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010B1 - 악보 고정용 집게 - Google Patents

악보 고정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10B1
KR102241010B1 KR1020190126638A KR20190126638A KR102241010B1 KR 102241010 B1 KR102241010 B1 KR 102241010B1 KR 1020190126638 A KR1020190126638 A KR 1020190126638A KR 20190126638 A KR20190126638 A KR 20190126638A KR 102241010 B1 KR102241010 B1 KR 10224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usic
sheet music
sco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윤
Original Assignee
한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윤 filed Critical 한지윤
Priority to KR102019012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아노의 뚜껑이나 스탠드형 보면대에 쉽게 적용하여 악보를 고정할 수 있고,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영향을 끼치지 않고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악보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 확인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악보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며, 악보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악보 고정용 집게 {DEVICE FOR FIXING SHEET MUSIC}
본 발명은 피아노의 뚜껑이나 스탠드형 보면대에 쉽게 적용하여 악보를 고정할 수 있고,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영향을 끼치지 않고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악보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 확인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악보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며, 악보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피아노의 뚜껑 내측에는 악보를 걸칠 수 있는 보면대가 구비되고, 연주자는 보면대에 악보를 펼쳐 악보를 넘기며 피아노 연주를 하게 된다.
그러나 악보집을 보면대 상면에 걸치는 방법으로 펼쳐놓기 때문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기다 다른 페이지로 넘겨질 수 있고, 빠르게 넘기다 보면 악보집이 한쪽으로 쏠리는 등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즉, 피아노 뚜껑에 구비된 보면대에 악보집을 고정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면대에 고무줄 재질의 밴드를 구비하여 악보가 펼쳐진 상태로 악보를 밴드로 감아 고정하는 방법 또한 존재하나(도 6 참조) 연주곡의 여러장의 악보로 이루어질 경우 악보의 전면을 밴드가 모두 감싸기 때문에 악보를 용이하게 넘기기 어려워 연주에 영향이 가게 된다.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586호에는 "악보책 고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선행문헌 역시 압지판(400)이 악보의 하단측에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기기 힘들 뿐만 아니라 악보의 하단이 압지판(40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악보 하단은 연주자가 보기 힘들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도 7 참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586호 (2010.02.25.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피아노의 뚜껑이나 스탠드형 보면대에 쉽게 적용하여 악보를 고정할 수 있고,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영향을 끼치지 않고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악보 고정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 확인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악보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며, 연주자가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도록 하고, 악보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악보 고정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악보 고정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면대에 직접 결합되어 악보를 밀착고정시키는 고정용 집게에 있어서,
보면대에 직접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악보에 밀착되어 가압하고, 악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집게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바 형상을 가지는 고정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의 일단과 결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대를 악보측으로 가압하는 탄성구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대는 내부 중앙이 상기 고정대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탄성구는 상기 고정대의 일단과 직접 결합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과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결합구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대를 악보측으로 휘어지게 하며, 상기 고정대가 회동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고정대를 악보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악보와 밀착하는 상기 고정대의 말단에는 밀착커버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밀착커버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와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고정대의 밀착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고정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고정대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형상이 변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결합프레임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직접 끼움결합되며, 상면에 탄성구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집게부를 피아노의 뚜껑이나 스탠드형 보면대에 결합함으로써 쉽게 적용하여 악보를 고정할 수 있고,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영향을 끼치지 않고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고정부가 탄성력에 의해 악보를 고정함으로써 탄성력을 통해 발생된 고정력으로 악보를 쉽고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 확인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악보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며, 악보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를 피아노 보면대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대 말단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밴드가 구비된 보면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종래 선행문헌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를 피아노 보면대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대 말단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피아노의 뚜껑이나 스탠드형 보면대에 쉽게 적용하여 악보를 고정할 수 있고,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영향을 끼치지 않고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악보 고정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악보를 고정함과 동시에 연주자가 악보 확인을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악보를 부분적으로 고정하며, 악보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악보 고정용 집게(1)는 보면대(2)에 직접 설치되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보면대(2)에 구비된 악보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부(100)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집게 형상을 가지며, 상부집게(110)와 및 하부집게(110,120)가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며, 상부집게(110) 및 하부집게(120)에는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구(130)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집게(110)에 형성된 체결구(130)와 하부집게(120)에 형성된 체결구(130)가 서로 겹쳐져 결합됨으로써 상부집게(110)와 하부집게(120)는 집게 형상으로 보면대(2) 하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체결구(130)를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재(131)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상부집게(110) 및 하부집게(120)가 결합된 보면대(2)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구(130) 중 상부집게(110)에 형성되는 체결구(130a)는 측면 외측에 형성되고, 하부집게(120)에 형성되는 체결구(130b)는 상부집게(110)에 형성되는 체결구(130a)의 수평너비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되어 상부집게(110)와 하부집게(120)를 겹칠 때 각각의 체결구(130a,130b)가 서로 수평으로 겹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부(100)를 통해 쉽게 보면대(2)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보면대(2)의 위치나 두께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적용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부집게(110) 및 하부집게(120)에서 보면대(2)와 밀착되는 면에는 보면대(2)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140)가 형성됨으로써 단순 외력에 의해 보면대(2)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의 상측, 즉 악보가 구비된 측의 상면에는 악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정부(200)는 고정대(210)와 탄성구(220)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대(210)는 일단은 탄성구(220)와 결합되어 프레임부(100)측에 구비되며, 타단은 악보와 직접 밀착되어 펼쳐진 악보의 정면과 밀착되어 악보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대(210)는 연장된 바(bar) 형태를 가지며, 내부 중앙에는 중공이 고정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된 탄성구(220)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하중을 줄여 연주자가 악보를 넘길 때 고정대(21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쉽게 넘길 수 있도록 한다.
