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941B1 -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941B1
KR102242941B1 KR1020190027310A KR20190027310A KR102242941B1 KR 102242941 B1 KR102242941 B1 KR 102242941B1 KR 1020190027310 A KR1020190027310 A KR 1020190027310A KR 20190027310 A KR20190027310 A KR 20190027310A KR 102242941 B1 KR102242941 B1 KR 10224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exchange membrane
cathode
diaphragm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941B9 (ko
KR20200108555A (ko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19002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941B1/ko
Priority to US17/426,040 priority patent/US20220119963A1/en
Priority to EP19919451.5A priority patent/EP3940115A4/en
Priority to PCT/KR2019/011905 priority patent/WO2020184796A1/ko
Priority to CN201980093582.3A priority patent/CN113544314A/zh
Priority to JP2021545701A priority patent/JP7183437B2/ja
Publication of KR2020010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941B1/ko
Publication of KR10224294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94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3/08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전해조의 양극부에 설치되는 양극과, 전해조의 음극부에 설치되는 음극과, 전해조를 양극부와 음극부로 구획하는 격막과, 양극부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는 알카리 용액 공급부와, 음극부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는 산성 용액 공급부 및 양극부 및 음극부 각각에서 발생된 전기분해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배출부를 포함하며, 양극부에서는 알카리 용액의 수산화이온이 전극 반응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고, 음극부에서는 산성용액의 수소이온이 전극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AN ELECTROLYSIS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AND OXYGEN}
본 발명은 전기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질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하는 전기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 방식에 의해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수전해 장치는 대표적으로 알카리 수전해(AEL)와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PEMEL)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카리 수전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카리 수전해(AEL)는 전해질로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고, 다공질의 격막(10)을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양극(산화극;20)에서는 알카리용액의 수산화이온(OH-)이 산화되어 산소(O2)를 생성하는 반응이 일어나고, 이때의 이론적인 표준전위는 0.401V이다.
또한, 음극(환원극:30)에서는 물(H2O) 분해 반응이 일어나 수소(H2)와 수산화이온(OH-)을 생성하게 되며, 이때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0.828V이다. 따라서 전체 반응은 물(H2O)이 분해되면서 수소(H2)와 산소(O2)를 생성하게 되며, 이때의 수전해 전체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1.229V가 된다. 그리고 격막(10)을 통해서는 상호 간 도난(Donnan) 평형에 의해 이온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각각 음극부와 양극부로 이동하여 이온 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의 알카리 수전해의 전해반응식과 이론적 표준전위차는 아래의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양극반응 : 4OH- → O2 + 2H2O + 4e-, E0 = 0.401V
음극반응 : 4H2O + 4e- → 2H2 + 4OH-, E0 = -0.828V
전체반응 : 2H2O → 2H2 + O2, E0 = 1.229V
도 2는 종래의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 장치는 전해질로 산성용액을 사용하고, 격막으로는 양이온교환막(10')을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양극(20)에서는 물(H2O) 분해를 통해 산소(O2)와 수소이온(H+)을 생성하게 되고, 이때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1.229V이다. 음극(30)에서는 수소이온(H+)이 반응하여 수소(H2)를 생성하게 되고, 이때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0.00V이다. 따라서 전체반응은 알카리 수전해와 동일하게 물(H2O)이 분해되면서 수소(H2)와 산소(O2)를 생성하게 되고, 알카리 수전해와 동일한 이론적 표준전위인 1.229V로 전위차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격막인 양이온교환막(10')의 선택적 이온투과특성에 의해 양극부의 양이온만이 음극부로 이동하게 되어 전체적인 이온밸런스를 유지하게 된다.
도 2의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의 전해반응식 및 이론적 표준전위차는 아래의 반응식 2와 같다.
