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939B1 -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939B1
KR102436939B1 KR1020200172623A KR20200172623A KR102436939B1 KR 102436939 B1 KR102436939 B1 KR 102436939B1 KR 1020200172623 A KR1020200172623 A KR 1020200172623A KR 20200172623 A KR20200172623 A KR 20200172623A KR 102436939 B1 KR102436939 B1 KR 10243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ying
workpiece
unit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585A (ko
Inventor
최명동
Original Assignee
최명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동 filed Critical 최명동
Priority to KR10202001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9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63Movable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carts, trolleys, pallet-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Indoor paint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도색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유해가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실내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모델은 플라스틱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드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모델 키트의 줄임말이며, 조립식 장난감으로도 불리고, 가상의 로봇이나 비행체 등을 대상으로 하거나 각종 차량 및 전차 등을 축소한 모델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근래들어 대두되고 있는 3D 프린터를 활용한 소형 시제품 또한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프라모델 또는 소형 시제품의 제작함에 있어 도색 후 건조가 필요하며,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실외에 방치하여 이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건조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외에 방치하는 방법은, 건조 시 먼지나 바람에 의한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어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실내에서 소형의 공작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빨래 건조대 혹은 식기를 건조하기 위한 목적의 식기 건조기와 같이 다른 목적을 위해 이용되는 기구의 도움을 받아 건조를 수행하였으나, 실내에서 이를 건조 시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유해가스와 악취 발생으로 불편함이 있어 실내에서 도색된 공작물을 건조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랐으며, 식기 건조기의 경우, 그의 목적이 공작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보니,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건조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건조 장치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 않아,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건조시킬 경우, 공작물이 건조중 낙하하는 문제와, 지나친 열에 의해 공작물에 열 변형이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공작물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중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자체적인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장치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또는 악취를 차단하여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효과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자외선(UV)램프 또는 발광체(LED)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건조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 수단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일정 배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하우징의 하단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통로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열전소자로 가열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다시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 토출 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유해 가스를 저감하는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은, 공기 토출 수단을 통해 배출된 온풍이 배출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마련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의 내측 면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를 흡수하는 활성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공작물이 안착되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안착판을 회전시키며 안착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이물질 부착 여부와 하우징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센서; 하우징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센서 및 공작물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및 이물질 감지 센서에서 도출되는 하우징 내부의 건조 정보를 토대로 건조부 및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전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정화하는 탄소볼 필터 및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도색이 누락된 부분을 감지하여 재도색하는 도색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색 보강부는, 공작물의 도색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색채 감지 센서 및 상기 색채 감지 센서를 통해 도색 불량 여부가 도출될 경우,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하는 염색약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약 분사부는, 액상의 염색약을 저장하는 염색약 공급 탱크; 상기 염색약 공급 탱크에 저장된 염색약을 이송하는 염색약 이송 호스 및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하는 염색약 도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물을 도색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유해가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정전필터를 이용하여 건조중인 공작물의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문제를 해결하고, 실내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하우징의 하단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통로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열전소자로 가열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가열 수단으로 하여, 보다 수월한 건조 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작업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로 하여, 자동으로 건조 작업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개폐 도어가 개방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가 구비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측단면 모습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온풍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도색 보강부가 구비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0 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개폐 도어가 개방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가 구비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도 6 의 측단면 모습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에 온풍이 공급되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하우징(100), 건조부(200), 거치부(300), 제어부(400) 및 필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의 외장을 이루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박스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형상일 뿐, 이후 서술될 건조부(200), 거치부(300), 제어부(400) 