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381B1 - 차량 도색용 챔버 - Google Patents

차량 도색용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381B1
KR101859381B1 KR1020170158199A KR20170158199A KR101859381B1 KR 101859381 B1 KR101859381 B1 KR 101859381B1 KR 1020170158199 A KR1020170158199 A KR 1020170158199A KR 20170158199 A KR20170158199 A KR 20170158199A KR 101859381 B1 KR101859381 B1 KR 10185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ousing
vehicle
chamber
ho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7015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35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ith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s by gas flow, e.g. blast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63After-treatment with 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측에 도어가 설치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분진 농도를 조절하는 환기유닛;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보일러유닛; 및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 표면의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대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원적외선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재차 반사시키도록 하는 조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색용 챔버{Chamber for Car painting}
본 발명은 차량 도색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색을 위한 차량 도색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를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 마지막으로 수행되는 공정이 페인트 도장공정 및 건조공정이 되며, 자동차 및 기계장치류의 수리나 유지보수 측면에 있어서도 페인트 도장공정과 건조공정은 대부분 수반된다.
상기와 같은 도장 및 건조공정에서, 페인트의 도장작업시에는 도장용 부스 또는 도장용 챔버의 실내온도를 약 20℃의 상온으로 유지시켜야 하며, 도장의 건조작업시에는 페인트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유성/수성 도장의 경우에는 도장부스의 실내온도를 약 60~70℃로 유지시고, 분체 도장의 경우에는 도장부스의 실내온도를 약180~200℃로 유지시키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도장 및 건조공정 작업시에는 내부온도를 요구하는 건조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기존의 경우에는 경유나 석유 또는 LPG와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열기를 이용해 챔버의 내부로 송풍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매우 고가여서 에너지의 낭비와 건조비용의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금속제 히팅파이프의 내부에 히팅코일을 절연체와 함께 장입시킨 시즈히터를 히터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설치함으로서, 시즈히터로부터 발생한 열을 도장의 건조에 적용시킨 전기식 건조히터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히터케이스에 손잡이와 바퀴를 설치한 이동식 건조히터와, 히터케이스 자체를 도장부스의 벽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고정식 건조히터로 대별될 수가 있다.
상기 고정식 건조히터는, 통상 전방면이 개구된 사각 형상의 히터케이스 내부에 다수 매의 시즈히터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 설치하고, 히터케이스의 전방면에는 안전망을 설치하여 도장부스의 벽체상에 고정시킨 다음, 각각의 시즈히터를 전원공급용 메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식 건조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시즈히터를 사용함에 따라 화석연료를 이용한 방식보다는 에너지의 절감효과가 있었으나, 시즈히터로부터 건조표면으로 열에너지를 도달시키는 단순한 복사열의 원리에 의존함에 따라, 도장의 신속한 건조를 이루어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적정온도의 유지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시즈히터의 히팅파이프 표면이 페인트 성분의 부착이나 과열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쉽게 산화 및 부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도장부스의 벽체에 설치되는 고정식 건조히터의 경우에는 그 특성상, 시즈히터로부터 발생한 건조열의 대부분이 히터케이스의 개구된 전방면을 통하여 건조대상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신속한 도장건조와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다소 많은 량의 건조열이 히터케이스의 측면부와 후방면 및 도장부스의 벽체를 거쳐 대류식으로 불필요하게 유출됨으로서, 신속한 도장건조와 에너지의 절감 차원에서 불합리한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유성페인트나 분체 도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페인트용 유기용제가 대기중으로 증발 및 확산됨으로서 도장부스의 내부에 휘발성 가스성분이 축적되는 바, 이러한 휘발성 가스성분이 시즈히터의 전기배선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나 시즈히터의 과열로 인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건조히터에는 도장부스의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장치 또한 제공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0652528호(2006.11.24)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도색시 챔버 내부에 휘발성 가스 성분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생되는 유해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며,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열처리시, 챔버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도색시, 챔버 하우징의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물질 또는 유해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도색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또는 유해물질로부터 가연성 유체를 포집하며, 포집한 가연성 유체를 보일러 유닛의 구동에 대해 가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일측에 도어가 설치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분진 농도를 조절하는 환기유닛;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보일러유닛; 및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 표면의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대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원적외선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재차 반사시키도록 하는 조명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를 상기 보일러유닛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챔버 하우징은, 상기 챔버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환기덕트; 상기 환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환기펌프; 및 상기 환기덕트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으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환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필터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하우징은, 그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을 지지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들을 바닥측으로 통과시키도록 망상구조로 형성되는 배출트랩; 상기 배출트랩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수용부; 상기 이물질수용부에 수용되는 이물질 및 상기 이물질수용부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배출펌프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덕트;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며, 가연성유체는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는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 구성된 재생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재생필터로부터 포집된 가연성유체를 보일러유닛으로 공급하도록 연결 구성된 순환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하우징은, 그 내측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처리 모듈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벽을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패널은, 세라믹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된 