[반응식 2]
양극반응 : 2H2O → O2 + 4H+ + 4e-, E0 = 1.229V
음극반응 : 4H+ + 4e- → 2H2, E0 = -0.00V
전체반응 : 2H2O → 2H2 + O2, E0 = 1.229V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분해장치의 경우에는 단위 수전해에서의 전기분해를 위해서 1.229V의 전압이 필요하게 되므로, 단위 수전해의 수를 증가시키면 그에 비례하여 전력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무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분해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분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는, 전해조의 양극부에 설치되는 양극; 상기 전해조의 음극부에 설치되는 음극; 상기 전해조를 양극부와 음극부로 구획하는 격막; 상기 양극부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는 알카리 용액 공급부; 상기 음극부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는 산성 용액 공급부; 및 상기 양극부 및 음극부 각각에서 발생된 전기분해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부에서는 알카리 용액의 수산화이온이 전극 반응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고, 상기 음극부에서는 산성용액의 수소이온이 전극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력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전기분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막은 양이온 및 음이온 각각을 투과할 수 있는 다공성 격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격막을 통해 양극부의 양이온이 음극부로 투과되고, 음극부의 음이온은 양극부로 투과되어 이온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격막에는 물분해 촉매가 내재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물분해를 통해 수산화이온과 수소이온을 각각 양극부와 음극부로 제공하여 이온 평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막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할 경우에는 양이온에 대한 선택적 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음극부의 음이온은 투과되지 못하게 하고, 양극부의 양이온이 음극부로 투과되어 음극부에서 염을 형성하여 이온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교환막을 사용할 경우에는 음이온에 대한 선택적 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양극부의 양이온은 투과되지 못하게 하고, 음극부의 음이온이 양극부로 투과되어 양극부에서 염을 형성하여 이온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막의 일측면에는 물분해 촉매층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분해 촉매층은 양이온교환막의 경우에는 양극부와 접한 측면에, 음이온교환막의 경우에는 음극부와 접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물분해 촉매층에 의해 발생되는 수산화이온과 수소이온에 의해 용액상의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의 소모를 줄여주면서, 보다 바람직하게 이온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막은, 상기 양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양극부 측에 배치되는 음이온교환막; 및 상기 음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음극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이웃하여 설치되는 양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격막은, 상기 양이온교환막 및 음이온교환막 사이에 설치되는 물분해 촉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양극부 및 음극부 각각에서 전해질의 변화 없게 되므로 염을 별도로 분리하거나 처리할 필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분해 촉매층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사이에서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물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막은, 상기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및 물분해 촉매층이 일체로 형성된 양쪽성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격막의 제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전기분해수를 재생하여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에서 각각 전해반응으로 소모된 수산화이온과 수소이온을 보충할 수 있는 전해질 재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해반응 중 소모되는 전해질을 재생하여 지속적인 전해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분해 장치에 따르면, 양극부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고, 음극부로 산성 용액을 공급하여 각각 양극반응 및 음극반응을 통해 수소와 산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전극 반응시의 전체 표준전위를 현저하게 낮추어서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격막의 종류를 다양하게 적용하고, 격막에 촉매층을 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양극부 및 음극부의 이온평형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산소와 수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해반응에 의해 생성된 염은 별도의 처리과정을 통해 알카리 용액과 산성 용액으로 변환하여 전해질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격막으로서 양쪽성 이온교환막을 사용시에는 전해질에서 염의 생성을 억제하여 염의 처리 및 분리 과정 없이, 사용된 전해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카리 수전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분해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100)는 전해조로서, 양극(111)이 설치되는 양극부(110), 음극(121)이 설치되는 음극부(120) 및 양극부(110)와 음극부(120)를 구획하는 격막(130), 상기 양극부(110)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용액 공급부(141), 상기 음극부(120)로 전해질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3),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 각각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를 구비하는 전해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기분해 장치(100)는 장치 본체 즉, 전해조 본체(101)가 격막(130)에 의해 그 내부가 양극부(110)와 음극부(120)로 구획된다. 양극부(110) 내에는 양극(111)이 설치되고, 음극부(120)에는 음극(121)이 설치된다.
상기 격막(130)은 다공성 격막(13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격막(130)에는 물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촉매층(133)이 내재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촉매층(133)은 도면 상에서 다공성 격막(131)의 일부분에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도면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격막(131)의 전체영역에 있어서 촉매층(133)이 내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양극부(110)에는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가 연결되고, 음극부(120)에는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3)가 연결된다. 그리고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 각각에는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염을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100)는 양극부(110)에서는 하기의 반응식 3과 같은 양극 반응이 이루어지면서, 산소(O2)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양극반응시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0.401V가 된다.
[반응식 3]
4OH- → O2 + 2H2O + 4e-, E0 = 0.401V
또한, 음극부(120)에는 음극 반응이 하기의 반응시 4와 같이 이루어지며, 수소가 생성된다. 그리고 음극반응시의 이론적 표준전위는 0.00V가 된다.
[반응식 4]
4H+ + 4e- → 2H2, E0 = 0.00V
그리고 전체 반응은 하기의 반응식 5와 같고, 전체 반응시 표준전위는 0.401V가 된다.
