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684B1 -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684B1
KR102242684B1 KR1020200114439A KR20200114439A KR102242684B1 KR 102242684 B1 KR102242684 B1 KR 102242684B1 KR 1020200114439 A KR1020200114439 A KR 1020200114439A KR 20200114439 A KR20200114439 A KR 20200114439A KR 102242684 B1 KR102242684 B1 KR 10224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module
disposed
module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KR102020011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684B1/ko
Priority to US18/044,367 priority patent/US20230358031A1/en
Priority to PCT/KR2021/007610 priority patent/WO2022055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8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28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 E04B2001/2636Interlocking connectors, e.g. with hooks or dovetails, added to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with connectors located in slots of the woode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72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members formed from a number of parallel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92End to end connections of elongated members along their common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트(Kit)를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트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1 길이(d1)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1 형상의 제1 모듈(Module) 및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N개(N은 자연수)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2 길이(d2)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2 형상의 제2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d2)는 제1 길이(d1) 이하이다.

Description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SELF BUILDING KIT SYSTEM}
본 발명은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경제적인 비용으로 품질 편차가 없는 목구조 건축물 시공이 가능한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택, 상가,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함에는 건축물 설계자의 설계 이후, 시공자의 땅파기/흙막이 등과 같은 기초 작업, 철골/철근콘크리트 등과 같은 골조 작업, 바닥/벽 작업, 마감 작업 등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작업 절차가 요구되는바, 전문성이 부족한 개인들이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완성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건축물, 보다 구체적으로 목구조 건축물 공사는 하루, 이틀 등과 같은 짧은 시간 내에 완료되지 않으며, 전문가인 다수의 목수들이 긴 시간 동안 많은 노력을 투입해야 정해진 기일 안에 완료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공사 지연 사유가 실제 공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바, 소요되는 인건비는 최초 예산을 훌쩍 넘어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不知其數)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팀버 프레임을 사용하는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 완성도에 있어서 목수의 실력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에 어떠한 목수가 시공을 담당하느냐에 따라 품질에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는바, 소비자가 지불한 비용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완성된 건축물의 품질 편차가 크다면 건축물 시공사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목구조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는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높은 전문가인 목수의 비중을 줄임과 동시에 시공자의 실력에 따른 품질 편차가 없는 새롭고 획기적인 목구조 건축물 시공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3 -2019-0049096호(2019.05.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목구조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는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높은 전문가인 목수의 비중을 줄일 수 있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공자의 실력에 따른 품질 편차가 없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트(Kit)를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트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1 길이(d1)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1 형상의 제1 모듈(Module) 및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N개(N은 자연수)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2 길이(d2)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2 형상의 제2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d2)는 제1 길이(d1) 이하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키트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3 길이(d3)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3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3 형상의 제3 모듈 및 상기 2개의 제3 모듈 사이에 N개(N은 자연수)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4 길이(d4)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4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4 형상의 제4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길이(d4)는 제3 길이(d3)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1 끼움부 및 N개의 제2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와 2개의 제3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3 끼움부 및 N개의 제4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4 끼움부는 90°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모듈 및 N개의 제2 모듈의 두께의 합과 상기 2개의 제3 모듈 및 N개의 제4 모듈의 두께의 합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은,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홀(Hole)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키트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가 양쪽에서 상기 제2 키트와 끼워지는 경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과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며, 상기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Empty) 공간 중,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제5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모듈은, 소정 영역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6 형상의 제6 모듈 및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7 형상의 제7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6 모듈은,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 및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삽입되며, 상기 제7 모듈은,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 및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며, 상기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Empty) 공간 중,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에 일부가 끼워지는 제8 형상의 제8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모듈은, 상기 삽입되는 일부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3 홀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4 홀 및 중심 방향으로 제5 길이(d5)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5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9 형상의 제9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모듈과 제9 모듈은 90°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5 끼움부에는 상기 2개의 제1 모듈 및 N개의 제2 모듈이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3 돌출부; 및 상기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 10 형상의 제 10 모듈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돌출부, 상기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6 돌출부 및 중심 방향으로 제6 길이(d6)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6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 11 형상의 제 11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은,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6 홀을 포함하는 제 12 형상의 제 12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모듈을 서로 끼우거나 삽입하는 등의 간단한 시공만으로도 목구조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는바,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는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높은 전문가인 목수의 비중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성하고자 하는 목구조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끼우거나 삽입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시공자의 실력에 따른 품질 편차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이 포함하는 제1 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포개어 배치한 상면도이다.
