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486B1 -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486B1
KR102240486B1 KR1020200125534A KR20200125534A KR102240486B1 KR 102240486 B1 KR102240486 B1 KR 102240486B1 KR 1020200125534 A KR1020200125534 A KR 1020200125534A KR 20200125534 A KR20200125534 A KR 20200125534A KR 102240486 B1 KR102240486 B1 KR 10224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inting
pvc
dot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상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이재상
이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상, 이성희 filed Critical 이재상
Priority to KR102020012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6Roll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chl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공급부(101),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무늬형성롤러(2')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한 잉크공급롤러(21)가 침적된 잉크저장통(22)을 가지는 무늬형성 날염부(2), 내측으로 P.V.C 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니켈동판롤러(1') 내에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 내면에서 긁어내는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14')를 구비하는 도트날염부(1), 및 건조부(102)를 포함하는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하는 원단공급단계(S2);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하는 원단날염단계(S3);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하는 도트무늬 형성단계(S4);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하는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METHOD FOR PRINTING AND PREVENTING SLIDING OF FUNCTIONAL FABRICS WITH ANTIBACTERIAL AND DEODORANT PROPERTIES}
본 발명은 원단공급부(101),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무늬형성롤러(2')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한 잉크공급롤러(21)가 침적된 잉크저장통(22)을 가지는 무늬형성 날염부(2), 내측으로 P.V.C 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니켈동판롤러(1') 내에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 내면에서 긁어내는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14')를 구비하는 도트날염부(1), 및 건조부(102)를 포함하는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하는 원단공급단계(S2);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하는 원단날염단계(S3);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하는 도트무늬 형성단계(S4);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하는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시트를 포함하는 원단의 날염방법으로는 롤러 날염, 스크린 날염, 및 로타리 스크린 날염 등이 있다.
상기 롤러 날염은 롤러 날염기(roller printer)에 의해 날염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롤러 날염기는 우리나라에서 기계날염기로는 가장 먼저 보급된 기종으로 자동 스크린 날염기 다음으로 설치 대수가 많다. 이러한 롤러 날염기는 편면, 양면, 간헐, 고속, 수직 등의 날염기가 있으나 원리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다. 어느것이나 무늬를 구리 또는 철제 도금된 로울러에 U형으로 조각 또는 부식하여 U부에 날염호를 부착시켜 생지에 압착시키므로서 스크린이 없이 인날을 한다. 상기 롤러 날염기는 형경(Joint)이 생기지 않고 인날 속도가 날염기 중에서 가장 높아서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줄무늬 날염에 적당하며 인날 방식은 습상인날(Wet on Wet) 방식이고 준비, 청소, 색상교체가 후술하는 로터리 스크린 날염보다 시간이 더 걸리고 또한 상기 U부에 부착된 날염호가 생지에 압착될 때 날염호의 표면장력으로 인한 상기 U부에의 부착력으로 인하여 날염호가 완전히 생지에 압착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스크린 날염(screen printing)에는 대표적으로 자동 스크린 날염기(automatic screen printer)에 의한 자동 스크린 날염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자동 스크린 날염은 스크린이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로만 뛰워서 작동이 되고 생지는 엔들리스 벨트(Endless belt) 위에 부착되어 스퀘징을 할 때만 정지하고 간헐적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자동 스크린 날염은 손날염의 동작을 기계화시켜 성력화가 되어 있으며 min 당 생산량이 10~16m로 대단히 능률적이어서 급신장을 보이고 있으나, 전회에 인날된 부분이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색상의 스퀴징을 하게되는 습상인날(Wet on Wet) 방식인 점이 크게 달라서 형 밟힘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형틀의 개선, 중간건조기의 사용등으로 보완을 하고 있으나 완전히 해결하기는 어렵다.
