | 2013-03-26 | 農作物収穫機及びこの農作物収穫機に組み込まれる携帯通信端末のためのプログラム |
PCT/JP2013/074254 WO2014155771A1 (ja) | 2013-03-26 | 2013-09-09 | 農作業機、農作業管理方法、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及び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3693A KR20150133693A (ko) | 2015-11-30 |
KR102174664B1 true KR102174664B1 (ko) | 2020-11-05 |
Family
ID=5162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0540A KR102174664B1 (ko) | 2013-03-26 | 2013-09-09 |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43134B2 (ko) |
EP (1) | EP2979536A4 (ko) |
JP (1) | JP6059056B2 (ko) |
KR (1) | KR102174664B1 (ko) |
CN (1) | CN105007716B (ko) |
WO (1) | WO201415577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07520B (zh) * | 2015-03-31 | 2020-08-14 | 株式会社久保田 | 干燥机、支援装置以及农业支援系统 |
JP2016192075A (ja) * | 2015-03-31 | 2016-11-10 | 株式会社クボタ | 支援装置 |
JP6504881B2 (ja) * | 2015-03-31 | 2019-04-24 | 株式会社クボタ | 支援装置 |
WO2017115418A1 (ja) * | 2015-12-28 | 2017-07-06 | 株式会社クボタ | 農業管理システム |
EP3435319A4 (en) * | 2016-03-25 | 2019-08-21 | Nec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ED THEREFOR |
JP6697964B2 (ja) * | 2016-06-27 | 2020-05-27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CN108353617A (zh) * | 2017-01-26 | 2018-08-03 | 井关农机株式会社 | 谷物收获干燥系统 |
DE102018108494A1 (de) * | 2018-04-10 | 2019-10-10 |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
CN109213168A (zh) * | 2018-09-19 | 2019-01-15 | 甘肃农业大学 | 一种收获机上的智能安全控制系统 |
JP7013415B2 (ja) * | 2019-06-11 | 2022-01-31 | 株式会社クボタ | 支援装置 |
JP7140097B2 (ja) * | 2019-12-25 | 2022-09-21 | 株式会社デンソー | 農作物収穫システム |
CN111213482A (zh) * | 2020-02-26 | 2020-06-02 | 江苏大学 | 一种收获时储存状态实时监测及除湿的粮箱和收获机 |
JP7539264B2 (ja) * | 2020-06-29 | 2024-08-23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US20230217858A1 (en) * | 2022-01-11 | 2023-07-13 | Deere & Company | Predictive respons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4780A (ja) | 2004-09-29 | 2006-04-13 | Iseki & Co Ltd | 携帯電話を利用したコンバインの収穫状況表示装置 |
JP2006246845A (ja) * | 2005-03-14 | 2006-09-21 | Yanmar Co Ltd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14223B4 (de) * | 1995-04-15 | 2005-06-23 | Claas Kgaa Mbh | Verfahren zur Einsatzoptimierung von Landmaschinen |
JP2002186348A (ja) * | 2000-12-20 | 2002-07-02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穀物貯蔵施設への穀物運搬システム |
JP2004326169A (ja) | 2003-04-21 | 2004-11-18 | Iseki & Co Ltd | 作業支援システム |
KR100552630B1 (ko) * | 2004-01-30 | 2006-02-15 | 대한민국 |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 가능한 벼 수확량 계측방법 및 그장치 |
JP2006034232A (ja) * | 2004-07-29 | 2006-02-09 | Iseki & Co Ltd | 携帯電話によるグレンタンクの貯留表示装置 |
GB0504266D0 (en) * | 2005-03-02 | 2005-04-06 | Gossop John | Harvesting and threshing system |
JP2006254725A (ja) * | 2005-03-15 | 2006-09-28 | Yanmar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6254758A (ja) * | 2005-03-16 | 2006-09-28 | Yanmar Co Ltd | 農作物収穫処理システム |
JP2008228630A (ja) * | 2007-03-19 | 2008-10-02 | Yanmar Co Ltd | 収穫物管理システム |
US20090019826A1 (en) * | 2007-07-03 | 2009-01-22 | James Edward Rigney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lant materials for bio-fuel production |
JP2009044995A (ja) * | 2007-08-20 | 2009-03-05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コンバイン |
DE102008061252A1 (de) * | 2008-11-24 | 2010-05-27 |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der Automatisierung landwirtschaftlicher Leistungen |
BRPI1010018A2 (pt) | 2009-05-01 | 2016-04-12 | Nokia Corp | método e aparelho de coletar dados para análise agrícola |
US20100307120A1 (en) * | 2009-06-05 | 2010-12-09 | Stover Jimmy R | Harvester with heated duct |
EP2353353A1 (en) | 2010-02-05 | 2011-08-10 | Flander's Mechatronics Technology Centre v.z.w. | In use adaptation of schedule for multi-vehicle ground processing operations |
JP2012175920A (ja) * | 2011-02-25 | 2012-09-13 | Iseki & Co Ltd | 作物の優先収穫管理装置 |
CN102668899B (zh) | 2012-03-28 | 2015-02-25 | 北京师范大学 | 一种农作物种植模式识别方法 |
-
2013
- 2013-03-26 JP JP2013064835A patent/JP6059056B2/ja active Active
- 2013-09-09 CN CN201380073849.5A patent/CN105007716B/zh active Active
- 2013-09-09 KR KR1020157020540A patent/KR102174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9-09 EP EP13880570.0A patent/EP2979536A4/en not_active Ceased
- 2013-09-09 WO PCT/JP2013/074254 patent/WO201415577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9-09 US US14/779,386 patent/US1014313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4780A (ja) | 2004-09-29 | 2006-04-13 | Iseki & Co Ltd | 携帯電話を利用したコンバインの収穫状況表示装置 |
JP2006246845A (ja) * | 2005-03-14 | 2006-09-21 | Yanmar Co Ltd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79536A1 (en) | 2016-02-03 |
WO2014155771A1 (ja) | 2014-10-02 |
EP2979536A4 (en) | 2016-11-09 |
US20160057929A1 (en) | 2016-03-03 |
JP6059056B2 (ja) | 2017-01-11 |
CN105007716B (zh) | 2019-03-26 |
US10143134B2 (en) | 2018-12-04 |
KR20150133693A (ko) | 2015-11-30 |
JP2014187908A (ja) | 2014-10-06 |
CN105007716A (zh) | 2015-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4664B1 (ko) |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
US10685304B2 (en) | Agricultural work management system and agricultural crop harvester | |
JP6116173B2 (ja) | 農作管理システム | |
JP6735690B2 (ja) | 穀粒収穫機 | |
KR102214682B1 (ko) | 농작업기, 농작업 관리 방법,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 및 농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
JP598016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5070812A (ja) | 農作物情報管理システム | |
CN109068589A (zh) | 联合收割机 | |
JP2017102924A (ja) | 農作管理システム及び農作物収穫機 | |
KR20170129093A (ko) | 곡립 관리 시스템 및 콤바인 | |
JP6456344B2 (ja) | 農作物収穫機及びこの農作物収穫機に組み込まれる携帯通信端末のためのプログラム | |
CN104919971B (zh) | 收获机 | |
JP7101647B2 (ja) | 穀粒収穫機 | |
JP6320498B2 (ja) | 農作業機と農作業管理プログラム | |
JP6088880B2 (ja) | 穀粒収穫機 | |
JP2016173621A (ja) | 穀粒管理システム | |
JP2016063791A (ja) | 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