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323B1 -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323B1
KR102243323B1 KR1020200171760A KR20200171760A KR102243323B1 KR 102243323 B1 KR102243323 B1 KR 102243323B1 KR 1020200171760 A KR1020200171760 A KR 1020200171760A KR 20200171760 A KR20200171760 A KR 20200171760A KR 102243323 B1 KR102243323 B1 KR 10224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rotation shaft
discharge hole
coupl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323B9 (ko
Inventor
여동근
원종범
심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텍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심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텍, (주)스마트공작기계코리아, 심영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텍
Priority to KR102020017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23B1/ko
Publication of KR10224332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2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오염된 절삭유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입몸체;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유출입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에 제1 커버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몸체; 상기 제1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 일단이 제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유출입몸체을 관통하게끔 구비되며 제2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중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리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 링 형태와 직선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살대가 결합되어 분리날개를 둘러싸면서 원심분리몸체의 내벽과 인접한 원통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공이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원심분리몸체 내로 투입된 절삭유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Horizontal type centrifugal separator for cutting oil}
본 발명은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염된 절삭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CNC 등과 같은 공작기계에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절삭유가 공급됨과 동시에 절삭공구가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가공하게 되며, 이때 피가공물의 가공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고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피공작물과 절삭공구에 절삭유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작기계에 사용되고 난 절삭유에는 절삭칩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바, 절삭유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절삭유로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절삭유 원심분리기가 사용된다.
종래 절삭유 원심분리기는, 회전드럼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전되게끔 설치된 구조를 이루어, 세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이다. 이러한 세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는 회전드럼 내측에 붙은 이물질을 긁어내는 역할을 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는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는 축을 상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임펠라의 축을 관통하여야 하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는 축을 하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도어의 설치가 어려운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면적이 크며, 이물질 제거를 수동으로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9775호 '슬러지 원심분리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는, 오염된 절삭유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입몸체;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유출입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에 제1 커버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몸체; 상기 제1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 일단이 제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유출입몸체을 관통하게끔 구비되며 제2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중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리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 링 형태와 직선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살대가 결합되어 분리날개를 둘러싸면서 원심분리몸체의 내벽과 인접한 원통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공이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원심분리몸체 내로 투입된 절삭유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유출입몸체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차단막이 중앙부에 세워지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원심분리몸체가 구비된 일단을 향해 배출관이 연장형성되어, 차단막을 기준으로 일단측에 배출관의 외측인 제1 공간과 배출관의 내측인 제2 공간이 형성되고, 타단측에 제2 공간과 연통되는 제3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는 제1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제3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터는 제1 회전축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1 모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모터축에는 제1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평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1 평기어와 맞물려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평기어가 결합되되, 상기 제1 평기어는 제2 평기어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터는 제2 회전축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2 모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축에는 제2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풀리가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풀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풀리는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감싸는 벨트를 통해 제1 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되, 상기 제2 풀리는 제1 풀리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몸체는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은 배출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끔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상면이 배출부의 하면과 결합되는 배출호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호퍼는, 적어도 배출공을 막을 수 있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함에 따라 배출공을 밀폐시키거나 배출공을 개방시키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공이 밀폐된 상태에서 임펠러에 의해 오염된 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부로 배출된 다음, 배출공이 개방되고 스크래퍼가 회전하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이물질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절삭유로부터의 이물질의 분리가 수평으로 놓인 원심분리몸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인바, 종래 세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이물질의 입자가 더 작은 것까지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다양한 장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작기계, 배수처리장치, 폐수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적용되는 유출입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적용되는 유출입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적용되는 제1 회전축, 임펠러, 스크래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적용되는 제1 회전축이 제1 모터와 연동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적용되는 제2 회전축이 제2 모터와 연동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오염된 절삭유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유출입몸체;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단이 유출입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에 제1 커버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몸체; 상기 제1 커버의 중심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 일단이 제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유출입몸체을 관통하게끔 구비되며 제2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제2 회전축 중 원심분리몸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리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 링 형태와 직선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살대가 결합되어 분리날개를 둘러싸면서 원심분리몸체의 내벽과 인접한 원통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공이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원심분리몸체 내로 투입된 절삭유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입몸체(100), 원심분리몸체(200), 제1 회전축(400), 임펠러(500), 스크래퍼(600)를 포함한다.
