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952B1 - 도색용 지그 - Google Patents
도색용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952B1 KR102240952B1 KR1020200167437A KR20200167437A KR102240952B1 KR 102240952 B1 KR102240952 B1 KR 102240952B1 KR 1020200167437 A KR1020200167437 A KR 1020200167437A KR 20200167437 A KR20200167437 A KR 20200167437A KR 102240952 B1 KR102240952 B1 KR 1022409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ted
- vibration
- unit
- support member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7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 or work standing still during the spray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64—Overhead conveying means, i.e. the object or other work being suspended from the conveying means; Details thereof, e.g. hanging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색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 상기 양 지주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도색물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도색물을 기울인 상태로 고정하여 피도색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선 자세로 도색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장이라 함은 녹이나 부식으로 부터 소재를 보호하고 색채로 외관을 향상시키며 채색물의 기능, 의미, 소속 등 다른 것과 구별되는 식별 기능을 가진다. 이렇게 자동차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장은 높은 수준의 품질과 기술수준을 요구하는데 그 이유는 자동차는 생산과 동시에 세계각지에서 다양한 기후와 환경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동차 도장의 단계를 설명하면 하도, 중도, 상도로 이루어저 있는데 하도는 방청을, 중도는 외관향상을 위한 표면조정을, 상도는 마무리나 외관으로 내구성을 확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통과하면 약 100μ의 도막이 도포 된다.
상기의 도장단계는 전착공정을 통과하여 나온 바디를 슬로트콘베어를 타고 이동하며 로봇에 의해 도장이 이루어 지고 열건조를 통과하면 도장이 마무리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도어, 휀더 등의 자동차 부품을 바닥이나 거치대에 눕힌 상태로 도색해왔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자동차 부품을 눕힌 상태로 도색을 할 경우 자동차 부품의 상면에 먼지가 많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거치대에 거치된 도어는 상면이 도색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노출되지만 도어의 저면은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도어의 저면을 도색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피도색물을 기울인 상태로 고정하여 피도색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선 자세로 도색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색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도색물을 도색하기 위한 도색용품을 보관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도색작업 시 필요한 도색용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색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도색물을 도색하기 전이나 이후에 피도색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다중복합적으로 제거하여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도색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 상기 양 지주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도색물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부에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가 경사진 구조로 피도색물을 경사지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피도색물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로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암 지지부재, 상기 암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도색물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로 피도색물을 지지하고, 끝단에 피도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돌출형성 된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며 도색용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지지부를 타격하여 상기 피도색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타격식 제거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피도색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피도색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식 제거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피도색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래핑 하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동가이드부, 상기 회동가이드부 상에서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부가 암 지지부재, 상기 회동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부가 암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된 부가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주부에 수평 결합되는 로드, 상기 로드를 따라 이동되어 지주부에 대해 간격조절되는 간격조절봉, 내부에 도색용품을 구획하여 수납하기 위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구획벽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간격조절봉이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의 저면에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식 제거부는,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고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변위부, 상기 변위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와 마주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와 접촉되는 당김부, 상기 당김부가 타격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당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당김부가 상기 타격부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식 제거부는, 피도색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착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1 안착편이 형성된 제1 진동전달부, 상기 제1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2 안착편이 형성된 제2 진동전달부, 상기 제2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를 따라 상기 제2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 3안착편이 형성된 제3 진동전달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1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제1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2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3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제3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각각 상기 제1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 및 제3 진동전달부를 동시에 상승시킨 후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피도색물에 진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스크래핑식 제거부는, 상기 피도색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피도색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상기 축이 고정되는 승강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가 피도색물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동가이드부, 상기 회동가이드부 상에서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부가 암 지지부재, 상기 회동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부가 암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된 부가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주부에 수평 결합되는 로드, 상기 로드를 따라 이동되어 지주부에 대해 간격조절되는 간격조절봉, 내부에 도색용품을 구획하여 수납하기 위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구획벽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간격조절봉이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의 저면에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식 제거부는,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고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변위부, 상기 변위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와 마주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와 접촉되는 당김부, 상기 당김부가 타격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당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당김부가 상기 타격부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식 제거부는, 피도색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착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1 안착편이 형성된 제1 진동전달부, 상기 제1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2 안착편이 형성된 제2 진동전달부, 상기 제2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를 따라 상기 제2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 3안착편이 형성된 제3 진동전달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1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제1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2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3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제3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각각 상기 제1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 및 제3 진동전달부를 동시에 상승시킨 후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피도색물에 진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스크래핑식 제거부는, 상기 피도색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피도색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상기 축이 고정되는 승강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가 피도색물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피도색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래핑 하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핑식 제거부는, 상기 피도색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피도색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상기 축이 고정되는 승강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가 피도색물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도색물을 기울인 상태로 고정하여 피도색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선 자세로 도색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도색물을 도색하기 위한 도색용품을 보관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도색작업 시 필요한 도색용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도색물을 도색하기 전이나 이후에 피도색물에 진동력을 다중복합적으로 발생시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피도색물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높낮이가 가변되는 브러쉬를 통해 최종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확률을 높이고,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피도색물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수납부 및 타격식 제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 및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피도색물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수납부 및 타격식 제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 및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피도색물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수납부 및 타격식 제거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 및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진동식 제거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에 적용된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피도색물을 기울인 상태로 고정하여 피도색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선 자세로 도색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안착부(10), 지주부(20), 고정부(53), 연결부(30), 지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피도색물이 차량용 도어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차량용 도어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피도색물을 지지할 수 있음을 밝힌다.
