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722B1 -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722B1
KR102239722B1 KR1020190130956A KR20190130956A KR102239722B1 KR 102239722 B1 KR102239722 B1 KR 102239722B1 KR 1020190130956 A KR1020190130956 A KR 1020190130956A KR 20190130956 A KR20190130956 A KR 20190130956A KR 102239722 B1 KR102239722 B1 KR 10223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acsl4
moesin
lys
gl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영
장현수
권윤숙
이민구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Oximes (>C=N—O—); Hydrazines (>N—N<); Hydrazones (>N—N=) ; Imines (C—N=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암세포를 포함하는 생체 시료로부터 ACSL4(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4) 및 모에신(Moesin)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암 치료제의 효능 예측용 조성물, 그리고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Diagnosing Radiation Tolerance of Cance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Radiation Tolerant Cancer}
본 발명은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 치료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등이 있다. 이 중 방사선 치료는 조사부위에 효과가 있는 국소요법으로서 두경부암, 후두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등에 시행되고 있다. 방사선 치료의 효과는 암의 성질, 환자, 및 기타 치료와 조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시 반응이 좋지 않거나, 초기 반응이 좋더라도 재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환자별로 방사선 치료의 감수성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를 미리 확인하고 방사선 치료 여부 결정 및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해야할 필요가 있으나,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기 전에는 방사선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7-0129620호(2017.11.27)
일 구체예에 따르면,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암의 방사선 내성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암 치료제의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서 방사선 치료에 내성을 가지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암세포를 포함하는 생체 시료로부터 ACSL4(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4) 및 모에신(Moesin)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방사선 내성"은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받는 영향이 일반적인 암에 대한 것보다 적으며, 방사선에 노출시 세포 복구 또는 증식에 변화가 적은 상태를 의미한다. 방사선은 X-선, 자외선, 알파 입자, 또는 감마선을 포함하는 전자기 방사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그레이(Gy)"는 생물학 조직 1kg에서 1J을 방출하는 방사선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이오마커"는 암세포 또는 암 질환을 가진 개체를 방사선 저항성 세포 또는 개체로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물질로서, 정상 암세포에 비하여 방사선 저항성을 가진 암세포 또는 개체에서 증가하는 폴리펩티드, 단백질, 또는 핵산(mRNA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인간 유방암 세포에 방사선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방사선 내성을 갖는 암세포를 분리하고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일반 암세포보다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으므로, ACSL4 및 모에신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에 대한 효과 또는 내성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ACSL4 및 모에신은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바이오마커일 수 있다. 상기 ACSL4 유전자는 long chain fatty acid CoA ligase 4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로서, 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내성과의 관련성은 보고된 바가 없다. 상기 모에신(Moesin)은 MSN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로서, ERM(Ezrin-radixin-moesin) 패밀리 단백질로 분류되며 액틴 세포 골격을 원형질막에 연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모에신 유전자는 MSN 유전자일 수 있다. 상기 모에신의 발현과 암의 방사선 치료에 대한 내성과의 관련성은 보고된 바가 없다.
상기 ACSL4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상기 ACSL4 단백질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상기 Moesin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며, 상기 Moesin 단백질은 서열번호 4의 펩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4는 하기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서열
번호
종류 서열정보
