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52B1 -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52B1
KR102244252B1 KR1020200063834A KR20200063834A KR102244252B1 KR 102244252 B1 KR102244252 B1 KR 102244252B1 KR 1020200063834 A KR1020200063834 A KR 1020200063834A KR 20200063834 A KR20200063834 A KR 20200063834A KR 102244252 B1 KR102244252 B1 KR 10224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yarn
shaped
division
backbone
divided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김창식
서영주
박성빈
이경균
Original Assignee
지앤지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지텍(주) filed Critical 지앤지텍(주)
Priority to KR102020006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6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ufted pile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다기능 멀티 파일사;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가 결합되어 있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고정하는 백킹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단면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분할체들; 그리고 상기 분할체들에서 이웃한 분할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립;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립은 외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으며, 찢긴 상기 연결립에 의해 상기 분할체들은 벌어져 서로 지지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Multi-function multi pile yarn and artificial turf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 구조체는 천연잔디의 효과를 발휘하는 인조잔디 패드, 인조잔디 패드를 지지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인조잔디 패드에 포설된 충진재를 포함한다. 인조잔디 패드는 파일사, 파일사가 터프팅된 기포층 및 기포층에서 파일사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백킹층을 포함한다. 충진재는 규사, 고무칩 따위로 이루어져 파일사들의 사이에서 파일사를 지지하고 플레이어에게 완충력을 제공한다.
파일사는 플레이어 및 공(Ball)과의 직접 접촉이 가장 많고, 이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작용으로 플레이어 및 공(Ball)의 안전, 플레이성 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대부분의 인조잔디 제조과정에서는 단일 모양의 파일사로 방사되어지고, 이를 제직 또는 제편 공정을 통해 입모 시킨 후, 파일사를 기포지에 고정하기 위해 백코팅되어 인조잔디 매트로 제조되어진다.
여기에서 파일사는 소재, 두께, 단면형태에 따라서 플레이어 및 공과의 상호작용에서 각각의 장단점의 특징들이 있다.
그래서 서로 다른 특성의 각각의 파일사를 혼용하여 인조잔디를 제조한다면 각각의 단점이 보완되고, 장점들이 시너지를 발휘하게 되어 최적의 인조잔디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 두께, 단면형태를 다르게 하여 인조잔디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방사 공정에서 각각의 파일사를 방사하고, 이를 다시 별도의 공정을 거쳐 혼용시키고 제직/제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공정 비용도 상승하게 되고, 사용량에 따라서 재고관리의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이며, 이를 통해 천연잔디에 더 가까운 자연스러운 심미감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2366호 (2013.02.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3007호 (2011.12.29.)
본 발명은 다양한 단면을 가진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용이하게 인조잔디에 적용하여 경기력 향상과 천연잔디와 가까운 느낌을 제공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멀티 파일사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단면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분할체들; 그리고 이웃한 상기 분할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립;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립은 외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으며, 찢긴 상기 연결립에 의해 상기 분할체들은 벌어져 각각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립의 두께는 분할체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분할체와 상기 연결립의 두께비는 1: 0.01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은 6개이며, 제1 내지 제6 분할체의 단면 모양은 상기 가상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분할체끼리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체와 상기 제4 분할체의 단면의 모양은 둘레면이 곡면인 다이아몬드이고, 상기 제2 분할체와 상기 제5 분할체의 단면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분할체와 상기 제6 분할체의 단면의 모양은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및 제3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91 내지 93중량%, 안료 5 내지 7 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분할체, 제5 분할체 및 제6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80 내지 89중량%, HDPE 4 내지 11중량%, 안료 5 내지 7 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은 2 내지 12개일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의 횡단면 모양은 다이아몬드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C형, V형, W형, S형, X형, Y형, 1-백본(Backbone)형, 2-백본형, 3-백본형 및 중공형 중 2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백본형은, 기설정된 폭을 가지며 양단에서 폭의 중심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며 둘레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백본형 분할체 본체; 그리고 상기 백본형 분할체 본체의 폭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백본형 분할체 본체의 중심을 지지하는 백본형 직립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본형 직립보강바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Y형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2개는 길이가 갖고 1개는 길이가 다른 제1 내지 제3 가지로 이루어진 Y형 분할체 본체;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고 있으며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가지의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Y형 직립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와 상기 제2 가지는 이웃한 분할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가지의 길이는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지와 상기 제2 가지의 길이에 2 내지 2.5배일 수 있다.