안착부(10)는 지면에 안착되는 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바(11), 양 수평바(11)의 중앙부분을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바(12)를 포함하여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알파벳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수평바(11) 저면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13)가 설치될 수 있다.
바퀴(13)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B1)을 매개로 수평바(11)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B1)은 바퀴(13)가 직진이동과 방향 전환 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수평바(1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수평바(11)의 상면 중앙 부분에 각각 수직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주부(20)는 각기 다른 신장을 갖는 도색 작업자(이하 "작업자"라 함.)에 맞게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주부(20)에는 도어(D)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30)와 지지부(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자신이 도색작업을 하기에 편한에 높이에 도어(D)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주부(20)는 수평바(11)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암 지지부재(42), 암 수평바(11)의 내부공간을 따라 승강되며 상면에 후술되는 연결부(30)가 결합되는 수 지주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암 지지부재(42)의 상측에는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제1 수평홀이 형성되고, 수 지주부(20)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제2 수평홀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의 신장에 맞게 수 지지부재(43)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제1 수평홀 및 이 제1 수평홀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수평홀에 고정핀(44)을 공동으로 삽입하여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수 지지부재(43)를 고정하면 된다.
연결부(30)는 지지부(4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하우징(31)을 포함한다.
하우징(31)은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연결부(30)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된다.
연결부(30)는 하우징(31)의 내부에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지지부(40)도 경사진 상태로 결합되어 도어(D)를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지지한다.
지지부(40)는 도어(D)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2개 한 쌍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지지부(40)는 슬라이딩부(41), 암 지지부재(42), 수 지지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41)는 양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1)는 연결부(3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41)는 연결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서로 간격조절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D)의 폭에 대응되게 슬라이딩부(41) 간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암 지지부재(42)는 슬라이딩부(41)에 결합되어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암 지지부재(42)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 지지부재(43)는 암 지지부재(4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암 지지부재(4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암 지지부재(42)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방향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 지지부재(43)는 암 지지부재(42)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 지지부재(42)의 하측에는 하나의 제1 연결홀(52a)이 형성되고, 수 지지부재(43)의 상측에는 암 지지부재(42)의 내부에서 제1 연결홀(52a)과 마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연결홀(5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 지지부재(43)를 암 지지부재(42)에서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수 지지부재(43)를 암 지지부재(42)에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 지지부재(43)의 인출길이가 조절되면서 제1 연결홀(52a)과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홀(54a)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수 지지부재(43)를 암 지지부재(42)에서 인출 또는 인입 시킨 다음, 서로 마주하게 되는 제1 연결홀(52a)과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홀(54a)에 고정핀(44)을 공동으로 삽입하면 인출 길이 조절이 완료된 수 지지부재(43)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연결홀(52a)과 제2 연결홀(54a) 및 고정핀(44)을 통해 수 지지지부(40)재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수 지지부재(43)의 끝 부분에는 도어(D)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431)이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편(431)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안착부(10), 지주부(20), 연결부(30), 지지부(40)는 도어(D)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이 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의 사용 예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어(D)는 차량의 실내측에 위치되는 내측면(D1), 내측면(D1)과 연결되며 차량의 실외측에 위치되는 외측면(D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면(D1)과 외측면(D2)의 사이에는 유리창, 유리창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레일, 유리창을 승강시키는 모터 등이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면(D1)에는 빈 공간에 레일, 모터 등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대부분의 도어(D) 내측면(D1)에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홀이 형성되는 바, 이 한 쌍의 홀을 통해 지지부(40)에 도어(D)를 거치시키면 된다.