및 필터부(500)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의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 혹은 상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11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하우징(100)의 선택적으로 여닫을 수 있는 개폐 도어(1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도어(1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개폐 도어(120)를 하우징(100)에서 여닫을 수 있는 손잡이(H)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H)에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가 동작 중, 임의에 의해 개폐도어(120)가 개방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외기와의 통풍을 통해 열을 배출할 수 있는 배기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30)에는,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한 배출 팬(fan)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출 팬(fan)의 내측에는, 배출되는 공기에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후 서술될 먼지 제거 필터(530)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부(20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자외선(UV) 램프 또는 발광체(LED)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건조 수단(21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빛의 반사를 보조하는 반사판(21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211)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수단(210)의 측면에서, 양 측면으로 45도 전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조 수단(210)에서 발생되는 발광을 공작물의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수단(210)은,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일정한 배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200)는, 공기 가열 수단(220) 및 공기 토출 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공기 가열 수단(220)은, 하우징(100)의 하단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수단(22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열전소자(222)로 가열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222)란, 펠티어 소자(Peltier divice)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펠티어 소자는, 두 가지의 재료접합점 사이에 열유속을 생성하는 온도 가변 장치로서, 이 방식을 이용한 열전소자(222)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장치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온풍과, 냉풍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 수단(221)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팬(fan)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공기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기 유입 장치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가열 수단(220)은, 도 7 과 같이, 앞서 상술된 열전소자(222)와 공기 흡입 수단(221)을 하나의 몸체로 고정시키기 위해, 이들을 둘러싸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수단(221)으로 공기를 수월하게 빨아들이기 위해, 하우징(100)의 하부 모서리에는, 지면과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다리(L)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L)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 개의 다리(L)로 구비될 있으나, 지면과의 접지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5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 수단(230)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다시 하우징(100)의 외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상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200)는, 상기 공기 토출 수단(230)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유해 가스를 저감하는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240)은, 에어덕트(241) 및 활성탄 필터(2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24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공기 유동을 위한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241)는, 앞서 상술된 공기 토출 수단(230)을 통해 배출된 온풍이 배출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덕트(241)의 외부에는, 에어덕트(2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유도할 수 있는 호퍼가 탈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활성탄 필터(242)는, 상기 에어덕트(241)의 내측 면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공기 가열 수단(22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한 열풍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 토출 수단(230)과, 배기구(130)에 구비되는 팬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을 마친 공작물이 거치될 수 있으며,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300)는, 안착판(310) 및 가변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안착판(3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작물이 안착될 수 있으며, 하부에 구비되는 회전모터(M)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프레임(320)은, 상기 안착판(310)의 하부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안착판(310)의 위치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프레임(320)은, 도 3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렉(R)과 피니언(P)의 조합으로 가변 프레임(320)의 인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도 5 의 (a)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가변 프레임(320)을 도 5 의 (b) 와 같은 길이로 인출할 수 있다.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도 5 의 (b) 와 같은 위치로 인출된 안착판(310) 위에 공작물을 거치한 후, 컨트롤러(420)를 조작하여, 다시 하우징(100)의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200)와 거치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이물질 부착 여부와 하우징(100)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부(410)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부(200)와 거치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부(410)는, 온도 감지 센서(411), 습도 감지 센서(412) 및 이물질 감지 센서(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건조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D)와, 건조부(200), 거치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S)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서술하기에 앞서, 종래 이용되는 도색 건조장치에는, 건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구성만이 구비되었을 뿐,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단순히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만을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의 측정부(400)는, 수동적인 형태의 감지센서의 구성에서 벗어나, 보다 수월하게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써,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온도 감지 센서(411)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 감지 센서(412)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413)는, 공작물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413)는, 초음파 센서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감지 센서(411), 습도 감지 센서(412) 및 이물질 감지 센서(413)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온도 감지 센서(411), 습도 감지 센서(412) 및 이물질 감지 센서(413) 중 하나를 수리함에 있어, 분별이 쉬운 장점을 가진다.