상기 X형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가 같은 제1 내지 제4 가지로 이루어진 X형 분할체 본체; 상기 제1 및 제2 가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제3 및 제4 가지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1 보강바; 및 상기 제2 및 제3 가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제1 및 제4 가지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2 보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형 제1 보강바의 돌출은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X형 제2 보강바의 돌출 길이보다 길고, 상기 X형 제1 보강바의 돌출 길이는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지의 돌출길이 1/3일 수 있다.
상기 다이아몬드형은 기설정된 길이와 상기 길이보다 짧은 폭을 가지며, 상기 폭과 상기 길이의 비는 1: 3.2 내지 5.2이고 각 모서리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의 외부 표면에 그루브(Groov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분할체들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할체들의 횡단면의 단면적은 같을 수 있다.
상기 분할체의 외곽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지름은 1.0mm 내지 8.0mm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다기능 멀티 파일사;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가 결합되어 있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고정하는 백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사이에 충진된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분할체들이 외력에 의해 분할되어져 플레이어와 공(Ball)과의 상호 작용을 특성에 맞게 각각 제어하게 된다. 이를테면, 다기능 멀티 파일사들의 직립적 특성에 따라 플레이어의 피부 마찰을 완화시키면서 동시에 공의 구름성은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충전재의 유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플레이성 향상뿐만 아니라 충진재 유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분할체들이 각각 다른 단면 형태로 이루어져 천연 잔디에 가까운 자연미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공정에 있어서 공정 추가가 없게 되고, 불필요한 파일사 재고를 피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할체들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할체들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의 분할체들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2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2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8의 분할체들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멀티 파일사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가 적용된 인조잔디 구조체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할체들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다른 분할체들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의 분할체들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30), 기포층(10) 및 백킹층(20)을 포함하며 다양한 단면을 가진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용이하게 인조잔디에 적용하여 경기력 향상과 천연잔디와 가까운 느낌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기포층(10)은 인조잔디 구조체(1)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으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한다. 기포층(10)은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포층(10)은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는 스펀본드, 멜트브라운, 니들펀칭 방식 또는 수분사교락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층(1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포층(10)에 다기능 멀티 파일사(30)가 터프팅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의 일단은 기포층(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의 타단은 기포층(10)의 타면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면 [도 1]에서 기포층(10)에 1개의 다기능 멀티 파일사(30)가 터프팅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를 복수로 이루어져 기포층(10)에 터프팅될 수 있다. 또한 권축되어진 파일사들과 기포층에(10)에 터프팅될 수 있다.
백킹층(20)은 기포층(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기능 멀티 파일사(30)가 기포층(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백킹층(20)은 부직포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백킹층(20)은 기포층(10)의 타면에서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백킹층(20)은 실리콘 따위가 기포층(10)의 타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는 분할체들(31a ~ 31o), 그리고 연결립(32)을 포함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분할체들은 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의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분할체들(31a ~ 31o)의 배열 개수는 12개이다. 그러나 분할체들의 배열 개수는 도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할체들의 배열 개수는 2개일 수도 있다. 분할체들(31a ~ 31o)의 배열 순서와 단면 모양은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분할체들의 횡단면 모양은 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형(31a), 원형(31b), 타원형(31c), 삼각형(31d), 사각형(31e), C형(31f), V형(31g), W형(31h), S형(31i), 1-백본(Backbone)형(31j), 2-백본형(31k), 3-백본형(31i), X형(31m), Y형(31n) 및 중공형(31o) 중 2가지 이상을 포함한다. 분할체들(31a ~ 31o)은 각 단면 모양에 따라 각각의 특성을 발휘한다.