도 3에는 암 지지부재(42)에 도어(D)를 거치한 예를 도시하였는바, 도 3을 참고하면 암 지지부재(42)의 상면에 도어(D)가 안착되어, 결국 도어(D)가 비스듬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편(431)은 내측면(D1)과 외측면(D2)의 사이 빈 공간에서 내측면(D1)과 마주하기 때문에, 도어(D)가 암 지지부재(42)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이탈방지편(431)이 내측면(D1)을 지지하여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어(D)를 수 지지부재(43)에 지지시키면 도어(D)가 가파른 경사각을 유지하지만, 도어(D)를 암 지지부재(42)에 지지시키면, 도어(D)는 수 지지부재(43)에 지지된 것보다 완만한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이 도색작업을 하기에 편리한 곳(암 지지부재(42) 또는 수 지지부재(43))에 도어(D)를 지지시킨 다음 도색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나아가, 수 지지부재(43)는 암 지지부재(42)에 삽입되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암 지지부재(42)에서 보다 인출시킨 다음, 수 지지부재(43)의 아래쪽 끝 부분에 도어(D)를 지지시키면, 도어(D)를 보다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소형, 중형, 세단 차량과 같이 도어(D)의 내측면(D1)과 외측면(D2)의 간격이 좁을 경우 수 지지부재(43)를 암 지지부재(42)의 내부로 더 인입시키면 되고, 대형차량(트럭)과 같이 내측면(D1)과 외측면(D2)의 간격이 넓을 경우 수 지지부재(43)를 암 지지부재(42)에서 더 인출시켜 지지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이와 같이 지지부(40)에 지지된 도색물을 보조로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50)는 회동가이드부(51), 부가 암 지지부재(52), 고정부(53),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가이드부(51)는 일측과 타측이 지주부(20)에 각각 결합되어, 양 지주부(20)를 연결하며, 연결부(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회동가이드부(51)가 지주부(20)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회동가이드부(51)는 회동체(521)의 회동을 가이드하도록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암 지지부재(5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암 지지부재(52)의 하단에는 회동가이드부(5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회동체(521)가 형성된다.
회동체(521)는 대략 링 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가이드부(5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회동체(521)는 후술되는 지지바(541)가 도어(D)에 대한 지지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회동가이드부(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체(521)에는 후술되는 고정부(53)가 체결되는 나선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부가 암 지지부재(52)는 회동체(521)를 통해 회동가이드부(51)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고정부(53)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회동체(521)의 나선에 체결되는 본체(531) 및 본체(5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532)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체(531)가 함께 회전되면서 나선홀에 체결되고, 손잡이(532)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체(531)가 함께 회전되면서 나선홀에서 풀리게 된다.
부가 수 지지부재(54)는 부가 암 지지부재(5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부가 암 지지부재(5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부가 암지지부(40)재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방향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수 지지부재(54)의 상면에는 도어(D)의 하측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바(541)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부가 수 지지부재(54)는 부가 암 지지부재(52)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가 암지지부(40)재의 상측에는 하나의 제1 연결홀(52a)이 형성되고, 부가 수 지지부재(54)에는 암 지지부재(42)의 내부에서 제1 연결홀(52a)과 마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연결홀(5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부가 암 지지부재(52)에서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부가 암 지지부재(52)에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부가 수 지지부재(54)의 인출길이가 조절되면서 제1 연결홀(52a)과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홀(54a)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부가 암 지지부재(52)에서 인출 또는 인입 시킨 다음, 서로 마주하게 되는 부가 제1 연결홀(52a)과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홀(54a)에 고정핀(542)을 공동으로 삽입하면 인출 길이 조절이 완료된 수 지지부재(43)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연결홀(52a)과 제2 연결홀(54a) 및 고정부(53)를 통해 부가 수 지지지부(40)재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보조 지지부(50)는 도어(D)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40)에 도어(D)를 경사지게 지지한 다음, 도어(D)의 경사각에 맞게 부가 암 지지부재(52) 및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인출 또는 인입하여 지지바(541)를 도어(D)의 하측에 밀착시킨 후, 제1 연결홀(52a) 및 어느 하나의 제2 연결홀(54a)에 고정부(53)를 공동으로 삽입하여 부가 수 지지부재(54)를 고정함으로써, 지지바(541)가 도어(D)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하면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지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색작업을 수행하는 부수실의 내부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아니하여 먼지가 많은 경우, 도어(D)를 거치대나 바닥에 눕혀서 도색을 하면 도어(D)의 상면에 먼지가 많이 쌓이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에 도어(D)를 경사진 형태로 지지시키면 먼지가 도어(D)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 지면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도색 전, 후에 도어(D)에 많이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D)를 거치대에 눕혀서 도색작업을 할 경우, 도어(D)의 외측면(D2)은 작업자에게 노출되지만 도어(D)의 내측면(D1)은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도어(D)의 내측면(D1)을 도색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무릎을 많이 굽히거나 불편하게 쪼그려 앉아야 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를 이용하면 편안하게 서서 도어(D)의 외측면(D2)을 도색한 다음 내측면(D1) 측으로 돌아가서 도색을 하면 됨으로, 작업성을 개선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60), 타격식 제거부(70), 진동식 제거부(80), 스프래핑식 제거부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부(60)는 모터(61), 로드(62), 간격조절봉(63), 수납함(64), 이동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주부(20)에 각각 결합된다.