1 ACSL4유전자 ATGAAACTTAAGCTAAATGTGCTCACCATTATTTTGCTGCCTGTCCACTTGTTAATAACAATATACAGTGCCCTTATATTTATTCCATGGTATTTTCTTACCAATGCCAAGAAGAAAAACGCTATGGCAAAGAGAATAAAAGCTAAGCCCACTTCAGACAAACCTGGAAGTCCATATCGCTCTGTCACACACTTCGACTCACTAGCTGTAATAGACATCCCTGGAGCAGATACTCTGGATAAATTATTTGACCATGCTGTATCCAAGTTTGGGAAGAAGGACAGCCTTGGGACCAGGGAAATCCTAAGTGAAGAAAATGAAATGCAGCCAAATGGAAAAGTTTTTAAGAAGTTAATTCTTGGGAATTATAAATGGATGAACTATCTTGAAGTGAATCGCAGAGTGAATAACTTTGGTAGTGGACTCACTGCACTGGGACTAAAACCAAAGAACACCATTGCCATCTTCTGTGAGACCAGGGCCGAATGGATGATTGCAGCACAGACCTGCTTTAAGTACAACTTTCCTCTTGTGACTTTATATGCCACACTTGGCAAAGAAGCAGTAGTTCATGGGCTAAATGAATCTGAGGCTTCCTATCTGATTACCAGTGTTGAACTTCTGGAAAGTAAACTTAAGACTGCATTGTTAGATATCAGTTGTGTTAAACATATCATTTATGTGGACAATAAGGCTATCAATAAAGCAGAGTACCCTGAAGGATTTGAGATTCACAGCATGCAATCAGTAGAAGAGTTGGGATCTAACCCAGAAAACTTGGGCATTCCTCCAAGTAGACCAACGCCTTCAGACATGGCCATTGTTATGTATACTAGTGGTTCTACTGGCCGACCTAAGGGAGTGATGATGCATCATAGCAATTTGATAGCTGGAATGACAGGCCAGTGTGAAAGAATACCTGGACTGGGACCGAAGGACACATATATTGGCTACTTGCCTTTGGCTCATGTGCTAGAACTGACAGCAGAGATATCTTGCTTTACCTATGGCTGCAGGATTGGATATTCTTCTCCGCTTACACTCTCTGACCAGTCCAGCAAAATTAAAAAAGGAAGCAAAGGAGACTGTACTGTACTGAAGCCCACACTTATGGCTGCTGTTCCGGAAATCATGGATAGAATTTATAAGAATGTTATGAGCAAAGTCCAAGAGATGAATTATATTCAGAAAACTCTGTTCAAGATAGGGTATGATTACAAATTGGAACAGATCAAAAAGGGATATGATGCACCTCTTTGCAATCTGTTACTGTTTAAAAAGGTCAAGGCCCTGCTGGGAGGGAATGTCCGCATGATGCTGTCTGGAGGGGCCCCGCTATCTCCTCAGACACACCGATTCATGAATGTCTGCTTCTGCTGCCCAATTGGCCAGGGTTATGGACTGACAGAATCATGTGGTGCTGGGACAGTTACTGAAGTAACTGACTATACTACTGGCAGAGTTGGAGCACCTCTTATTTGCTGTGAAATTAAGCTAAAAGACTGGCAAGAAGGCGGTTATACAATTAATGACAAGCCAAACCCCAGAGGTGAAATCGTAATTGGTGGACAGAACATCTCCATGGGATATTTTAAAAATGAAGAGAAAACAGCAGAAGATTATTCTGTGGATGAAAATGGACAAAGGTGGTTTTGCACTGGTGATATTGGAGAATTCCATCCCGATGGATGTTTACAGATTATAGATCGTAAGAAAGATCTAGTGAAGTTACAAGCAGGAGAGTATGTATCTCTTGGGAAAGTAGAAGCTGCACTGAAGAATTGTCCACTTATTGACAACATCTGTGCTTTTGCCAAAAGTGATCAGTCCTATGTGATCAGTTTTGTGGTTCCTAACCAGAAAAGGTTGACACTTTTGGCACAACAGAAAGGGGTAGAAGGAACTTGGGTTGATATCTGCAATAATCCTGCTATGGAAGCTGAAATACTGAAAGAAATTCGAGAAGCTGCAAATGCCATGAAATTGGAGCGATTTGAAATTCCAATCAAGGTTCGATTAAGCCCAGAGCCATGGACCCCTGAAACTGGTTTGGTAACTGATGCTTTCAAACTGAAAAGGAAGGAGCTGAGGAACCATTACCTCAAAGACATTGAACGAATGTATGGGGGCAAATAA
2 Moesin유전자 ATGCCCAAAACGATCAGTGTGCGTGTGACCACCATGGATGCAGAGCTGGAGTTTGCCATCCAGCCCAACACCACCGGGAAGCAGCTATTTGACCAGGTGGTGAAAACTATTGGCTTGAGGGAAGTTTGGTTCTTTGGTCTGCAGTACCAGGACACTAAAGGTTTCTCCACCTGGCTGAAACTCAATAAGAAGGTGACTGCCCAGGATGTGCGGAAGGAAAGCCCCCTGCTCTTTAAGTTCCGTGCCAAGTTCTACCCTGAGGATGTGTCCGAGGAATTGATTCAGGACATCACTCAGCGCCTGTTCTTTCTGCAAGTGAAAGAGGGCATTCTCAATGATGATATTTACTGCCCGCCTGAGACCGCTGTGCTGCTGGCCTCGTATGCTGTCCAGTCTAAGTATGGCGACTTCAATAAGGAAGTGCATAAGTCTGGCTACCTGGCCGGAGACAAGTTGCTCCCGCAGAGAGTCCTGGAACAGCACAAACTCAACAAGGACCAGTGGGAGGAGCGGATCCAGGTGTGGCATGAGGAACACCGTGGCATGCTCAGGGAGGATGCTGTCCTGGAATATCTGAAGATTGCTCAAGATCTGGAGATGTATGGTGTGAACTACTTCAGCATCAAGAACAAGAAAGGCTCAGAGCTGTGGCTGGGGGTGGATGCCCTGGGTCTCAACATCTATGAGCAGAATGACAGACTAACTCCCAAGATAGGCTTCCCCTGGAGTGAAATCAGGAACATCTCTTTCAATGATAAGAAATTTGTCATCAAGCCCATTGACAAAAAAGCCCCGGACTTCGTCTTCTATGCTCCCCGGCTGCGGATTAACAAGCGGATCTTGGCCTTGTGCATGGGGAACCATGAACTATACATGCGCCGTCGCAAGCCTGATACCATTGAGGTGCAGCAGATGAAGGCACAGGCCCGGGAGGAGAAGCACCAGAAGCAGATGGAGCGTGCTATGCTGGAAAATGAGAAGAAGAAGCGTGAAATGGCAGAGAAGGAGAAAGAGAAGATTGAACGGGAGAAGGAGGAGCTGATGGAGAGGCTGAAGCAGATCGAGGAACAGACTAAGAAGGCTCAGCAAGAACTGGAAGAACAGACCCGTAGGGCTCTGGAACTTGAGCAGGAACGGAAGCGTGCCCAGAGCGAGGCTGAAAAGCTGGCCAAGGAGCGTCAAGAAGCTGAAGAGGCCAAGGAGGCCTTGCTGCAGGCCTCCCGGGACCAGAAAAAGACTCAGGAACAGCTGGCCTTGGAAATGGCAGAGCTGACAGCTCGAATCTCCCAGCTGGAGATGGCCCGACAGAAGAAGGAGAGTGAGGCTGTGGAGTGGCAGCAGAAGGCCCAGATGGTACAGGAAGACTTGGAGAAGACCCGTGCTGAGCTGAAGACTGCCATGAGTACACCTCATGTGGCAGAGCCTGCTGAGAATGAGCAGGATGAGCAGGATGAGAATGGGGCAGAGGCTAGTGCTGACCTACGGGCTGATGCTATGGCCAAGGACCGCAGTGAGGAGGAACGTACCACTGAGGCAGAGAAGAATGAGCGTGTGCAGAAGCACCTGAAGGCCCTCACTTCGGAGCTGGCCAATGCCAGAGATGAGTCCAAGAAGACTGCCAATGACATGATCCATGCTGAGAACATGCGACTGGGCCGAGACAAATACAAGACCCTGCGCCAGATCCGGCAGGGCAACACCAAGCAGCGCATTGACGAATTTGAGTCTATGTAA
3 ACSL4 단백질 MKLKLNVLTIILLPVHLLITIYSALIFIPWYFLTNAKKKNAMAKRIKAKPTSDKPGSPYRSVTHFDSLAVIDIPGADTLDKLFDHAVSKFGKKDSLGTREILSEENEMQPNGKVFKKLILGNYKWMNYLEVNRRVNNFGSGLTALGLKPKNTIAIFCETRAEWMIAAQTCFKYNFPLVTLYATLGKEAVVHGLNESEASYLITSVELLESKLKTALLDISCVKHIIYVDNKAINKAEYPEGFEIHSMQSVEELGSNPENLGIPPSRPTPSDMAIVMYTSGSTGRPKGVMMHHSNLIAGMTGQCERIPGLGPKDTYIGYLPLAHVLELTAEISCFTYGCRIGYSSPLTLSDQSSKIKKGSKGDCTVLKPTLMAAVPEIMDRIYKNVMSKVQEMNYIQKTLFKIGYDYKLEQIKKGYDAPLCNLLLFKKVKALLGGNVRMMLSGGAPLSPQTHRFMNVCFCCPIGQGYGLTESCGAGTVTEVTDYTTGRVGAPLICCEIKLKDWQEGGYTINDKPNPRGEIVIGGQNISMGYFKNEEKTAEDYSVDENGQRWFCTGDIGEFHPDGCLQIIDRKKDLVKLQAGEYVSLGKVEAALKNCPLIDNICAFAKSDQSYVISFVVPNQKRLTLLAQQKGVEGTWVDICNNPAMEAEILKEIREAANAMKLERFEIPIKVRLSPEPWTPETGLVTDAFKLKRKELRNHYLKDIERMYGGK