다이아몬드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a)는 기설정된 길이(L1)와 길이보다 짧은 폭(W1)을 가지며, 폭(W1)과 길이(L1)의 비는 1: 3.2 내지 5.2이고 각 모서리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폭(W1)과 길이(L1)의 비가 1: 3.2 미만인 경우 부드러움이 저하되며 폭(W1)과 길이(L1)의 비는 1: 5.2를 초과할 경우 직립성과 더불어 형태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다이아몬드형 분할체(31a)는 안정적인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백본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j)는 기설정된 폭(W2)을 가지며 양단(E)에서 폭의 중심(C2)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며 둘레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백본형 분할체 본체(311); 그리고 백본형 분할체 본체(311)의 폭의 중심(C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백본형 분할체 본체(311)의 중심을 지지하는 백본형 직립보강바(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백본형 직립보강바(312)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X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n)는 가상의 중심(C3)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가상의 중심(C3)을 기준으로 길이가 같은 제1 내지 제4 가지(411a, 411b, 411c, 411d)로 이루어진 X형 분할체 본체(411); 제1 및 제2 가지(411a, 411b)의 연결 지점과 제3 및 제4 가지(411c, 411d)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1 보강바(412a); 및 제2 및 제3 가지(411b, 411c)의 연결 지점과 제1 및 제4 가지(411a, 411d)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2 보강바(412b)를 포함한다.
X형 제1 보강바(412a)의 돌출은 가상의 중심(C3)을 기준으로 X형 제2 보강바(412b)의 돌출 길이보다 길고, X형 제1 보강바(412a)의 돌출 길이(L2)는 가상의 중심(C3)을 기준으로 제1 가지(411a)의 돌출 길이(L3) 1/3인일 수 있다.
X형 제1 보강바(412a)와 X형 제2 보강바(412b)가 제1 내지 제4 가지(411a, 411b, 411c, 411d)의 연결 지점을 보강하게 되면서 제1 내지 제4 가지(411a, 411b, 411c, 411d)의 연결 지점이 접히지 않는다. 그리고 가지들끼리 서로 붙지 않는다.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Y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m)는 가상의 중심(C4)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가상의 중심(C4)을 기준으로 2개는 길이가 갖고 1개는 길이가 다른 제1 내지 제3 가지(413a, 413b, 413c)로 이루어진 Y형 분할체 본체(413), 그리고 제1 내지 제3 가지(413a, 413b, 413c)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고 있으면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가지(413a, 413b, 413c)의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Y형 직립보강바(414)를 포함한다.
제1 가지(413a)와 제2 가지(413b)는 이웃한 분할체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가지의 길이(L4)는 가상의 중심(C4)을 기준으로 제1 가지(413a)와 제2 가지(413b)의 길이에 2 내지 2.5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Y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m)는 형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할체들(31a ~ 31o)의 외부 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그루브(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는 분할체들(31a ~ 31o)의 폭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루브의 깊이는 분할체들(31a ~ 31o)의 두께보다 작다. 그루브 형성으로 분할체들(31a ~ 31o)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분할체들(31a ~ 31o)의 구부러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w형 단면 모양의 분할체(31h)는 빛에 대한 반사율을 가장 낮다. 이에 천연 잔디와 가까운 색상 발현하며, 내열성이 뛰어나다.
또한, 1-백본형 분할체(31j), 2-백본형 분할체(31k), 3-백본형 분할체(31l)와 같이 외부 둘레에 구형의 돌기가 분할체를 보강하게 되면서 내구성이 뛰어나 이동이 많은 곳에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더욱이 돌기가 보강하게 되면서 1-백본형 분할체(31j), 2-백본형 분할체(31k), 3-백본형 분할체(31l)는 직립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은 분할체들(31a ~ 31o)의 폭, 두께 등은 직립성과 소프트성, 탄성회복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 설계한다.
분할체들(31a ~ 31o)은 그 단면 모양에서 외부 둘레면이 매끄럽게 형성된 것은 실제 잔디와 유사하게 보이는 특성이 있고, 외부 둘레면에 볼록한 돌기가 형성된 것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직립성이 상승하는 특성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그루브, 돌기 따위가 형성된 경우 빛에 대한 반사율의 낮고 내열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으며, 외부 둘레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내구성 및 심미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그리고 V형, C형 및 W형 분할체는 유연성과 내구성을 모두 개선된 특성이 있고, S형은 직립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분할체들(31a ~ 31o)의 개수 및 모양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하지 않는다. 분할체들(31a ~ 31o)의 개수와 모양은 인조잔디 구조체(1)의 설계 및 시공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분할체(31a ~ 31o)의 외곽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지름(R1)은 1.0mm 내지 8.0mm일 수 있다. 지름이 1.0mm 미만인 경우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분할 없이 합쳐질 수 있으며 8.0mm초과하는 경우 연신시 단사되어질 수 있다.