모터(61)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20)에는 모터(61)의 모터축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 방향 회전 버튼 및 모터(61)의 모터축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역 방향 회전 버튼(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61)는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모터축이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모콘을 통해 모터(61)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면 된다.
로드(6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모터(61)에 각각 결합된다.
로드(62)는 모터(61)의 동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드(62)의 외주연에는 간격조절봉(63)을 지주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나선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봉(63)은 로드(62)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주연엔 로드(62)의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봉(63)은 로드(62)의 나선을 따라 이동되어 지주에 대해 간격조절 될 수 있다.
수납함(64)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함(64)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구획벽(641)이 서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구획벽(641)은 격자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6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구획공간에 에어건, 페인트 통, 등 도어(D)의 도색 작업에 필요한 도색용품을 구획하여 수납하면 된다.
이동부(65)는 간격조절봉(63)이 결합되며, 수납함(64)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동부(65)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ㅗ"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65)의 하측에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651)가 설치된다.
바퀴(651)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라켓(B2)을 매개로 이동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B2)은 바퀴(651)가 안착부(10)의 바퀴(13)와 연동하여 직진이동과 방향 전환 이동이 모두 가능하도록 이동부(65)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로드(62)가 모터(61)에 의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간격조절부의 나선이 로드(62)의 나선을 따라 이동되는 바, 간격조절부, 수납부(60), 이동부(65)가 지주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과정에서 바퀴(651)가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 된다.
그리고, 로드(62)가 모터(61)에 의해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간격조절부의 나선이 로드(62)의 나선을 따라 이동되는 바. 간격조절부, 수납부(60), 이동부(65)가 지주부(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과정에서 바퀴(651)가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색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리모콘에 구비된 정 방향 회전 버튼을 눌러 간격조절부, 수납부(60), 이동부(65)를 지주부(20)에서 이격시킴으로써, 도색 페인트가 수납함(64)에 수납된 도색용품에 묻지 아니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색 작업 중 수납함(64)에 수납된 도색용품을 필요할 경우 리모콘에 구비된 역 방향 회전 버튼을 눌러 수납부(60)를 지주부(20)에 근접시킴으로써, 수납함(64)에 수납된 원하는 도색용품을 꺼내 사용하면 된다.
한편, 타격식 제거부(70)는 하우징(31)을 타격하여 도어(D)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진동식 제거부(80)는 도어(D)에 진동을 발생시켜 도어(D)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며, 털이식 제거부는 도어(D)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방식으로 3차로 제거하고, 스크래핑식 제거부(90)는 털이부에 후행 작동하며 상기 도어(D)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래핑 하는 방식으로 4차로 제거한다.
타격식 제거부(70)는 변위부(71), 타격부(75), 당김부(72), 승강실린더(73), 제1 공압실린더(74)를 포함할 수 있다,
변위부(71)는 지주붕 고정되고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변위부(71)는 후술되는 당김부(72)에 의해 당겨져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타격부(75)는 변위부(71)의 상면에 고정되고 하우징(31)과 마주한다.
타격부(75)는 하우징(31)을 타격하는 것으로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75)는 하우징(31)을 타격하였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당김부(72)는 하우징(31)과 타격부(75)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 수직부의 상단에서 연결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당김부(72)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73)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이 당김부(72)의 수평부에 결합된다.
승강실린더(73)는 수직부가 타격부(75)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당김부(72)를 승강시킨다.
제1 공압실린더(74)는 로드(62)레스실린더 또는 리니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압실린더(74)의 피스톤은 승강실린더(73)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공압실린더(74)는 당김부(72)가 타격부(75)를 하우징(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승강실린더(73)를 연결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공압실린더(74)는 받침대(7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75)의 저면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복수개의 바퀴(76)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타격식 제거부(7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당김부(72)의 수직부가 타격부(75)와 마주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공압실린더(74)가 승강실린더(73)를 하우징(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후진시킨다.
이에 따라 당김부(72)도 함께 후진되며, 그 과정에서 수직부가 타격부(75)를 하우징(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타격부(75)와 결합된 변위부(71)도 하우징(3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후, 승강실린더(73)의 피스톤이 당김부(72)를 상승시켜 수직부와 이격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변위부(71)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타격부(75)가 하우징(31)을 타격한다.
