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366B1 -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366B1
KR101232366B1 KR1020110003438A KR20110003438A KR101232366B1 KR 101232366 B1 KR101232366 B1 KR 101232366B1 KR 1020110003438 A KR1020110003438 A KR 1020110003438A KR 20110003438 A KR20110003438 A KR 20110003438A KR 101232366 B1 KR101232366 B1 KR 10123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pile
artificial turf
inclination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118A (ko
Inventor
김춘덕
Original Assignee
(주)대원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그린 filed Critical (주)대원그린
Priority to KR102011000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3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12Woven pile fabrics wherein pile tufts are inserted during weaving
    • D03D27/16Woven pile fabrics wherein pile tufts are inserted during weaving with tufts around wef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경사(61)와 제2경사(62)를 직선 형태로 적층 배열하고, 이의 상·하부에 다수의 위사(71,72)를 배치하되,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마다 1올의 상부 위사(72)가 부상되도록 하는 제1단계;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에서 1올의 상부 위사(72)를 경유하도록 제3경사(63)와 제4경사(64)를 연속되게 교차 배치하여 바탕직물(21)을 직조하는 제2단계;
하부 위사(71)의 2올 중 선단부에 위치되는 하부 위사 1올을 기점으로 이의 상측에 위치된 상부 위사(72) 1올을 경유한 다음, 또 하나의 하부 위사 1올을 경유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 파일(26a,26b)을 배치 결속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위사(72,71)에 인조잔디 파일(26a,26b)을 상하 굴곡된 고리 모양의 루프 형태로 결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lawn mat}
본 발명은 인조잔디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인조잔디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바탕직물을 형성하고, 이러한 바탕직물의 위사에 인조잔디 파일을 교착상태로 기모하여 인조잔디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을 막대형과 원통형으로 구분 구성하되, 이러한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은 그 내부가 중공이 되도록 형성하여 바탕직물의 상·하부 위사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일정량의 수분이 저장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골프장을 포함한 각종 구기종목 스포츠 중 대부분은 잔디구장에서 경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잔디구장에는 일반적으로 천연잔디와 인조잔디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천연잔디는 자연친화적이고 접촉감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지반침하 등에 취약하여 평탄면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으며, 잔디가 식재된 부분의 지반이 쉽게 파이게 되는 등 관리보호에 어려움이 있어 근래에는 인조잔디의 사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예컨대, 하키장에서는 국제 경기 규칙상 경기구의 롤링(Ball Rolling)시 구름성이 형성되며 경기구가 튀어 오르지 않아야 하는바, 천연잔디 구장의 경우 인조잔디 대비 잔디의 높이(Pile Height)의 균제도(Eveness)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경기하는데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인조잔디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인조잔디는 PP(폴리프로필렌) 내지 PE(폴리에틸렌) 등을 소재로 하여 정형화된 형태의 파일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재는 비중이 물보다 가벼우면서 소수성의 특성을 가짐에 따라 함수율이 낮고, SS-Curve상 초기탄성율(Initial Modulus)이 타 파일소재에 비해 높아 거친(Harsh)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선수가 넘어졌을 경우, 거친 표면에 의한 마찰로 인한 화상 및 찰과상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인조잔디 경기장에는 경기전 및 경기 중에도 수회 다량의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잔디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정전기 방지 및 마찰에 의한 선수의 부상방지를 도모하고 있으나, 분사된 다량의 수분은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증발되는바, 이는 필드에서 선수들이 넘어지거나 슬라이딩시 마찰에 의한 큰 부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어 궁극적인 해결책으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분율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압력에 대응하는 우수한 두께 감소율 및 회복율을 가지는 인조잔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분을 내장할 수 있는 구조의 인조잔디 파일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시킨 바탕직물의 위사에 루프 형태가 되도록 