상기 로타리 스크린 날염은 롤러 날염기의 롤러 스크린으로 치환한 프레셔 보울(Pressure Bowl)형과 자동 스크린 날염기의 평판스크린을 원통형 금속 스크린으로 치환한 수평형으로 대별된다. 전자는 미국 메이커가 채택한 방법으로 일반적이지 못하고 많은 메이커들이 수평형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로타리 스크린 날염은 로타리 스크린 날염기(rotary screen printer)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로타리 스크린 날염기는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스크린 제작비가 고가이어서 소량 단위의 생산에는 생산원가가 높게 된다는 단점은 있으나, 회전운동에 의하여 인날하므로 자동 스크린 날염기에 비하여 인날 속도가 빠르고 준비 시간, 청소시간도 빨라서 대단히 능률적이고 롤러 날염에 비할 정도로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롤러 날염, 스크린 날염, 및 로타리 스크린 날염 등은 모두 원단에 날염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날염된 원단에 도트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도트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위와 같이 날염된 원단에 도트를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예시도이다.
위와 같이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84164호(2002.07.02.)에서는 위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공급부(101)와 건조부(102) 및 도트날염부(1)로 이루어진 도트날염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트날염부(1)는 통상 내측으로 P.V.C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그 외주로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된 니켈동판롤러(1')와 그 측부에 고무롤러(15)를 서로 접촉시켜 상호 구동가능케 구성함에 있어, 니켈동판롤러(1')의 선단부로 외주에 일정 무늬가 형성된 무늬형성롤러(2')를 상기 고무롤러(15)와 접촉시켜 구성하되, 무늬형성롤러(2') 측부로 원단 날염용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통(22)에 일부 침수된 잉크공급롤러(21)와 접촉시켜 상호 구동가능케 하므로 도트날염부(1)와 무늬형성날염부(2)가 일체 구성되게 한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잉크저장통(22), 잉크공급롤러(21), 무늬형성롤러(2'), 및 고무롤러(15)가 롤러 날염기를 구성하고, 통상 내측으로 P.V.C혼합액 투입부 (12)가 마련되고 그 외주로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된 니켈동판롤러(1')와 그 측부에 고무롤러(15)를 서로 접촉시켜 상호 구동가능케 구성되는 도트날염부(1)가 롤러 스크린 날염기를 구성함으로써, 위 롤러 날염기에서 원단이 날염되고 위 롤러 스크린 날염기에서 날염된 원단의 도트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위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에 의해 원단의 날염과 도트 형성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위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84164호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V.C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된 P.V.C혼합액이 혼합액 저장통(14)에 저장되며 이처럼 혼합액 저장통(14)에 저장된 P.V.C혼합액은 배출공(11)에도 충진되게 되며 고무롤러(15)와 니켈동판롤러(1')의 사이를 원단이 통과할 때 위 배출공(11) 내 충진된 P.V.C혼합액이 원단의 표면에 옮겨져 도트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위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84164호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는 원단에 날염된 무늬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기능의 도트에 항균소취성을 부여하지 못하였었다.
또한, 위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84164호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에서는 위 배출공(11) 내 충진된 P.V.C혼합액이 원단의 표면에 옮겨져 도트를 형성하게 될 때 혼합액 저장통(14)과 배출공(11)이 연통되어 있어서 배출공(11)에 충진된 P.V.C혼합액 뿐만 아니라 혼합액 저장통(14)에 저장된 P.V.C혼합액도 함께 따라서 나와 원단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원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크기나 모양 등이 일정치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284164호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에서는 잉크저장통(22)에 저장된 원단 날염용 잉크의 성분 중 가소제로 디옥틸 프탈레이트(DOP)이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들 디옥틸 프탈레이트(DOP)이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는 위험한 발암물질인 프탈레이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1265호(2010.07.13.)