연결립(32)은 이웃한 분할체를 연결하고 있다.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연결립(32)은 손상되어 찢어질 수 있다. 이에 연결립(32)의 손상이 용이하도록 연결립(32)의 외부면과 내부면의 사이 두께(T2)는 연결하고 있는 분할체(31a ~ 31o)들의 외부면과 내부면의 사이 두께(T1) 보다 얇다. 예컨대 분할체(31a ~ 31o)와 연결립(32)의 두께비는 1 : 0.01 내지 0.2일 수 있다. 두께비가 1 : 0.2를 초과하는 경우 연결립(32)이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아 이웃한 분할체(31a ~ 31o)가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두께비가 1 : 0.01일 경우 방사공정에서 분할되어 연신시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연결립(32)의 찢어짐으로 이웃한 분할체는 끊어지고 분할체(31a ~ 31o)들은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의 중심(C)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는 권축율을 갖는 크림프사와 함께 기포층(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의 직립성은 더욱 향상되면 플레이어에게 보다 우수하고 안정적인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충진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40)는 이웃한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들의 사이에 포설되어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지지하며, 플레이어에게 완충력을 제공한다. 충진재(40)는 규사, 천연 및 합성 충전재 들을 포함하며, 규사, 천연, 합성 충전재 등이 혼합되어 기포층(10)의 위에서 하나의 층을 이루고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포층(10)에 터프팅되어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30)는 연결립(32)에 의해 분할체들(31a ~ 31o)은 도면 [도 1]의 a)와 같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인조잔디 구조체(1)를 스포츠 구장에 시공 후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의 직립성, 평탄화 작업 등의 목적으로 브러쉬롤러가 장착된 브러쉬카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구조체(1)를 브러쉬질을 한다. 이때 브러쉬롤러가 다기능 멀티 파일사(3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서 연결립(32)이 손상되어 찢어진다. 연결립(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던 이웃한 분할체(31a ~ 31o)들은 도면 [도 1]의 b)에서와 같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 분할체들은 직립도가 높아 공의 구름성을 유지시키는 공과의 상호작용을 형성시키고, 폭이 넓어지고, 두께가 얇아지는 직사각형 단면 분할체들은 외부 압력에 의해 자연적인 컬(Curl)현상으로 인해 다기능 멀티 파일사 사이에 있는 충진재들을 물리적으로 유동성을 차단시켜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한다.
그리고, 직립도가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인 분할체들은 상기의 2가지 기능을 보조한다. 또한, 공압출을 통해 일부 분할체는 부드러우면서 탄성회복성을 강화시키는 원부원료를 적용하고, 또 다른 일부는 직립성을 강화시키는 원부원료 조합으로 적용시켜 각각의 분할체들의 기능성 향상을 보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멀티 파일사(30b)는 가상의 중심(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분할체는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분할체(81a)와 제4 분할체(81d)는 둘레면이 곡면인 다이아몬드 모양, 제2 분할체(81b)와 제5 분할체(81e)는 둘레면에 돌기가 있는 타원형 모양, 제3 분할체(81c)와 제6 분할체(81f)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내지 제 6 분할체(81a ~ 81f)의 외부 둘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는 분할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돌기에 의해 빛이 산란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분할체들의 두께, 폭 등은 인조잔디 구조체가 시공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외부 둘레면이 각이진 제1, 3, 4, 6 분할체(81a, 81c, 81d, 81f)는 직립성이 향상되며, 외부 둘레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2 및 제5 분할체(81b, 81e)는 부드러우면서 제1, 3, 4, 6 분할체(81a, 81c, 81d, 81f)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및 제3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91 내지 93중량%, 안료 5 내지 7 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를 포함한다.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및 제3 분할체는 바람직하게는, LLDPE 공중합체 92중량%, 안료 6중량% 및 첨가제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분할체, 제5 분할체 및 제6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80 내지 89 중량%, HDPE 4 내지 11중량%, 안료 5 내지 7 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분할체, 제5 분할체 및 제6 분할체는 바람직하게 LLDPE 공중합체 85중량%, HDPE 7중량%, 안료 6중량% 및 첨가제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는 다르게 에틸렌을 탄소수가 4, 6, 8개인 뷰텐, 헥센, 옥텐 같은 올레핀 (Olefin) 분자와 공중합(Colpolymerizaion)으로 얻어진다. 이때, 에틸렌 대비 뷰텐, 헥센, 옥텐 같은 분자의 함량은 1 내지 4% 정도이다. 그리고 뷰텐, 헥센, 옥텐 같은 올레핀 분자들은 에틸렌보다 분자량이 2 내지 4배 크기 때문에 선형 구조를 얻기 쉽다. LLDPE는 밀도가 높고 물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높은 인장강도와 우수한 충격 저항성 덕분에 더 얇은 필름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6 분할체는 얇게 형성하면서 형태 안정성과 더불이 직립성이 향상되어 플레이어에게 안정적인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향상되어 플레이어의 이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분할체(81a ~ 81f)의 모양은 인조잔디 구조체가 시공되는 장소,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인조잔디 구조체 10: 기포층