[반응식 5]
2H2O → 2H2 + O2, E0 = 0.401V
또한, 상기 양극부(110)의 양이온은 격막(130)을 통해 음극부(120)로 이동하고, 음극부(120)의 음이온은 격막(130)을 통해 양극부(110)로 이동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이온의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막(130)에 내재된 촉매층(133)은 다공성 격막(131)에서 물을 분해하여 수산화이온(OH-)과 수소이온(H+)을 생성한다. 생성된 수산화 이온(OH-)은 양극부(110)로, 수소이온(H+)은 음극부(120)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이온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에서 전기 분해에 의해 생성된 염은 제1 및 제2배출부(151)(1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 각각은 염 사용처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염은 전해조(101)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전해질 재생수단(160)을 통해 산과 알카리 용액으로 전환된 후, 상기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 및 산성 용액 공급부(143) 각각으로 공급되어 재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전해질 재생수단(160)은 전기분해 후 이온 평형을 맞추기 위해 생성된 염을 다시 산과 알카리 용액으로 재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이온흡착 방식, 전기분해 방식, 전기투석 방식, 물분해전기투석 방식, 화학적 반응 또는 촉매반응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한정하지는 아니하며, 염을 산과 알카리로 전환할 수 있는 공정 즉, 수단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양극부(110)로는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고, 음극부(120)로는 산성 용액을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통해 산소와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전기 분해시 전체 반응에서 필요로 하는 이론적 표준전위는 0.401V로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분해에 따른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부(110)와 음극부(120)의 이온 평형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전기분해 반응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100')는 전해조(101)의 내부의 양극부(110)에 설치되는 양극(111)과, 음극부(120)에 설치되는 음극(121), 양극부(110)와 음극부(120)를 구분하는 격막(130')과, 상기 양극부(110)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용액 공급부(141), 상기 음극부(120)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3),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 각각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를 구비한다.
상기 양극(111) 및 음극(121) 각각에서의 양극반응 및 음극반응은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격막(130')은 양이온교환막(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이온교환막(132)은 양극부(110)의 양이온을 음극부(120)로 투과시키고, 음극부(120)의 음이온이 양극부(110)로 투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양극부(110)에서 격막(130')을 투과하여 음극부(120)로 이동한 양이온은 음극부(120)의 음이온과 반응하여 염을 생성함으로써 이온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극부(120)에서 생성된 염은 미반응된 잔류 산성용액과 함께 제2배출부(153)를 통해 염 사용처 또는 전해질 재생수단(160)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배출부(151')는 양극부(110)에서 전기분해 후의 반응 후 잔류 알카리 용액을 포함한 수용액(H2O)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양이온교환막(132)의 일 측면에는 촉매층(1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촉매층(133)은 양이온교환막(132)의 양극부쪽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촉매층(133)에서는 물분해 촉매의 촉매반응을 통해 물이 분해되어 수산화이온(OH-)과 수소이온(H+)을 생성한다. 생성된 수소이온(H+)은 양이온교환막을 통해 음극부(120)로 이동되어, 음극(121) 반응에 의해 소모된 수소이온(H+)을 보충하게 된다. 수산화이온(OH-)은 양이온교환막을 투과하지 못하고, 양극부(110)에 남게 되어, 양극부(110)의 양극(111) 반응을 통해 소모되는 수산화이온(OH-)을 보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해반응과 이온평형을 위해 이동되는 이온으로 형성되는 음극부(120)의 염의 생성량을 낮추거나, 생성되지 않게 되어 용액상태를 더욱 건전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촉매층(133)은 도면 상에서 양이온교환막(132)의 일 측면에 일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도면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제 실시에서는 양이온교환막(132)의 일 측면 전체영역에 촉매층(133)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극부(110)에는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가 연결되고, 음극부(120)에는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5)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음극부(120)에서 생성되어 제2배출부(153)를 통해 배출된 염용액은 별도로 또는 제1배출부(151')의 전기분해수와 같이 전해조 외부의 전해질 재생수단(160)을 통해서 산과 알카리 용액으로 재생산하여 전해조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100')의 경우에도, 양극반응시 이론적인 표준전위는 0.401V이고, 음극반응시의 표준전위는 0.00V이다. 따라서 전체 반응시의 표준전위는 0.401V로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력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100")는 전해조(101)의 내부의 양극부(110)에 설치되는 양극(111)과, 음극부(120)에 설치되는 음극(121), 양극부(110)와 음극부(120)를 구분하는 격막(130")과, 상기 양극부(110)로 전해질로서 알카리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 상기 음극부(120)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3),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 각각에서 생성된 염과 전기분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격막(130")은 음이온교환막(134)을 포함한다. 