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543B1 -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543B1
KR102242543B1 KR1020190145263A KR20190145263A KR102242543B1 KR 102242543 B1 KR102242543 B1 KR 102242543B1 KR 1020190145263 A KR1020190145263 A KR 1020190145263A KR 20190145263 A KR20190145263 A KR 20190145263A KR 102242543 B1 KR102242543 B1 KR 10224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release paper
drug
paper
vacu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진
Original Assignee
임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진 filed Critical 임병진
Priority to KR102019014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7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by attaching individual patches on moving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3Corn-pads; Corn-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발에 생긴 티눈을 제거하기 위한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원형 약제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상기 원형 약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약제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링형 스펀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된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상기 링형 스펀지를 부착하여 정렬하는 스펀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이형지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약제-스펀지)에 밀착시켜 상기 약제-스펀지를 상기 이형지의 표면으로 옮겨서 부착하는 이형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으로 점착지를 공급하여 상기 약제-스펀지가 부착된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상기 점착지를 부착하는 점착지공급부와, 상기 약제-스펀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점착지를 밴드 형태로 절단하여 밴드형 점착지를 형성하는 점착지절단기와 상기 밴드형 점착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이형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이형지절단기를 포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and Packing System of Patch}
본 발명은 손발에 생긴 티눈을 제거하는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링형 스펀지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가 위치하도록 정렬한 후 이들을 이형지에 옮겨 부착하고 그 상면에 점착지를 부착한 다음 점착지와 이형지를 차례로 절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거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티눈은 손과 발 등의 피부가 기계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아서 작은 범위의 각질이 증식되어 원뿔 모양으로 피부에 박혀 있는 것을 말하며 위에서 누르면 아픈 특징이 있고 티눈을 깎았을 때 중심핵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티눈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마찰이나 압력이 피부에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발에 맞는 편안한 신발을 신거나 패드 등을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줄인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피부 각질을 녹여주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나 젖산(lactic acid) 도포제, 티눈고 등을 사용해 각질이 연해지면 깨끗한 면도날 등으로 조심스럽게 깎아내고 소독한다.
최근에는 티눈을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는 티눈제거용 패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티눈제거용 패치는 살리실산이나 젖산이 포함된 약제와 티눈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줄이기 위한 스펀지가 구비된다.
도 3(a)은 이러한 티눈제거용 패치(3)의 일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b) 도 1(a)에 도시된 티눈제거용 패치(3)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눈제거용 패치(3)는, 일정한 크기의 이형지(31c)에 점착지(41c)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31c)와 점착지(41c) 사이에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원형 약제(11c)는 링형 스펀지(21c)의 가운데에 정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티눈제거용 패치(3)를 제조할 때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링형 스펀지(21c)를 배치하는 정렬과정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정렬하는 과정을 로봇 팔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로봇 팔은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흡착한 상태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한 후 수평 이동하는 컨베이어에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내려놓으면서 정렬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길고 이동 중에 원형 약제나 링형 스펀지를 놓쳐서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로봇 팔은 비교적 고가이므로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772호(등록일:2010년11월2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85160 (공개일:2001년09월07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가의 로봇 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어 생산속도가 빠르고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진공드럼을 이용하여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빠르고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 스펀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스크랩배출수단이 구비되어 제조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는,
일정 크기의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되는 밴드형 점착지 및 상기 점착지와 이형지 사이에 부착되는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 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의 일부를 폐쇄하는 차단 부재가 구비된 원통형의 진공드럼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원형 약제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상기 원형 약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약제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링형 스펀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된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상기 링형 스펀지를 부착하여 정렬하는 스펀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이형지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약제-스펀지에 밀착시켜 상기 약제-스펀지를 상기 이형지의 표면으로 옮겨서 부착하는 이형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으로 점착지를 공급하여 상기 약제-스펀지가 부착된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상기 점착지를 부착하는 점착지공급부와;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또는 약제-스펀지)가 포함하도록 상기 점착지를 밴드 형태로 절단하여 밴드형 점착지를 형성하는 점착지절단기와;
상기 밴드형 점착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이형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이형지절단기;를 포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제원단은, 약제이형지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약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스펀지원단은, 스펀지이형지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지원단은 점착지박리지의 하면에 일정한 두께로 점착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진공드럼은 내부가 빈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진공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진공드럼의 회전에 관계없이 일 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상면에는 상기 약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형 약제가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하면에는 상기 스펀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링형 스펀지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된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링형 스펀지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일 측면에서는 상기 이형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이형지가 밀착된 후 분리되어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던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약제-스펀지)가 상기 이형지에 옮겨 부착된다.