4 Moesin단백질 MPKTISVRVTTMDAELEFAIQPNTTGKQLFDQVVKTIGLREVWFFGLQYQDTKGFSTWLKLNKKVTAQDVRKESPLLFKFRAKFYPEDVSEELIQDITQRLFFLQVKEGILNDDIYCPPETAVLLASYAVQSKYGDFNKEVHKSGYLAGDKLLPQRVLEQHKLNKDQWEERIQVWHEEHRGMLREDAVLEYLKIAQDLEMYGVNYFSIKNKKGSELWLGVDALGLNIYEQNDRLTPKIGFPWSEIRNISFNDKKFVIKPIDKKAPDFVFYAPRLRINKRILALCMGNHELYMRRRKPDTIEVQQMKAQAREEKHQKQMERAMLENEKKKREMAEKEKEKIEREKEELMERLKQIEEQTKKAQQELEEQTRRALELEQERKRAQSEAEKLAKERQEAEEAKEALLQASRDQKKTQEQLALEMAELTARISQLEMARQKKESEAVEWQQKAQMVQEDLEKTRAELKTAMSTPHVAEPAENEQDEQDENGAEASADLRADAMAKDRSEEERTTEAEKNERVQKHLKALTSELANARDESKKTANDMIHAENMRLGRDKYKTLRQIRQGNTKQRIDEFESM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것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유전자들의 mRNA 존재 여부 및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는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에 공지된 상기 유전자의 서열을 바탕으로 당업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것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상기 바이오마커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존재 여부 및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분석 방법의 예를 들면,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 면역분석(RIA),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ion Assay), 단백질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항체 분자의 기능적 단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세포는 ACSL4 및 모에신 발현 차이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암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두경부암, 후두암, 인두암, 폐암, 뇌암, 유방암, 또는 대장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다. 상기 유방암 세포는 Her2 과발현 유방암, 또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일 수 있으며, 상기 호르몬 수용체 양성은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발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시료는 암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암세포를 포함하는 조직, 또는 혈액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DNA 칩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일 수 있다. 상기 키트는 ACSL4 및 모에신의 유전자 발현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항체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1종 이상의 다른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사용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암세포를 포함하는 생체 시료로부터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의 암 치료 효능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는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가 과발현되는 방사선 내성 암에 대한 치료제로서, 구체적으로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이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일반적인 암보다 ACSL4 및 Moesin이 과발현된 방사선 내성 암에 대해 우수한 세포 사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는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을 ACSL4 및 모에신이 과발현되는 방사선 내성 암에 처리하면 일반적인 암세포에 처리한 경우보다 세포사멸효과가 우수한 점을 확인하였으므로 암세포의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함으로서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신-C는 Acyl CoA synthase 억제제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 구조의 명칭은 nitrosohydrazone-2E,4E,7E-undecatrienal이고,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07493097-pat00001
상기 5-FU는 5-플루오로유라실(5-fluorouracil)이며, 구조는 하기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19107493097-pat00002
상기 미슬토 추출물은 겨우살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비스쿰 알붐(Viscum Album)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압노바비스쿰(abnoba viscu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노바비스쿰의 숙주목은 전나무(abietis), 사과나무(mali), 서양물푸레나무(fraxini), 또는 떡갈나무(quercus)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양물푸레나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암 치료제의 저항성 또는 효능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제의 저항성 또는 효능 예측용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 다른 양상은,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ACSL4 및 모에신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는 트리아신-C, 5-FU, 또는 미슬토 추출물일 수 있다.