초내열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패널은 상기 차량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재차 반사하도록 하는 하프미러층이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패널은 일 단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2 반사면의 대향면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유닛은 타이머모듈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의 on/off가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조명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반사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챔버 하우징과 배관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유체를 흡기하는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흡기되는 유체의 온도/습도를 조절하여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가열/냉각시키도록 연결 구성된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 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건조열풍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해 가용되는 가용에너지원의 공급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에너지공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용에너지원은 전력 또는 화석연료 중, 선택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보일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배관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건조열풍을 챔버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확산시키도록 하는 확산모듈이 설치된 공급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모듈은,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1차로 통과되며,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좁하지는 노즐홀이 관통형성된 제1 확산패널;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2차로 통과되는 평행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패널에 결합되는 제2 확산패널; 및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3차로 통과되며, 상기 통과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도록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넓어지는 디퓨징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 확산패널에 결합되는 제3 확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도색시, 챔버 내부에 휘발성 가스 성분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며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열처리시, 챔버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도색시, 챔버 하우징의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물질 또는 유해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도색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또는 유해물질로부터 가연성 유체를 포집하며, 포집한 가연성 유체를 보일러 유닛의 구동에 대해 가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보일러유닛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조명유닛을 나타낸 요부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조명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확산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보일러유닛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조명유닛을 나타낸 요부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조명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1)는, 차량 도색시,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고, 차량의 열처리시, 챔버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키도록 하며, 차량 도색시, 발생되는 유해물질 또는 유해가스가 원활하게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도색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또는 유해물질로부터 가연성 유체를 포집하며, 포집한 가연성 유체를 가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도어가 설치된 챔버 하우징(10)과, 상기 챔버 하우징(10)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분진 농도를 조절하는 환기유닛(20)과, 상기 챔버 하우징(10)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보일러유닛(30) 및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 표면의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명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를 상기 보일러유닛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해가스는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의 도색 또는 도장 작업시, 발생되는 각종 분진 및 유해가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유해물질은,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의 도색/도장 작업시, 상기 차량에 부착되어져,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바닥측으로 낙하되는 각종 이물질 또는 가연성/휘발성 화학물질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조명유닛(40)은,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조명모듈(40)과, 상기 조명모듈(41)에 대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41)에 의해 조사되는 원적외선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재차 반사시키도록 하는 조명패널(42)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챔버 하우징(10)은,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환기덕트(22)와, 상기 환기덕트(22)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환기펌프(21) 및 상기 환기덕트(22)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10)으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환기필터(2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필터(23)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부 보온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해가스의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챔버 하우징(10) 그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을 지지하며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들을 바닥측으로 통과시키도록 망상구조로 형성되는 배출트랩(111)과, 상기 배출트랩(111)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수용부(112)와, 상기 이물질수용부(112)에 수용되는 이물질 및 상기 이물질수용부(112)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는 배출펌프(113) 및 상기 배출펌프(113)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덕트(114)가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의 분진 농도를 원활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펌프(113)는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며, 가연성유체/휘발성유체는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는 배출덕트(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 구성된 재생필터(1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재생필터(115)는, 상기 유해가스 또는 유해물질로부터 가연성/휘발성 물질들을 포집하도록 구성되는 공지의 필터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하여 구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펌프(113)는 상기 재생필터(115)로부터 포집되지 아니한 가연성유체를 보일러유닛(30)으로 공급하도록 연결 구성된 순환덕트(11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가연성 유체는 페인트에 포함되는 각종 휘발성 가스 성분들을 의미하며, 상기 순환덕트(116)를 통해 휘발 성분의 가연성유체를 상기 보일러유닛(30)으로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휘발성 가스 성분의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연성 유체를 상기 보일러유닛(30)을 통해 연소시킴으로써, 챔버 하우징(10) 내부에 적체되는 가연성 유체의 농도를 저하시켜, 폭발의 위험을 낮출 뿐만 아니라, 상기 보일러유닛(30)을 통해 공급되는 전체 열량을 미약하나마 높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에 유리하다.
