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65Y1 - 받침대용지지구 - Google Patents

받침대용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65Y1
KR200257565Y1 KR2019980007573U KR19980007573U KR200257565Y1 KR 200257565 Y1 KR200257565 Y1 KR 200257565Y1 KR 2019980007573 U KR2019980007573 U KR 2019980007573U KR 19980007573 U KR19980007573 U KR 19980007573U KR 200257565 Y1 KR200257565 Y1 KR 200257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support
present
iron wir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885U (ko
Inventor
정종천
Original Assignee
정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천 filed Critical 정종천
Priority to KR2019980007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65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65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나 악보받침대등과 같이 책이나 각종 서적등을 받쳐주는 받침대에서 받침판을 지지하여 주는 받침대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독서대등의 받침판을 지지하여 주는 철선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지지턱의 강도를 높여주고, 상기 철선의 양측하단부에 절곡하여 단부를 형성하고 이 단부와 소정의 각도(θ)를 갖도록 제2절곡부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탄발력을 갖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받침대용 지지구
본 고안은 받침대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서대나 악보받침대등과 같이 책이나 각종서적들을 받쳐주는 받침대에서 받침판을 지지하여 주는 받침대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독서대등(받침대)에서 받침판을 지지하여 주는 지지구가 철선으로만으로 되어 있어 받쳐주는 힘이 약하고 쉽게 휘어져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였다.
특히 철선은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되어있으나 복귀력을 넘어서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휜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한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래의 본 출원이 선출원한 실용신안공보 실 1997-856호의 경우에는 지지철선의 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철선의 절곡단부는 밑판에 결착할 수 있도록 절곡만 되어 있었기 때문에 텐션이 없어 독서대를 접더라도 밑판에 지지철선은 밀착되지 않고 덜렁거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본 출원이 선출원한 실용신안공보 실 1997-856호에 대해 개량한 것으로, 받침대용 지지구로 구성되는 철선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지지력의 강도를 높이고 밑판의 힌지부에 삽설되는 절곡단부는 탄력성을 갖도록 하여 항시 독서대등의 밑판에 밀착되도록 하는 받침대용 지지구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에서 본 일부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5는 도4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철선, 2,2a : 파이프,
3,3a : 힌지부, 4 : 제1절곡부
5 : 제2절곡부 10 : 절곡단부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1내지 도3에 따라 설명한다.
받침대용 지지구(100)는 탄력성을 갖고 V자형으로 형성된 철선(1)의 양측부에 파이프(2)(2a)를 삽입하고, 상기 철선(1)의 양측하단부인 절곡단부(10)은 "ㄴ"자형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4)와, 제1절곡부(4)의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θ)를 갖도록 절곡하여 제2절곡부(5)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0°∠ θ ∠ 90°이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70°∠ θ ∠ 86°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시된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종래 철선은 단부가 단순히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데반해 본 고안 철선(1)은 절곡단부(10)가 이중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본 고안 철선(1)의 절곡단부(10)는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4)와 제1절곡부(4) 단부에서 θ만큼의 소정각도로 절곡된 제2절곡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중 절곡된 본 고안 철선(1)의 절곡단부(10)는 독특한 작용을 하는데, 제1절곡단부(4)와 제2절곡단부(5)가 θ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2절곡단부(5)가 힌지부(3)(3a)에 결합되면 제l절곡부(4)와 제2절곡부(5)와의 탄력에 의해 절곡단부(10)가 항시 밑판(7)에 밀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 절곡단부(10)는 밑판(7)에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받침판(8)을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2)(2a)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철심(1)을 보강하는 부가적인 이점도 있다.
따라서, 독서대(6)등의 밑판(7)의 힌지부(3)(3a)에 절곡단부(10)의 제2절곡부(5)를 삽입 설치하여 받침판(8)을 지지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철선(1)의 양측부에 파이프(2)(2a)를 삽입함에 따라 받침판(8)이 눌려 본 고안인 "지지구"에 그 힘이 가해진다해도 철선(1)은 휨이 발생하지 않고 지지력을 높여준다. 즉, 철선(1)이 휘어진다해도 파이프(2)(2a)의 직경범위내에서 휘여지기 때문에 탄력성을 갖는 철선(1)은 충분히 원상복귀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철선(1)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단부(10)는 제1절곡부(4)와 제2 절곡부(5)간에 소정의 각도(θ)를 갖고, 또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밑판(7)에 결착하였을시 도5에서와 같이 제1절곡부(4)와 제2절곡부(5)간의 탄력에 의해 항시 밑판(7)에 밀착력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독서대를 접었을 경우 본 고안의 "지지구'는 덜렁거림이 없이 밑판(7)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4에서와 같이 독서대를 펼쳐 받침판 (8)의 지지홈(9)에 철선(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받침판(8)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지지상태 또한 탄발력에 의해 지지력을 양호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지력의 강도를 높여주고 철선의 휨을 방지하며, 절곡단부에 독서대등의 받침판을 양호하게 지지하여 주고 보관시에도 철선의 절곡단부 탄발력에 의해 밑판에 조립된 받침대용 지지구의 밀착력을 높여 덜렁거림을 해소시킨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독서대(6)등의 받침판(8)을 지지하여주는 파이프(2)(2a)가 끼워진 철선(1)으로 이루어진 받침대용 지지구(100)에 있어서,
    상기 철선(1)의 절곡단부(1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4)와,
    상기 제1절곡부(4)와 제2절곡부(5)가 0∼90°각도를 가지도록 절곡하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용 지지구.
KR2019980007573U 1998-05-11 1998-05-11 받침대용지지구 KR200257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73U KR200257565Y1 (ko) 1998-05-11 1998-05-11 받침대용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73U KR200257565Y1 (ko) 1998-05-11 1998-05-11 받침대용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85U KR19990040885U (ko) 1999-12-06
KR200257565Y1 true KR200257565Y1 (ko) 2002-04-22

Family

ID=6951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573U KR200257565Y1 (ko) 1998-05-11 1998-05-11 받침대용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85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1117B1 (en) Vascular clip
US4932351A (en) Bookmarker
EP0618086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ing binder carrier rails
RU2120222C1 (ru) Зажим и держатель зажима
AU742994B2 (en) Modular clip
JPS63170098A (ja) プラスチック紙はさみ
KR200257565Y1 (ko) 받침대용지지구
ATE245100T1 (de) Anschlussvorrichtung
US20060107496A1 (en) Paper clip with double clipping effect
USD409479S (en) Conduit guide clip
USD409073S (en) Damper clip
RU200110701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носа нанесенного в форме пленки на несущую ленту материала на подложку
US4589682A (en) Mobile binding
US4928621A (en) Bookmarker
USD391152S (en) Volleyball antenna clamps
JPH0438148Y2 (ko)
JP3689224B2 (ja) 配管用サポート部材
KR200288072Y1 (ko) 개량클립
KR970039071A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2000052687A (ja) 筆記具
JP2767525B2 (ja) ファン保持用包装材
KR200168158Y1 (ko) 서류철
JPS604424Y2 (ja) 和綴本用書見台
KR970075399A (ko) 다목적용 클램프
KR200240380Y1 (ko) 탁상용 메모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