상기 약제공급부는, 약제원단을 공급하는 약제원단공급롤과, 상기 약제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약제원단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약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원형 약제를 형성하는 약제절단기와, 상기 원형 약제를 제외한 약제 자투리를 분리시키는 약제자투리분리기와, 상기 약제자투리분리기에서 분리된 약제자투리를 권취 하는 약제자투리권취롤과, 상기 약제원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를 분리시켜서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하는 약제부착기와, 상기 원형 약제가 분리된 약제이형지를 권취 하는 약제이형지권취롤을 포함한다.
상기 스펀지공급부는, 스펀지원단을 공급하는 스펀지원단공급롤과, 상기 스펀지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스펀지원단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를 링형으로 절단하여 링형 스펀지를 형성하는 스펀지절단기와, 상기 다수의 링형 스펀지가 부착된 스펀지원단으로부터 상기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의 주변에 부착하는 스펀지부착기와, 상기 스펀지부착기에서 링형 스펀지가 분리된 스펀지자투리와 스펀지이형지를 권취 하는 스펀지자투리권취롤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지공급부는, 이형지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롤과, 상기 이형지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이형지밀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지공급부는, 점착지원단을 공급하는 점착지원단공급롤과, 상기 점착지원단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지박리지를 분리하는 박리지분리기와, 상기 박리지분리기에서 분리되는 점착지박리지를 권취 하는 박리지권취롤과, 상기 박리지분리기에서 점착지박리지가 분리된 점착지를 상기 진공드럼에서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하는 점착지부착기와,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된 점착지를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약제-스펀지)가 포함되도록 밴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점착지절단기와, 상기 점착지절단기에서 절단된 밴드 형상의 점착지를 제외한 점착지자투리를 권취 하는 점착지권취롤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지절단기에서 배출되는 이형지를 하나 이상의 밴드형 점착지가 포함되도록 절단하는 이형지절단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형지절단기의 후단에는 포장지공급기, 포장지실링기 및 포장지절단기로 구성되어 상기 티눈제거용 패치를 포장하는 포장장치가 더 설치된다.
상기 약제공급부, 스펀지공급부, 이형지공급부 및 점착지공급부에는 각각 상기 약제원단, 스펀지원단, 이형지 및 점착지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링형 스펀지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가 위치하도록 정렬한 후 상기 진공드럼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약제-스펀지)를 이형지의 표면에 옮겨 부착한 후 그 상면으로 점착지를 공급하여 부착한 다음 상기 점착지와 이형지를 차례로 절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함으로써 고가의 로봇 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속도가 빠르고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형 스펀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스크랩배출수단을 통해서 자동으로 배출하여 수검함으로써 제조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여러 원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드럼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약제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형지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점착지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공급부, 이형지공급부 및 점착지공급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의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1)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 면(51)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관통 홀(5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52)의 일부를 폐쇄하는 차단 부재(54)가 구비된 원통형의 진공드럼(50)과; 상기 본체(2)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드럼(5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55)과;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원형 약제(11c)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원형 약제(11c)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약제공급부(10)와;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스펀지(21c)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된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링형 스펀지(21c)를 부착하여 정렬하는 스펀지공급부(20)와;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이형지(31)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이하 '약제-스펀지(27)'라 함)에 밀착시켜서 상기 약제-스펀지(27)를 이형지(31)에 옮겨 부착하는 이형지공급부(30)와;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으로 점착지(41b)를 공급하여 상기 약제-스펀지(27)가 부착된 이형지(31)의 상면에 상기 점착지(41b)를 부착하고 상기 점착지(41b)를 밴드 형태로 절단하는 점착지공급부(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2)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서, 그 전면에 상기 진공드럼(50)을 포함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후면에는 상기 진공드럼(50)과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5)과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체(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진공드럼(5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데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드럼(50)의 