이때, 타격부(75)가 하우징(31)을 타격하면 변위부(71)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우징(31)과 멀어졌다가 가까워짐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격부(75)가 하우징(31)을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그리고, 타격부(75)의 타격력이 지지부(40)로 전달되며, 결국 지지부(40)에 지지된 도어(D)에 진동이 발생되어, 도어(D)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위부(71)가 정지되면, 제1 공압실린더(74)가 승강실린더(73)를 하우징(31)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승강실린더(73)가 당김부(72)를 하강시켜 수직부를 하우징(31)과 당김부(72)의 사이에 위치시키며, 다시 제1 공압실린더(74)가 승강실린더(73)를 후진시켜 당김부(72)가 타격부(75)를 당기도록 하고, 승강실린더(73)가 당김부(72)를 상승시켜 수직부를 타격부(75)의 상측으로 이격시킴으로써, 타격부(75)가 변위부(71)의 탄성작용에 의해 하우징(31)을 다시 반복적으로 타격하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실린더(73)와 제1 공압실린더(74)는 약 3~5회 정도 반복 작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타격부(75)가 하우징(31)을 3~5회 정도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한편, 진동식 제거부(80)는 안착부(81), 제1 진동전달부(82), 제2 진동전달부(83), 제3 진동전달부(84), 제1 진동발생부(85), 제2 진동발생부(86), 제3 진동발생부(8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각각의 지주부(20)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설치판(100), 설치판(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천장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진동발생부(85), 제2 진동발생부(86), 제3 진동발생부(87)는 천장부(103)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판(100)의 저면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바퀴(10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식 제거부(80)를 용이하게 도어(D)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도어(D)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안착부(81)는 도어(D)의 상면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81)는 경사면이 도어(D)의 상면에 안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81)는 클램프를 통해 도어(D)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클램프는 안착부(8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고정바, 고정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도어(D)의 가장자리를 집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집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D)의 상면에 안착부(81)를 안착한 다음 집게부로 도어(D)의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하면 된다.
다른 예로, 안착부(81)는 경사면에 도어(D)에 접착되는 접착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공지된 바와 같이 접착성분은 접착력이 약한 타입과 강한 타입이 있으며, 안착부(81)에 적용되는 접착성분은 안착부(81)를 도어(D)에 부착하면서도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접착력이 약한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진동전달부(82)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진동전달부(82)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진동전달부(82)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도어(D)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안착편(821)이 형성된다.
제1 안착편(821)은 도어(D)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완충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진동전달부(83)는 저면이 개방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진동전달부(83)는 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진동전달부(82)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전달부(83)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서는 제1 안착편(8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편(831)이 형성된다.
제2 안착편(831) 또한 도어(D)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진동전달부(84)는 저면이 개방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진동전달부(84)는 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진동전달부(83)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제3 진동전달부(84)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서는 제2 안착편(8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안착편(8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안착편(841) 또한 도어(D)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진동전달부(82), 제2 진동전달부(83), 제3 진동전달부(84)는 도어(D)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와 같으 경량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진동발생부(85)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84)와 제2 진동전달부(83)의 상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진동전달부(82)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1 드럼(852)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851), 제1 드럼(852)에 제1 와이어(85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1 드럼(852)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8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발생부(86)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84)의 상면을 관통하여 제2 진동전달부(83)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2 드럼(862)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861), 제2 드럼(862)에 제2 와이어(86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2 드럼(862)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8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진동발생부(87)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84)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3 드럼(872)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871), 제3 드럼(872)에 제3 와이어(87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3 드럼(872)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8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터(853),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는 설치판(100)의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천장부(103)의 저면에 설치된 "ㄴ"자 단면 형상의 브라켓(B3)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1 모터(853),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는 층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진동식 제거부(8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안착부(81)를 지지부(40)에 지지된 도어(D)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이후, 안착부(81)의 상면에 제1 진동전달부(82)를 안착하고, 제2 진동전달부(83)로 제1 진동전달부(82)를 감싸며, 제3 진동전달부(84)로 제2 진동전달부(83)를 감싸, 제1 진동전달부(82)와 제2 진동전달부(83) 및 제3 진동전달부(84)를 안착부(81)의 상면에 적층시킨다.
