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68B1 - 철망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철망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68B1
KR102245268B1 KR1020190113039A KR20190113039A KR102245268B1 KR 102245268 B1 KR102245268 B1 KR 102245268B1 KR 1020190113039 A KR1020190113039 A KR 1020190113039A KR 20190113039 A KR20190113039 A KR 20190113039A KR 102245268 B1 KR102245268 B1 KR 10224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wire mesh
groove
pin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280A (ko
Inventor
변장호
Original Assignee
변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장호 filed Critical 변장호
Priority to KR102019011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하부 프레스; 및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프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스와 상부 프레스 사이에 철망 프레임을 배치한 상태에서 철망 프레임을 프레스하여 철망 프레임을 철망에 고정하기 위한 철망 프레스 장치로써, 철망 프레임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프레스 핀이 철망 프레임의 중앙을 가압하도록 하고, 철망의 크기에 따라 프레스 핀 간격을 고정할 수 있는 철망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망 프레스 장치{WIRE MESH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철망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망의 프레임을 프레스하여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는 철망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망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데 특히 농기계에 많이 사용된다.
농기계의 경우 기계 내부로 지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다양한 크기의 철망이 사용된다.
메쉬 형태의 철망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가장자리에 프레임을 고정하여야 한다.
철망과 프레임 모두 금속제이므로 용접 방식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용접 방식의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용접 외관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742호에는 철망성형용 프레스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울타리와 같은 철망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농기계에 사용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철망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742호, 철망성형용 프레스 장치, 등록일 : 2005.07.05 (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6144호, 지지대가 형성되는 용접철망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농기계용 철망을 성형할 수 있는 철망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하부 프레스; 및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프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스와 상부 프레스 사이에 철망 프레임을 배치한 상태에서 철망 프레임을 프레스하여 철망 프레임을 철망에 고정하기 위한 철망 프레스 장치로써, 상기 하부 프레스는,
다수의 하부 프레스 핀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하부판; 및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판의 상부에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판의 상부에는 상기 철망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정렬핀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형성된 제1 정렬홈 및 상기 제1 정렬홈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정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스는, 다수의 상부 프레스 핀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상부판; 및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판의 하부에서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탄성체가 배치된 제2 상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렬홈 및 제2 정렬홈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홈과 제2 제2 정렬홈 중 어느 하나에만 정렬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판은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하부에는 하부 프레스 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조절 홈의 간격 조절 블록이 제거되면,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은 프레스될 때 상기 간격 조절 홈으로 후퇴하여 상기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판은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스 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의 간격 조절 블록이 제거되면,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은 프레스될 때 상기 간격 조절 홈으로 후퇴하여 상기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스 핀과 상부 프레스핀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기계 등에 사용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철망을 쉽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하면, 철망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하나의 프레스 장치로 프레스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망 프레임의 폭이 달라지더라도 프레임의 정중을 프레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프레스핀의 위치를 달리하여 철망 프레임을 보다 더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철망 프레스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가 철망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가 철망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철망 프레스 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철망 프레스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철망 프레스 장치가 철망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가 철망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철망 프레스 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프레스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10) 상에 배치된 하부 프레스(100)와 상기 하부 프레스(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프레스(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10)에는 작업시 철망을 지지하는 지지대(12)가 돌출되어 부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0)는 하부 프레스(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지지대(12)를 철망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프레스(100)와 상부 프레스(200) 사이에 철망(20)과 철망 프레임(22)을 놓고 프레스하면 상부 프레스와 하부 프레스의 프레스 핀이 철망 프레임(22)을 가압하여 철망 프레임을 철망에 고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 프레스(100)는 다수의 하부 프레스 핀(112)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제1 하부판(110); 및 상기 하부 프레스 핀(112)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판(110)의 상부에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부판(120)을 포함한다. 프레스 장치에 프레스 판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되는 구조는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므로,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제1 관통공(122)은 하부 프레스 핀(11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하부 프레스 핀(11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스 핀(112)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판(110)은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11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111)의 하부에는 하부 프레스 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 조절 홈(113)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114)이 삽입될 수 있다.