외주 면(51)에는 다수 개의 관통 홀(5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후면에는 상기 진공드럼(5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장치(점선으로 표시됨)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통 홀(52)은 원형 약제(11c)를 흡입하여 부착하는 제1 관통 홀(52a)과 링형 스펀지(21c)를 흡입하여 부착하는 제2 관통 홀(52b)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관통 홀(52a)은 가운데에 형성되는 하나의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관통 홀(52b)은 제1 관통 홀(52a) 주변에 링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진공드럼(5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진공드럼(50) 외부의 공기는 상기 관통 홀(52)을 통해 진공드럼(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가벼운 문체가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관통 홀(52)에 생기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흡착되게 된다. 예를 들어, 원형 약제(11c)가 제1 관통 홀(52a)에 근접하면, 제1 관통 홀(52a)의 흡입력에 의해 원형 약제(11c)가 제1 관통 홀(52a)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어 상기 링형 스펀지(21c)가 제2 관통 홀(52b)에 근접하면, 제2 관통 홀(52b)의 흡입력에 의해 제2 관통 홀(52b) 위에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된다. 그러면, 상기 링형 스펀지(21c)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진공드럼(50)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링형 스펀지(21c)가 정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공드럼(50)의 내부에는 상기 외주 면(51)에 형성된 관통 홀(52)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54)가 더 설치된다. 상기 차단 부재(54)는 진공드럼(50)의 회전에 관계없이 특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에 상기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가 흡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차단 부재(54)가 고정된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차단 부재(54)에 의해서 관통 홀(52)의 일부가 차단되어 흡입력이 상실하게 되고,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흡착되어 있던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는 쉽게 분리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진공드럼(50)의 흡착력이 상실될 때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이형지(31)를 밀착시켜서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분리되는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가 상기 이형지(31)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형지(31)와 원형 약제(11c) 또는 링형 스펀지(21c)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링형 스펀지(21c)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11c)가 위치하도록 정렬하여 약제-스펀지(27)를 형성한 후, 상기 진공드럼(50)의 흡착력이 상실될 때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이형지(31)를 밀착시켜서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분리되는 약제-스펀지(27)를 상기 이형지(31)의 표면으로 옮겨 부착한 다음 적당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3)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약제공급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원형 약제(11c)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원형 약제(11c)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제원단(11)을 공급하는 약제원단공급롤(12)과, 상기 약제원단공급롤(12)에서 공급되는 약제원단(11)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약제(11b)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원형 약제(11c)를 형성하는 약제절단기(13)와, 상기 원형 약제(11c)를 제외한 약제 자투리(11d)를 분리시키는 약제자투리분리기(14)와, 상기 자투리분리기(14)에서 분리된 약제 자투리(11d)를 권취 하는 약제자투리권취롤(15)과, 상기 약제원단(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원형 약제(11c)를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하는 약제부착기(16)와,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분리된 약제이형지(11a)를 권취 하는 약제이형지권취롤(17)을 포함한다.
이때, 약제원단(1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약제이형지(11a)와, 상기 약제이형지(11a)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약제(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제원단공급롤(12)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공급롤로서,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기 약제원단(11)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약제공급부(10)에는 약제원단(11)을 이송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19a)(1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약제절단기(13)는 상기 약제원단공급롤(12)에서 공급되는 약제원단(11)의 약제(11b)를 절단하는 것으로서, 외주 면에 원형 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팅롤러(13a)와 상기 커팅롤러(13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13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팅롤러(13a)와 지지롤러(13b) 사이로 약제원단(11)이 통과하면, 상기 커팅롤러(13a)의 원형 칼날에 대응하도록 상기 약제(1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약제(11c)가 절단된다.