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ACSL4 및 Moesin을 과발현하는 암으로서 방사선 치료에 내성을 갖는 암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ACSL4 및 모에신 발현 차이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암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두경부암, 후두암, 인두암, 폐암, 뇌암, 유방암, 또는 대장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키토산, 구아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라크릴린 칼륨 등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은,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ACSL4 및 모에신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제는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는 트리아신-C, 5-FU, 또는 미슬토 추출물일 수 있다.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에 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ACSL4 및 Moesin을 과발현하는 암으로서 방사선 치료에 내성을 갖는 암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ACSL4 및 모에신 발현 차이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암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두경부암, 후두암, 인두암, 폐암, 뇌암, 유방암, 또는 대장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일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 및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 기능 식품의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일 수 있고, 건강 기능 식품의 종류는 버터, 요구르트, 치즈를 포함한 유제품,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유산균 제제, 발효유,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통상의 건강 기능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암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mRNA 수준의 변화를 일반암 대조구 시료의 mRNA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암환자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mRNA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mRNA 수준의 변화를 일반암 대조구 시료의 mRNA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제의 효능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암 치료제는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트리아신-C, 5-FU, 또는 미슬토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방사선 내성 암에서 과발현되는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암의 방사선 내성 여부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방사선 내성 암에서 과발현되는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암 치료제의 효능을 예측할 수 있고,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를 과발현하는 방사선 내성 암에 대해 특이적으로 세포사멸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방사선 내성 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방암 세포 SK-BR-3 및 MCF-7로부터 방사선 내성 유방암 세포인 SR 및 MR을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주인 SR 및 MR이 일반 암세포주인 SK-BR-3 및 MCF-7 보다 방사선 조사 후 조직 생존율이 높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방사선 내성 암세포주인 SR이 표적치료제(트라스트주맙과 라파티닙) 및 일반항암제(독소루비신)에 대해 내성이 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주인 SR에서 ACSL4 및 Moesin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함을 c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주인 SR 및 MR에서 ACSL4 및 Moesin mRNA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방사선 내성 암세포주인 SR 및 MR에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의 A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에서 ACSL1, ACSL3, ACSL4, ACSL5, 및 ACSL6 중에서 ACSL4 유전자의 발현이 특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7의 B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서 ACSL 이성체 중 ACSL4 단백질의 발현만 특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ACSL1, ACSL3, 및 ACSL4 저해제인 트리아신-C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 대해 선택적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5-플루오로유라실(5-Fluorouracil, 5-FU)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 및 MR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은 세포사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서 증가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5-FU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미슬토(mistletoe) 추출물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은 세포사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미슬토(mistletoe) 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방사선 내성 종양모델 구축
SK-BR-3 및 MCF-7 암세포주를 준비하였다. SK-BR-3은 Her2 과발현 subtype의 인간 유방암 세포이며, MCF-7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subtype의 인간 유방암 세포이다.