이때, 상기 온도 감지 센서(411), 습도 감지 센서(412) 및 이물질 감지 센서(413)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 측벽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410)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411), 습도 감지 센서(412) 및 이물질 감지 센서(413)에서 도출되는 하우징(100) 내부의 건조 정보를 토대로 건조부(200) 및 거치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온도 감지 센서(411)가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와중, 지나치게 높은 온도가 측정될 경우, 앞서 서술된 공기 가열 수단(2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온도가 낮을 경우, 반대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습도 감지 센서(412)가 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와중, 지나치게 높은 습도가 측정될 경우, 앞서 서술된 공기 토출 수단(230)을 작동시키거나, 배기구(130)를 동작시킴으로서, 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자동으로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이물질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하우징(100)의 상태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도 수월히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필터부(5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200)를 통해 건조 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500)는, 정전 필터(510), 탄소볼 필터(520) 및 먼지 제거 필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전 필터(510)는, 하우징(100)의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 필터(5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수명이 다한 정전 필터(510)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볼 필터(52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볼 필터(520)는, 앞서 서술된 공기 토출 수단(230)의 외주면 반경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해가스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볼 필터(520)란 야자 또는 대나무와 같은 활성탄을 가열시켜 제작한 것으로서, 불순물에 대한 정화 효과와 흡착 효과를 가지고 있어, 건조 중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탄소볼 필터(520)의 구성은, 염료가 건조되며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는 목적의 필터가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제거 필터(53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볼 필터(520) 및 먼지 제거 필터(530)는, 앞서 서술된 정전 필터(51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부착된 면에서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필터의 수명이 다할 경우, 새로운 필터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공작물을 도색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유해가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실내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하우징(100)의 하단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수단(22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열전 소자(222)로 가열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수월한 건조 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도색 보강부가 구비된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10 은 도 9 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도색이 누락된 부분을 감지하여 재도색하는 도색 보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색 보강부(600)는, 색채 감지 센서(610) 및 염색약 분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색채 감지 센서(610)는, 공작물의 도색 불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채 감지 센서(61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310)의 회전 반경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작물의 도색 상태를 체크하고, 누락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색채 감지 센서(610)는, 공작물의 누락된 도색 부분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공작물의 누락된 도색 부분을 파악할 경우에도, 앞서 서술된 컨트롤러(420)를 직접 조작하여 염색약 분사부(62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분사부(620)는, 상기 색채 감지 센서(610)를 통해 도색 불량 여부가 도출될 경우,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염색약 분사부(620)는, 염색약 공급 탱크(621), 염색약 이송 호스(622) 및 염색약 도포 노즐(6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염색약 공급 탱크(621)는, 하우징(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액상의 염색약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공급 탱크(621)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저장 탱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다양한 색상의 염색약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저장 탱크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염색약 공급 탱크(621)의 내부에는, 액상의 염색약을 염색약 이송 호스(622)로 뿜어내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이송 호스(622)는, 펌프(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통해, 염색약 공급 탱크(621)에 저장된 염색약을 염색약 도포 노즐의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색약 도포 노즐(623)은,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색약 도포 노즐(623)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이 거치되는 안착판(310)을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색약 도포 노즐(623)은, 염색약이 분사되는 와중, 앞서 서술된 필터부(500)의 구성에 염색약이 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측방과, 하방을 겨누는 것이 아닌, 안착판(310)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는, 건조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더불어, 공작물의 도색 불량 여부를 감지하고, 재도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뛰어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100 : 하우징 110 : 해킹창
120 : 개폐 도어 130 : 배기구
200 : 건조부 210 : 건조 수단
211 : 반사판 220 : 공기 가열 수단
221 : 공기 흡입 수단 222 : 열전소자
230 : 공기 토출 수단 240 :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
241 : 에어덕트 242 : 활성탄 필터
300 : 거치부 310 : 안착판
320 : 가변 프레임
400 : 제어부 410 : 측정부
411 : 온도 감지 센서 412 : 습도 감지 센서
413 : 이물질 감지 센서 420 : 컨트롤러