상기 약제자투리분리기(14)는, 상기 약제절단기(13)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 약제(11c)가 형성된 약재원단(11)으로부터 상기 원형 약제(11c)를 제외한 약제 자투리(11d)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롤러(13b)를 중심으로 일 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약제원단(11)에서 분리되는 약제 자투리(11d)를 안내하는 자투리안내롤러(14a)와, 상기 지지롤러(13b)를 중심으로 타 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약제 자투리(11d)가 분리되어 일정 간격으로 원형 약제(11c)가 부착되어 있는 약제 이형지(11a)를 반대방향으로 안내하는 이형지안내롤러(1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형약제(11c)를 제외한 약제 자투리(11d)는 상기 자투리안내롤러(14a)를 통해 일 측 방향으로 안내되어 약제자투리권취롤(15)에 권취 되며, 상기 원형 약제(11c)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약제 이형지(11a)는 상기 이형지안내롤러(14b)를 통해 타 측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진공드럼(50)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약제부착기(16)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안내롤러(14b)에 의해 이송되는 약제 이형지(11a)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11c)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161)이 상기 진공드럼(50)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분리판(16a)과,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부착되어 있는 약제 이형지(11a)의 상면이 상기 분리판(16a)의 하면과 접촉하여 이송되도록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부착되어 있는 약제 이형지(11a)를 안내하는 유입안내롤러(16b)와, 상기 분리판(16a)의 하단(161)을 감싸면서 상기 분리판(16a)의 후방 쪽으로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분리된 약제 이형지(11a)를 안내하는 유출안내롤러(16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부착되어 있는 약제 이형지(11a)가 상기 분리판(16a)의 하단(161)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이송될 때, 상기 약제 이형지(11a)의 하면으로부터 원형 약제(11c)가 순차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약제 이형지(11a)에서 분리되는 원형 약제(11c)의 하방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형성된 흡착력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원형 약제(11c)는 약제 이형지(11a)의 이송속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흡착되고, 상기 진공드럼(50)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는 다수 개의 약제 이형지(11a)가 일정 간격 떨어져서 일렬로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안내롤러(16c)에 의해 안내되는 약제 이형지(11a)는 이송롤러(19b)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면서 이송된 후 상기 이형지권취롤(17)에 권취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는 다수의 원형 약제(11c)가 흡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펀지공급부(2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링형 스펀지(21c)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링형 스펀지(21c)를 부착하여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펀지원단(21)을 공급하는 스펀지원단공급롤(22)과, 상기 스펀지원단공급롤(22)에서 공급되는 스펀지원단(2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21b)를 절단하여 링형 스펀지(21c)를 형성하는 스펀지절단기(23)와, 상기 다수의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된 스펀지이형지(21a)로부터 상기 링형 스펀지(21c)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부착하는 스펀지부착기(24)와, 상기 스펀지부착기(24)에서 링형 스펀지(21c)가 분리된 스펀지자투리(21e)와 스펀지이형지(21a)를 권취 하는 스펀지자투리권취롤(25)을 포함한다.
이때, 스펀지원단(2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스펀지이형지(21a)와, 상기 스펀지이형지(21a)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펀지원단공급롤(22)은 통상의 공급롤로서,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기 스펀지원단(21)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펀지공급부(20)는 상기 스펀지원단(21)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2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펀지절단기(23)는 상기 스펀지원단공급롤(22)에서 공급되는 스펀지원단(2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21b)를 절단하여 링형 스펀지(21c)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스펀지절단기(23a), 제2 스펀지절단기(23b) 및 스크랩배출기(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펀지절단기(23a)는 스펀지원단(2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21b)를 일정 지름의 원형으로 절단한다. 이때, 원형으로 절단된 스펀지(21b)는 스펀지원단(21)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 스펀지절단기(23a)는 상기 제1 스펀지절단기(23a)에서 절단된 원형의 가운데에 더 작은 지름의 원형을 절단한다. 그러면 절단된 원형 스펀지 스크랩(21d)이 분리되어 링형 스펀지(21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펀지절단기(23a)에서 절단된 원형 스펀지 스크랩(21d)은 스크랩배출기(2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스펀지절단기(23a)는 외주 면에 원형 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팅롤러(23a)와 상기 커팅롤러(23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23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팅롤러(23a)와 지지롤러(23b) 사이로 스펀지원단(21)이 통과하면, 상기 커팅롤러(23a)의 원형 칼날에 대응하도록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21b)가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된다. 이어, 제2 스펀지절단기(23c)는 상기 지지롤러(23b)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커팅롤러(23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커팅롤러(23c)와 지지롤러(23b)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스펀지(21b)에 절단된 원형의 안쪽에 더 작은 지름의 원형이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배출기(26)는 원형으로 절단된 스펀지 스크랩(21d)을 상기 커팅롤러(23c)의 원형 칼날에서 분리하는 스크랩 분리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스크랩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원형 스펀지 스크랩(21d)을 흡입하는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랩배출기(26)는 일정 길이의 흡입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스펀지절단기(23a)의 내부에는 절단된 스펀지 스크랩(21d)을 칼날에서 분리하기 위한 스크랩분리기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랩분리기는 제2 스펀지절단기(2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펀지 스크랩(21d)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스펀지절단기(23a)가 회전하여 스크랩배출기(26)와 마주보는 