본 발명에 의한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은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에 날염된 무늬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기능의 도트에 항균소취성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공(11)에 충진된 P.V.C혼합액만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어 원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크기나 모양 등을 일정하게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한 발암물질인 프탈레이트 성분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인 원단 날염용 잉크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원단 날염용 잉크를 사용하는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단공급부(101),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무늬형성롤러(2')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한 잉크공급롤러(21)가 침적된 잉크저장통(22)을 가지는 무늬형성 날염부(2), 내측으로 P.V.C 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니켈동판롤러(1') 내에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 내면에서 긁어내는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14')를 구비하는 도트날염부(1), 및 건조부(102)를 포함하는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하는 원단공급단계(S2);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하는 원단날염단계(S3);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하는 도트무늬 형성단계(S4);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하는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크는 1 중량%의 염료 분말, 98.5∼98.7 중량%의 조제, 및 0.3∼0.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제는, 60∼70 중량%의 물; 20∼30 중량%의 바인더; 및 나머지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C 혼합액은, P.V.C 분말에 친환경 가소제를 중량비로 100:70∼100:100의 비율로 혼합한 94∼98 중량%의 제1 혼합액; 1∼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 1 중량%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트무늬 형성단계(S4)는, 상기 P.V.C 혼합액이 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는 P.V.C 혼합액 투입단계(S4-1); 투입된 상기 P.V.C 혼합액이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의 배출공 충진단계(S4-2); 상기 니켈동판롤러(1')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14')가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면을 긁어주면서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을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어 있는 상기 P.V.C 혼합액과 분리되게 하는 배출공 내 P.V.C 혼합액의 분리단계(S4-3);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원단에 상기 배출공(11)에 충진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상기 P.V.C 혼합액이 날염되는 날염단계(S4-4); 및 상기 날염에 의해 상기 원단에 형성된 도트 무늬를 확보하는 도트무늬 확보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첫째, 원단에 날염된 무늬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기능의 도트에 항균소취성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배출공(11)에 충진된 P.V.C혼합액만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어 원단에 형성되는 도트의 크기나 모양 등을 일정하게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위험한 발암물질인 프탈레이트 성분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인 원단 날염용 잉크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원단 날염용 잉크를 사용하는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차례대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트무늬 형성단계를 세분화하여 차례대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라이트 2 중량%일 때의 일라이트 도트 원단 시료임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6은 도 5의 원단시료의 유무별로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도시하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7은 일라이트 4 중량%일 때의 일라이트 도트 원단 시료임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8은 도 7의 원단시료의 유무별로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도시하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9는 도 5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10은 도 7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을 차례대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트무늬 형성단계를 세분화하여 차례대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일라이트 2 중량%일 때의 일라이트 도트 원단 시료임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며, 도 6은 도 5의 원단시료의 유무별로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도시하는 시험성적서이고, 도 7은 일라이트 4 중량%일 때의 일라이트 도트 원단 시료임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며, 도 8은 도 7의 원단시료의 유무별로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도시하는 시험성적서이고, 도 9는 도 5, 6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며, 도 10은 도 7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은, 원단공급부(101),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무늬형성롤러(2')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한 잉크공급롤러(21)가 침적된 잉크저장통(22)을 가지는 무늬형성 날염부(2), 내측으로 P.V.C 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니켈동판롤러(1') 내에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 내면에서 긁어내는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14')를 구비하는 도트날염부(1), 및 건조부(102)를 포함하는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의 걸름대(13)와 혼합액 저장통(14) 대신에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자유단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니켈동판롤러(1')의 내면에 맞닿게 연장된 블레이드(14')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4')는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자유단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니켈동판롤러(1')의 내면에 맞닿게 연장되어 있고 P.V.C 혼합액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로 낙하하여 저장됨과 동시에 니켈동판롤러(1')의 배출구(11)에 충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니켈동판롤러(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4')가 이 블레이드(14')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는 니켈동판롤러(1')의 배출구(11)에 충진되어 있는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의 내면의 연장선을 따라 깨끗하게 긁어주면서 분리해낸다. 