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657A -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657A
KR20160103657A KR1020150026246A KR20150026246A KR20160103657A KR 20160103657 A KR20160103657 A KR 20160103657A KR 1020150026246 A KR1020150026246 A KR 1020150026246A KR 20150026246 A KR20150026246 A KR 20150026246A KR 20160103657 A KR20160103657 A KR 2016010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fiber
natural
yarn
artificial turf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티지
Priority to KR102015002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657A/ko
Publication of KR2016010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2013/086Combination of synthetic and natur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3/00Amusement devices: games
    • Y10S273/13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는 (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브레이드(11)들과 폭방향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연결부(12)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을 형성하는 인조잔디 기포(10)와 (ⅱ) 상기 인조잔디 기포(10)중 브레이드(13)와 연결부(12)의 교차점에만 형성된 합성섬유 파일사(20)로 구성되며, 폭방향 및 길이방향 서로 인접하는 브레이드(13)와 삽입사(14)의 교차점들 간의 간격이 각각 10~25㎜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의 길이는 30~70㎜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들은 총섬도가 7,800~12,0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합성섬유 파일사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의 면적 비율을 2~5%로 유지할 수 있어서 운동경기시 공의 규칙적인 구름성과 바운스(Bounce)를 유지할 수 있고, 합성섬유 파일사(20)들이 천연잔디 보호에 적절한 길이 및 섬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운동화 스파이크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Crown)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까지 뽑혀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를 구비하여 천연잔디 식생도 촉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구기종목 운동장, 특히 축구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로 유용하다.

