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116Y1 -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116Y1
KR200173116Y1 KR2019990020952U KR19990020952U KR200173116Y1 KR 200173116 Y1 KR200173116 Y1 KR 200173116Y1 KR 2019990020952 U KR2019990020952 U KR 2019990020952U KR 19990020952 U KR19990020952 U KR 19990020952U KR 200173116 Y1 KR200173116 Y1 KR 200173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rticles
supply pipe
cylindrical
fin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인
Priority to KR2019990020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처리장이나 각종 화학공장 및 약품공장등에서 액체와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을 원심력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과 액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여러종류의 원심분리기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대부분 수직형 원심분리구조로되고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일정시간 가동한 후에는 정지시키고 분리된 입자물을 제거시킨 후 다시 가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므로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과 액체를 대량으로 원심분리시킴에 있어 많은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구(101)를 형성한 기체 (1)의 탈수실(1')내의 스핀들(2)의 단부에는 개구부(501)가 형성된 원통바켓(5)을 고정하여 메쉬스크린(6)을 고정하고,
전면도어(7)에는 액공급관(11)과 세척수공급관(12)및 콘베이어케이스(8)를 설치하여 콘베이어케이스(8)에는 스크류콘베이어(9)를 유착하여 감속모터(10)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실린더(13)의 로드(13')와 링크(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핀(14)에는 스크레이퍼(15)를 고정하고 실린더(17)의 로드(17')와 연결된 레버(8)의 핀(19)에는 부상날개(20)를 고정하여 액공급관(11)으로 유입되는 입자함유액은 원통바켓(5)의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액체는 배출구(101)로 배출되고 메쉬스크린(6)을 통과하지 못하는 미세고형입자물(22)은 원통바켓(5)의 내면에 일정량 쌓여짐과 동시에 부상날개(20)와 레버(18)및 센서(21)의 작동에 의해 스크레이퍼(15)가 원통바켓(5)내에 쌓인 입자물(22)을 긁으지게하고, 긁으진 입자물(22)은 콘베이어케이스 (8)로 낙하되고 콘베이어케이스(8)내로 유입된 입자물(22)은 감속모터(1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크류콘베이어(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액체와 미세고형의 입자물(22)의 원심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본 고안은 폐수처리장이나 각종 화학공장 및 약품공장등에서 액체와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을 원심력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과 액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여러종류의 원심분리기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대부분 수직형 원심분리구조로되고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일정시간 가동한 후에는 정지시키고 분리된 입자물을 제거시킨 후 다시 가동시키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므로 액체에 함유된 미세고형입자물과 액체를 대량으로 원심분리시킴에 있어 많은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구(101)를 형성한 기체 (1)의 탈수실(1')내의 스핀들(2)의 단부에는 개구부(501)가 형성된 원통바켓(5)을 고정하여 메쉬스크린(6)을 고정하고,