더불어, 상기 챔버 하우징(10)은, 그 내측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처리 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처리 모듈(50)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챔버 하우징(10)의 내측벽을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다양한 차량의 규격에 맞추어 효율적인 열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열처리모듈(50)의 중심부에 회전축(미도시)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놓여지는 방향으로 상기 열처리모듈(5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열처리모듈(5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차량의 소정 부분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명모듈(41)은,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복수개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열처리시, 건조도막 즉, 차량 표면의 상태에 따라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병행하여 열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상기 조명패널(42)은, 세라믹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된 초내열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명패널에 대해 발생되는 열에 대한 응력이 향상되고, 방수기능을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향상에 의해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패널(42)은 상기 차량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재차 반사하도록 하는 하프미러층(423)을 적층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명패널(42)을 투과한 광이 차량 표면에 의해 반사되어 조명패널(42)에 다시 입사되더라도 상기 조명패널(42)에 형성된 하프미러층(423)에 의해 반사되어 재차 차량측으로 반사되어, 결과적으로 열손실을 줄이며,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명패널(42)은 일 단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반사면(421)과, 상기 제1 반사면(421)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2 반사면(422)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반사면(421)은, 상기 제2 반사면(422)의 대향면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패널(42)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조명패널(42)의 전면으로 투과되는 광이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로 산란되지 않고, 상기 차량측을 향해 돌출된 상기 제1 반사면(421)과 상기 제2 반사면(422)의 일측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차량측으로 집광되어, 열처리 효율을 증강시키고, 열손실을 저감시켜서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명유닛(40)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규격에 따라 맞춰서 열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양한 차종에 적합한 도장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명유닛(40)에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이 설치되어, 상기 조명유닛(40)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차량에서 소정의 위치로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유닛(40)은 상기 조명유닛(40)에 구비된 타이머모듈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조명유닛(40)작동의 on/off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명유닛(40)은 타이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타이머모듈에 의해 복수의 조명유닛(40)이 각각 광을 조사하도록 작동하되, 상기 타이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40)이 일괄적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작동하다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작동이 정지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설정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조명유닛(40)의 과열을 방지하며, 사용 수명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된다.
더불어, 상기 조명유닛(40)은, 상기 타이머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시간설정에 따라 상기 작동 on/off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과열을 방지하며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챔버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되어, 도장 품질 향상 및 도장 작업의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명유닛(40)은, 상기 조명유닛(4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반사시켜서 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반사패널(4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보일러 유닛(30)은, 상기 챔버 하우징(10)과 통상 배관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10)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유체를 흡기하는 공급펌프(31); 및 상기 공급펌프(31)로부터 흡기되는 유체의 온도/습도를 조절하여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가열/냉각시키도록 연결 구성된 온도조절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 유닛(30)은 상기 건조열풍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해 가용되는 가용에너지원의 공급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에너지공급제어모듈(33)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덕트(116)에 의해 공급되는 가연성유체로 이루어진 가용에너지와, 상기 보일러 유닛(30)으로부터 사용되는 가용에너지원을 상기 온도조절모듈(32)에 일정량으로 적절히 공급하여 결과적으로 고장 또는 폭발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용에너지원은 전력 또는 화석연료 중, 선택한 어느 하나 일 수가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용에너지원은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보일러 유닛(30)은, 순환덕트(116)로부터 공급되는 가용에너지원과 전력에너지를 병행하여 구동하도록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일러 가동 효율을 더욱 증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보일러 유닛(30)은, 전력 또는 화석연료(등유)를 가용 에너지원으로 구동하는 공지의 보일러 유닛(30)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용하여 구현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한 중복설명이나, 주지 기술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 중, 확산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색용 챔버의 보일러 유닛(30)은 상기 보일러 유닛(30)에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 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10)으로 공급하도록 배관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건조열풍을 챔버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확산시키도록 하는 확산모듈(340)이 설치된 공급덕트(301)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산모듈(340)은, 상기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10)에 공급시, 상기 챔버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보다 넓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기 확산모듈(340)은,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1차로 통과되며,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좁하지는 노즐홀(342)이 관통형성된 제1 확산패널(341)과,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2차로 통과되는 평행홀(34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패널에 결합되는 제2 확산패널(343), 및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3차로 통과되며, 상기 통과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도록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넓어지는 디퓨징홀(34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 확산패널(343)에 결합되는 제3 확산패널(345)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홀(342), 상기 평행홀(344), 및 상기 디퓨징홀(346)은 각각 서로 연통하도록 복수개로 관통설치됨에 따라,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일러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열풍이 상기 노즐홀(3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평행홀(344)을 거쳐서 상기 디퓨징홀(346)을 통과되면, 상기 디퓨징홀(346)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건조열풍이 상기 챔버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넓게 확산될 수가 있다.