음이온교환막(134)은 음극부(120)에서 생성된 음이온은 양극부(110)로 투과시키고, 양극부(110)의 양이온이 음극부(120)로 투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양극부(110)에서는 음극부(120)로부터 이동된 음이온이 양이온과 반응하여 염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교환막(134)의 일측면에는 촉매층(133)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촉매층(133)은 음이온교환막(134)의 음극부(120) 측면에 설치되어, 물을 분해하여 수산화이온(OH-)과 수소이온(H+)을 생성한다. 음극부(120)에서 촉매층(133)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이온(OH-)은 음이온교환막(134)을 통해 양극부(110)로 이동되어 상기 도 4의 설명과 같이, 전해반응으로부터 소모되는 수소이온(H+)과 수산화이온(OH-)을 보충해줌으로써, 전해질용액의 건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부(151)는 양극부(110)에서 생성된 염을 사용처로 배출하도록 연결되고, 제2배출부(153')는 음극부(120)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H2O)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극부(110)에서 생성되어 제1배출부(151)를 통해 배출된 염용액은 별도로 또는 제2배출부(153')의 전기분해수와 같이 전해조 외부의 전해질 재생수단(160)을 통해서 산과 알카리 용액으로 재생산하여 전해조로 재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분해 장치(100")의 경우에도 전체적인 반응에서의 표준전위가 0.401V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력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200)는 전해조(201)의 내부의 양극부(110)에 설치되는 양극(111)과, 음극부(120)에 설치되는 음극(121), 양극부(110)와 음극부(120)를 구분하는 격막(230), 상기 양극부(110)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 상기 음극부(120)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산성 용액 공급부(143),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 각각에서 사용된 전해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배출부(151")(15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격막(230)은 음극부(120) 측에 설치되는 양이온교환막(232)과 양극부(110) 측에 설치되는 음이온교환막(234)을 구비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격막(230)은 양이온교환막(232)과 음이온교환막(234) 사이에는 촉매층(233)이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극부(110)에서는 앞서 설명한 양극반응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음극부(120)에서도 음극반응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극 반응을 통해서 이온평형이 깨지게 되고, 깨진 이온평형을 맞추기 위해서 양극부(110)의 양이온은 음극부로 이동하려고 하고, 음극부(120)의 음이온은 양극부(110)로 이동하려고 하나, 각각의 이온교환막(232)(234)의 선택적 투과특성 때문에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대신 각 이온교환막(232)(243) 사이에 위치한 물이 수소이온(H+)과 수산화이온(OH-)으로 물분해되어, 수산화이온(OH-)은 양극부(110)로 투과되어 이동하고, 수소이온(H+)은 음극부(120)로 투과되어 이동됨으로써 이온평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양이온교환막(232)과 음이온교환막(234) 사이에 촉매층(233)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촉매층(233)에는 외부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제는 물(H2O)과 친화력이 큰 물질로 Chitosan, poly (acrylamide) (PAM), poly (ethylene oxide) (PEO), poly (vinyl alcohol) (PVA), poly (vinylpyrrolidone) (PNVP), and poly (hydroxyethyl acrylate) (PHEA)등과 같은 친수성고분자물질, 실리카겔, 에어로젤 등과 같은 무기계 친수성물질, 친수성 화학물질 등 자신의 형태는 유지하면서 물(H2O)에 대한 흡수성이 높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촉매층(233)은 물을 흡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물분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수산화이온(OH-)과 수소이온(H+)이 생성되도록 하여 양극부(110)와 음극부(120)의 이온평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촉매층(133,233)은 Fe 및 Cr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 그리고 Pt, Pd, Rh, Ir, Re, Os, Ru, Ni와 같은 물질군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격막(230)은 양이온교환막(232)과 음이온교환막(234)을 기본 구성으로 하되, 내부의 촉매층(233)이 그들(232)(234) 사이에 개재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소위 양쪽성 이온교환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사이즈를 줄여서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양쪽성이온막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설치하게 되면, 전극반응시 격막에 걸리는 저항을 줄일 수 있고, 기존 수전해방식과 동일하게 전해질의 변화 없게 되어 별도의 염을 분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200)는 양극부(110)와 음극부(120) 각각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양극반응과 음극반응이 각각이 이루어지고, 전체반응에서 0.401V의 표준전위를 갖게 되어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양극부(110)로는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를 통해서 알카리 용액이 전해질로서 공급되고, 음극부(120)로는 산성 용액 공급부(143)를 통해서 산성 용액이 전해질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양극부(110)와 음극부(120) 각각에서는 유입된 전해질의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염을 별도로 처리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양극부(110)에서 전기분해에 사용된 알카리 용액은 제1배출부(151")를 통해 배출되고, 알카리 용액 공급부(141)로 재순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극부(120)에서 전기분해에 사용된 산성 용액은 제2배출부(153")를 통해 배출되고, 산성 용액 공급부(143)로 재순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배출부(151")와 제2배출부(153")에서 배출되는 전기분해수는 전해조 외부의 전해질 재생수단(160)을 통해서 일부 손실될 수 있는 산과 알카리 용액을 추가로 생성하여 전해조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을 분리 및 처리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를 간소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전해질에서 염을 분리하거나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전해질 재생수단(160)을 적용하여 산과 알카리 용액으로 재생산하여 전해조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0',130,130',130",230..격막 20,111..양극