순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스펀지 스크랩(21d)을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크랩배출기(26)는 분리된 스펀지 스크랩(21d)을 흡입하여 빨아들이고 일정 길이의 흡입관을 따라 외부로 이송한 후 수거함에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랩배출기(26)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펀지원단(21)에서 스펀지 스크랩(21d)이 인출되면 상기 스펀지원단(21)의 상면에는 링형 스펀지(21c)가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스펀지부착기(24)는 상기 스펀지절단기(23)에서 이송되고 다수의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된 스펀지원단(21)으로부터 상기 링형 스펀지(21c)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241)이 상기 진공드럼(50)의 하면에 근접*도록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펀지분리판(24a)과, 상기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이형지(21a)의 하면이 상기 스펀지분리판(24a)의 상단(241)을 감싸면서 이송되도록 상기 링형 스펀지(21c)가 분리된 스펀지이형지(21a)를 우측 하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2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는 원형 약제(11c)가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고, 상기 스펀지부착기(24)에서 분리되는 링형 스펀지(21c)는 상기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링형 스펀지(21c)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11c)가 안착 되도록 정렬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롤러(24c)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는 스펀지자투리(21e)와 스펀지이형지(21a)는 스펀지자투리권취롤(25)에 권취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드럼(50)은 상기 링형 스펀지(21c)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11c)가 안착되어 있는 “약제-스펀지(27)”가 부착된 상태로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이형지공급부(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으로 이형지(31)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약제-스펀지(27)에 이형지(31)를 밀착시켜 상기 약제-스펀지(27)을 이형지(31)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형지(31)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롤(32)과, 상기 이형지공급롤(32)에서 공급되는 이형지(31)를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밀착시키기 위한 이형지밀착부(33)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지공급롤(32)은 통상의 공급롤로서,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기 이형지(31)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밀착부(33)는 상기 진공드럼(50)에 근접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는 두 개의 밀착롤러(33a)(33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형지공급롤(32)에서 공급되는 이형지(31)가 상기 두 개의 밀착롤러(33a)(33b)와 진공드럼(50)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서 분리되는 약제-스펀지(27)를 상기 이형지(31)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지공급부(30)는 이형지(3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39)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되어 있는 약제-스펀지(27)를 상기 이형지(31)에 옮겨서 부착함으로써 로봇 팔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다수의 약제-스펀지(27)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는 원형 약제(11c)가 부착되는 관통 홀(52a)과 링형 스펀지(21c)가 부착되는 관통 홀(52b)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 약제(11c)와 링형 스펀지(21c)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지공급부(4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드럼(50)에서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으로 점착지(41b)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착지원단(41)을 공급하는 점착지원단공급롤(42)과, 상기 점착지원단(41)의 상면에 있는 박리지(41a)를 분리하는 박리지분리기(43)와, 상기 박리지분리기(43)에서 분리되는 박리지(41a)를 권취 하는 박리지권취롤(44)과, 상기 박리지분리기(43)에서 박리지(41a)가 분리된 점착지(41b)를 상기 진공드럼(50)에서 이송되는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하는 점착지부착기(45)와,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된 점착지(41b)를 상기 약제-스펀지(27)가 포함되도록 밴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점착지절단기(46)와, 상기 점착지 절단기(46)에서 절단된 밴드 형상의 점착지(41c)를 제외한 점착지자투리(41d)를 권취 하는 점착지권취롤(4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점착지원단(41)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지(41b)의 상면에 박리지(41a)가 부착되고, 상기 점착지(41b)의 상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점착지원단공급롤(42)은 통상의 공급롤로서,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기 점착지원단(41)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또한, 점착지공급부(40)는 상기 점착지원단(41)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49a)(49b)를 포함한다.
상기 박리지분리기(43)는 상기 점착지원단공급롤(42)에서 공급되는 점착지원단(4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지(41a)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분리되는 이형지(31)의 상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박리지분리판(43a)과,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하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 쪽으로 상기 점착지원단(41)을 안내하는 유입안내롤러(43b)와,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431)을 감싸면서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상부를 통해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후단 쪽으로 안내하는 유출안내롤러(43c)를 포함한다.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431)이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배출되는 이형지(31)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안내롤러(43b)는 박리지분리판(43a)의 후단 하부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점착지원단공급롤(42)에서 공급되는 박리지원단(41)이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 쪽으로 안내한다. 이어 상기 유출안내롤러(43c)는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후단 상부 쪽에 설치되어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431)에서 분리되는 박리지(41a)가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후방의 상부 쪽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지분리기(43)에서 분리된 박리지(41a)은 박리지권취롤(44)에 권취 된다.