더불어, 상기 확산모듈(340)은 발포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차량 도색시,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고, 차량의 열처리시, 챔버 하우징(10)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차량 도색/도장 시, 챔버 하우징(10)의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물질 또는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 도색/도장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또는 유해물질로부터 가연성 유체를 포집하며, 포집한 가연성 유체를 보일러유닛(30)의 구동에 대해 가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도색용 챔버 10. 챔버하우징
11. 배출수단 20. 환기유닛
21. 환기펌프 22. 환기덕트
23. 환기필터 30. 보일러유닛
31. 공급펌프 32. 온도조절모듈
33. 에너지공급제어모듈 40. 조명유닛
41. 조명모듈 42. 조명패널
50. 열처리모듈 111. 배출트랩
112. 이물질수용부 113. 배출펌프
114. 배출덕트 115. 재생필터
116. 순환덕트 301. 공급덕트
340. 확산모듈 341. 제1 확산패널
342. 노즐홀 343. 제2 확산패널
344. 평행홀 345. 제3 확산패널
346. 디퓨징홀 421. 제1 반사면
2. 제2 반사면 423. 하프미러층
424. 반사패널

Claims (21)

  1. 일측에 도어가 설치된 챔버 하우징;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분진 농도를 조절하는 환기유닛;
    상기 챔버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보일러유닛; 및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 표면의 열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차량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원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조명모듈과, 상기 조명모듈에 대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에 의해 조사되는 원적외선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차량측으로 재차 반사시키도록 하는 조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를 상기 보일러유닛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보일러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보일러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으로 공급하도록 배관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건조열풍을 챔버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확산시키도록 하는 확산모듈이 설치된 공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모듈은,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1차로 통과되며,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좁아지는 노즐홀이 관통형성된 제1 확산패널;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2차로 통과되는 평행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 확산패널에 결합되는 제2 확산패널; 및
    일면에 상기 건조열풍이 3차로 통과되며, 통과되는 건조열풍을 상기 챔버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도록 건조열풍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넓어지는 디퓨징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 확산패널에 결합되는 제3 확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상기 챔버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환기덕트;
    상기 환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환기펌프; 및
    상기 환기덕트에 연결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으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환기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필터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그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을 지지하며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들을 바닥측으로 통과시키도록 망상구조로 형성되는 배출트랩;
    상기 배출트랩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수용부;
    상기 이물질수용부에 수용되는 이물질 및 상기 이물질수용부 내부의 유해가스를 흡기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배출펌프로부터 흡기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덕트;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며, 가연성유체는 포집하고, 정화된 공기는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 구성된 재생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재생필터로부터 포집된 가연성유체를 보일러유닛으로 공급하도록 연결 구성된 순환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그 내측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열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모듈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근적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벽을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은,