도 3은 2개의 제1 모듈과 이들 사이에 제2 모듈이 2개 배치된 제1 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이 포함하는 제2 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키트와 제2 키트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키트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제5 모듈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제6 모듈과 제7 모듈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구성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1 홀에 제6 모듈 및 제7 모듈이 삽입되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제8 모듈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8 모듈이 제2 키트를 사이에 두고 제1 키트가 양쪽에서 끼워진 2개의 구조물을 끼워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제9 모듈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제9 모듈이 끼워진 상태에서 추가적인 키트가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구조물 1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10 모듈이 구조물 1과 구조물 2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구조물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늘려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구조물 3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구조물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늘려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구조물 4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구조물 4에 복수의 제12 모듈을 끼운 목구조 건축물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완성한 건축물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1 키트(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1 키트(Ⅰ)는 제1 모듈(10) 및 제2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C) 방향으로 제1 길이(d1)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되, 제1 모듈(10)의 형상은 제1 형상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제2 모듈(20)을 기준으로 1개의 제1 모듈(10)이 제2 모듈(20) 상단에, 또 다른 1개의 제1 모듈(10)이 제2 모듈(20) 하단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후술할 N개(N은 자연수)의 제2 모듈(20)을 기준으로 윗면과 아랫면(눕혀서 배치한 경우) 또는 앞면과 뒷면(세워서 배치한 경우)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기에 제1 모듈(10)은 2개가 필요한 것이며, 2개의 제1 모듈(10)은 서로 동일하기에 어떠한 것이 윗면 또는 앞면으로, 어떠한 것이 아랫면 또는 뒷면으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1 모듈(10)은 중심(C) 방향으로 제1 길이(d1)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끼움부(11)는 후술할 제2 키트(Ⅱ)와 끼워지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인바, 하나 이상만을 포함하면 충분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에서 기본 뼈대가 되는 제1 모듈(10)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 가급적 많은 수의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도 1에는 2개의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길이(d1)에 관하여 정해진 것은 없으나, 제1 모듈(10)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중심(C)까지의 거리, 즉 제1 모듈(10)의 세로 길이의 절반 미만이되, 후술할 제2 모듈(20)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21)의 길이인 제2 길이(d2) 이상이기만 하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제1 모듈(10)의 형상은 제1 형상이며, 제1 형상의 구체적인 종류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나 다각형일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제1 모듈(10)이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별도의 구성들이 서로 결합된 것이 아니기에 제1 형상 자체로 인해 제1 모듈(10)이 제1 끼움부(11)를 포함하게 되도록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제1 형상이 제1 끼움부(11)와 더불어 그 외주면에 4개 배치된 살짝 튀어나온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제2 돌출부(12)이며, 제2 돌출부(12) 역시 제1 끼움부(11)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구성들이 서로 결합된 것이 아닌, 제1 형상 자체로 인해 제1 모듈(10)이 제2 돌출부(12)를 포함하게 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즉, 제1 모듈(10)은 외주면에 배치된 제2 돌출부(12)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제1 모듈(10) 각각은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홀(H1)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도 1에는 8개의 제1 홀(H1)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홀(H1)은 그 명칭이 홀이라 하여 그 형상이 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모듈(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것이라면 형상과 무관하게 제1 홀(H1)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제1 홀(H1)에는 다른 구성이 삽입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모듈(20)은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N개 배치되며, 중심(C) 방향으로 제2 길이(d2)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부(21)를 포함하되, 제2 모듈(20)의 형상은 제2 형상이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기 때문에 1 이상이기만 하면 무방하나, N이 1인 경우 각각의 모듈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는다면 제1 키트(Ⅰ) 전체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기에 목구조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취지상, N은 2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도 1에는 N이 2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끼움부(21)에 대해서는 앞서 제1 끼움부(21)와 제1 형상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나, 차이가 있다면 제2 끼움부(21)는 중심(C) 방향으로 제1 길이(d1)가 아닌 제2 길이(d2)가 패어있으며, 제2 길이(d2)는 제1 길이(d1) 이하라는 것이다.