따라서, 블레이드(14')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니켈동판롤러(1')의 배출구(11)에 충진되어 있는 P.V.C 혼합액이 고무롤러(15)와 니켈동판롤러(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급되는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도트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도트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모양 또한 균일해 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본 발명의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은, 재료준비단계(S1), 원단공급단계(S2), 원단날염단계(S3), 도트무늬 형성단계(S4),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S1)에서는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한다. 이처럼 잉크도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고 P.V.C 혼합액도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잉크가 원단에 날염되고 날염된 원단에 P.V.C 혼합액에 의해 도트가 형성되었을 때 날염 및 도트가 형성된 원단이 항균성 및 소취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P.V.C 혼합액은, P.V.C 분말에 친환경 가소제를 중량비로 100:70∼100:100의 비율로 혼합한 94∼98 중량%의 제1 혼합액; 1∼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 1 중량%의 염료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P.V.C 혼합액은 가소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친화경적이고 또한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기 때문에 항균소취성을 갖는다. 일라이트 분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P.V.C 혼합액의 항균소취성이 불충분해지고 5 중량%를 초과하면 P.V.C 혼합액에 의해 원단에 도트가 형성되었을 때 형성된 도트가 부서지기 쉬우므로 일라이트 분말의 함량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라이트 분말 대신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또는 게르마늄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1 중량%의 염료 분말, 98.5∼98.7 중량%의 조제, 및 0.3∼0.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제는, 60∼70 중량%의 물; 20∼30 중량%의 바인더; 및 나머지 유화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화제는 상기 염료를 녹여주는 역할을 하고 바인더는 염료 분말의 접착제 역할을 하며, 상기 잉크는 일라이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날염된 원단이 항균소취성을 가지나, 일라이트 분말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이면 상기 잉크의 인쇄성이 나빠지고 일라이트 분말의 함량이 0.5 중량%를 초과하면 원단에 잉크로 날염되었을 때 염이 부서지기 쉽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라이트 분말 대신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또는 게르마늄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단공급단계(S2)에서는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한다. 이처럼 원단이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면서 원단은 날염 및 도트 형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날염단계(S3)에서는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한다. 이에 따르면 원단은 날염된다.
상기 도트무늬 형성단계(S4)에서는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면 날염된 원단에 도트 또는 도트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트무늬 형성단계(S4)는, 상기 P.V.C 혼합액이 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는 P.V.C 혼합액 투입단계(S4-1); 투입된 상기 P.V.C 혼합액이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의 배출공 충진단계(S4-2); 상기 니켈동판롤러(1')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14')가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면을 긁어주면서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을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어 있는 상기 P.V.C 혼합액과 분리되게 하는 배출공 내 P.V.C 혼합액의 분리단계(S4-3);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원단에 상기 배출공(11)에 충진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상기 P.V.C 혼합액이 날염되는 날염단계(S4-4); 및 상기 날염에 의해 상기 원단에 형성된 도트 무늬를 확보하는 도트무늬 확보단계(S4-5)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원단에 동일한 크기와 균일한 모양을 가지는 도트 또는 도트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5)에서는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한다. 상기 건조부(102)에서는 180∼200℃의 건조 온도에서 1∼3초 동안 건조한다. 건조 온도가 180℃ 미만이고 건조시간이 1초 미만이면 원단의 날염된 잉크 및 도트의 건조가 불충분하고 건조온도가 200℃를 초과하고 건조시간이 3초를 초과하면 원단 자체 및 원단에 날염된 잉크와 도트의 변색 우려가 있다.
상기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에서는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한다.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라이트, 운모, 맥반석, 및 게르마늄은 모두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항균 또는 살균 및 악취제거가 탁월하다
상기 건조단계(S5)에서는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180∼200℃의 온도로 1∼3초 동안 건조한다.
1. 가로와 세로 100×200mm의 원단 시료를 5L 크기의 반응기에 넣고 밀봉하고, 2. 시험가스의 초기농도를 암모니아 50 으로 주입하고 시험가스의 농도를 초기(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서 측정하고 이를 sample 농도라 하였다. 3. 시험가스의 농도는 가스검지관(SPS-KCL 12218-6218)에 의해 측정하였다. 4. 시험 중 온도는 23.0±5.0℃, 습도는 50±10% 상대습도(R.H.)를 유지하였다. 5. 이와 별도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위의 2-4에 의해 시험을 진행하고 이를 blank 농도라 하였다. 6. 각 시간대별 시험가스의 농도 감소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고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가스의 농도 감소율(%)=(((blank 농도)-(sample 농도))/(blank 농도))×100
여기서, 상기 원단 시료는,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하는 원단공급단계(S2);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하는 원단날염단계(S3);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하는 도트무늬 형성단계(S4);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하는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잉크는 1 중량%의 염료 분말, 98.5 중량%의 조제, 및 0.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제는, 60 중량%의 물; 30 중량%의 바인더; 및 나머지 유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P.V.C 혼합액은, P.V.C 분말에 친환경 가소제를 중량비로 100:70의 비율로 혼합한 97 중량%의 제1 혼합액; 2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 1 중량%의 염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소취 원단 시료이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시험환경
blank 농도
(μ㏖/㏖)
sample 농도
(μ㏖/㏖)
농도감소율(%)
탈취시험
암모니아
0분 % (1) 50 50 0.0 (21.3±0.5)℃
(54.3±0.3)% R.H.