SK-BR-3 및 MCF-7 암세포주에 (a) 2 내지 5 Gy의 방사선을 주 2회 반복 조사하였으며 (b) 총 4 내지 10 Gy의 방사선이 조사된 암세포를 총 6주간 계대배양 하였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6회 내지 10 회 반복함으로써 방사선 내성 암세포를 확립하였다. 방사선 저항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집락 형성능 분석(colony forming assay)를 시행하여 저항성 획득 여부를 판단하였다. 상기 각 일반 유방암 세포 SK-BR-3 및 MCF-7로부터 확립된 각각의 방사선 내성 인간 유방암 세포를 SR 및 MR로 명명하였다(도 1 참조).
실시예 2: SR 및 MR 세포의 방사선 내성 획득 확인
SR 및 MR 세포의 방사선 내성 획득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집락 형성능 분석을 실시하여 일반 유방암 세포(이하 일반 암세포) SK-BR-3 및 MCF-7과 조직 생존율(survival fraction)을 비교 평가하였다. 먼저 300 내지 900개의 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이하 10% FBS DMEM)에 현탁한 후 6 well plate에 plating 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각각 0, 2, 4 Gy로 방사선을 조사한 후 37도,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배양하였다. 형성된 집락을 10% formalin으로 15분 동안 고정한 다음 0.01%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후 counting 하여 조직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 및 MR의 조직 생존율이 SR-BR-3 및 MCF-7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SR 및 MR 모두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방사선 내성 암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 획득 확인
임상에서 유방암 치료제로 사용 중인 HER2 표적 치료제 트라스트주맙(trastuzumab), EGFR/HER2 이중표적 치료제 라파티닙(lapatinib), 및 일반 항암제 독소루비신(doxorubicin)의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항암제를 일반 암세포 (SK-BR-3) 및 방사선 내성 암세포(SR)에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 암세포 SK-BR-3 (5,000개/well)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2,000개/well)를 10% FBS DMEM배지에 현탁한 후 96-well plate에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다양한 농도의 trastuzumab (3, 6, 12.5, 25, 50 μg/mL), lapatinib (0.01, 0.05, 0.1, 0.5, 1, 5 μM) 또는 doxorubicin (0.05, 0.1, 0.2, 0.4, 0.6 μM)을 처리한 다음 3일(약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MTT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 한 다음 57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일반 암세포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적치료제인 트라스트주맙과 라파티닙에 의한 세포 생존율은 일반 암세포인 SK-BR-3 보다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일반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에 의한 세포 생존율 또한 일반 암세포 보다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c).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가 방사선 내성뿐만 아니라 표적 치료제 (trastuzumab 및 lapatinib)와 일반 항암제(doxorubicin)에 대한 내성 또한 획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상기 결과는 방사선 내성 유방암의 효율적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내성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 즉, 방사선 내성 인자를 발굴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4: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4 및 Moesin 유전자 발현 증가 확인
방사선 내성 암세포(SR)에서 방사선 내성 획득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cDNA microarray를 실시하였다. 먼저, easy-BLUE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Sungnam, Korea)를 이용하여 각 세포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한 다음 (주)디앤피바이오택 (Daegu, Korea)에 cDNA microarray 분석을 의뢰하여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 암세포 (SK-BR-3)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SR) 사이에서는 약 2,000개의 유전자의 발현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R 세포주는 SK-BR-3 세포주보다 ACSL4 유전자의 발현이 5배 이상, Moesin 유전자는 4.6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4 및 Moesin mRNA 발현 증가 확인
일반 암세포(SK-BR-3와 MCF-7)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과 MR)에서 ACSL4와 Moesin mRNA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total RNA 추출한 다음 reverse-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cDNA를 주형으로 하여 ACSL4 프라이머 (Forward 5'-GGGAAGAAGGACAGCCTTGGG-3', Reverse 5'-TCGGCCCTGGTCTCACAGAA-3'), Moesin 프라이머 (Forward 5'-GCTGTGGAGTGGCAGCAGAA-3', Reverse 5'-CGTTCCTCCTCACTGCGGTC-3')와 18s rRNA 프라이머(Forward 5'-GTAACCCGTTGAACCCCATT-3', Reverse 5'-CCATCCAATCGGTAGTAGCG-3')를 이용하여 변성단계(95℃, 10초), 어닐링단계(60℃, 20초) 및 연장단계(72℃, 20초)를 1 cycle로 하여 45 cycles를 실시하여 realtime PCR을 시행한 후 방사선 내성 암세포와 일반 암세포에서 나타난 ACSL4와 Moesin mRNA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프라이머 및 서열목록 정보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서열목록 서열정보 서열
5 ACSL4 정방향 프라이머 5'-GGGAAGAAGGACAGCCTTGGG-3'
6 ACSL4 역방향 프라이머 5'-TCGGCCCTGGTCTCACAGAA-3
7 Moesin 정방향 프라이머 5'-GCTGTGGAGTGGCAGCAGAA-3'
8 Moesin 역방향 프라이머 5'-CGTTCCTCCTCACTGCGGTC-3'
9 18s rRNA 정방향 프라이머 5'-GTAACCCGTTGAACCCCATT-3'
10 18s rRNA 역방향 프라이머 5'-CCATCCAATCGGTAGTAGCG-3'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SR과 MR)가 일반 암세포보다 ACSL4 및 Moesin mRNA의 발현이 월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 증가 확인
일반 암세포(SK-BR-3와 MCF-7)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과 MR)에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서 western blot assay를 수행하였다. Protease inhibitor와 phosphatase inhibitor를 1:100의 비율로 혼합한 RIPA lysis buffer를 세포에 넣고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13,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획득한 상층액을 단백질 샘플로 사용하였다.