유출입몸체(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절삭유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출구(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출입몸체(100)는 원심분리몸체(200)가 구비되는 측인 일단이 개방되며, 타단은 개방되거나 밀폐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유출입몸체(100)의 타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타단이 제2 커버(320)에 의해 밀폐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입몸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차단막(130)이 중앙부에 세워져 일단 측과 타단 측의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관통홀로부터 일단을 향해 배출관(140)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막(130)을 기준으로 일단측에 배출관(140)의 외측인 제1 공간(150)과, 배출관(140)의 내측인 제2 공간(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막(130)을 기준으로 타단측에 제2 공간(160)과 연통되는 제3 공간(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15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오염된 절삭유가 유입구(110)를 통해 유출입몸체(100)의 제1 공간(150)으로 유입된 후 원심분리몸체(200)로 투입된다. 또한, 유출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공간(17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는 원심분리몸체(200)에서 배출관(140)을 통해 제2 공간(160)을 거쳐 제3 공간(170)으로 이동된 후 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유출입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제3 공간(170)이 연통되게끔 드레인홀(18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홀(180)은 유출입몸체(100)를 청소할 경우에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본 발명이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밀폐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드레인홀(180)은 청소시 절삭유가 용이하게 하방으로 빠져나오도록 유출입몸체(100)의 하방을 향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원심분리몸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수평하게 구비된다. 원심분리몸체(200)의 개방된 일단은 유출입몸체(100)와 결합되고, 원심분리몸체(200)의 개방된 타단에는 제1 커버(310)가 결합되어 원심분리몸체(200)의 타단이 밀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원심분리몸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절삭유로부터 걸러진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210)이 형성된다. 일 예로, 원심분리몸체(2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배출공(210)은 배출부(2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220)는 곡면을 이루는 부분에 배출공(210)이 형성될 경우 해당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기 어려운바,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기 용이하도록 연장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호퍼(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호퍼(700)는 일 예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상면이 배출부(22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호퍼(700)에는 적어도 배출공(210)을 막을 수 있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함에 따라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거나 배출공(210)을 개방시키는 도어(7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ㄱ'자 형태를 이루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710)의 수평부는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어(710)의 수직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진장치(7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전후진장치(720)는 일 예로 에 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전후진장치(720)는 도어(710)를 전진시켜 배출공(210)을 밀폐시킴으로써, 절삭유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거나, 도어(710)를 후진시켜 배출공(210)을 개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제1 회전축(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몸체(20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시키는 제1 커버(310)의 중심을 관통하게 구비된다. 제1 회전축(400)의 일단은 원심분리몸체(200)의 내측에 위치하며,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600)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회전축(400)은 제1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바, 제1 회전축(400)의 회전력은 스크래퍼(6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회전축(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에 의해 제1 모터(10)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10)는 제1 회전축(400)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1 모터축(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모터축(11)에는 제1 모터축(1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평기어(3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축(400)의 타단에는 제1 평기어(30)와 맞물려 제1 회전축(400)을 회전시키는 제2 평기어(4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평기어(30)는 제2 평기어(4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제1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감소되어 스크래퍼(600)가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임펠러(50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510)과 분리날개(520)를 포함한다. 제2 회전축(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회전축(400)의 일단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유출입몸체(100)를 관통하게끔 구비된다. 