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는 프레스 핀의 간격을 넓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간격 조절 블럭(114)을 일정 간격으로, 예를 들어 두 개마다 하나씩, 제거하게 되면 프레스 되는 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블럭(114)을 제거하게 되면, 프레스 장치 동작시 프레스 핀(112)이 간격 조절 홈(113)으로 후퇴하면서 해당 부분은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압되는 부분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철망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프레스 간격을 좁게 하고 철망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프레스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판(120)의 상부에는 상기 철망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정렬핀(127)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형성된 제1 정렬홈(125) 및 상기 제1 정렬홈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정렬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정렬홈(125)과 제2 정렬홈(126)은 평행하게 형성되고, 작업시에는 제1 정렬홈(125)과 제2 정렬홈(126) 중 어느 한 라인에만 정렬핀이 결합된다. 도면에서 제1 정렬홈(125)과 제2 정렬홈(126)은 하나의 홈에만 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1 정렬홈(125)과 제2 정렬홈(126)은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의미한다. 도면에서는 정렬핀(127)이 양쪽 사이드에만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사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제1 정렬홈과 제2 정렬홈을 형성함으로써 철망 프레임의 크기가 달라져도 프레스 핀이 철망 프레임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정렬홈과 제2 정렬홈 2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3 정렬홈 및 제4 정렬홈을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스(200)는 앞서 살펴본 하부 프레스(100)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정렬 핀(127)이 관통하는 정렬핀 관통홀(2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부 프레스(200)는 다수의 상부 프레스 핀(212)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상부판(210) 및 상기 상부 프레스 핀(212)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판의 하부에서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탄성체가 배치된 제2 상부판(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판(210)의 상부에는 프레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판(210) 상기 상부 프레스 핀(212)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21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211)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스 핀(212)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213)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21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홈(213)의 간격 조절 블록이 제거되면,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은(212) 프레스될 때 상기 간격 조절 홈(213)으로 후퇴하여 상기 철망 프레임(22)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상부판(220)에는 정렬 핀(127)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렬핀 관통홈(22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스될 때에도 정렬 핀(127)이 돌출되어 있음에도 상부 프레스(200)가 정렬핀(127)을 관통하여 철망 프레임(22)을 관통할 수 있다.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는 프레스 핀의 간격을 넓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간격 조절 블럭(214)을 일정 간격으로, 예를 들어 두 개마다 하나씩, 제거하게 되면 프레스 되는 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블럭(214)을 제거하게 되면, 프레스 장치 동작시 프레스 핀(212)이 간격 조절 홈(213)으로 후퇴하면서 해당 부분은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철망 프레임에서 가압되는 부분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철망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프레스 간격을 좁게 하고 철망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프레스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망 프레임 프레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철망과 철망 프레임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망 프레임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프레임의 중앙을 정확히 프레스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조절 블럭의 착탈에 의해 프레스되는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간격 조절 블럭(114, 214)이 제거된 상태에서 프레스되었을 때를 나타낸 것인데,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스 핀(112) 및 상부 프레스 핀(212)이 각각 간격 조절 홈(113, 114)으로 후퇴하면서 철망 프레임(22)을 가압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철망 프레임(22)은 간격 조절 블럭이 제거되지 않은 프레스 핀에 대응하는 부분만 압착되어 압착부(23)가 형성되면서 철망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데, 하부 프레스 핀(112)과 상부 프레스 핀(212)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철망 프레임(22)을 기준으로 부 프레스 핀과 상부 프레스핀이 서로 대칭되어 동일한 위치를 가압하는데 반해,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철망 프레임(22)을 기준으로 상하부 프레스핀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서로 다른 곳을 가압하게 된다. 상하부 프레스핀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철망 프레임을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것인데, 도 5를 참조하면, 일정 각도로 벌어진 철망 프레임(22)을 정렬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철망을 넣고 프레스하게 되면 프레스 핀에 대응하는 위치가 압착되어 압착부(23)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부 프레스 110 : 제1 하부판
120 : 제2 하부판 125, 126 : 정렬홈
127 : 정렬핀 113, 213 : 간격 조절 홈
114, 214 : 간격 조절 블록 200 : 상부 프레스
210 : 제1 상부판 220 : 제2 상부판

Claims (6)

  1.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하부 프레스; 및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프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스와 상부 프레스 사이에 철망 프레임을 배치한 상태에서 철망 프레임을 프레스하여 철망 프레임을 철망에 고정하기 위한 철망 프레스 장치로써,
    상기 하부 프레스는,
    다수의 하부 프레스 핀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하부판; 및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판의 상부에서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판의 상부에는 상기 철망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정렬핀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일렬로 형성된 제1 정렬홈 및 상기 제1 정렬홈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정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스는,
    다수의 상부 프레스 핀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1 상부판; 및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부판의 하부에서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탄성체가 배치된 제2 상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홈 및 제2 정렬홈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홈과 제2 정렬홈 중 어느 하나에만 정렬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판은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하부에는 하부 프레스 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홈의 간격 조절 블록이 제거되면, 상기 하부 프레스 핀은 프레스될 때 상기 간격 조절 홈으로 후퇴하여 상기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판은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을 고정하는 고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스 핀의 길이와 동일한 깊이의 간격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에는 착탈 가능한 간격 조절 블럭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간격 조절 홈의 간격 조절 블록이 제거되면, 상기 상부 프레스 핀은 프레스될 때 상기 간격 조절 홈으로 후퇴하여 상기 철망 프레임을 가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스 핀과 상부 프레스핀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프레스 장치.