20: 백킹층 30, 30b: 다기능 멀티 파일사
31a ~ 31o, 81a ~ 81f: 제6 분할체 32: 연결립

Claims (20)

  1.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단면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분할체들, 그리고
    이웃한 상기 분할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립
    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체들은 6개이며, 제1 내지 제6 분할체의 단면 모양은 상기 가상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분할체끼리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분할체와 제4 분할체의 단면 모양은 둘레면이 곡면인 다이아몬드이고, 제2 분할체와 제5 분할체의 단면 모양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3 분할체와 제6 분할체의 단면 모양은 사각형이며,
    상기 연결립은 외력에 의해 찢어질 수 있으며, 찢긴 상기 연결립에 의해 상기 분할체들은 벌어져 각각의 특성을 발휘하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립의 두께는 분할체의 두께 보다 얇은 다기능 멀티 파일사.
  3. 제2항에서,
    상기 분할체와 상기 연결립의 두께비는 1: 0.01 내지 0.2인 다기능 멀티 파일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및 제3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91 내지 93중량%,
    안료 5 내지 7 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
    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분할체, 제5 분할체 및 제6 분할체는 각각
    LLDPE 공중합체 80 내지 89 중량%,
    HDPE 4 내지 11중량%,
    안료 5 내지 7중량% 및
    첨가제 1 내지 3중량%
    를 포함하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7. 삭제
  8.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단면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분할체들, 그리고
    이웃한 상기 분할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립
    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체들의 횡단면 모양은 X형과, 다이아몬드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C형, V형, W형, S형, Y형, 1-백본(Backbone)형, 2-백본형, 3-백본형 및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 1가지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X형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길이가 같은 제1 내지 제4 가지로 이루어진 X형 분할체 본체,
    상기 제1 및 제2 가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제3 및 제4 가지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1 보강바 및
    상기 제2 및 제3 가지의 연결 지점과 상기 제1 및 제4 가지의 연결 지점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X형 제2 보강바
    를 포함하며,
    상기 X형 제1 보강바의 돌출은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X형 제2 보강바의 돌출 길이보다 길고, 상기 X형 제1 보강바의 돌출 길이는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지의 돌출길이 1/3인
    다기능 멀티 파일사.
  9. 제8항에서,
    상기 1-백본형은,
    기설정된 폭을 가지며 양단에서 폭의 중심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며 둘레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백본형 분할체 본체; 그리고
    상기 백본형 분할체 본체의 폭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백본형 분할체 본체의 중심을 지지하는 백본형 직립보강바;
    를 포함하며,
    상기 백본형 직립보강바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10. 제8항에서,
    상기 Y형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2개는 길이가 갖고 1개는 길이가 다른 제1 내지 제3 가지로 이루어진 Y형 분할체 본체;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지의 연결 부분을 보강하고 있으며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가지의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Y형 직립보강바;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지와 상기 제2 가지는 이웃한 분할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가지의 길이는 상기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지와 상기 제2 가지의 길이에 2 내지 2.5배인
    다기능 멀티 파일사.