전면도어(7)에는 액공급관(11)과 세척수공급관(12)및 콘베이어케이스(8)를 설치하여 콘베이어케이스(8)에는 스크류콘베이어(9)를 유착하여 감속모터(10)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실린더(13)의 로드(13')와 링크(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핀(14)에는 스크레이퍼(15)를 고정하고 실린더(17)의 로드(17')와 연결된 레버(8)의 핀(19)에는 부상날개(20)를 고정하여 액공급관(11)으로 유입되는 입자함유액은 원통바켓(5)의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액체는 배출구(101)로 배출되고 메쉬스크린(6)을 통과하지 못하는 미세고형입자물(22)은 원통바켓(5)의 내면에 일정량 쌓여짐과 동시에 부상날개(20)와 레버(18)및 센서(21)의 작동에 의해 스크레이퍼(15)가 원통바켓(5)내에 쌓인 입자물(22)을 긁으지게하고, 긁으진 입자물(22)은 콘베이어케이스 (8)로 낙하되고 콘베이어케이스(8)내로 유입된 입자물(22)은 감속모터(1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크류콘베이어(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액체와 미세고형의 입자물(22)의 원심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1' : 탈수실
1' : 베어링케이스
101 : 배출구
2 : 스핀들
2' : 메인풀리
3 : 모터
4 : V벨트
5 : 원통바켓
501 : 개구부
6 : 메쉬스크린
7 : 전면도어
8 : 콘베이어케이스
9 : 스크류콘베이어
10 : 감속모터
11 : 액공급관
12 : 세척수공급관
13 : 실린더
13' : 로드
14 : 핀
15 : 스크레이퍼(SCRAPER)
16 : 링크
17 : 실린더
17' : 로드
18 : 레버
19 : 핀
20 : 부상날개
21 : 센서
22 : 입자물
도1은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의 베어링케이스(1')에 유착한 스핀들(2)의 메인풀리(2')를 모터(3)의 풀리(3')와 V벨트(4)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배출구(101)를 형성한 기체 (1)의 탈수실(1')내의 스핀들(2)의 단부에는 개구부(501)가 형성된 원통바켓(5)을 고정하여 메쉬스크린(6)을 고정하고,
전면도어(7)에는 액공급관(11)과 세척수공급관(12)및 콘베이어케이스(8)를 설치하여 콘베이어케이스(8)에는 스크류콘베이어(9)를 유착하여 감속모터(10)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실린더(13)의 로드(13')와 링크(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핀(14)에는 스크레이퍼(15)를 고정하여 원통바켓(5)의 내에 쌓인 입자물(22)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실린더(17)의 로드(17')와 연결된 레버(8)의 핀(19)에는 부상날개(20)를 고정하여 원통바켓(5)의 내에 입자물(22)이 일정량 쌓일 시에 센서(21)가 작동되도록 한 것인데,
메쉬스크린(6)은 눈목이 없는 밀폐판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입자물을 함유한 입자함유액을 원심분리작용에 의하여 액체와 입자물(22)로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모터(3)를 작동하여 풀리(3')를 회전시키면 풀리(3')와 V벨트(4)로 연결된 메인풀리(2')및 스핀들(2)이 회전함과 동시에 스핀들(2)에 고정된 원통바켓(5)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액공급관(11)을 통하여 액체와 입자물(22)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입자함유액을 원통바켓(5)내로 유입시키면 원통바켓(5)의 내로 유입된 입자함유액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원통바켓(5)의 원심력에 의하여 액체는 메쉬스크린(6)을 거쳐 탈수실(1')로 배출된 후 배출구(10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메쉬스크린 (6)을 통과하지 못하는 입자물(22)은 원통바켓(5)의 내에 점차 쌓이게 된다.
메쉬스크린(6)대신 밀폐판을 고정하였을 때는 비중이 무겁고 고형의 미세입자물(22)은 원통바켓(5)의 내벽면에 쌓이고 비중이 가벼운 액체는 입자물(22)의 위에 고여져 도3의 점선표시와 같이 원통바켓(5)의 개구부(501)를 넘쳐 배출구(101)로 배출된다.
입자물(22)이 쌓여감에 따라 부상날개(20)는 핀(19)를 축점으로하여 점차 도4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고형물이 일정두께로 쌓이면 핀(19)에 고정된 레버(18)는 센서(21)에 근접됨과 동시에 센서(21)의 작동으로 도면에 도시되지않은 회로에 의하여 실린더(13)의 로드(13')는 전진되고 로드(13')와 링크(16)로 연결된 핀(14)및 핀(14)에 고정된 스크레이퍼(15)는 도4의 점선화살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크레이퍼(15)는 원형바켓(5)의 내면에 쌓인 입자물(22)에 접촉되고 입자물 (22)은 스크레이퍼(15)에 긁어져 콘베이어케이스(8)의 내에 떨어지게됨과 동시에 감속모터(10)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크류베이어(9)의 회전에 의하여 도3과 같이 외부로 배출된다.