KR1020190113039A 2019-09-11 2019-09-11 철망 프레스 장치 KR10224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39A KR102245268B1 (ko) 2019-09-11 2019-09-11 철망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39A KR102245268B1 (ko) 2019-09-11 2019-09-11 철망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80A KR20210031280A (ko) 2021-03-19
KR102245268B1 true KR102245268B1 (ko) 2021-04-26

Family

ID=7526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39A KR102245268B1 (ko) 2019-09-11 2019-09-11 철망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2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349B1 (ko) 2003-10-08 2006-03-06 유재순 철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87057B1 (ko) 2018-12-24 2019-06-10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방충망과 그 방충망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방충망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998A (ja) * 1994-11-18 1996-06-04 Kokusai Electric Co Ltd 基板分割治具
JPH1110266A (ja) * 1997-06-26 1999-01-19 Unisia Jecs Corp 金網材料の縁取り部整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89742Y1 (ko) 2005-04-25 2005-07-18 문정의 철망성형용 프레스장치
KR101196144B1 (ko) 2009-11-16 2012-10-30 최두진 지지대가 형성되는 용접철망의 제조 장치
KR102259672B1 (ko) * 2018-10-08 2021-06-02 이한민 철망 고정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349B1 (ko) 2003-10-08 2006-03-06 유재순 철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87057B1 (ko) 2018-12-24 2019-06-10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방충망과 그 방충망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방충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80A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2087T2 (de) Verfahren zum Stanzen von Teilen von Riemen für stufenlos regelbares Getriebe
DE112011102050B4 (de) Herstellungsverfahren und Herstellungsvorrichtung für mit Nabe versehenes scheibenförmiges Bauteil
DE202011100429U1 (de) Scheibenwischerblattanordnung
DE102015120117A1 (de) Werkstückbefestigungsvorrichtung zum anpressen mehrerer stellen des werkstücks
KR20160069108A (ko)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지그장치
KR102245268B1 (ko) 철망 프레스 장치
DE102011056947A1 (de) Handwerkzeugrahmen
DE112021004047T5 (de) Stromsensor
EP2295162B1 (de) Werkzeuganordnung zum Umformen eines Wannenrandes an einem metallischen Wannenrohling
DE102004033103A1 (de) Material für einen Steckeranschluss, Steckeranschlus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eranschlusse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bstrats mit Stecker
DE10135523A1 (de) Presseneinrichtung zum Herstellen maßhaltiger Presslinge aus pulverförmigen Metall
EP1943923A3 (de) Möbelelement und Möbel
EP3331685B1 (de) Montagevorrichtung
JP2502814B2 (ja) プレス機械でプレス作業を行う方法及び装置
DE533663C (de) Blechreckmaschine
DE112015007004T5 (de) Fertigungsverfahren für eine halbleitervorrichtung
DE102009031051A1 (de) Crimpvorrichtung
CN206912614U (zh) 自动流水线
CN216706422U (zh) 一种火箱组件焊接设备
DE202019000901U1 (de) Bearbeitungseinheit für eine Vorrichtung zur Bearbeitung mindestens eines Werkstücks
DE60002412T2 (de) Niedrigprofilierte Buchsen hoher Dichte
DE102005006628A1 (de) Messplatte für eine Positionsmesseinrichtung
CN210476095U (zh) 一种用于链条装配的夹具
CN218856777U (zh) 一种塑胶件组装压合治具
KR101748965B1 (ko) 소재 절곡기의 상부금형본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