각 단백질 샘플은 BSA (Bovine serum와albumin)로 단백질 정량을 하고,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8%의 SDS-PAGE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분리한 후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막으로 옮겨서 ACSL4 또는 Moesin antibody를 사용하여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 단백질의 loading control로는 β-actin을 사용하였다.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는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 anti-rabbit IgG 또는 HRP-conjugated anti-mouse IgG를 사용하였고, 단백질 밴드는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solution으로 발색한 후 LAS-4000 (Fujifilm, Tokyo, Japan)으로 확인하였다.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암세포(SK-BR-3와 MCF-7)에서는 ACSL4와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는 반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과 MR에서는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5가지 ACSL 이성체 중 ACSL 4의 단독 발현 증가 확인
7-1.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 4 유전자의 단독 발현 증가 확인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cDNA microarray 분석을 실시 한 후 ACSL1, ACSL3, ACSL4, ACSL5, 및 ACSL6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도 7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ACSL1, ACSL3, ACSL5, 및 ACSL6의 유전자발현은 방사선 내성 세포 SR에서 일반 암세포(SK-BR-3) 보다 감소하거나 2 배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CSL4의 경우,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에서 일반 암세포 보다 발현이 5.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2.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4 단백질의 단독 발현 증가 확인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단백질 샘플을 이용하여 ACSL1, ACSL3, ACSL4, 및 ACSL5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과 MR은 4가지 이성체 ACSL1, ACSL3, ACSL4, 및 ACSL5 중에서 ACSL4의 단백질만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7-1 및 실시예 7-2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 4만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ACSL1, ACSL3, 및 ACSL4 저해제인 트리아신-C(Triacsin-C)의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 사멸 효과 확인
ACSL4 저해에 의한 방사선 내성 암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ACSL1, 3, 및 4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트리아신-C(Triacsin-C)를 다양한 농도로 일반 암세포(SK-BR-3 및 MCF-7)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SR 및 MR)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 암세포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를 10% FBS DMEM배지에 현탁한 후 96-well plate에 파종(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0.05 내지 5 μM의 트리아신-C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 한 다음 57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아신-C는 ACSL4 특이적인 발현 증가를 나타나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과 MR에서 선택적으로 높은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ACSL4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5-fluorouracil (5-FU)에 의한 ACSL4 및 Moesin의 발현 억제 및 선택적 세포 사멸효과 확인
9-1.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5-FU의 선택적 세포사멸효과 분석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5-FU의 선택적 세포사멸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일반 암세포(SK-BR-3 및 MCF-7)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 다양한 농도의 5-FU를 처리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plating 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0.5 내지 10 μM 또는 0.1 내지 1 μM의 5-FU를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MTT 시약을 넣고 57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과 MR에 대해서 5-FU의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선택적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9-2.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증가된 ACSL4 및 Moesin 단백질에 대한 5-FU의 억제 효과 분석
5-FU를 처리한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 분석(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방사선 내성 암세포(SR)에 1 내지 10 μM의 5-FU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샘플을 준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에 5-FU를 처리함으로서 ACSL4 및 Moesin의 단백질 발현이 효과적으로 저해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 MR에 5-FU를 처리함으로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저해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과 MR에 대한 5-FU의 선택적 세포사멸 효과가 ACSL4 및 Moesin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보여는 결과이다.