Description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Artificial turf for protecting natural turf in ground used ball game}
본 발명은 구기 운동장 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운동경기시 운동화 스파이크 등에 의해 천연잔디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천연잔디 식생도 가능하고 운동경기시 공의 구름성과 바운스(Bounce)를 규칙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인조잔디는 합성섬유사로 조밀하게 제조된 인조잔디 기포 상에 합성섬유 파일사가 조밀하게 터프팅(Tufting) 되거나 상기 기포와 함께 조밀하게 제편된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종래의 인조잔디에는 배수용 작은 공극들은 있지만 크기가 5㎜×5㎜ 이상인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천연잔디 식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천연잔디가 깔려 있는 운동장에 포설하여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를 함께 사용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653호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로 제조된 기포(10)와 상기 기포(10)로부터 위로 돌출, 연장되어 있는 합성섬유 파일사(20)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10)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브레이드(Braid)들이 망상구조로 엮어져 있는 형태이고, 합성섬유 파일사(20)의 하단부는 상기 기포(10)와 함께 제편되어 상기 기포(1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상단부는 상기 기포(10)로부터 위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상기 기포(10)내 브레이드(Braid)들의 교차점 부분과 상기 교차점들을 연결하는 브레이드(Braid)부분들로 부터 위로 돌출, 연장되어 있는 천연잔디 생식용 인조잔디가 게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986호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사로 편성되는 베이스편성용 결속사(100)와, 상기 베이스편성용 결속사(100)에 편입되어 망무늬조직의 베이스조직(X)을 만드는 천연섬유사로 된 제1삽입사(104)와, 상기 베이스조직(X)일부분에 베이스편성용 결속사(100)에 편입하여 일정폭의 지조직(Y)을 편직하는 합성섬유사로 된 제2삽입사(106)로 구성된 인조잔디 원단(인조잔디 기포)와 상기 인조잔디 원단의 지조직(Y)에 형성된 인조잔디 원사(합성섬유 파일사)로 이루어져 사용중 상기 베이스조직(X)이 생분해되면서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가 형성되어지는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들은 인조잔디 기포(10) 내에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들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천연잔디 식생이 가능한 장점은 있지만, 상기 종래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가 포설된 구기 운동장은 천연잔디 대비 인조잔디의 합성섬유 파일사의 비율이 10% 이상으로 높아서 운동 중 공의 구름성이나 바운스(Bounce)가 불규칙하게 되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의 섬도 및 길이가 천연잔디 보호에 적합한 최적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해서 운동화 스파이크 등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Crown)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째 뽑혀져 나가는 문제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천연잔디의 식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동경기 중 운동화 스파이크 등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째 뽑혀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합성섬유 파일사 전체면적대비 인조잔디의 합성섬유 파일사의 면적 비율을 2~5%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운동 경기시 공의 구름성과 바운스(Bounce)가 규칙적이게해 줄 수 있는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인조잔디 기포(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브레이드(11)들과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연결부(12)들을 교차점에서 서로 제편시켜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를 구비하도록 형성시키고, 합성섬유 파일사(20)를 상기 브레이드(11)와 연결부(12)의 교차점에만 형성시켜 구기 운동장용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를 제조한다.
이때,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브레이드(11)와 연결부(12)의 교차점들간의 간격을 각각 10~25㎜로 하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로는 단사섬도가 1,200~2,000데니어인 적어도 3개의 합성섬유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져 총섬도가 7,800~12,000데니어인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의 길이는 30~70㎜로 한다.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은 천연잔디와 합성섬유 파일사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의 면적 비율을 2~5%로 유지할 수 있어서 운동경기시 공의 규칙적인 구름성과 바운스(Bounce)를 유지할 수 있고, 합성섬유 파일사(20)들이 천연잔디 보호에 적절한 길이 및 섬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운동화 스파이크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Crown)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까지 뽑혀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를 구비하여 천연잔디 식생도 촉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구기종목 운동장, 특히 축구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시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파일사 형성용 원사(a)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시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경사(b)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시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위사 1(c)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시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위사 2(d)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조직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시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위사 1(c) 및 위사 2(d)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의 사시 개략도.
도 8은 종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의 저면도.
도 9는 종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의 펀성 조직도.
도 11은 또 다른 종래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에 사용되는 인조잔디 기포의 평면도.
도 12은 도 11의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운동장용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길이방향으로는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및 2개의 위사(c,d)들이 편물코 조직으로 편성되면서 형성된 브레이드(Braid : 11)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폭방향으로는 2개의 위사(c,d)들이 겹쳐진 형태인 연결부(12)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브레이드(11)들과 연결부(12)들이 교차점을 형성하면서 교차점들 사이에 식생용 공간부(30)들을 형성하는 인조잔디 기포(10) 및 (ⅱ) 상기 브레이드(12)들과 연결부(12)들의 교차점들에만 형성되어 있는 합성섬유 파일사(20)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교차점들간의 간격이 각각 10~25㎜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길이가 30~70㎜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로서 단사섬도가 1,200~2,000데니어인 적어도 3개의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져 총섬도가 7,800~12,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를 천연잔디가 깔려진 운동장 위에 포설하게 되면 도 7과 같은 형태가 되어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와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20)의 면적 비율이 2~5%로 유지된다. 그로 인해 운동경기시 공의 구름성과 바운스(Bounce)를 규칙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운동 중 운동화 스파이크 등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Crown)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째 뽑혀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들이 인조잔디 기포(10) 중 브레이드(11)와 연결부(12)의 교차점 부분에만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부분에도 형성되거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교차점들 간의 간격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와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20)의 면적 비율이 5%를 초과하게 되어 운동경기시 공의 구름성과 바운스(Bounce)가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와 천연잔디 생식용 공간부(30)가 좁아져 천연잔디 생식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교차점들 간의 간격이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조잔디 기포(10)의 강도 등의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와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와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20)의 면적 비율이 2% 미만으로 낮아져 천연잔디 보호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단사섬도가 1,200~2,000데니어인 합성섬유 모노필라멘트들로 구성되어 총섬도가 7,800~12,000데니어이고, 그 길이가 30~70㎜이다.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총섬도가 7,800데니어 보다 낮으면 강도 등이 떨어져 천연잔디 보호에 불리해 지고 12,000데니어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떨어져 천연잔디 보호에 불리해 진다.
합성섬유 파일사(20)가 멀티필라멘트가 아닌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경우 유연성이 떨어져 천연잔디 보호에 불리해지고 외력에 의한 형태복원성도 떨어진다.
합성섬유 파일사(20)의 길이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완화층 설치 후 충격완화층 위로 나오는 합성섬유 파일사(20)의 길이가 25㎜ 미만으로 너무 짧아져 천연잔디 보호기능이 저하되고,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직성이 떨어져 천연잔디 보호기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조잔디 기포(10)를 제조하는 구현일례를 살펴보면, 제편기(예 : 라셀편기)에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위사 1(c) 및 위사 2(d)를 동시에 공급하여 상기 파일사 형성용 원사(a)는 도 2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편성하고, 상기 경사(b)는 도 3과 같은 진행방향으로 편성하고, 상기 위사 1(c)는 도 4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편성하고, 상기 위사 2(d)는 도 5와 같은 진행방향으로 편성하여 도 1 및 도 6과 같은 편성구조를 갖는 인조잔디 기포(10)를 제편한다.
상기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브레이드(11)내에는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위사 1(c) 및 위사 2(d)들이 서로 엮여져 있고, 인조잔디 기포(10)를 구성하는 연결부(12)는 위사 1(c) 과 위사 2(d)가 겹쳐진 상태이고, 브레이드(11)와 연결부(12)의 교차점에서도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위사 1(c) 및 위사 2(d)들이 서로 엮여져 있다.
본 발명이 포설된 구기운동장은 천연잔디와 인조잔디의 합성섬유 파일사 전체면적 대비 합성섬유 파일사의 면적 비율을 2~5%로 유지할 수 있어서 운동경기시 공의 규칙적인 구름성과 바운스(Bounce)를 유지할 수 있고, 합성섬유 파일사(20)들이 천연잔디 보호에 적절한 길이 및 섬도를 구비하기 때문에 운동화 스파이크에 의해 천연잔디의 생장점(Crown)이 손상되거나 천연잔디가 뿌리까지 뽑혀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30)를 구비하여 천연잔디 식생도 촉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구기종목 운동장, 특히 축구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로 유용하다.
10 : 인조잔디 기포 20 : 합성섬유 파일사
30 : 천연잔디 식생용 공간부 11 : 브레이드
12 : 연결부 a : 파일사 형성용 원사
b : 경사 c : 위사 1 d : 위사 2
X : 베이스 조직 Y : 지조직
100 : 베이스 편성용 결속사 102 : 편물코조직
104 : 제1삽입사 106 : 제2삽입사
N : 편성니들(Needle)