결속시킴으로써, 안정성과 함께 자체 내구성이 향상되는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려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단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1경사와 제2경사를 직선 형태로 적층 배열하고, 이의 상·하부에 다수의 위사를 배치하되, 2올의 하부 위사 사이마다 1올의 상부 위사가 부상되도록 하는 제1단계; 2올의 하부 위사 사이에서 1올의 상부 위사를 경유하도록 제3경사와 제4경사를 연속되게 교차 배치하여 바탕직물을 직조하는 제2단계; 하부 위사의 2올 중 선단부에 위치되는 하부 위사 1올을 기점으로 이의 상측에 위치된 상부 위사 1올을 경유한 다음, 또 하나의 하부 위사 1올을 경유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 파일을 배치 결속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위사에 인조잔디 파일을 상하 굴곡된 고리 모양의 루프 형태로 결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인조잔디 파일은 막대형과 원통형으로 구분하여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인조잔디 파일의 내측 공간은 중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막대형 및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을 혼합 배치시켜 바탕직물의 상·하부 위사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에 수분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은 그 단부를 확공시켜 깔대기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원단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조잔디 파일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상·하부 위사에 교착되어 굴곡된 고리 모양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인조잔디 파일이 바탕직물의 상·하부 위사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긴밀한 결속력을 유지하게 되어 인조잔디 원단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을 통해 다량의 수분이 내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조잔디매트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제공하여 슬라이딩 혹은 기타 행위에 의해 잔디와 마찰할 경우에도 자체 함유된 수분에 의해 화상 및 찰과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조잔디 파일을 원통형과 막대형으로 구분하여 이들을 적정 비율이 되게 혼용 배치함으로써, 과다하거나 부족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적정량의 수분을 유지되게 하여 사용상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은 물론, 이러한 수분으로 인해 인조잔디 소재에 함유되어 있는 유성분의 휘발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여름철 직사광선에 의한 잔디의 마모율을 현저히 저하시켜 인조잔디의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원단을 구성하는 바탕직물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탕직물에 인조잔디 파일이 기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원통형 인조잔디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인조잔디매트 사시도.
본 발명은 각종 구기 종목, 예컨대 풋살장 내지 하키장 등에 시설되는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원단을 구성하는 바탕직물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탕직물에 인조잔디 파일이 기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원통형 인조잔디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인조잔디매트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 개요를 단계별로 기술하면서 그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매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와 위사로 직조시킨 바탕직물(21)에 인조잔디 파일(26)을 기모하여 인조잔디 원단(20)이 형성되고, 이러한 원단에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바닥재(30)를 부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제1단계]
도 1을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에서는 제1경사(61)와 제2경사(62)를 직선 형태로 적층 배열하고, 이의 상·하부에 다수의 위사(71,72)를 배치하되,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마다 1올의 상부 위사(72)가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하부 위사(71) 2올과 이들의 중앙 영역 상측에 위치된 상부 위사(72) 1올이 한 조를 이루고, 이러한 한 조의 위사들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 배치하게 된다.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는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에서 1올의 상부 위사(72)를 경유하도록 제3경사(63)와 제4경사(64)를 연속되게 교차 배치하여 바탕직물(21)을 직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에서 상부 위사(72) 1올과 하부 위사(71) 2올로 이루어진 한 조의 위사마다 제3경사(63)와 제4경사(64)가 번갈아가면서 이들에 결속되고, 그 방식은 최초 제3경사(63)를 하부 위사(71); 상부 위사(72); 하부 위사(71);의 순으로 경유시켜 이웃하는 또 다른 하부 위사 2올을 포함하지 않도록 직선 형태로 진행되게 한 다음, 후속 배치된 한 조의 위사에 결속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한편, 제4경사(64)는 제3경사(63)에 포함되지 않은 한 조의 위사에 제3경사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속되게 함으로써, 각각 한 조로 이루어진 상·하부 위사(72,71)마다 제3경사(63) 또는 제4경사(64)가 선택 결속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단계]