실시예 10: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미슬토 추출물 (mistletoe)에 의한 ACSL4 및 Moesin의 발현 억제 및 선택적 세포사멸효과 확인
10-1. 미슬토 추출물의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세포사멸효과 분석
본 실험에 사용된 미슬토 추출물은 ㈜ 한국 아브노바사의 압노바비스쿰에프 0.2 mg 주사액을 사용하였다.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 대한 미슬토 추출물의 선택적 세포사멸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일반 암세포(SK-BR-3 및 MCF-7)와 방사선 내성 암세포(SR 및 MR)에 다양한 농도의 미슬토 추출물을 처리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plating 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30 μg/mL 또는 0.25∼5 μg/mL의 미슬토 추출물을 처리하고 24 시간 후에 MTT 시약을 넣고 57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11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암세포인 SK-BR-3 및 MCF-7에 대해서는 미슬토 추출물의 세포 사멸효과가 매우 낮게 나타났지만, 방사선 내성 암세포인 SR 및 MR에 대해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2. 방사선 내성 암세포의 ACSL4 및 Moesin 단백질에 대한 미슬토 추출물의 발현 억제 효과 분석
방사선 내성 암세포에서 미슬토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에는 0.5 내지 10 μg/mL의 미슬토 추출물을, MR에는 0.25 내지 1 μg/mL의 미슬토 추출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샘플을 준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내성 암세포(SR 및 MR)의 ACSL4 및 Moesin 단백질의 발현이 미슬토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방사선 내성 암세포 SR 및 MR에 대한 미슬토 추출물의 선택적 세포사멸 효과는 ACSL4 및 Moesin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10>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Diagnosing Radiation Tolerance of Cance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Radiation Tolerant Cancer <130> PN190308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SL4 <400> 1 atgaaactta agctaaatgt gctcaccatt attttgctgc ctgtccactt gttaataaca 60 atatacagtg cccttatatt tattccatgg tattttctta ccaatgccaa gaagaaaaac 120 gctatggcaa agagaataaa agctaagccc acttcagaca aacctggaag tccatatcgc 180 tctgtcacac acttcgactc actagctgta atagacatcc ctggagcaga tactctggat 240 aaattatttg accatgctgt atccaagttt gggaagaagg acagccttgg gaccagggaa 300 atcctaagtg aagaaaatga aatgcagcca aatggaaaag tttttaagaa gttaattctt 360 gggaattata aatggatgaa ctatcttgaa gtgaatcgca gagtgaataa ctttggtagt 420 ggactcactg cactgggact aaaaccaaag aacaccattg ccatcttctg tgagaccagg 480 gccgaatgga tgattgcagc acagacctgc tttaagtaca actttcctct tgtgacttta 540 tatgccacac ttggcaaaga agcagtagtt catgggctaa atgaatctga ggcttcctat 600 ctgattacca gtgttgaact tctggaaagt aaacttaaga ctgcattgtt agatatcagt 660 tgtgttaaac atatcattta tgtggacaat aaggctatca ataaagcaga gtaccctgaa 720 ggatttgaga ttcacagcat gcaatcagta gaagagttgg gatctaaccc agaaaacttg 780 ggcattcctc caagtagacc aacgccttca gacatggcca ttgttatgta tactagtggt 840 tctactggcc gacctaaggg agtgatgatg catcatagca atttgatagc tggaatgaca 900 ggccagtgtg aaagaatacc tggactggga ccgaaggaca catatattgg ctacttgcct 960 ttggctcatg tgctagaact gacagcagag atatcttgct ttacctatgg ctgcaggatt 1020 ggatattctt ctccgcttac actctctgac cagtccagca aaattaaaaa aggaagcaaa 1080 ggagactgta ctgtactgaa gcccacactt atggctgctg ttccggaaat catggataga 1140 atttataaga atgttatgag caaagtccaa gagatgaatt atattcagaa aactctgttc 1200 aagatagggt atgattacaa attggaacag atcaaaaagg gatatgatgc acctctttgc 1260 aatctgttac tgtttaaaaa ggtcaaggcc ctgctgggag ggaatgtccg catgatgctg 1320 tctggagggg ccccgctatc tcctcagaca caccgattca tgaatgtctg cttctgctgc 1380 ccaattggcc agggttatgg actgacagaa tcatgtggtg ctgggacagt tactgaagta 1440 actgactata ctactggcag agttggagca cctcttattt gctgtgaaat taagctaaaa 1500 gactggcaag aaggcggtta tacaattaat gacaagccaa accccagagg tgaaatcgta 1560 attggtggac agaacatctc catgggatat tttaaaaatg aagagaaaac agcagaagat 1620 tattctgtgg atgaaaatgg acaaaggtgg ttttgcactg gtgatattgg agaattccat 1680 cccgatggat gtttacagat tatagatcgt aagaaagatc tagtgaagtt acaagcagga 1740 gagtatgtat ctcttgggaa