Claims (2)

  1. (ⅰ) 길이방향으로는 파일사 형성용 원사(a), 경사(b) 및 2개의 위사(c,d)들이 편물코 조직으로 편성되면서 형성된 브레이드(Braid : 11)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폭방향으로는 2개의 위사(c,d)들이 겹쳐진 형태인 연결부(12)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브레이드(11)들과 연결부(12)들이 교차점을 형성하면서 교차점들 사이에 식생용 공간부(30)들을 형성하는 인조잔디 기포(10) 및
    (ⅱ) 상기 브레이드(12)들과 연결부(12)들의 교차점들에만 형성되어 있는 합성섬유 파일사(20)로 구성되며,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교차점들간의 간격이 각각 10~25㎜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길이가 30~70㎜이고,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로서 단사섬도가 1,200~2,000데니어인 적어도 3개의 모노필라멘트들로 이루어져 총섬도가 7,800~12,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 파일사(20)의 상단부는 인조잔디 기포(10)로부터 위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인조잔디 기포(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KR1020150026246A 2015-02-25 2015-02-25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KR20160103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46A KR20160103657A (ko) 2015-02-25 2015-02-25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246A KR20160103657A (ko) 2015-02-25 2015-02-25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657A true KR20160103657A (ko) 2016-09-02

Family

ID=5694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246A KR20160103657A (ko) 2015-02-25 2015-02-25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6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036B1 (ko) * 2022-09-30 2023-02-20 성영경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매트로 운동장을 만드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036B1 (ko) * 2022-09-30 2023-02-20 성영경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매트로 운동장을 만드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3332T3 (es) Superficie de césped híbrido y soporte para la misma
JP3359041B2 (ja) 混合芝
CA2868984C (en) Improved relocatable turf
ES2641276T3 (es) Césped artificial y método para producir un césped de este tipo
JP3221275U (ja) 人工芝と天然芝を組み合わせた人工芝生
ES2377244T3 (es) Esterilla tejida de hierba artificial con una fina distribución del pelo y método para fabricar dicha esterilla de hierba artificial
EP3029198A1 (en) Hybrid grass
KR20160103657A (ko) 구기 운동장내 천연잔디 보호용 인조잔디
JP3275980B2 (ja) 人工芝生用マット
KR20120082118A (ko) 담수 기능을 부여한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KR200437986Y1 (ko)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매트
KR200453630Y1 (ko)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ES2865331T3 (es) Césped híbrido artificial
JP2008184857A (ja) 起毛植生ネット、及び法面緑化保護方法
JPH06158609A (ja) 砂入り人工芝グランド
JP7338500B2 (ja) 人工芝
KR102502036B1 (ko)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잔디 매트, 천연잔디 식생용 보조 인조매트로 운동장을 만드는 방법
JPH0584368U (ja) 人工芝ゴルフコース
JP2549276Y2 (ja) 打球場敷設用マット
KR101188204B1 (ko)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KR101125258B1 (ko) 인조잔디원단
JP2023167212A (ja) 人工芝
JP2005226224A (ja) 法面緑化方法
KR20160096810A (ko)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