30분 % 42 20 52.4
60분 % 40 18 55.0
90분 % 39 16 59.0
120분 % 38 14 63.2
위 표 1에 따르면, 블랭크(blank) 농도에 대비하여 샘플(sample) 농도의 농도감소율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샘플 농도의 소취율이 블랭크 농도에 대비하여 더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항은 도 5,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 1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균감소율이 99.9%에 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7, 8에서는 원단 시료의 P.V.C 혼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함량비가 일라이트 분말이 4 중량%이고 제1 혼합액이 95 중량%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 실시예 1과 동일한 원단 시료로 시험하였는데, 이 도 7, 8의 실시예에서도 블랭크 농도에 대비하여 샘플 농도의 농도감소율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샘플 농도의 소취율이 블랭크 농도에 대비하여 더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 8의 실시예의 원단에 대한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는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균감소율이 99.9%에 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1': 니켈동판롤러
2: 무늬형성 날염부
2': 무늬형성롤러
11: 배출공
12: P.V.C 혼합액 투입부
14'; 블레이드
15: 고무롤러
21: 잉크공급롤러
22: 잉크저장통
101: 원단공급부
102: 건조부
S1: 재료준비단계
S2: 원단공급단계
S3: 원단날염단계
S4: 도트무늬 형성단계
S4-1: P.V.C 혼합액 투입단계
S4-2: P.V.C 혼합액의 배출공 충진단계
S4-3: 배출공 내 P.V.C 혼합액의 분리단계
S4-4: 날염단계
S4-5: 도트무늬 확보단계
S5: 건조단계
S6: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

Claims (4)

  1. 원단공급부(101),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무늬형성롤러(2')에 인접하고 회전가능한 잉크공급롤러(21)가 침적된 잉크저장통(22)을 가지는 무늬형성 날염부(2), 내측으로 P.V.C 혼합액 투입부(12)가 마련되고, 다수개의 배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롤러(15)에 인접한 니켈동판롤러(1') 내에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투입된 P.V.C 혼합액을 니켈동판롤러(1') 내면에서 긁어내는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에 수직으로 고정된 블레이드(14')를 구비하는 도트날염부(1), 및 건조부(102)를 포함하는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항균소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으로서,
    상기 잉크저장통(22)에 투입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잉크와 니켈동판롤러(1')의 내측에서 블레이드(14')의 오른쪽 아래에 저장되고 항균소취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P.V.C 혼합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
    상기 원단공급부(101)에서 시트와 직물지를 포함하는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고무롤러(15)와 무늬형성 날염부(2)의 사이 및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를 차례로 지나게 하는 원단공급단계(S2);
    상기 원단을 상기 무늬형성 날염부(2)로 날염하는 원단날염단계(S3);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도트날염부(1)로 설정 색상의 도트 무늬를 형성하는 도트무늬 형성단계(S4);
    도트 무늬가 날염된 상기 원단을 상기 건조부(102)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5); 및
    날염 및 도트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확보하는 날염 및 도트무늬 형성 원단의 확보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소취성의 성분은 일라이트 분말, 운모 분말, 맥반석 분말, 및 게르마늄 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트무늬 형성단계(S4)는,
    상기 P.V.C 혼합액이 펌프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P.V.C 혼합액 투입부(12)를 통해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는 P.V.C 혼합액 투입단계(S4-1);
    투입된 상기 P.V.C 혼합액이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의 배출공 충진단계(S4-2);
    상기 니켈동판롤러(1')의 회전시에 상기 블레이드(14')가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면을 긁어주면서 상기 배출공(11) 중 하단측 인접 배출공(11)에 충진되는 P.V.C 혼합액을 상기 니켈동판롤러(1') 내에 투입되어 있는 상기 P.V.C 혼합액과 분리되게 하는 배출공 내 P.V.C 혼합액의 분리단계(S4-3);