30,121..음극
100,100',100",200..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110..양극부 120..음극부
131..다공성 격막 132,232..양이온교환막
133,233..촉매층 134,234..음이온교환막
141..알카리 용액 공급부 143..산성 용액 공급부
151,151',151"..제1배출부 153,153',153"..제2배출부

Claims (10)

  1. 전해조의 양극부에 설치되는 양극;
    상기 전해조의 음극부에 설치되는 음극;
    상기 전해조를 양극부와 음극부로 구획하는 격막;
    상기 양극부로 전해질로서 알카리 용액을 공급하는 알카리 용액 공급부;
    상기 음극부로 전해질로서 산성 용액을 공급하는 산성 용액 공급부; 및
    상기 양극부 및 음극부 각각에서 발생된 전기분해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부에서는 알카리 용액의 수산화이온이 전극 반응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고, 상기 음극부에서는 산성용액의 수소이온이 전극반응을 통해 수소를 생성하여, 전극 반응시의 전체 표준전위를 낮추어서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양이온 및 음이온 각각을 투과할 수 있는 다공성 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격막에는 물분해 촉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특성을 지닌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막의 일측면에는 물분해 촉매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상기 양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양극부 측에 배치되는 음이온교환막; 및
    상기 음극과 마주하도록 상기 음극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이웃하여 설치되는 양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상기 양이온교환막 및 음이온교환막 사이에 설치되는 물분해 촉매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해 촉매층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상기 양이온교환막과 음이온교환막 및 물분해 촉매층이 일체로 형성된 양쪽성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에서 전기분해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전기분해수를 재생하여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에서 각각 전해반응으로 소모된 수산화이온과 수소이온을 보충할 수 있는 전해질 재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장치.
KR1020190027310A 2019-03-11 2019-03-11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KR10224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10A KR10224294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US17/426,040 US20220119963A1 (en) 2019-03-11 2019-09-16 Electrolysis device for producing hydrogen and oxygen
EP19919451.5A EP3940115A4 (en) 2019-03-11 2019-09-16 ELECTROLYSIS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AND OXYGEN
PCT/KR2019/011905 WO2020184796A1 (ko) 2019-03-11 2019-09-16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CN201980093582.3A CN113544314A (zh) 2019-03-11 2019-09-16 制造氢气和氧气的电解装置
JP2021545701A JP7183437B2 (ja) 2019-03-11 2019-09-16 水素及び酸素生成のための電気分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10A KR10224294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555A KR20200108555A (ko) 2020-09-21
KR102242941B1 true KR102242941B1 (ko) 2021-04-21
KR102242941B9 KR102242941B9 (ko) 2021-07-26

Family

ID=7242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310A KR102242941B1 (ko) 2019-03-11 2019-03-11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9963A1 (ko)
EP (1) EP3940115A4 (ko)
JP (1) JP7183437B2 (ko)
KR (1) KR102242941B1 (ko)
CN (1) CN113544314A (ko)
WO (1) WO2020184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82B1 (ko) 2020-12-31 2021-04-05 남영숙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KR102235898B1 (ko) 2021-03-13 2021-04-05 남영숙 분홍.붉은색계열 절화 수국에 제공되는 물의 pH를 조절하는 전기분해 방법
WO2022245081A1 (ko) *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에이에이알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수소 생산 시스템 및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AU2022305656A1 (en) * 2021-07-08 2024-01-18 The University Of Melbourne Hydrogen production from air
CN114717580A (zh) * 2022-05-06 2022-07-0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原位制备过氧化氢干雾的消毒装置及其运行方法
CN114703488A (zh) * 2022-05-13 2022-07-05 天津市大陆制氢设备有限公司 一种采用析氢析氧促进剂的电解水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770A (ja) * 2000-03-08 2001-11-20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17039982A (ja) * 2015-08-20 2017-02-23 デノラ・ペルメレック株式会社 電解装置及び電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0005A5 (de) * 1979-01-17 1983-12-15 Bbc Brown Boveri & Cie Elektrolysezelle fuer die wasserzersetzung.