이때, 안착부(81)의 상면에는 제3 진동발생부(87)의 외주연을 감싸는 승강가이드통(88)을 고정하여 제1 진동발생부(85)와 제2 진동발생부(86) 및 제3 진동발생부(87)가 승강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모터(853)와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는 각각 상기 제1 진동전달부(82)와 제2 진동전달부(83) 및 제3 진동전달부(84)를 동시에 상승시킨 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를 위해 설치판(100)에는 제1 모터(853)와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제1 모터(853)와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따라서, 제1 모터(853)와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가 각각 제1 드럼(852)과 제2 드럼(862) 및 제3 드럼(872)을 각각 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와이어(851)와 제2 와이어(861) 및 제3 와이어(871)가 권취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함으로써, 제1 진동전달부(82)와 제2 진동전달부(83) 및 제3 진동전달부(84)가 동시에 상승된다.
이때, 제2 진동전달부(83)는 제1 진동전달부(82)의 상측까지 상승되고, 제3 진동전달부(84)는 제2 진동전달부(83)의 상측까지 상승된다.
즉, 제2 모터(863)와 제3 모터(873)는 각각 제2 진동전달부(83)는 제1 진동전달부(82)의 상측으로 이격되지 않고, 제3 진동전달부(84)는 제2 진동전달부(83)의 상측으로 이격되지 않을 만큼의 길이로 제2 와이어(861) 및 제3 와이어(871)를 각각 권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이후, 제어부는 제1 모터(853)와 제2 모터(863) 및 제3 모터(873)가 순차적으로 제1 드럼(852), 제2 드럼(862) 및 제3 드럼(872)을 순차적으로 역 방향 회전시켜 제1 진동발생부(85), 제2 진동발생부(86), 제3 진동발생부(87)가 순차적으로 하강된다.
제1 진동발생부(85)가 하강 시 제1 안착편(821)이 안착부(81)를 타격하여 도어(D)에 진동이 1차로 발생되고, 제2 진동발생부(86)가 하강 시 제2 안착편(831)이 제1 안착편(821)을 타격하여 도어(D)에 진동이 2차로 발생되며, 제3 진동발생부(87)가 하강 시 제3 안착편(841)이 제2 안착편(831)을 타격하여 도어(D)에 진동이 3차로 발생된다.
즉, 제1 진동발생부(85)와 제2 진동발생부(86) 및 제3 진동발생부(87)의 하강에 의해 도어(D)에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도어(D)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도어(D)에 전달되는 진동이 가중될 수 있도록 제2 진동발생부(86)가 제1 진동발생부(85)보다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3 진동발생부(86)가 제2 진동발생부(86)보다 무거운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래핑식 제거부(90)는 브러쉬(91), 하우징(93), 승강판(94), 코일스프링(95)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91)는 피도색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도어(D)와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축(92) 고정된다.
축(92)은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92)은 브러쉬(9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어, 브러쉬(91)가 도어(D)를 따라 이동할 시 그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93)은 브러쉬(91)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면이 천장부(103)에 고정된다.
하우징(93)은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93)은 진동식 제거부(8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승강판(94)은 하우징(93)의 저부 개구부에 위치되고, 저면에 축(92)이 각각 고정된다.
코일스프링(95)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하우징(93)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코일스프링(95)은 상면이 하우징(93)의 천장면에 고정되고, 저면이 승강판(94)의 상면에 고정된다.
코일스프링(95)은 승강판(9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브러쉬(91)를 도어(D)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설치판(100)의 바퀴(101)는 2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바퀴(101)의 축(102)에는 체인(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스프로켓(미도시)이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바퀴(101)의 축(102)에는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이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되면 스프로켓이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어2개의 바퀴(101)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설치판(100) 및 스크래핑식 제거부(90)는 바퀴(10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전술한 리모콘에는 모터의 모터축을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 방향 회전 버튼 및 모터의 모터축을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역 방향 회전 버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모콘을 통해 모터를 제어하여 브러쉬(91)를 도어(D)의 상단에서 하단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브러쉬(91)가 도어(D)의 상단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95)이 압축되고, 브러쉬(9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의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브러쉬(91)가 도어(D)와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도어(D)의 하단까지 이동하여 도어(D)의 상면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브러쉬(91)가 도어(D)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코일스프링(95)이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브러쉬(91)를 도어(D)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모터의 모터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브러쉬(91)가 도어(D)와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도어(D)의 상단까지 이동하여 도어(D)의 상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브러쉬(91)가 도어(D)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코일스프링(95)이 점진적으로 팽창되어 브러쉬(91)를 도어(D)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용 지그(1)는 이상 설명한 타격식 제거부(70), 진동식 제거부(80), 스크래핑식 제거부(90)를 통해 도어(D)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도어(D)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도색용 지그 10,81 : 안착부