고정대(210)의 타단, 즉 악보와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고정대(210)의 말단은 탄성구(220)를 통해 악보의 정면과 직접적으로 밀착되는데 도 4의 (A)와 같이 바 형상의 고정대(210) 말단이 직접 밀착될 수 있고, 도 4의 (B)와 같이 말단이 원형으로 휘어져 고정대(210) 말단의 밀착면적을 넓혀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와 같이 별도의 밀착커버(211)가 구비되어 고정대(210) 말단에 끼워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밀착커버(211)의 재질은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술된 고정대(2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다양한 악보의 두께, 너비 등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주자가 악보에 맞게 고정대(210)를 휘어 직접 악보에 밀착시킬 수 있고, 연주자의 인력에 의해 휘어진 고정대(210)는 형상을 유지하며 악보와 밀착된다.
또한, 연주자는 연주를 마친 후 악보 고정용 집게(1)를 보면대(2)와 분리시 휘어진 형태의 고정대(210)를 일직선으로 다시 휘게 하거나 보관이 용이하게 고정대(210)를 감아 보관할 수도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고정대(210)를 일직선으로 펴 악보측으로 기울일 수 있으나 악보에 표기된 음표 등의 기재면적 등에 따라 도 3의 (B)와 같이 악보의 가장자리 측에 밀착하도록 휘게 할 수 있고, 도 3의 (C)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악보 등에 적용하기 위해 고정대(210)를 정면측으로 돌출되게 휘게한 후 고정대(210)의 말단면을 악보 정면에 직접적으로 밀착시킬 수도 있다.
고정대(210)의 일단, 즉 프레임부(100)와 결합되는 고정대(210) 측의 말단에는 탄성구(220)가 구성된다.
탄성구(220)는 프레임부(100)와 직접 결합되며, 탄성력을 가져 연결된 고정대(210)를 악보가 위치한 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악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구(220)는 고정대(210) 일단과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1)과, 상술된 프레임부(100)의 최상면과 결합되는 결합구(222)로 구성된다.
먼저, 스프링(221)은 양단이 결합구(222)와 결합됨으로써 프레임부(100)의 상면과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221)은 도 1과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이나 기타 탄성력을 가진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221)은 고정대(210)의 일단과 직접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고정대(210)를 악보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대(210) 일단에 개방된 면에 직접 끼움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22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프레임부(100)의 외부 일면, 즉 프레임부(100)가 보면대(2)와 결합시 최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직접 결합되어 이격된 공간에 스프링(221)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구(222)는 프레임부(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구(222)에 결합된 스프링(221)을 통해 스프링(221)은 고정되고, 고정대(21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악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부(100)와 직접 결합되는 고정부(200)의 하단에는 결합프레임(2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230)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링 형상을 가지며, 최상면에는 결합구(222)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결합구(222)와 고정된 상태로 프레임부(10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00)에 결합된 탄성구(2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도 5와 같이 악보의 두께에 따라 프레임부(100)를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결합프레임(230)을 포함한 고정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프레임부(100)가 파손 등으로 인해 고장날 경우 고장난 프레임부(100)에서 결합프레임(230)을 포함한 고정부(200)를 분리하고, 이를 별도의 집게에 결합프레임(230)을 직접 결합하여 악보 고정용 집게(1)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악보의 두께에 따라 고정대(210)와 악보가 밀착되는 밀착력이 달라질 수 있는데 매우 얇은 악보의 경우 고정대(210)가 악보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해 악보 고정력이 약해질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프레임(230)을 악보측으로 이동시켜 밀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악보가 매우 두꺼울 경우 탄성구(220)측으로 악보가 밀려나와 직접 맞닿을 경우 고정대(210)가 충분히 밀착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결합프레임(230)을 악보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탄성구(220)가 악보와 맞닿지 않은 상태로 고정대(210)가 악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구(220) 및 고정대(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악보 고정용 집게(1)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보면대(2)에 적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보면대(2)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적용성이 뛰어나며 휴대 또한 간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탄성력에 의해 연주 중 악보의 두께가 바뀌더라도 지속적으로 고정대(210)를 악보측으로 가압할 수 있어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고, 악보가 고정되더라도 인력에 의해 쉽게 악보를 넘길 수 있다.