즉, 바깥쪽에 배치된 모듈이 포함하는 끼움부보다 안쪽에 배치된 모듈이 포함하는 끼움부가 그 중심(C) 방향으로 조금 덜 패어 있다는 것인바, 제1 모듈(10, 실선)과 제2 모듈(20, 점선)을 포개어 배치한 상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중심(C)을 동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2 길이(d2)가 제1 길이(d1) 이하이기에 제2 끼움부(21)가 제1 끼움부(11) 보다 중심(C) 방향으로 덜 패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길이(d1) 및 제2 길이(d2)의 차이로 인해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N개의 제2 모듈(20)이 배치되면 별도의 비어있는 공간이 생성되고, 해당 공간에 다른 구성이 삽입될 수 있는바, 이는 정면도를 검토하면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2 형상은 제1 형상 내부에 포함되는 형상이어야 하며, 제2 형상이 제1 형상 내부에 포함되는 형상이 되기 위해서는 두 형상이 서로 유사한 형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것이다.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는바, 제1 끼움부(11)와 제2 끼움부(21)의 길이의 차로 인한 일부 형상의 차이, 제1 홀(H1)을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한 일부 형상의 차이와 제2 돌출부(12)를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한 일부 형상의 차이를 제외하면 제1 모듈(10)의 형상이 중심(C) 방향의 직사각형과 해당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된 4개의 직사각형의 외주면이 이루는 형상이며, 제2 모듈(10)의 형상 역시 중심(C) 방향의 직사각형과 해당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된 4개의 직사각형의 외주면이 이루는 형상으로서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제2 모듈(20)는 제1 모듈(10)과 같이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홀과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2 모듈(20) 역시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홀과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모듈(20)에 홀을 형성하거나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제2 형상을 구현하는 것 역시 제2 모듈(20)의 제조 비용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며, 홀과 돌출부의 기능은 제2 모듈(20)을 사이에 두고 2개 배치되는 제1 모듈(10) 각각이 포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포함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1 키트(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2개의 제1 모듈(10)과 이들 사이에 제2 모듈(20)이 2개 배치된 제1 키트(Ⅰ)의 사시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제1 키트(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 설명할 모듈 중, 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집합이라면 어느 것이나 키트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중요한 것은 동일한 모듈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되, 이들 사이에 이와 유사한 형상의 또 다른 모듈 N개가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서 끼움부의 길이 차이가 존재한다면 키트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제2 키트(Ⅱ)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바,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은 제2 키트(Ⅱ)를 더 포함하며, 제2 키트(Ⅱ)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3 길이(d3)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3 끼움부(31)를 포함하는 제3 형상의 제3 모듈(30) 및 2개의 제3 모듈 사이에 N개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4 길이(d4)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4 끼움부(41)를 포함하는 제4 형상의 제4 모듈(40)을 포함하되, 제4 길이(d4)는 제3 길이(d3) 이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2 키트(Ⅱ)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2 키트(Ⅱ)는 제3 모듈(30) 및 제4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모듈(30)은 제1 키트(Ⅰ)가 포함하는 제1 모듈(10)에, 제4 모듈(30)은 제2 모듈(20)에 대응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형상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바, 제3 모듈(30)은 제3 형상, 제4 모듈(40)은 제4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제1 모듈(10)의 제1 형상, 제2 모듈(20)의 제2 형상 각각과 상이한 형상이되, 제1 형상 및 제2 형상과 마찬가지로 제3 형상 및 제4 형상은 서로 유사한 형상이라 할 것이다.
또한, 제3 길이(d3)와 제4 길이(d4) 역시 차이점으로 볼 수 있는바, 제1 모듈(10)이 포함하는 제1 끼움부(11)는 제1 길이(d1)만큼 중심(C) 방향으로 패어있음에 반해 제3 모듈(30)이 포함하는 제3 끼움부(31)는 제3 길이(d3)만큼 중심(C) 방향으로 패어있으며, 제2 모듈(20)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21)는 제2 길이(d2)만큼 중심(C) 방향으로 패어있음에 반해 제4 모듈(40)이 포함하는 제4 끼움부(41)는 제4 길이(d4)만큼 중심(C) 방향으로 패어있고, 제2길이(d2)와 제1 길이(d1) 사이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4 길이(d4)는 제3 길이(d3) 이하이다.
이 경우 제1 길이(d1)와 제3 길이(d3)와의 관계, 제2 길이(d2)와 제4 길이(d4)와의 관계를 살펴본다면 특별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며, 제1 길이(d1)와 제3 길이(d3)가, 제2 길이(d2)와 제4 길이(d4)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길이(d1)와 제3 길이(d3)가, 제2 길이(d2)와 제4 길이(d4)가 동일하다면 후술할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과 나머지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은 서로 접촉할 만큼 둘 사이의 간격은 없어지게 되는 것이며, 제1 길이(d1)와 제3 길이(d3)가, 제2 길이(d2)와 제4 길이(d4)가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제3 길이(d3)가 제1 길이(d1) 보다 길고 제4 길이(d4)가 제2 길이(d2) 보다 길다면 후술할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황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과 나머지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길이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간격이 생성되는 것이다.
도 5는 제1 키트(Ⅰ)와 제2 키트(Ⅱ)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인바,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모듈(10) 각각이 포함하는 제1 끼움부(11) 및 2개의 제2 모듈(20) 각각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21)와 2개의 제3 모듈(30) 각각이 포함하는 제3 끼움부(31) 및 2개의 제4 모듈(40) 각각이 포함하는 제4 끼움부(41)가 서로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제1 키트(Ⅰ)와 제2 키트(Ⅱ)가,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모듈(10) 각각이 포함하는 제1 끼움부(11) 및 2개의 제2 모듈(20) 각각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21)와 2개의 제3 모듈(30) 각각이 포함하는 제3 끼움부(31) 및 2개의 제4 모듈(40) 각각이 포함하는 제4 끼움부(41)가 서로 끼워짐에 있어서 90°의 각도를 이루며 끼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제1 모듈(10) 및 N개(도 5의 경우 2개)의 제2 모듈(20)의 두께의 합인 제1 키트(Ⅰ)의 두께의 합과 2개의 제3 모듈(30) 및 N개(도 5의 경우 2개)의 제4 모듈(40)의 두께의 합인 제2 키트(Ⅱ)의 두께의 합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1 키트(Ⅰ) 및 제2 키트(Ⅱ)가 별도의 고정 수단이나 접착 수단 없이 순수하게 끼워지는 것만으로도 강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모듈(10) 및 N개의 제2 모듈(20)의 두께의 합인 제1 키트(Ⅰ)의 두께의 합과 2개의 제3 모듈(30) 및 N개의 제4 모듈(40)의 두께의 합인 제2 키트(Ⅱ)의 두께의 합이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모듈(10)과 제3 모듈(30), 제2 모듈(20)과 제4 모듈(40)의 두께가 동일하다는 것이며,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하기 위해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두께까지 동일하게 구현한다면 제1 모듈(10) 내지 제4 모듈(40) 각각의 두께가 전부 동일하게 될 것이다.