    세라믹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된 초내열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은 상기 차량에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재차 반사하도록 하는 하프미러층이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패널은 일 단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반사면과, 상기 제1 반사면에 대해 이격되며, 상기 차량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은, 상기 제2 반사면의 대향면에 대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차량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유닛은 타이머모듈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의 on/off가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조명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반사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챔버 하우징과 배관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챔버 하우징 내부에 건조열풍을 공급하도록 유체를 흡기하는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펌프로부터 흡기되는 유체의 온도/습도를 조절하여 건조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체를 가열/냉각시키도록 연결 구성된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 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건조열풍을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해 가용되는 가용에너지원의 공급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에너지공급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에너지원은 전력 또는 화석연료 중, 선택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색용 챔버.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158199A 2017-11-24 2017-11-24 차량 도색용 챔버 KR10185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199A KR101859381B1 (ko) 2017-11-24 2017-11-24 차량 도색용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199A KR101859381B1 (ko) 2017-11-24 2017-11-24 차량 도색용 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381B1 true KR101859381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199A KR101859381B1 (ko) 2017-11-24 2017-11-24 차량 도색용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6449A (zh) * 2018-07-26 2018-11-30 芜湖鸣人汽车维修服务有限公司 汽车喷漆装置
KR102240952B1 (ko) 2020-12-03 2021-04-14 김재원 도색용 지그
KR20220082585A (ko) * 2020-12-10 2022-06-17 최명동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37B1 (ko) * 2005-08-09 2006-01-20 주식회사 오르테크 할로겐히터 도장 건조장치
KR100678654B1 (ko) *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0725427B1 (ko) * 2006-01-27 2007-06-07 임영태 원적외선 히터 도장 건조 장치
KR20110052239A (ko) * 2009-11-12 2011-05-18 신시종 자동차의 도장 건조장치
CN204448412U (zh) * 2015-01-28 2015-07-08 江苏景中景工业涂装设备有限公司 汽车烤漆房远红外线加热装置
CN104028408B (zh) * 2014-06-05 2016-11-16 江苏中一汽车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并联式打磨、喷漆、烘干钣喷系统
KR20170119125A (ko) * 2016-04-18 2017-10-26 임동일 자동차 도장공정용 입자상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337B1 (ko) * 2005-08-09 2006-01-20 주식회사 오르테크 할로겐히터 도장 건조장치
KR100678654B1 (ko) *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0725427B1 (ko) * 2006-01-27 2007-06-07 임영태 원적외선 히터 도장 건조 장치
KR20110052239A (ko) * 2009-11-12 2011-05-18 신시종 자동차의 도장 건조장치
CN104028408B (zh) * 2014-06-05 2016-11-16 江苏中一汽车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并联式打磨、喷漆、烘干钣喷系统
CN204448412U (zh) * 2015-01-28 2015-07-08 江苏景中景工业涂装设备有限公司 汽车烤漆房远红外线加热装置
KR20170119125A (ko) * 2016-04-18 2017-10-26 임동일 자동차 도장공정용 입자상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6449A (zh) * 2018-07-26 2018-11-30 芜湖鸣人汽车维修服务有限公司 汽车喷漆装置
KR102240952B1 (ko) 2020-12-03 2021-04-14 김재원 도색용 지그
KR20220082585A (ko) * 2020-12-10 2022-06-17 최명동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KR102436939B1 (ko) * 2020-12-10 2022-08-26 최명동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381B1 (ko) 차량 도색용 챔버
KR101320087B1 (ko) 건조성능을 향상시킨 다목적 도장부스
KR100678654B1 (ko)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CA2535305C (en) Infrared air heater
KR20180104841A (ko) 고온 광열을 이용하는 광적외선 공기청정기
KR100542337B1 (ko) 할로겐히터 도장 건조장치
US3746080A (en) Environmental chamber
KR100619427B1 (ko) 루비코트 근적외선히터를 이용한 도장건조장치
KR100632131B1 (ko) 자동차 도장 열처리 설비
KR20110105444A (ko) 배기가스 및 활성탄 재생시 발생하는 폐가스를 재활용하는 자동차용 도장 장치
JPH079355B2 (ja) 輻射エネルギーを発生する装置と方法
KR200386028Y1 (ko) 할로겐히터 도장 건조장치
RU660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грева на жидком топливе
KR20210143425A (ko) 열풍 에너지를 복사파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사파 조사 장치
KR200238227Y1 (ko) 열처리 도장실의 공조시스템
KR100872804B1 (ko) 직화식 선박용 도장 건조기
JPH06262120A (ja) 塗装用赤外線乾燥装置
KR20130001225U (ko) 도장부스용 원적외선 건조히터
JPS6218945Y2 (ko)
KR101491439B1 (ko) 송풍식 원적외선 히터
JP4103922B2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機を並設した温風暖房機
KR200311734Y1 (ko) 선형 근적외선 히터 모듈
US4995808A (en) Carbon desorption heater
JPH0318918Y2 (ko)
JPH0685068U (ja) 遠赤外線効果を利用した塗装焼付乾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