11 : 수평바 12 : 연결바
13,651,76,101 : 바퀴 20 : 지주부
30 : 연결부 31,93 : 하우징
40 : 지지부 41 : 슬라이딩부
42 : 암 지지부재 43 : 수 지지부재
431 : 이탈방지편 44,542 : 고정핀
50 : 보조 지지부 51 : 회동가이드부
52 : 부가 암 지지부재 52a : 제1 연결홀
521 : 회동체 53 : 고정부
531 : 본체 532 : 손잡이
54 : 부가 수 지지부재 54a : 제2 연결홀
541 : 지지바 60 : 수납부
61 : 모터 62 : 로드
63 : 간격조절봉 64 : 수납함
641 : 구획벽 65 : 이동부
70 : 타격식 제거부 71 : 변위부
72 : 당김부 73 : 승강실린더
74 : 제1 공압실린더 75 : 받침대
80 : 진동식 제거부 82 : 제1 진동전달부
821 : 제1 안착편 83 : 제2 진동전달부
831 : 제2 안착편 84 : 제3 진동전달부
841 : 제3 안착편 85 : 제1 진동발생부
851 : 제1 와이어 852 : 제1 드럼
853 : 제1 모터 86 : 제2 진동발생부
861 : 제2 와이어 862 : 제2 드럼
863 : 제2 모터 87 : 제3 진동발생부
871 : 제3 와이어 872 : 제3 드럼
873 : 제3 모터 88 : 승강가이드통
90 : 스크래핑식 제거부 91 : 브러쉬
92,102 : 축 94 : 승강판
95 : 코일스프링 100 : 설치판
103 : 천장부
11 : 수평바 12 : 연결바
13,651,76,101 : 바퀴 20 : 지주부
30 : 연결부 31,93 : 하우징
40 : 지지부 41 : 슬라이딩부
42 : 암 지지부재 43 : 수 지지부재
431 : 이탈방지편 44,542 : 고정핀
50 : 보조 지지부 51 : 회동가이드부
52 : 부가 암 지지부재 52a : 제1 연결홀
521 : 회동체 53 : 고정부
531 : 본체 532 : 손잡이
54 : 부가 수 지지부재 54a : 제2 연결홀
541 : 지지바 60 : 수납부
61 : 모터 62 : 로드
63 : 간격조절봉 64 : 수납함
641 : 구획벽 65 : 이동부
70 : 타격식 제거부 71 : 변위부
72 : 당김부 73 : 승강실린더
74 : 제1 공압실린더 75 : 받침대
80 : 진동식 제거부 82 : 제1 진동전달부
821 : 제1 안착편 83 : 제2 진동전달부
831 : 제2 안착편 84 : 제3 진동전달부
841 : 제3 안착편 85 : 제1 진동발생부
851 : 제1 와이어 852 : 제1 드럼
853 : 제1 모터 86 : 제2 진동발생부
861 : 제2 와이어 862 : 제2 드럼
863 : 제2 모터 87 : 제3 진동발생부
871 : 제3 와이어 872 : 제3 드럼
873 : 제3 모터 88 : 승강가이드통
90 : 스크래핑식 제거부 91 : 브러쉬
92,102 : 축 94 : 승강판
95 : 코일스프링 100 : 설치판
103 : 천장부
Claims (2)
-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
상기 양 지주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도색물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주부에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가 경사진 구조로 피도색물을 경사지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결합되고 피도색물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로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암 지지부재,
상기 암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도색물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로 피도색물을 지지하고, 끝단에 피도색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돌출형성 된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
상기 지주부에 연결되며 도색용품을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지지부를 타격하여 상기 피도색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타격식 제거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피도색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피도색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식 제거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피도색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스크래핑 하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스크래핑식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기 지주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동가이드부,
상기 회동가이드부 상에서 회동되는 회동체를 포함하는 부가 암 지지부재,
상기 회동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회동가이드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부가 암 지지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피도색물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된 부가 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지주부에 수평 결합되는 로드,
상기 로드를 따라 이동되어 지주부에 대해 간격조절되는 간격조절봉,
내부에 도색용품을 구획하여 수납하기 위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구획벽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함,
상기 간격조절봉이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의 저면에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식 제거부는,
상기 지주부에 고정되고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변위부,
상기 변위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와 마주하는 타격부,
상기 타격부와 접촉되는 당김부,
상기 당김부가 타격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당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당김부가 상기 타격부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승강실린더를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식 제거부는,
피도색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착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1 안착편이 형성된 제1 진동전달부,
상기 제1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2 안착편이 형성된 제2 진동전달부,