이번에는 앞서 설명을 보류한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와 해당 상태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또 다른 모듈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제2 키트(Ⅱ)와 끼워지는 경우, 1개의 제1 키트(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과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은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제1 홀(H1)이 제1 끼움부(21)를 사이에 두고 양 쪽 모두에 배치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인바, 이하 설명할 제5 모듈(50)에 배치된 제2 홀(H2)과 함께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이 삽입된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제1 키트(Ⅰ)에 대한 설명에서 제1 끼움부(11)가 패어있는 제1 길이(d1) 및 제2 끼움부(21)가 패어있는 제2 길이(d2)의 차이로 인해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N개의 제2 모듈(20)이 배치되면 별도의 비어있는 공간이 생성되고, 해당 공간에 다른 구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정면도를 검토하면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바, 도 7에 도 6의 정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길이(d1)과 제2 길이(d2)의 차이로 인해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E)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2개의 제1 키트(Ⅰ)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앞서 제1 길이(d1)와 제3 길이(d3)가, 제2 길이(d2)와 제4 길이(d4)가 동일하다면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과 나머지 하나의 제1 키트(Ⅰ)의 일단은 서로 접촉할 만큼 둘 사이의 간격은 없어지게 된다고 했던바,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이러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1개의 제1 키트(Ⅰ-1)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제1 홀(H1-1)사이의 공간인 공간(E1)과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제1 홀(H1-2) 사이의 공간인 공간(E2)이 합쳐져 전체 비어있는 공간(E)이 생성된다.
해당 비어있는 공간(E)에 끼워지는 모듈이 제5 모듈(50)인바, 즉 제5 모듈(50)은 제1 모듈(10)의 제1 형상 및 제2 모듈(20)의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Empty) 공간 중, 1개의 제1 키트(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사이의 공간(E1)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사이의 공간(E2)에 끼워지며, 더 나아가 소정 영역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2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모듈(50)은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 공간(E)에 끼워지기에 그 두께는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배치된 N개의 제2 모듈(20)의 두께와 동일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이 2라면, 제5 모듈(50)의 두께는 2개의 제2 모듈(20)의 두께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제5 모듈(50)은 N개의 제2 모듈(2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1개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5-1 모듈(50-1) 내지 제5-N 모듈(50-N)과 같이 여러 층을 적층하여 배치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할 것이고, 이 경우 제5-1 모듈(50-1) 내지 제5-N 모듈(50-N) 모두 소정 역역에 배치된 제2 홀(H2)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 제5 모듈(50)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바, N이 2이기에 제5 모듈(50)이 2개의 층인 제5-1 모듈(50-1) 및 제5-2 모듈(50-2)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5-1 모듈(50-1) 및 제5-2 모듈(50-2) 전체의 두께(x)는 2개의 제2 모듈(20)의 두께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5 모듈(50)의 가로 길이(y)는 앞서 제5 모듈(50)이 끼워지는 빈 공간(E)이 제1 끼움부(11)의 제1 길이(d1)와 제2 끼움부(21)의 제2 길이(d2)와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며, 1개의 제1 키트(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사이의 공간(E1)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사이의 공간(E2)을 포함하는 빈 공간(E)에 끼워지기 때문에 (d1-d2)+(d1-d2)인 2(d1-d2)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빈 공간(E)에 별도의 고정 수단이나 접착 수단 없이 순수하게 끼워지는 것만으로도 강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5 모듈(50)의 세로 길이(z)는 빈 공간(E)의 가장 안쪽에 제2 키트(Ⅱ)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5 모듈(50)이 끼워진 상태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의 길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12)를 제외한 상태에서 제1 모듈(10)의 세로 길이 중, 제1 끼움부(11)를 제외한 길이의 절반 정도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5 모듈(50)이 빈 공간(E)에 끼워져서 강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것과는 별론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은 목구조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 제안된바, 모듈들 사이에서의 고정력을 더욱 강하게 함은 아무리 지나쳐도 문제가 없다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이 제6 모듈(60)과 제7 모듈(70)이다.