원형바켓(5) 내면에 쌓인 입자물(22)이 제거되게되면 실린더(17)의 로드 (17')의 전진으로 레버(18)는 센서(21)에서 멀리 떨어지게되어 센서(21)가 오프 (OFF)되고 부상날개(20)와 스크레이퍼(15)는 도4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구하게 된다.
원심분리작용을 완료한 후에는 세척수공급관(1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원형바켓(5)을 세척하면되는데 스크레이퍼(15)로 입자물(22)을 긁어내기전 세척수를 분사하여 입자물(22)을 세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고속회전되는 원형바켓(5)내에다 입자함유액을 주입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액체와 입자물(22)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원형바켓(5)의 내면에 쌓이는 입자물(22)은 스크레이퍼(15)로 긁어 콘베이어케이스(8)에 떨어지게하여 감속모터(1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콘베이어(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하여 액체와 입자물(22)을 계속 분리시킬 수 있게 됨으로 원심력에 의한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체(1)의 베어링케이스(1')에 유착한 스핀들(2)의 메인풀리(2')를 모터(3)의 풀리(3')와 V벨트(4)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배출구(101)를 형성한 기체 (1)의 탈수실(1')내의 스핀들(2)의 단부에는 개구부(501)가 형성된 원통바켓(5)을 고정하여 메쉬스크린(6)을 고정하고,
    전면도어(7)에는 액공급관(11)과 세척수공급관(12)및 콘베이어케이스(8)를 설치하여 콘베이어케이스(8)에는 스크류콘베이어(9)를 유착하여 감속모터(10)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실린더(13)의 로드(13')와 링크(16)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핀(14)에는 스크레이퍼(15)를 고정하여 원통바켓(5)의 내에 쌓인 입자물(22)을 긁어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실린더(17)의 로드(17')와 연결된 레버(8)의 핀(19)에는 부상날개(20)를 고정하여 원통바켓(5)의 내에 입자물(22)이 일정량 쌓일 시에 센서(21)가 작동되도록 한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KR2019990020952U 1999-09-30 1999-09-30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KR200173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2U KR200173116Y1 (ko) 1999-09-30 1999-09-30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52U KR200173116Y1 (ko) 1999-09-30 1999-09-30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116Y1 true KR200173116Y1 (ko) 2000-03-15

Family

ID=1959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52U KR200173116Y1 (ko) 1999-09-30 1999-09-30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1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79U (ko) * 2018-02-23 2018-11-07 주식회사 센텍기술 수평형 원심 분리기
KR102243323B1 (ko) * 2020-12-09 2021-04-22 주식회사 더원텍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79U (ko) * 2018-02-23 2018-11-07 주식회사 센텍기술 수평형 원심 분리기
KR200488851Y1 (ko) * 2018-02-23 2019-04-03 주식회사 센텍기술 수평형 원심 분리기
KR102243323B1 (ko) * 2020-12-09 2021-04-22 주식회사 더원텍 가로형 절삭유 원심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83B1 (ko)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KR101925858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942564B1 (ko) 하수도 준설물 처리시스템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173116Y1 (ko) 원통바켓을 이용한 수평형 고속원심분리장치
KR102111034B1 (ko) 준설토 처리 장치
KR100625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고형물회수기
CN113577900A (zh) 一种石油开采钻屑甩干机及其钻屑甩干方法
KR20120011990A (ko) 브러쉬형 미세 협잡물처리기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796454B1 (ko) 분리 여액 청정도 증대형 원심 분리기
KR100867762B1 (ko) 미세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이는 스크루 테칸타형 원심분리기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JP4557604B2 (ja) 沈砂分級機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RU1971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частиц
CN116510927B (zh) 一种天然物用离心分离装置
KR20110010271A (ko) 고액 분리기
KR101002418B1 (ko) 협잡물 처리장치
CN216191843U (zh) 一种离心粪污分离机
RU2606376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ртути из ртуть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KR100374442B1 (ko) 원형침사장치
KR102478626B1 (ko) 비동속 로터리 스크린
JP2012143833A (ja) 濾過装置
CN217202487U (zh) 一种新型过滤网转鼓固液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