또한, 악보를 읽는데 걸리적거리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악보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악보 고정용 집게(1)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도 2 참조), 악보의 너비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개수를 보면대(2)에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악보 고정용 집게 2: 보면대
100: 프레임부 110: 상부집게
120: 하부집게 130: 체결구
131: 결합부재 140: 돌기
200: 고정부 210: 고정대
211: 밀착커버 220: 탄성구
221: 스프링 222: 결합구
230: 결합프레임

Claims (5)

  1. 보면대에 직접 결합되어 악보를 밀착고정시키는 고정용 집게에 있어서,
    보면대에 직접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악보에 밀착되어 가압하고, 악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집게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바 형상을 가지는 고정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의 일단과 결합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대를 악보측으로 가압하는 탄성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결합프레임; 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직접 끼움결합되며, 상면에 탄성구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고정용 집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악보와 밀착하는 상기 고정대의 말단에는 밀착커버;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밀착커버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와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고정대의 밀착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고정용 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고정대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고, 형상이 변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고정용 집게.
  5. 삭제
KR1020190126638A 2019-10-14 2019-10-14 악보 고정용 집게 KR10224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38A KR102241010B1 (ko) 2019-10-14 2019-10-14 악보 고정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38A KR102241010B1 (ko) 2019-10-14 2019-10-14 악보 고정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010B1 true KR102241010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38A KR102241010B1 (ko) 2019-10-14 2019-10-14 악보 고정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46Y1 (ko) * 1990-06-12 1992-10-08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독서대
JP2002366144A (ja) * 2001-06-04 2002-12-20 Miho Sasaki 書見用具
KR20040099839A (ko) * 2003-05-20 2004-12-02 윤국원 악보 고정클립
KR100944586B1 (ko) 2008-01-25 2010-02-25 임한이 악보책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146Y1 (ko) * 1990-06-12 1992-10-08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독서대
JP2002366144A (ja) * 2001-06-04 2002-12-20 Miho Sasaki 書見用具
KR20040099839A (ko) * 2003-05-20 2004-12-02 윤국원 악보 고정클립
KR100944586B1 (ko) 2008-01-25 2010-02-25 임한이 악보책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4175A (ja) しおり
US20110109074A1 (en) Book page holder
KR102241010B1 (ko) 악보 고정용 집게
KR100919726B1 (ko) 독서용 클립
JP3519016B2 (ja)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KR101282514B1 (ko) 문서 클램핑 기구
KR101889438B1 (ko) 신축성 밴드를 이용한 클립보드형 독서대
JP2008532822A (ja) ページ固定用クリップ
JPH1044644A (ja) クリップ
CN216119211U (zh) 一种弹片夹持式便携光学激光笔
JP7253023B2 (ja) クリップボード
JP3219889U (ja) 書類ホルダー
JP7226769B2 (ja) 留め具付本体及びその留め具
KR200465210Y1 (ko) 책갈피를 구비한 필기구
CN208548099U (zh) 一种标签夹
KR200485897Y1 (ko) 머리핀
KR200257565Y1 (ko) 받침대용지지구
JP3203902U (ja) しおり
JP3147569U (ja) クリップ
JP3103668U (ja) ページ押さえ機能付きブックカバー
KR200339111Y1 (ko) 서류 집게
JP2003326881A (ja) クリップ
JP2002366144A (ja) 書見用具
JP3131322U (ja) 読書クリップ
JP5963366B2 (ja) 金属クリ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