한편,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에는 박리지(41a)가 분리된 점착지(41b)는 상기 박리지분리판(42a)의 선단(431)의 하부에서 유턴한 후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하부에는 상기 박리지(41a)가 분리된 점착지(41b)를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하는 점착지부착기(45)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점착지부착기(45)는 상기 박리지분리판(43a)의 선단(4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착지(41b)가 유턴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턴안내롤러(45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턴안내롤러(45a)는 상기 박리지분리판(43a)과 상기 진공롤러(50)에서 배출되는 이형지(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턴안내롤러(45a)를 통해 유턴된 점착지(41b)가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점착지절단기(46)는, 상기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된 점착지(41b)를 상기 약제-스펀지(27)가 포함되도록 밴드 형상으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주 면에 밴드형 칼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팅롤러(46a)와 상기 커팅롤러(46a)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지지롤러(46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팅롤러(46a)와 지지롤러(46b) 사이로 이형지(31)와 점착지(41b)가 통과하면, 상기 커팅롤러(46a)의 밴드형 칼날에 대응하도록 상기 점착지(41b)가 절단된다. 이때, 상기 절단된 점착지(41b)의 하면에는 약제-스펀지(27)이 부착되어 있다.
이어, 상기 점착지절단기(46)의 후방에는 상기 점착지 절단기(46)에서 절단된 밴드 형상의 점착지(41c)를 분리하기 위한 점착지분리기(4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지분리기(47)는 점착지절단기(46)와 함께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지분리기(47)에서 분리된 점착지자투리(41d)는 점착지권취롤(48)에 권취 된다.
한편, 상기 점착지절단기(46)와 점착지분리기(47)의 후방에는 이형지절단기(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이형지절단기(60)는 하나 이상의 밴드형 패치가 포함되도록 상기 이형지(3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이형지(31)위에 약제-스펀지(27)가 부착되고, 그 위에 다시 밴드형 점착지(41c)가 부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3)가 완성된다. 그리고 완성된 티눈제거용 패치(3)는 이후의 포장과정을 거처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포장장치(70)는 포장지공급기(71), 포장지실링기(72) 및 포장지절단기(73)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지공급기(71)는 티눈제거용 패치(3)의 상부와 하부로 상부 포장지(61a)와 하부 포장지(61b)를 공급하는 상­하부 포장지공급롤(62a)(62b)을 포함한다. 상기 포장지실링기(72)는 상부 포장지(61a)와 하부 포장지(61b)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밀봉한다. 그리고 포장지절단기(73)는 밀봉된 포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포장지(61)로 포장된 티눈제거용 패치(3)가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진공드럼(5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방법은, 크게 약제공급단계(S100), 스펀지공급단계(S200), 이형지공급단계(S300), 점착지공급단계(S400), 점착지절단단계(S500), 이형지절단단계(S600) 및 포장단계(S7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약제공급단계(S100)는 회전하는 진공드럼(50)으로 원형 약제(11c)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면에 부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약제원단(11)을 절단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 약제(11c)를 만들고,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근접하도록 이송한 후, 상기 약제원단으로부터 약제원단(11c)를 분리하여 상기 진동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스펀지공급단계(S200)는 상기 원형 약제(11c)가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진공드럼(50)의 외주 면으로 링형 스펀지(21c)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는 원형 약제(11c)의 주변에 부착하여 약제-스펀지(27)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스펀지원단(21)을 절단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링형 스펀지(21c)를 만들고,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근접하도록 이송한 후, 상기 스펀지원단으로부터 링형 스펀지(21c)를 분리하여 상기 진동드럼(500)의 외주 면(51)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이형지공급단계(S300)는 상기 약제-스펀지(27)가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으로 이형지(3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일정 구간 가압하여 밀착시킨 후 분리시켜서 상기 약제-스펀지(27)가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점착지공급단계(S400)는 상기 진공드럼(50)에서 배출되는 이형지(31)의 상면으로 점착지(41b)를 공급하여 이형지(31)의 상면에 점착지(41b)가 합지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점착지원단(41)에서 박리지를 분리하고 박리지가 분리된 점착지를 상기 진공드럼(50)의 외주 면(51)에 분리되는 이형지(31)의 상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착지절단단계(S500)는 상기 이형지-점착합지에서 하나 이상의 약제-스펀지(27)가 포함되도록 점착지(41b)를 밴드형으로 절단하고 밴드형 점착지(41c)를 제외한 나머지 점착지자투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절단단계(S600)는 상기 밴드형 점착지(41c)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이형지(31)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일정 크기의 이형지(31c)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밴드형 점착지(41c)가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끝으로 포장단계(S700)는 상기 이형지절단단계(S600)에서 절단된 티눈제거용 패치(1)를 포장지(61)로 포장한 후 밀봉하여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링형 스펀지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가 위치하도록 정렬한 후 상기 진공드럼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약제-스펀지를 이형지의 표면에 옮겨 부착한 후 그 상면으로 점착지를 공급하여 부착한 다음 밴드 형태로 절단하여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함으로써 고가의 로봇 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속도가 빠르고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2: 본체