즉, 제2 회전축(510)은 제1 회전축(40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제1 회전축(400)도 제2 회전축(5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제2 회전축(510)은 제2 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때, 제2 회전축(5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7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터(20)는 제2 회전축(510)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2 모터축(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모터축(21)에는 제2 모터축(2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풀리(5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축(510)의 타단에는 제2 회전축(510)을 회전시키는 제2 풀리(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풀리(50)와 제2 풀리(60)는 벨트(70)에 의해 감싸진다. 따라서, 제2 모터(20)가 구동되어 제2 모터축(21)과 이에 결합된 제1 풀리(50)가 회전되면, 벨트(70)를 통해 제2 풀리(60)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 풀리(60)와 제2 회전축(510)이 회전됨으로써 임펠러(500)가 회전된다. 또한, 여기서의 제2 풀리(60)는 제1 풀리(5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제2 모터(2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증가되어 임펠러(500)가 고속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분리날개(520)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제2 회전축(510) 중 원심분리몸체(200)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제2 회전축(510)에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분리날개(520)는 회전축(5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510)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며, 유입구(110)를 통해 원심분리몸체(200) 내로 투입된 절삭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스크래퍼(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와 직선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살대가 원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때 링 형태를 이루는 살대는, 분리날개(520)를 둘러싸면서 원심분리몸체(200)의 내벽과 인접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래퍼(600)는 일단이 제1 회전축(400)과 결합되어, 제1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710)에 의해 배출공(210)이 밀폐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500)에 통해 오염된 절삭유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배출관(140)과 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다음, 도어(710)에 의해 배출공(210)이 개방되고 스크래퍼(600)가 회전하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바, 이물질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절삭유로부터의 이물질의 분리가 수평으로 놓인 원심분리몸체(200)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인바, 종래 세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이물질의 입자가 더 작은 것까지 분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장치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커버(310)와 제1 모터(10)가 일면에 결합되고, 타면 측에 제1 평기어(30)와 제2 평기어(40)가 구비되는 제1 브라켓(810)과,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커버(320)와 제2 모터(20)가 일면에 결합되고, 타면 측에 제1 풀리(50), 제2 풀리(60) 및 벨트(70)가 구비되는 제2 브라켓(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810)과 제2 브라켓(820)은 이에 결합된 구성들에 비해 하단이 낮게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 브라켓(810)의 하단 및 제2 브라켓(820)의 하단에는 다양한 장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종단면이 'ㄴ'자 형태를 이루는 앵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브라켓(810)과 제2 브라켓(820)을 통해 다양한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바, 공작기계, 배수처리장치, 폐수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10 : 제1 모터 11 : 제1 모터축
20 : 제2 모터 21 : 제2 모터축
30 : 제1 평기어 40 : 제2 평기어
50 : 제1 풀리 60 : 제2 풀리
70 : 벨트
100 : 유출입몸체 110 : 유입구
120 : 유출구 130 : 차단막
140 : 배출관 150 : 제1 공간
160 : 제2 공간 170 : 제3 공간
180 : 드레인홀
200 : 원심분리몸체 210 : 배출공
220 : 배출부
310 : 제1 커버 320 : 제2 커버
400 : 제1 회전축
500 : 임펠러 510 : 제2 회전축
520 : 분리날개
600 : 스크래퍼
700 : 배출호퍼 710 : 도어
720 : 전후진장치
810 : 제1 브라켓 820 : 제2 브라켓

Claims (5)

  1. 오염된 절삭유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이물질이 걸러진 절삭유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출구(120)가 형성된 유출입몸체(100);
    일단과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 배출공(210)이 형성되며, 일단이 유출입몸체(100)에 결합되고 타단에 제1 커버(310)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몸체(200);
    상기 제1 커버(310)의 중심을 관통하게 구비되어 일단이 원심분리몸체(200)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400);
    일단이 제1 회전축(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유출입몸체(100)를 관통하게끔 구비되며 제2 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510)과, 제2 회전축(510) 중 원심분리몸체(200)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회전축(51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리날개(520)를 포함하는 임펠러(500);