도 2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에서는 하부 위사(71)의 2올 중 선단부에 위치되는 하부 위사 1올을 기점으로 이의 상측에 위치된 상부 위사(72) 1올을 경유한 다음, 또 하나의 하부 위사 1올을 경유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 파일(26)을 배치 결속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인조잔디 파일(26)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킨 상부(72) 및 하부 위사(71)에서 상하 굴곡된 고리 모양의 루프 형태로 결속하게 되는바, "
Figure 112011002831594-pat00001
" 형상으로 결속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단계에서의 인조잔디 파일(26)은 막대형(26b)과 원통형(26a)으로 구분하여 형성되고(도 2의 상세도시 참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인조잔디 파일(26a)의 내측 공간은 중공부(26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3은 원통형의 인조잔디 파일(26a)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80)이다. 상기 성형틀(80)은 외통(81)과 내통(82)으로 구분 구성될 수 있으며, 외통(81)의 내부 중앙 영역에 내통(82)을 구비하여 상기 내통과 외통의 사이 간극이 제공하는 공간으로 중공부의 원통형 인조잔디 파일(26a)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내통(82)을 외통(81) 내부에서 고정 배치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이음부(83)를 더 마련하였으며, 상기 파일(26a)이 이러한 이음부(83)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절개 형성되지만, 파일 재질의 특성상 융점에 의해 절개된 양쪽 단면은 자체적으로 붙게 되어 완전한 원통형의 파일(26a)로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형틀(80)의 배출구를 소폭 확장 형성함으로써,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인조잔디 파일(26a)의 단부가 깔대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수분 저장에 더욱 유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인조잔디 파일은 통상의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바, 이는 플라스틱 성형가공법 중 범용으로 활용되는 공지의 기술로서 인조잔디 파일의 소재가 되는 분말상의 플라스틱 재료를 가열실린더 속에서 가열함에 따라 해당 플라스틱 소재를 연화 융해시켜 용융 상태로 형성하고, 이러한 용융액을 연속되게 상기 성형틀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틀 내부로 플라스틱 용융액을 공급함에 있어서는 내통과 외통의 사이 공간에 진입된 용융액이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혼련과 압축을 받으면서 성형틀 선단부로 수송되고, 이후 성형틀의 선단부로부터 외부에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별도의 냉각수조를 통과하면서 하나의 제품으로 성형된다. 한편, 주지한 바와 같이 압출 진행되던 용융액은 외통 내부에서 내통을 고정 위치되게 하기 위한 이음부에 의해 그 해당 공간만큼 일시적으로 분할되지만 이음부를 벗어나면서 각각의 절단면이 서로 붙게 되므로 하나의 원통형 단면을 가진 인조잔디 파일(도 3의 점선 부분)로 성형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인조잔디 파일(26)은 예컨대, 원통형 2올과 막대형 4~6올을 마련하여 이들을 일괄적으로 바탕직물(21)의 상·하부 위사(72,71)에 전술한 방식에 따라 결속되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원통형과 막대형을 혼합 배치하여 한 번에 6~8올의 인조잔디 파일(26a,26b)을 바탕직물(21)에 공급되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결속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는 제3경사(63)와 제4경사(64)가 교차되어 바탕 직물(21)을 구성하게 되는바, 제1,2경사(61,62)와 더불어 제3경사(63) 및 제4경사(64)가 조성되어 위사의 2올(71)은 하부에 놓여지고, 1올(72)은 상부에 놓여져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이에 인조잔디 파일이 "
Figure 112011002831594-pat00002
" 형태로 결속됨에 따라 바탕직물(21)로부터 상기 인조잔디 파일이 쉽게 빠지지 않는 긴밀한 교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인조잔디 파일과 교착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위사의 교착 높이가 적어도 2배 정도의 편차가 생기면서 굴곡된 고리모양의 루프가 형성되어 인조잔디 파일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인조잔디매트 20: 인조잔디 원단
21: 바탕직물 26: 인조잔디 파일
26a: 원통형 인조잔디 파일 26a': 중공부
26b: 막대형 인조잔디 파일 30: 바닥재
61: 제1경사 62: 제2경사
63: 제3경사 64: 제4경사
71: 하부 위사 72: 상부 위사
80: 성형틀 81: 외통