3: 티눈제조용 패치 10: 약제공급부
11: 약제원단 11c: 원형 약제
12: 약제원단공급롤 13: 약제절단기
14: 약제자투리분리기 16: 약제부착기
20: 스펀지공급부 21: 스펀지원단
21: 링형 스펀지 22: 스펀지원단공급롤
23: 스펀지절단기 24: 스펀지부착기
25: 스펀지자투리권취롤 30: 이형지공급부
31: 이형지 32: 이형지공급롤
33: 이형지밀착기 40: 점착지공급부
41: 점착지원단 41c: 점착지
42: 점착지원단공급롤 43: 박리지분리기
44: 박리지권취롤 45: 점착지부착기
46: 점착지 절단기 47: 점착지권취롤
50: 진동드럼 54: 차단 부재
60: 이형지절단기 70: 포장장치

Claims (11)

  1. 일정 크기의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되는 밴드형 점착지 및 상기 점착지와 이형지 사이에 부착되는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티눈제거용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판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 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의 일부를 폐쇄하는 차단 부재가 구비된 원통형의 진공드럼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원형 약제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상기 원형 약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약제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링형 스펀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된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상기 링형 스펀지를 부착하여 정렬하는 스펀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으로 상기 이형지를 공급하여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에 밀착시켜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를 상기 이형지의 표면으로 옮겨서 부착하는 이형지공급부와;
    상기 진공드럼에서 분리되어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으로 점착지를 공급하여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가 부착된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상기 점착지를 부착하는 점착지공급부와;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가 포함하도록 상기 점착지를 밴드 형태로 절단하여 밴드형 점착지를 형성하는 점착지절단기와;
    상기 밴드형 점착지가 포함되도록 상기 이형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이형지절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드럼은 내부가 빈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진공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진공드럼의 회전에 관계없이 일 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상면에는 상기 약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형 약제가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고,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하면에는 상기 스펀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링형 스펀지가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된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부착되어 상기 링형 스펀지의 가운데에 원형 약제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의 일 측면에서는 상기 이형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이형지가 밀착된 후 분리되어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가 상기 이형지에 옮겨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공급부는, 약제원단을 공급하는 약제원단공급롤과, 상기 약제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약제원단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약제를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상기 원형 약제를 형성하는 약제절단기와, 상기 원형 약제를 제외한 약제 자투리를 분리시키는 약제자투리분리기와, 상기 약제자투리분리기에서 분리된 약제자투리를 권취 하는 약제자투리권취롤과, 상기 약제원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원형 약제를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하는 약제부착기와, 상기 원형 약제가 분리된 약제이형지를 권취 하는 약제이형지권취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공급부는, 스펀지원단을 공급하는 스펀지원단공급롤과, 상기 스펀지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스펀지원단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를 링형으로 절단하여 상기 링형 스펀지를 형성하는 스펀지절단기와, 상기 다수의 링형 스펀지가 부착된 스펀지원단으로부터 상기 링형 스펀지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원형 약제의 주변에 부착하는 스펀지부착기와, 상기 스펀지부착기에서 상기 링형 스펀지가 분리된 스펀지자투리와 스펀지이형지를 권취 하는 스펀지자투리권취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공급부는, 상기 이형지를 공급하는 이형지공급롤과, 상기 이형지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상기 이형지를 상기 진공드럼의 외주 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이형지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지공급부는, 점착지원단을 공급하는 점착지원단공급롤과, 상기 점착지원단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지박리지를 분리하는 박리지분리기와, 상기 박리지분리기에서 분리되는 점착지박리지를 권취 하는 박리지권취롤과, 상기 박리지분리기에서 점착지박리지가 분리된 점착지를 상기 진공드럼에서 이송되는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하는 점착지부착기와, 상기 이형지의 상면에 부착된 점착지를 상기 원형 약제와 링형 스펀지가 포함되도록 밴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점착지절단기와, 