500 : 필터부 510 : 정전 필터
520 : 탄소볼 필터 530 : 먼지 제거 필터
600 : 도색 보강부 610 : 색채 감지 센서
620 : 염색약 분사부 621 : 염색약 공급 탱크
622 : 염색약 이송 호스 623 : 염색약 도포 노즐
H : 손잡이 L : 다리
R : 렉 P : 피니언
M : 모터 D : 디스플레이
S : 스위치

Claims (8)

  1.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공작물이 안착되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안착판을 회전시키며 안착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가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자외선(UV)램프 또는 발광체(LED)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건조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 수단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일정 배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하우징의 하단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 통로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열전소자로 가열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가열 수단 및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온풍을 다시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 토출 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온풍의 유해 가스를 저감하는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 가스 저감 하우징은,
    공기 토출 수단을 통해 배출된 온풍이 배출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마련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의 내측 면에 구비되어, 유해 가스를 흡수하는 활성탄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5. 삭제
  6.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이물질 부착 여부와 하우징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 센서;
    하우징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 센서 및
    공작물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 습도 감지 센서 및 이물질 감지 센서에서 도출되는 하우징 내부의 건조 정보를 토대로 건조부 및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7.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 양 측면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전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정화하는 탄소볼 필터 및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의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8.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의 외장을 이루되, 내부를 투영하는 해킹창과 개폐 도어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작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색된 공작물이 거치되고, 거치된 공작물의 위치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변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건조부와 거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부를 통해 건조중인 공작물에 부착되는 이물질과 건조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는,
    건조중인 공작물의 도색이 누락된 부분을 감지하여 재도색하는 도색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색 보강부는,
    공작물의 도색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색채 감지 센서 및
    상기 색채 감지 센서를 통해 도색 불량 여부가 도출될 경우,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하는 염색약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색약 분사부는,
    액상의 염색약을 저장하는 염색약 공급 탱크;
    상기 염색약 공급 탱크에 저장된 염색약을 이송하는 염색약 이송 호스 및
    공작물의 방향으로 염색약을 분사하는 염색약 도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KR1020200172623A 2020-12-10 2020-12-10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KR10243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3A KR102436939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3A KR102436939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85A KR20220082585A (ko) 2022-06-17
KR102436939B1 true KR102436939B1 (ko) 2022-08-26

Family

ID=8226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23A KR102436939B1 (ko) 2020-12-10 2020-12-10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9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94B1 (ko) * 2013-05-28 2015-02-26 주식회사 뉴비체엘이디 Uv-led 건조장치
KR101859381B1 (ko) * 2017-11-24 2018-05-21 김영호 차량 도색용 챔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375A (ja) * 1997-01-29 1998-08-11 Kansai Paint Co Ltd 熱風乾燥機及び塗装板の乾燥方法
KR20110105639A (ko) * 2010-03-19 2011-09-27 박준석 휴대형 조색시편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794B1 (ko) * 2013-05-28 2015-02-26 주식회사 뉴비체엘이디 Uv-led 건조장치
KR101859381B1 (ko) * 2017-11-24 2018-05-21 김영호 차량 도색용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85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807B2 (en) Coating and curing drying system
KR101799464B1 (ko) 다기능 도색 장치
CN103802468B (zh) 数码印花机导带的清洗烘干装置
ES2744444T3 (es) Instalación de pintura
JP2008531243A (ja) 局所的な回収システム
KR102436939B1 (ko) 실내용 도색 건조장치
ES2415368T3 (es) Dispositivo de revestimiento para el revestimiento de piezas pequeñas
KR101350855B1 (ko) 유성 및 수성 페인트 겸용 자동차 도장부스
KR102530232B1 (ko) 공기정화장치
JP2004345375A (ja) ハンドルの温度制御装置
JP2005342548A (ja) 成形品の塗装方法及び塗装設備
KR101206417B1 (ko) 수성 및 유성 페인트 겸용 도장부스
CA2867961A1 (en) System for evacuat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nt-trapping filters
JP2005342549A (ja) Uv硬化型塗料のuv硬化方法及び装置
JP4630361B2 (ja) 塗装ブース
CN211926321U (zh) 一种烘干均匀的电热鼓风干燥箱装置
KR102390570B1 (ko) 저녹스 가스버너를 이용한 간접식 선박용 건조장치
JP3142219U (ja) 給気暖房装置
CN213875575U (zh) 一种可温湿度调节的空气监测仪
KR200429455Y1 (ko) 차량 도장용 할로겐히터
CN108654956A (zh) 一种装饰木板油漆烘干装置
KR102083949B1 (ko) 물을 이용한 벽체 오염 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용 도장 부스
CN203618969U (zh) 隐形扇叶吹风机
CN219648020U (zh) 一种方便上料的烤漆箱
JP5583438B2 (ja) 温風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