82: 내통 83: 이음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제1경사(61)와 제2경사(62)를 직선 형태로 적층 배열하고, 이의 상·하부에 다수의 위사(71,72)를 배치하되,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마다 1올의 상부 위사(72)가 부상되도록 하는 제1단계; 2올의 하부 위사(71) 사이에서 1올의 상부 위사(72)를 경유하도록 제3경사(63)와 제4경사(64)를 연속되게 교차 배치하여 바탕직물(21)을 직조하는 제2단계; 하부 위사(71)의 2올 중 선단부에 위치되는 하부 위사 1올을 기점으로 이의 상측에 위치된 상부 위사(72) 1올을 경유한 다음, 또 하나의 하부 위사 1올을 경유할 수 있도록 인조잔디 파일(26a,26b)을 배치 결속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위사(72,71)에 인조잔디 파일(26a,26b)을 상하 굴곡된 고리 모양의 루프 형태로 결속하게 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의 인조잔디 파일은 파일을 이루는 섬유의 단면을 막대형(26b)과 원통형(26a)이 되도록 구분 형성하되, 섬유의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인조잔디 파일(26a)의 내측 공간은 중공부(26a')로 형성하고, 막대형 및 원통형으로 섬유 단면이 이루어진 인조잔디 파일을 혼합 배치시켜 바탕직물의 상·하부 위사(72,71)에 결속되게 하는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에 있어서,
    외통(81)과 내통(82)으로 구분 구성된 성형틀(80)을 더 구비하고, 내통(82)은 외통(81)의 내부 중앙 영역에서 이음부(83)에 의해 위치 고정됨에 따라 상기 내통과 외통의 사이 공간으로 간극이 마련되어 해당 간극으로 플라스틱 용융액을 주입함으로써 원통형 단면을 가진 인조잔디 파일(26a)에 중공부(26a')가 형성되게 하되, 용융액이 배출되는 성형틀(80)의 배출 영역을 확장 형성함으로써 인조잔디 파일(26a) 단부를 확공시켜 깔대기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KR1020110003438A 2011-01-13 2011-01-13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KR10123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38A KR101232366B1 (ko) 2011-01-13 2011-01-13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438A KR101232366B1 (ko) 2011-01-13 2011-01-13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18A KR20120082118A (ko) 2012-07-23
KR101232366B1 true KR101232366B1 (ko) 2013-02-12

Family

ID=4671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438A KR101232366B1 (ko) 2011-01-13 2011-01-13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896B1 (ko) * 2019-05-30 2019-10-21 주식회사 거평산업 인조잔디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44252B1 (ko) 2020-05-27 2021-04-27 지앤지텍(주)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59269B1 (ko) 2020-10-30 2021-06-02 지앤지텍(주) 단면 모양이 다른 파일사들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35B1 (ko) * 1982-10-08 1984-10-12 배기은 포수성(包水性)이 우수한 인공잔디용 파일사
KR200378734Y1 (ko) 2004-12-30 2005-03-18 김춘덕 인조잔디매트의 인조잔디원단
KR200414670Y1 (ko) * 2006-02-10 2006-04-21 방길남 인조잔디원단
KR101006239B1 (ko) * 2006-10-13 2011-0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35B1 (ko) * 1982-10-08 1984-10-12 배기은 포수성(包水性)이 우수한 인공잔디용 파일사
KR200378734Y1 (ko) 2004-12-30 2005-03-18 김춘덕 인조잔디매트의 인조잔디원단
KR200414670Y1 (ko) * 2006-02-10 2006-04-21 방길남 인조잔디원단
KR101006239B1 (ko) * 2006-10-13 2011-0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중공사를 이용한 인조잔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896B1 (ko) * 2019-05-30 2019-10-21 주식회사 거평산업 인조잔디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44252B1 (ko) 2020-05-27 2021-04-27 지앤지텍(주) 다기능 멀티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59269B1 (ko) 2020-10-30 2021-06-02 지앤지텍(주) 단면 모양이 다른 파일사들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18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9149B1 (en) Substrate element for an artificial grass p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S2913332T3 (es) Superficie de césped híbrido y soporte para la misma
ES2366539T3 (es) Tapiz de césped artificial y método para fabricar el mismo.
US9309630B2 (en) Artificial sports surface
EP3173525A1 (en) Artificial grass lawn for sports fields
ES2242284T3 (es) Procedimiento de formacion de una superficie de juego de hierba artificial sintetica.
WO2003060236A1 (en) Subsurface layer for athletic turf
ES2641276T3 (es) Césped artificial y método para producir un césped de este tipo
ES2720756T3 (es) Estera para formar un césped artificial y proceso para producir tal estera
KR101566534B1 (ko) 인조 잔디 스포츠 구장용의 인조 잔디
KR101232366B1 (ko)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EP3029198A1 (en) Hybrid grass
KR20160103657A (ko)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KR20110116458A (ko) 풋살 게임용 조립식 코트
KR20240029553A (ko) 스포츠 표면, 이의 사용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1127650A (ja) 人工芝
KR101125258B1 (ko) 인조잔디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