상기 점착지절단기에서 절단된 밴드 형상의 점착지를 제외한 점착지자투리를 권취 하는 점착지권취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지절단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이형지를 하나 이상의 밴드형 점착지가 포함되도록 절단하는 이형지절단기와, 상기 이형지절단기의 후단에 설치되고 포장지공급기, 포장지실링기 및 포장지절단기로 구성된 포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공급부, 스펀지공급부, 이형지공급부 및 점착지공급부에는 각각 약제원단, 스펀지원단, 이형지 및 점착지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약제원단은 상기 약제이형지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약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스펀지원단은 상기 스펀지이형지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로 스펀지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지원단은 상기 점착지박리지의 하면에 일정한 두께로 점착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절단기는 상기 스펀지원단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스펀지를 일정 지름의 원형으로 절단하는 제1 스펀지절단기와, 상기 제1 스펀지절단기에서 절단된 원형의 가운데에 더 작은 지름의 원형을 절단하는 제2 스펀지절단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펀지절단기에는 제2 스펀지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원형의 스펀지 스크랩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랩배출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배출기는, 상기 제2 스펀지절단기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배출되는 상기 스펀지 스크랩을 흡입하여 이송하는 일정 길이의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KR1020190145263A 2019-11-13 2019-11-13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KR10224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63A KR102242543B1 (ko) 2019-11-13 2019-11-13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63A KR102242543B1 (ko) 2019-11-13 2019-11-13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543B1 true KR102242543B1 (ko) 2021-04-22

Family

ID=7573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63A KR102242543B1 (ko) 2019-11-13 2019-11-13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553A (en) * 1933-10-04 1936-03-10 Scholl Mfg Co Inc Method of making and mounting adhesive foot-treatment articles
KR19980050583A (ko) * 1996-12-21 1998-09-15 김준웅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장치
KR20010085160A (ko) 2000-02-29 2001-09-07 김성모 살리실산과 자운고를 함께 이용한 새로운 티눈제거용 밴드
KR20060118039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녹십자 연주황(살색)밀착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습포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447365B1 (ko) * 2013-05-15 2014-10-06 임병진 패치 절단 및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553A (en) * 1933-10-04 1936-03-10 Scholl Mfg Co Inc Method of making and mounting adhesive foot-treatment articles
KR19980050583A (ko) * 1996-12-21 1998-09-15 김준웅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장치
KR20010085160A (ko) 2000-02-29 2001-09-07 김성모 살리실산과 자운고를 함께 이용한 새로운 티눈제거용 밴드
KR20060118039A (ko) * 2005-05-16 2006-11-23 주식회사 녹십자 연주황(살색)밀착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습포제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447365B1 (ko) * 2013-05-15 2014-10-06 임병진 패치 절단 및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441A (en) Pharmaceutical packaging method
KR100997772B1 (ko) 패치 자동 제조장치
EP2405878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making absorbent pads used in personal sanitary items
JPH0620888B2 (ja) 包装済硬貨ロール、硬貨を包装する方法および硬貨包装機構
KR101447365B1 (ko) 패치 절단 및 포장장치
JP2003104620A (ja) 長尺テープから物品を切出し粘着テープに貼付ける装置
KR101134098B1 (ko) 가식성 필름 커팅 및 패킹장치
KR20050074483A (ko) 웨브재 로그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는다시감기기계
JP6377770B2 (ja) チッピング紙吸引ドラムを含む装置
KR102242543B1 (ko) 티눈제거용 패치 제조장치
US4664736A (en) Pharmaceutical packaging method
KR101351064B1 (ko) 패치 제조 방법
KR101554328B1 (ko) 포장지에 약제가 붙지 않고 약제수율이 개선된 약제패치 제조장치
JP3666874B2 (ja) 巻上げ装置
US201200287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cavities of plug space plug filter rod
US993733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ical-projections-sheet packaging body
KR101785425B1 (ko)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JP2005507252A (ja) たばこ加工産業のマルチセグメントフィルタを製造するためにフィルタセグメントのグループを被覆材料で被覆する装置とマルチセグメントフィルタ製造装置
JP2004201703A (ja) 貼付剤シートの加工ライン
JP4427981B2 (ja) フィルム状口腔内投与剤の打ち抜き成型方法
CN217648522U (zh) 贴片产品加工系统
KR102634508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조립체의 제조 이송 장치 및 그방법
US4789415A (en) Pharmaceutical packaging machine
KR102618186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조립체의 제조 및 포장 장치
EP02315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pping smoking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