제5 모듈(50)이 빈 공간(E)에 끼워지되, 두께(x), 가로(y) 길이 및 세로(z)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강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할 것이나,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끼워진 제5 모듈(50)이 빠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 경우 제1 모듈(10)이 포함하는 제1 홀(H1), 제5 모듈(50)이 포함하는 제2 홀(H2)에 삽입되는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을 통해 끼워진 제5 모듈(50)이 빠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제5 모듈(50)이 끼워진 상태의 도 8에 있어서 제6 모듈(60)과 제7 모듈(70)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이에 대한 확대도인바, 제5 모듈(50)을 기준으로 제6 모듈(60)은 위쪽에서 삽입되고, 제7 모듈(70)은 아래쪽에서 삽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을 보류한 제1 홀(H1)에 삽입되는 다른 구성이 제6 모듈(60)과 제7 모듈(7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6 모듈(60)은 1개의 제1 키트가(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1)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2-1)에 동시에 삽입되며, 제7 모듈(70)은 1개의 제1 키트가(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2)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2-2)에 동시에 삽입되고, 여기서 제1 면 방향은 2개의 제1 모듈(10) 중 윗면이 노출된 제1 모듈(10)의 방향, 제2 면 방향은 2개의 제1 모듈(10) 중 아랫면이 노출된 제1 모듈(10)의 방향일 수 있다.
삽입된 제6 모듈(60)은 제5 모듈(50)이 포함하는 제2 홀(H2)에게로 까지 삽입되며, 삽입된 제7 모듈(70) 역시 제5 모듈(50)이 포함하는 제2 홀(H2)에게도 까지 삽입되는바, 제5 모듈(50)을 사이에 두고 제6 모듈(60)이 위에서, 제7 모듈(70)이 아래서 삽입되기에 2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제6 모듈(60)이 ㄷ 자 형상으로 구현되어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1개의 제1 키트가(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1)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2-1)에 삽입되어 제5 모듈(20)이 포함하는 2개의 제2 홀(H2)에게로 까지 삽입되고, 제7 모듈(70) 역시 ㄷ 자 형상으로 구현되어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1개의 제1 키트가(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2)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2-2)에 삽입되어 제5 모듈(50)이 포함하는 2개의 제2 홀(H2)에게로 까지 삽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5 모듈(50)이 포함하는 홀은 2개임에 반해,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위와 아래, 전체 4개(제6 모듈의 다리 2개, 제7 모듈의 다리 2개)이기에 어떠한 관계로 삽입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역시 고정력 강화에 관한 것인바,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제1 홀(H1)에 대한 설명에서 제1 홀은 명칭이 홀이라고 하여 그 형상이 원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모듈(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것이라면 형상과 무관하게 제1 홀(H1)로 볼 수 있다고 했던바,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과의 삽입 관계까지 고려하는 경우 제1 홀(H1)의 형상은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의 형상과 연관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정력 강화를 위함이다.
그에 따라 제6 모듈(60)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6 모듈(6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는 1개의 제1 키트가(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1) 내에서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H-1-1-p)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2-1) 내에서 1개의 제1 키트(Ⅰ-1)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H1-2-1-p)에 삽입되며, 제7 모듈(70)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7 모듈(7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는 1개의 제1 키트(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H1-1-2) 내에서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H1-1-2-q)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H1-2-2) 내에서 1개의 제1 키트(Ⅰ-1)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H1-2-2-q)에 삽입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제1 홀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눈 상태에서 제1홀이 2개인 경우 전체 나누어진 영역은 4개가 되며, 4개의 영역 중, 안쪽(서로 근접하게 위치한) 2개의 영역에는 제6 모듈(6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가, 바깥쪽(서로 멀리 위치한) 2개의 영역에는 제7 모듈(7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가 삽입되는 것이며,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리들과 홀 사이에 별도의 공간이 남지 않고 꽉 찬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6 홀(6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의 단면, 제7 홀(7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의 단면 및 제1 홀(H1)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서 각각의 영역의 단면이 서로 동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홀(70)의 형상이 가로 20cm, 세로 6cm의 직사각형이라면, 제6 홀(6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의 단면은 가로 10cm, 세로 6cm의 작사각형 형상, 제7 홀(7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의 단면 역시 가로 10cm, 세로 6cm의 직사각형 형상이라면 1개의 제1 홀(70)에 제6 홀(6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 중 하나와 제7 홀(70)이 포함하는 2개의 다리 중 하나가 꽉 찬 상태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상태와 해당 상태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또 다른 모듈들인 제5 모듈(50),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도 8 및 도 9에서 제 2 키트(Ⅱ)를 기준으로 앞부분에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구성인바, 사시도이기 때문에 제2 키트(Ⅱ)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는 않지만 제2 키트(Ⅱ)의 뒷부분 역시 동일한 구성들이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번에는 제5 모듈(50),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이 아닌, 제2 키트(Ⅱ)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인 제8 모듈(8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제8 모듈(80)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바, 제2 키트(Ⅱ)의 윗부분에도 끼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도면으로 도시하는 경우 가려지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5 모듈(50)과 마찬가지로 제2 키트(Ⅱ)의 앞부분에 끼워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제8 모듈(80)은 제1 모듈(10)의 제1 형상, 제2 모듈(20)의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2개의 제1 모듈(10) 사이에 생성되는 빈 공간(E) 중, 1개의 제1 키트(Ⅰ-1)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1) 사이의 공간(E1)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Ⅰ-2)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H1-2) 사이의 공간(E2)에 제8 형상을 나타내고 끼워지며, 끼워지는 일부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3 홀(H3)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8 모듈(80)은 제5 모듈(50)과 마찬가지로 빈 공간(E)에 끼워지는 구성이기에 제5 