    상기 고무롤러(15)와 P.V.C 혼합액 투입부(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원단에 상기 배출공(11)에 충진되어 있고 상기 분리된 상기 P.V.C 혼합액이 날염되는 날염단계(S4-4); 및
    상기 날염에 의해 상기 원단에 형성된 도트 무늬를 확보하는 도트무늬 확보단계(S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1 중량%의 염료 분말, 98.5∼98.7 중량%의 조제, 및 0.3∼0.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제는, 60∼70 중량%의 물; 20∼30 중량%의 바인더; 및 나머지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C 혼합액은,
    P.V.C 분말에 친환경 가소제를 중량비로 100:70∼100:100의 비율로 혼합한 94∼98 중량%의 제1 혼합액;
    1∼5 중량%의 일라이트 분말;
    1 중량%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4. 삭제
KR1020200125534A 2020-09-28 2020-09-28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KR10224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534A KR102240486B1 (ko) 2020-09-28 2020-09-28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534A KR102240486B1 (ko) 2020-09-28 2020-09-28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486B1 true KR102240486B1 (ko) 2021-04-15

Family

ID=7544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534A KR102240486B1 (ko) 2020-09-28 2020-09-28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4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194A (en) * 1987-01-29 1991-05-28 J. F. Adolff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 web of plastic turf for sports grounds
KR200284164Y1 (ko) * 2002-04-03 2002-07-27 이성희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
KR20030035824A (ko) * 2001-10-30 2003-05-09 (주)코튼코리아 기능성 세라믹가공 섬유의 제조방법
KR100971265B1 (ko) 2008-02-19 2010-07-20 주식회사 동환물산 폴리에스테르 섬유/셀룰로오스 섬유 혼방 원단의 날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194A (en) * 1987-01-29 1991-05-28 J. F. Adolff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 web of plastic turf for sports grounds
KR20030035824A (ko) * 2001-10-30 2003-05-09 (주)코튼코리아 기능성 세라믹가공 섬유의 제조방법
KR200284164Y1 (ko) * 2002-04-03 2002-07-27 이성희 도트 및 무늬 겸용 날염장치
KR100971265B1 (ko) 2008-02-19 2010-07-20 주식회사 동환물산 폴리에스테르 섬유/셀룰로오스 섬유 혼방 원단의 날염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1041A (ja) ブラシ付きアニロックスコーター
KR101576800B1 (ko) 디지탈프린팅 원단 코팅장치
KR102240486B1 (ko) 항균소취 기능 원단의 날염 및 미끄럼 방지 기능용 도트 형성방법
CN208118670U (zh) 一种编织袋防渗印刷装置
US5145527A (en) Apparatus for applying foamed treating liquor
CN100556695C (zh) 烟草加工业的印刷装置
WO2018003524A1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CN110582409A (zh) 聚氨酯树脂在纺织品上的旋转筛网图案印花
CN113928000A (zh) 基于单pass数码印花机的在线上浆印花系统及工艺
CN211518853U (zh) 一种便于进行印刷辊清理的水墨印刷机
ES2279635T3 (es) Procedimiento para prevenir la contaminacion de secador de tambor usado en maquina para fabricar papel.
US4300476A (en) Apparatus for the stiffening of textile sheets by coating with plastic
JP536968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泡塗布装置
JP6514518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
JP6949005B2 (ja) 可撓性材料の印刷済みバンドの洗浄方法及びそのための機器
CN105980160A (zh) 一种喷墨打印装置以及吸收性基片的制造方法
CN107467136A (zh) 一种油炸面饼的制作方法
CN107711943A (zh) 一次实现多个食品表面布料的生产设备
KR101490804B1 (ko) 다목적 복합 기능을 탑재한 디지탈 프린터장치
CN107650243B (zh) 一种线条通体陶瓷的生产方法
CN212737451U (zh) 油墨印刷机
CN108382056A (zh) 多功能多套色印花连续作业线及其印花方法
CN214005077U (zh) 一种印染用布料染色装置
KR102148636B1 (ko) 소취지의 제조 방법
CN211942577U (zh) 输送装置以及印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