JPH0938653A (ja) * 1995-07-27 1997-02-10 Nec Corp 電解イオン水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173789A (ja) * 2000-12-04 2002-06-2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解装置
JP2002273428A (ja) * 2001-03-16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解水生成装置
KR20030077910A (ko) * 2002-03-27 2003-10-04 하이젠환경테크 (주) 체류 순환식 전해수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4323535B2 (ja) * 2007-04-26 2009-09-02 クロリンエンジニアズ株式会社 水電解装置
KR20080103482A (ko) * 2008-10-09 2008-11-27 황용안 김양식용 강산성전해수 생성장치
KR101538683B1 (ko) * 2013-07-18 2015-07-22 (주) 시온텍 바이폴라 이온교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253390B2 (ja) 2013-12-18 2017-12-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アルカリ水電解用隔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ルカリ水電解装置
CN105492658B (zh) * 2014-07-16 2020-09-22 鲁道夫安东尼奥M·戈麦斯 隔膜式电解槽和用于由水的单级电解生产氢气的方法
CN105483747B (zh) * 2016-01-22 2018-10-30 清华大学 一种电解水制氢气的方法及装置
JP2018003059A (ja) 2016-06-28 2018-01-11 株式会社クラレ 水解離用多層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水の解離方法
JP6845114B2 (ja) * 2017-09-20 2021-03-17 株式会社東芝 二酸化炭素電解装置および二酸化炭素電解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770A (ja) * 2000-03-08 2001-11-20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17039982A (ja) * 2015-08-20 2017-02-23 デノラ・ペルメレック株式会社 電解装置及び電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9963A1 (en) 2022-04-21
JP2022520341A (ja) 2022-03-30
KR102242941B9 (ko) 2021-07-26
EP3940115A1 (en) 2022-01-19
EP3940115A4 (en) 2023-08-23
KR20200108555A (ko) 2020-09-21
CN113544314A (zh) 2021-10-22
WO2020184796A1 (ko) 2020-09-17
JP7183437B2 (ja)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941B1 (ko) 수소 및 산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장치
US5584981A (en) Electrochemical deionization
EP2222607B1 (en) Electrolyzer cell for producing acidic or alkaline electrolyzed water
EP0680932B1 (en) Electrochemical deionisation
AU2012234274B2 (en) Cell for depolarised electrodialysis of salt solutions
KR101760635B1 (ko) 초미세기포 수소기체 제조장치
KR101955889B1 (ko) 담수설비 농축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JP2008212871A (ja) 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
US20220176311A1 (en) Electrochemical apparatus for acid gas removal and hydrogen generation
TWI517896B (zh) 電氣式去離子水製造裝置
KR101436139B1 (ko) 차아염소산용액 생성용 염수의 전기분해장치
KR100519196B1 (ko) 이온 교환 물질의 전기화학적 처리
JP2006150151A (ja) 電解水生成装置の電解槽
JP2005219011A (ja) 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方法
JP2011121027A (ja) 電気式脱イオン水製造装置
JP2015196871A (ja) ラジカル酸素水製造装置およびラジカル酸素水製造方法
JP3729348B2 (ja) 電気再生式脱塩装置
JP654209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2432676B1 (ko) 폐 패각을 이용한 수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 및 산소의 제조 방법
JP2013013830A (ja) 電気式脱イオン水製造装置および脱イオン水製造方法
CN116443994A (zh) 一种工作介质填充式离子膜立体电极电化学降解污染水中非金属阳离子的方法与装置
JP2001340855A (ja) 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KR20240061997A (ko) 이산화탄소를 용해한 해수와 전기투석을 이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 및 방법
JP5866163B2 (ja) 電気式脱イオン水製造装置
GB2289059A (en) Electrochemical deionisation using electrochemical ion-exchange to remove ions from feed solution or in cathodic protection of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