모듈(5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며,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5 모듈(50)이 빈 공간(E)에 그 전부가 끼워짐에 반해, 제8 모듈(50)은 동일한 빈 공간(E)에 그 일부가 끼워지며, 이는 제8 모듈(80)이 빈 공간(E)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나머지 일부가 존재한다는 존재한다는 것이고, 외부로 노출되는 나머지 일부 중 끝단은 또 다른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과 끼워질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바, 결국 제8 모듈(80)은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하나의 구조물과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또 다른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끼워지는 일부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3 홀(H3)은 앞서 제5 모듈(50)의 소정 영역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2 홀(H2)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바, 그에 따라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이 제2 홀(H2)과 마찬가지로 제3 홀(H3)에도 삽입되어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으나,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기에 중복 서술을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8 모듈(80)의 양단에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이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에서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6 모듈(60) 및 제7 모듈(70)을 삽입했다 할지라도 제1 키트(Ⅰ) 및 제2 키트(Ⅱ) 대비 두께가 얇은 제8 모듈(80) 자체를 그리고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과의 결합을 강화시켜줄 부가적인 구성이 요구된다. 이는 제9 모듈(90)에 관한 것이며,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제9 모듈(90)은 제1 돌출부(82)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4 홀(H4) 및 중심(C) 방향으로 제5 길이(d5)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5 끼움부(91)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제4 홀(H4) 및 하나 이상의 제5 끼움부(91)를 포함한 형상이 제9 형상이고,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5 홀(H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제9 모듈(90)이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바, 제8 모듈(80)이 제1 돌출부(82)를 양쪽 외주면 모두에 포함함으로써 제9 모듈(90) 2개가 제8 모듈(80) 양쪽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8 모듈(80)이 포함하는 제1 돌출부(82)는 제9 모듈(90)이 포함하는 제4 홀(H4)에 삽입되는바, 제1 돌출부(82)의 형상과 제4 홀(H4)의 형상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8 모듈(80)과 제9 모듈(90)은 90°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 할 것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제9 모듈(90)은 제5 끼움부(91)를 양단에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5 끼움부(91)는 제9 모듈(90)과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 2개 사이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8 모듈(80), 제9 모듈(90) 그리고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 전체와의 관계에서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 끼움부(91)에는 2개의 제1 모듈(10) 및 N개의 제2 모듈(2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제5 끼움부(91)는 제1 키트(Ⅰ)를 바깥쪽에서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5 끼움부(91)의 제5 길이(d5)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은 없으나, 앞서 제5 모듈(50)의 세로 길이(z)와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12)를 제외한 상태에서 제1 모듈(10)의 세로 길이 중, 제1 끼움부(11)를 제외한 길이의 절반 정도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제9 모듈(90)이 끼워진 상태에서 추가적인 키트(Ⅲ)가 끼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바, 추가적인 키트(Ⅲ)는 제2 키트(Ⅱ)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Ⅰ)가 양쪽에서 끼워진 구조물 중 제2 키트(Ⅱ)의 남은 하나의 끼움부,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끼움부(31) 및 제4 끼움부(41)와 90°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끼워진다.
한편, 추가적인 키트(Ⅲ)는 그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제1 키트(Ⅰ)와 동일해 보이나,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쪽에 배치된 끼움부의 양쪽 끝에 홈(P)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추가적인 키트(Ⅲ)가 끼워진 상태에서 아래 배치하게 되는 제6 모듈(60)의 상단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라 할 것이며, 이는 추가적인 키트(Ⅲ)를 이루는 모듈 전부에게 적용되는 설명이라 할 것이나, 이를 제외하고 제1 키트(Ⅰ)와 큰 차이점은 없으므로 별도의 모듈로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제1 모듈(10) 내지 제9 모듈(90)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제1 모듈(10) 내지 제9 모듈(90) 전부와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모듈들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키트(Ⅲ)가 끼워진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5에 도시된 사시도가 나타내는 구조물을 구조물 1이라 할 경우, 구조물 1을 가로 방향의 길이로 늘리기 위해서는 이상 설명한 모듈들로 이루어진 또 다른 구조물인 구조물 2와 이를 구조물 1과 연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모듈이 요구된다. 이는 제10 모듈(100)에 관한 것이며,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제10 모듈(100)이 구조물 1과 구조물 2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바, 제10 모듈(100)은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3 돌출부(102)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돌출부(104)를 포함하는 제10 형상을 나타내며, 제3 돌출부(102)는 가로 방향의 외주면에, 제4 돌출부(104)는 세로 방향의 외주면에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제4 돌출부(104)는 제9 모듈(90)이 포함하는 제5 홀(H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 1과 구조물 2는 가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하는 제10 모듈(100)의 개수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을 가로 방향의 길이로 계속하여 늘려갈 수 있으며, 도 17에서 도시된 연결까지 완료된 구조물을 도 18에 도시하였고, 이를 구조물 3로 명명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구조물 3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늘리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도 14에 대한 설명에서 추가적인 키트(Ⅲ)가 끼워진 것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늘리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추가적인 키트(Ⅲ)가 포함하는 노출된 끼움부에 제1 키트(Ⅰ)가 끼워질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세로 방향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세로 방향의 길이를 늘림에 있어선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돌출부(112)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6 돌출부(114) 및 중심(C) 방향으로 제6 길이(d6, 미도시)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6 끼움부(111, 미도시)를 포함하는 제11 형상의 제11 모듈(110)이 요구되며, 구조물 3에 제1 키트(Ⅰ), 제9 모듈(90), 제10 모듈(100)과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제10´ 모듈(100´) 및 제11 모듈(110)이 끼워지는 모습을 도 19에 도시하였다.