  11. 삭제
  12. 제8항에서,
    상기 다이아몬드형은 기설정된 길이와 상기 길이보다 짧은 폭을 가지며, 상기 폭과 상기 길이의 비는 1: 3.2 내지 5.2이고 각 모서리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13. 제8항에서,
    상기 분할체들의 외부 표면에 그루브(Groove)가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14. 제13항에서,
    상기 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분할체들의 두께보다 작은 다기능 멀티 파일사.
  15. 제1항에서,
    상기 분할체들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16. 삭제
  17. 제1항에서,
    상기 분할체의 외곽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지름은 1.0mm 내지 8.0mm인 다기능 멀티 파일사.
  18. 삭제
  19. 제1항 또는 제8항에 정의되어 있는 다기능 멀티 파일사;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가 결합되어 있는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과 결합되어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를 고정하는 백킹층;
    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20. 제19항에서,
    상기 다기능 멀티 파일사의 사이에 충진된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00063834A 2020-05-27 2020-05-27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4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34A KR102244252B1 (ko) 2020-05-27 2020-05-27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34A KR102244252B1 (ko) 2020-05-27 2020-05-27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252B1 true KR102244252B1 (ko) 2021-04-27

Family

ID=7572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34A KR102244252B1 (ko) 2020-05-27 2020-05-27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2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411Y1 (ko) * 2006-06-22 2006-09-19 백점숙 축구장용 인조잔디
KR20080032967A (ko) * 2006-10-12 2008-04-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이형단면사를 이용한 인조잔디
KR20090041783A (ko) * 2007-10-24 2009-04-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용 이형단면 방사구금 및 이를 포함하는방사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
KR101103007B1 (ko) 2008-12-23 2012-01-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인조잔디 원사 및 인조잔디 구조체
KR20120082118A (ko) * 2011-01-13 2012-07-23 (주)대원그린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411Y1 (ko) * 2006-06-22 2006-09-19 백점숙 축구장용 인조잔디
KR20080032967A (ko) * 2006-10-12 2008-04-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이형단면사를 이용한 인조잔디
KR20090041783A (ko) * 2007-10-24 2009-04-2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용 이형단면 방사구금 및 이를 포함하는방사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사
KR101103007B1 (ko) 2008-12-23 2012-01-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인조잔디 원사 및 인조잔디 구조체
KR20120082118A (ko) * 2011-01-13 2012-07-23 (주)대원그린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KR101232366B1 (ko) 2011-01-13 2013-02-12 (주)대원그린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3188C (en) Synthetic turf system having an infill trapping structure
US6491991B2 (en) Artificial turf system
AU2003238715B2 (en) Yarn for an artificial turf ground cover, artificial turf ground cover and playing field including such a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yarn
KR101036534B1 (ko) 합성 잔디
AU2001238195A1 (en) Artificial turf system
KR102019094B1 (ko) 인조잔디매트 시스템
KR102244252B1 (ko)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59269B1 (ko) 단면 모양이 다른 파일사들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
KR102514267B1 (ko) 분열 억제 섬유
KR102373501B1 (ko) 합성 섬유 및 이러한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잔디밭
WO2021214229A1 (en) Artificial turf
JP3153760B2 (ja) 人工芝生用パイル糸
KR10234053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KR102650931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루프형 인조잔디 구조체
KR102487027B1 (ko) 식모 인조잔디
NL2028688B1 (en) Sports Surface with a Pile Layer Comprising Loops
US20210189662A1 (en) Artifical grass
JP2024524551A (ja) スポーツ表面、その使用、及びその製造方法
PL379092A1 (pl) Przędza do pokrycia gruntu sztuczną murawą pokrycie gruntu sztuczną murawą i pole do gier zawierające taką przędzę oraz sposób wytwarzania takiej przędz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