    링 형태와 직선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살대가 결합되어 분리날개(520)를 둘러싸면서 원심분리몸체(200)의 내벽과 인접한 원통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제1 회전축(400)과 결합되는 스크래퍼(600);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공(210)이 밀폐된 상태에서 유입구(110)를 통해 원심분리몸체(200) 내로 투입된 절삭유는 임펠러(500)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후 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공(2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크래퍼(600)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배출공(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출입몸체(10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차단막(130)이 중앙부에 세워지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원심분리몸체(200)가 구비된 일단을 향해 배출관(140)이 연장형성되어, 차단막(130)을 기준으로 일단측에 배출관(140)의 외측인 제1 공간(150)과 배출관(140)의 내측인 제2 공간(160)이 형성되고, 타단측에 제2 공간(160)과 연통되는 제3 공간(170)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0)는 제1 공간(150)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0)는 제3 공간(170)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10)는 제1 회전축(400)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1 모터축(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모터축(11)에는 제1 모터축(1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평기어(30)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축(400)의 타단에는 제1 평기어(30)와 맞물려 제1 회전축(400)을 회전시키는 제2 평기어(40)가 결합되되,
    상기 제1 평기어(30)는 제2 평기어(40)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20)는 제2 회전축(510)과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제2 모터축(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모터축(21)에는 제2 모터축(2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풀리(50)가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축(510)의 타단에는 제2 회전축(510)을 회전시키는 제2 풀리(60)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풀리(60)는 제1 풀리(50)와 제2 풀리(60)를 감싸는 벨트(70)를 통해 제1 풀리(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되,
    상기 제2 풀리(60)는 제1 풀리(50)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몸체(200)는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배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210)은 배출부(2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끔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를 이루며 상면이 배출부(220)의 하면과 결합되는 배출호퍼(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호퍼(700)는, 적어도 배출공(210)을 막을 수 있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함에 따라 배출공(210)을 밀폐시키거나 배출공(210)을 개방시키는 도어(7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KR1020200171760A 2020-12-09 2020-12-09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KR10224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60A KR102243323B1 (ko) 2020-12-09 2020-12-09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60A KR102243323B1 (ko) 2020-12-09 2020-12-09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323B1 true KR102243323B1 (ko) 2021-04-22
KR102243323B9 KR102243323B9 (ko) 2023-05-11

Family

ID=7573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760A KR102243323B1 (ko) 2020-12-09 2020-12-09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3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16Y1 (ko) * 1999-09-30 2000-03-15 주식회사화인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KR20050029775A (ko) 2003-09-22 2005-03-28 한국에어로(주) 슬러지 원심분리기
KR20160008731A (ko) * 2014-07-14 2016-01-25 오태진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16Y1 (ko) * 1999-09-30 2000-03-15 주식회사화인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KR20050029775A (ko) 2003-09-22 2005-03-28 한국에어로(주) 슬러지 원심분리기
KR20160008731A (ko) * 2014-07-14 2016-01-25 오태진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323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53532A (ja) 遠心ろ過方法及び装置
US5328441A (en) Imperforate bowl centrifugal separator with solids gate
JP3855213B2 (ja) 分散方法及び分散機
CN212143062U (zh) 卧式螺旋刮刀卸料离心机
CN105944449B (zh) 一种机械加工用的冷却液过滤装置
US3741465A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internal scraper blades
KR102243323B1 (ko)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JPS61178052A (ja) 遠心分離機
JP3888986B2 (ja) 遠心分離機及びその残留ケーキ排出装置
JP2008543539A (ja) 交差汚染を防止する改良された遠心分離装置
CN112607888A (zh) 一种污水处理过滤装置
JP2662538B2 (ja) 生海苔の異物分離除去装置
KR102100434B1 (ko) 원심 분리형 절삭유 여과 장치
KR101470165B1 (ko) 원심분리기 드럼 내벽에 융착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공작기계용 절삭유 정제장치
JP2005021849A (ja) 遠心分離機
JP4574663B2 (ja) 遠心分離機
CN112495502A (zh) 一种麻油生产用磨浆产油一体设备
CN209810437U (zh) 一种全自动金属切屑离心甩干机
JP2004188322A (ja) 遠心ろ過装置
CN219664027U (zh) 一种卧式螺旋卸料浓缩过滤式离心机
CN213435088U (zh) 一种外壳全翻盖离心机
CN217699622U (zh) 一种用于稀土材料加工的具有密封结构的离心机
KR200284275Y1 (ko) 원심 비중분리형 정제장치
KR100391095B1 (ko) 유리가공용 냉각수의 처리장치
CN211385424U (zh) 一种应用于低汞触媒生产的离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