제10 모듈(100)과 제11 모듈(110)로 인해 구조물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어느 정도까지 늘릴지는 목구조 건축물의 설계자의 설계도에 의할 것이다.
도 20에는 임의의 설계도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길이가 늘린 구조물을 도시하였으며, 이를 구조물 4로 명명하도록 한다.
구조물 4까지 시공되었다면, 어느 정도 팀버 프레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상태이기 때문에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를 면으로 채워줄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제12 모듈(120)에 관한 것이다.
제12 모듈(120)은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12)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6 홀(H6)을 포함하며, 제12 형상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설명한 다른 모듈들과는 다르게, 제12 모듈(120)은 면의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끼움부, 돌출부 등이 필요 없으며, 오직 제6 홀(H6)만을 포함함으로써 제2 돌출부(12)와 끼워지기만 하면 충분하다.
한편, 제12 모듈(120)의 제 12 형상은 어느 하나도 고정된 형상은 아니라 할 것이며, 채워야 하는 면의 형상에 따라 제12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 21은 구조물 4에 복수의 제12 모듈(120)을 끼운 목구조 건축물의 사시도인바, 이후 바닥/벽 작업, 마감 작업 등을 수행함으로써 건축물의 일반적인 외형을 갖출 수 있다 할 것이며, 모든 과정을 완료한 건축물의 사시도를 도 22에 도시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모듈을 서로 끼우거나 삽입하는 등의 간단한 시공만으로도 목구조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는바, 비전문가도 시공에 참여할 수 있는 낮은 시공 난이도를 구현함으로써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인건비가 높은 전문가인 목수의 비중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성하고자 하는 목구조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끼우거나 삽입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시공자의 실력에 따른 품질 편차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면 1 내지 도면 21에 도시한 다양한 모듈들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완성하고자 하는 목구조 건축물의 설계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1000)의 제조사는 그에 맞는 모듈들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나, 그 경우에도 모듈들간의 결합과 결합의 기본적인 원리는 이상 설명한 기술적 사항들이 적용된다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셀프 빌딩 시스템
10: 제1 모듈
11: 제1 끼움부
12: 제2 돌출부
H1: 제1 홀
20: 제2 모듈
21: 제2 끼움부
30: 제3 모듈
31: 제3 끼움부
40: 제4 모듈
41: 제4 끼움부
50: 제5 모듈
H2: 제2 홀
60: 제6 모듈
70: 제7 모듈
80: 제8 모듈
82: 제1 돌출부
H3: 제3 홀
90: 제9 모듈
91: 제5 끼움부
H4: 제4 홀
H5: 제5 홀
P: 홈
100: 제 10 모듈
102: 제3 돌출부
104: 제4 돌출부
110: 제11 모듈
111: 제6 끼움부
112: 제5 돌출부
114: 제6 돌출부
120: 제12 모듈
H6: 제6 홀

Claims (12)

  1. 제1 키트(Kit) 및 제2 키트를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트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1 길이(d1)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1 형상의 제1 모듈(Module); 및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N개(N은 자연수)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d1) 이하인 제2 길이(d2)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2 형상의 제2 모듈;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키트는,
    2개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제3 길이(d3)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3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3 형상의 제3 모듈; 및
    상기 2개의 제3 모듈 사이에 N개(N은 자연수) 배치되며,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3 길이(d3) 이하인 제4 길이(d4)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4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4 형상의 제4 모듈;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은,
    소정 영역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홀(Hole);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키트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제1 키트가 양쪽에서 상기 제2 키트와 끼워지는 경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과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은 인접하여 배치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1 끼움부 및 N개의 제2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2 끼움부와 2개의 제3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3 끼움부 및 N개의 제4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제4 끼움부는 90°의 각도를 이루며 서로 끼워지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모듈 및 N개의 제2 모듈의 두께의 합과 상기 2개의 제3 모듈 및 N개의 제4 모듈의 두께의 합은 동일한,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며,
    상기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Empty) 공간 중,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제5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모듈은,
    소정 영역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2 홀;
    을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6 형상의 제6 모듈; 및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7 형상의 제7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모듈은,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 및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1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삽입되며,