상기 제2 진동전달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하부 가장자를 따라 상기 제2 안착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제 3안착편이 형성된 제3 진동전달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1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제1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를 관통하여 제2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제2 진동발생부,
상기 제3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 상기 제3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제3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와 제2 모터 및 제3 모터는 각각 상기 제1 진동전달부와 제2 진동전달부 및 제3 진동전달부를 동시에 상승시킨 후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상기 피도색물에 진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게 가해지도록 하고,
상기 스크래핑식 제거부는,
상기 피도색물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피도색물과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상기 축이 고정되는 승강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가 피도색물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도색용 지그.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437A KR102240952B1 (ko) | 2020-12-03 | 2020-12-03 | 도색용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437A KR102240952B1 (ko) | 2020-12-03 | 2020-12-03 | 도색용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952B1 true KR102240952B1 (ko) | 2021-04-14 |
Family
ID=7547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437A KR102240952B1 (ko) | 2020-12-03 | 2020-12-03 | 도색용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95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1391B1 (ko) * | 2021-03-26 | 2021-07-23 | 주식회사 제이에스메탈 | 포밍기 |
CN114682429A (zh) * | 2022-02-16 | 2022-07-01 | 淮北牧羽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电池组装用导电片辅助粘连设备 |
KR102665367B1 (ko) * | 2023-10-11 | 2024-05-14 | 주식회사 성산자동차 | 도장용 거치대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5366A (ja) * | 1994-05-26 | 1996-02-16 | Yahagi:Kk | ワイヤーハーネス組み付け治具 |
KR0164195B1 (ko) * | 1995-12-28 | 1998-12-15 | 김태구 | 자동차의 백 패널 교환작업 지그 |
JP2003038992A (ja) * | 2001-07-30 | 2003-02-12 | Dic Plastics Inc | 合成樹脂バンパーの塗装用治具 |
KR101459465B1 (ko) * | 2013-06-14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로딩 지그장치 |
KR101859381B1 (ko) | 2017-11-24 | 2018-05-21 | 김영호 | 차량 도색용 챔버 |
-
2020
- 2020-12-03 KR KR1020200167437A patent/KR102240952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5366A (ja) * | 1994-05-26 | 1996-02-16 | Yahagi:Kk | ワイヤーハーネス組み付け治具 |
KR0164195B1 (ko) * | 1995-12-28 | 1998-12-15 | 김태구 | 자동차의 백 패널 교환작업 지그 |
JP2003038992A (ja) * | 2001-07-30 | 2003-02-12 | Dic Plastics Inc | 合成樹脂バンパーの塗装用治具 |
KR101459465B1 (ko) * | 2013-06-14 | 2014-11-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로딩 지그장치 |
KR101859381B1 (ko) | 2017-11-24 | 2018-05-21 | 김영호 | 차량 도색용 챔버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1391B1 (ko) * | 2021-03-26 | 2021-07-23 | 주식회사 제이에스메탈 | 포밍기 |
CN114682429A (zh) * | 2022-02-16 | 2022-07-01 | 淮北牧羽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电池组装用导电片辅助粘连设备 |
CN114682429B (zh) * | 2022-02-16 | 2023-02-03 | 淮北牧羽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电池组装用导电片辅助粘连设备 |
KR102665367B1 (ko) * | 2023-10-11 | 2024-05-14 | 주식회사 성산자동차 | 도장용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0952B1 (ko) | 도색용 지그 | |
US9801465B1 (en) | Storage systems | |
AU2014201542B2 (en) | Improved apparatus for storing or holding items | |
US6851376B2 (en) | Pull down shelf for overhead storage | |
US6338450B1 (en) | Cable manager for a rechargeable electric vehicle | |
CN111359792B (zh) | 一种静电喷涂装置 | |
WO2018159527A1 (ja) | 掃除機収納台 | |
KR101690273B1 (ko) | 고소작업용 와이어 리프트 | |
JP7117018B2 (ja) | 頭上収納ユニット | |
CN109680920A (zh) | 吊篮 | |
CN216901310U (zh) | 隐藏式智能电动吸顶幕 | |
JPH0932277A (ja) | ゴンドラ | |
CN213074951U (zh) | 一种壁挂式开关柜的安装架 | |
CN208203166U (zh) | 油管推送装置 | |
JP3139879U (ja) | 神棚の棚昇降装置 | |
CN108590127B (zh) | 一种用于高空作业的自动刷墙装置 | |
AU2010214791A1 (en) | Service Delivery Boom | |
CN206053832U (zh) | 防脱落挂式抽拉梯 | |
US11864648B2 (en) | Overhead storage unit with pivoting storage containers | |
US20210039883A1 (en) | Overhead storage access system | |
CN220666823U (zh) | 建筑工程用喷涂机构 | |
NL2024446B1 (en) | Portable device for driving a rope | |
CN215663503U (zh) | 一种省力型的蓄电池托架 | |
JP3100012U (ja) | 工具類の支持板装置 | |
CN220764469U (zh) | 一种车身修复机专用小推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