    상기 제7 모듈은,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 및 상기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중 제2 면 방향에 배치된 제1 홀 내에서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르는 영역에 삽입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며,
    상기 제1 형상 및 제2 형상의 차이로 인해 상기 2개의 제1 모듈 사이에 생성되는 빈(Empty) 공간 중, 상기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 및 나머지 1개의 제1 키트가 포함하는 둘 이상의 제1 홀 사이의 공간에 일부가 끼워지는 제8 형상의 제8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모듈은,
    상기 끼워지는 일부에 배치된 둘 이상의 제3 홀; 및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
    를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4 홀;
    상기 제4 홀의 측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5 홀; 및
    중심 방향으로 제5 길이(d5) 패어있는 하나 이상의 제5 끼움부;
    를 포함하는 제9 형상의 제9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8 모듈과 제9 모듈은 90°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제5 끼움부에는 상기 2개의 제1 모듈 및 N개의 제2 모듈이 끼워지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3 돌출부; 및
    가로 방향의 상기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5 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돌출부;
    를 포함하는 제10 형상의 제10 모듈; 및
    세로 방향의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돌출부;
    가로 방향의 상기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6 돌출부; 및
    중심 방향으로 제6 길이(d6) 패어있되, 상기 제1 키트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제6 끼움부;
    를 포함하는 제11 형상의 제11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모듈 각각은,
    외주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6 홀을 포함하는 제12 형상의 제12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KR1020200114439A 2020-09-08 2020-09-08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KR102242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39A KR102242684B1 (ko) 2020-09-08 2020-09-08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US18/044,367 US20230358031A1 (en) 2020-09-08 2021-06-17 Self-Building Kit System
PCT/KR2021/007610 WO2022055084A1 (ko) 2020-09-08 2021-06-17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39A KR102242684B1 (ko) 2020-09-08 2020-09-08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684B1 true KR102242684B1 (ko) 2021-04-20

Family

ID=7574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439A KR102242684B1 (ko) 2020-09-08 2020-09-08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58031A1 (ko)
KR (1) KR102242684B1 (ko)
WO (1) WO2022055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84A1 (ko) * 2020-09-08 2022-03-17 박상욱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5A (ja) * 1997-06-11 1999-01-06 Munehiro Tomihama 板材を交互に積み上げて築く建物の壁構造
KR101583552B1 (ko) * 2014-02-12 2016-01-08 서정미 목재로 만들어진 벽체 모듈
KR20190049096A (ko) 2017-11-01 2019-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레이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306B2 (ja) * 1992-07-17 1995-08-30 出 橋詰 組立て式ハウスの構築方法
US5771649A (en) * 1995-12-12 1998-06-30 Monotech International, Inc. Concrete monocoque building construction
KR102242684B1 (ko) * 2020-09-08 2021-04-20 박상욱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5A (ja) * 1997-06-11 1999-01-06 Munehiro Tomihama 板材を交互に積み上げて築く建物の壁構造
KR101583552B1 (ko) * 2014-02-12 2016-01-08 서정미 목재로 만들어진 벽체 모듈
KR20190049096A (ko) 2017-11-01 2019-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레이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84A1 (ko) * 2020-09-08 2022-03-17 박상욱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084A1 (ko) 2022-03-17
US20230358031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091B2 (ja) 木造建築物開口部における耐震用フレーム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2242684B1 (ko)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KR102242685B1 (ko) 목구조 건축물 자가 시공 방법
JP4400833B2 (ja) 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ピース
KR100855547B1 (ko)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 연결 구조
JP2008002091A5 (ko)
US5375389A (en) Joi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members
JP6562578B1 (ja) 二重床用の接合木質複合材と該複合材を用いた二重床構造
JP5518017B2 (ja) 木造建築物開口部における耐震用フレーム
KR20180040184A (ko) 조립식 미니온실
JP3224905U (ja) 統一梁工法に基づく軸組木造建築物
JP2020023802A (ja) 間仕切耐力壁
JP7384370B1 (ja) 住宅用の鉄筋コンクリート製躯体、住宅用の鉄筋コンクリート製躯体の設計方法
JP2022095135A (ja) 建物構造
JP7105344B1 (ja) 木造建築物の壁体構造、木造建築物及びその建築方法
JP4336280B2 (ja) 床パネル、及び床構造
KR102260114B1 (ko)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
JP4340402B2 (ja) 建物の屋根構造および屋根施工方法
KR100321845B1 (ko) 조립식문틀의제작방법
JPH1181474A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2001059274A (ja) ユニット建物
JPH10252153A (ja) ユニット式建物
JP3802633B2 (ja) ユニット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JP2967468B2 (ja) 木造建築物のユニット軸組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