agtagaagct gcactgaaga attgtccact tattgacaac 1800 atctgtgctt ttgccaaaag tgatcagtcc tatgtgatca gttttgtggt tcctaaccag 1860 aaaaggttga cacttttggc acaacagaaa ggggtagaag gaacttgggt tgatatctgc 1920 aataatcctg ctatggaagc tgaaatactg aaagaaattc gagaagctgc aaatgccatg 1980 aaattggagc gatttgaaat tccaatcaag gttcgattaa gcccagagcc atggacccct 2040 gaaactggtt tggtaactga tgctttcaaa ctgaaaagga aggagctgag gaaccattac 2100 ctcaaagaca ttgaacgaat gtatgggggc aaataa 2136 <210> 2 <211> 17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esin <400> 2 atgcccaaaa cgatcagtgt gcgtgtgacc accatggatg cagagctgga gtttgccatc 60 cagcccaaca ccaccgggaa gcagctattt gaccaggtgg tgaaaactat tggcttgagg 120 gaagtttggt tctttggtct gcagtaccag gacactaaag gtttctccac ctggctgaaa 180 ctcaataaga aggtgactgc ccaggatgtg cggaaggaaa gccccctgct ctttaagttc 240 cgtgccaagt tctaccctga ggatgtgtcc gaggaattga ttcaggacat cactcagcgc 300 ctgttctttc tgcaagtgaa agagggcatt ctcaatgatg atatttactg cccgcctgag 360 accgctgtgc tgctggcctc gtatgctgtc cagtctaagt atggcgactt caataaggaa 420 gtgcataagt ctggctacct ggccggagac aagttgctcc cgcagagagt cctggaacag 480 cacaaactca acaaggacca gtgggaggag cggatccagg tgtggcatga ggaacaccgt 540 ggcatgctca gggaggatgc tgtcctggaa tatctgaaga ttgctcaaga tctggagatg 600 tatggtgtga actacttcag catcaagaac aagaaaggct cagagctgtg gctgggggtg 660 gatgccctgg gtctcaacat ctatgagcag aatgacagac taactcccaa gataggcttc 720 ccctggagtg aaatcaggaa catctctttc aatgataaga aatttgtcat caagcccatt 780 gacaaaaaag ccccggactt cgtcttctat gctccccggc tgcggattaa caagcggatc 840 ttggccttgt gcatggggaa ccatgaacta tacatgcgcc gtcgcaagcc tgataccatt 900 gaggtgcagc agatgaaggc acaggcccgg gaggagaagc accagaagca gatggagcgt 960 gctatgctgg aaaatgagaa gaagaagcgt gaaatggcag agaaggagaa agagaagatt 1020 gaacgggaga aggaggagct gatggagagg ctgaagcaga tcgaggaaca gactaagaag 1080 gctcagcaag aactggaaga acagacccgt agggctctgg aacttgagca ggaacggaag 1140 cgtgcccaga gcgaggctga aaagctggcc aaggagcgtc aagaagctga agaggccaag 1200 gaggccttgc tgcaggcctc ccgggaccag aaaaagactc aggaacagct ggccttggaa 1260 atggcagagc tgacagctcg aatctcccag ctggagatgg cccgacagaa gaaggagagt 1320 gaggctgtgg agtggcagca gaaggcccag atggtacagg aagacttgga gaagacccgt 1380 gctgagctga agactgccat gagtacacct catgtggcag agcctgctga gaatgagcag 1440 gatgagcagg atgagaatgg ggcagaggct agtgctgacc tacgggctga tgctatggcc 1500 aaggaccgca gtgaggagga acgtaccact gaggcagaga agaatgagcg tgtgcagaag 1560 cacctgaagg ccctcacttc ggagctggcc aatgccagag atgagtccaa gaagactgcc 1620 aatgacatga tccatgctga gaacatgcga ctgggccgag acaaatacaa gaccctgcgc 1680 cagatccggc agggcaacac caagcagcgc attgacgaat ttgagtctat gtaa 1734 <210> 3 <211> 7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SL4 Protein sequence <400> 3 Met Lys Leu Lys Leu Asn Val Leu Thr Ile Ile Leu Leu Pro Val His 1 5 10 15 Leu Leu Ile Thr Ile Tyr Ser Ala Leu Ile Phe Ile Pro Trp Tyr Phe 20 25 30 Leu Thr Asn Ala Lys Lys Lys Asn Ala Met Ala Lys Arg Ile Lys Ala 35 40 45 Lys Pro Thr Ser Asp Lys Pro Gly Ser Pro Tyr Arg Ser Val Thr His 50 55 60 Phe Asp Ser Leu Ala Val Ile Asp Ile Pro Gly Ala Asp Thr Leu Asp 65 70 75 80 Lys Leu Phe Asp His Ala Val Ser Lys Phe Gly Lys Lys Asp Ser Leu 85 90 95 Gly Thr Arg Glu Ile Leu Ser Glu Glu Asn Glu Met Gln Pro Asn Gly 100 105 110 Lys Val Phe Lys Lys Leu Ile Leu Gly Asn Tyr Lys Trp Met Asn Tyr 115 120 125 Leu Glu Val Asn Arg Arg Val Asn Asn Phe Gly Ser Gly Leu Thr Ala 130 135 140 Leu Gly Leu Lys Pro Lys Asn Thr Ile Ala Ile Phe Cys Glu Thr Arg 145 150 155 160 Ala Glu Trp Met Ile Ala Ala Gln Thr Cys Phe Lys Tyr Asn Phe Pro 165 170 175 Leu Val Thr Leu Tyr Ala Thr Leu Gly Lys Glu Ala Val Val His Gly 180 185 190 Leu Asn Glu Ser Glu Ala Ser Tyr Leu Ile Thr Ser Val Glu Leu Leu 195 200 205 Glu Ser Lys Leu Lys Thr Ala Leu Leu Asp Ile Ser Cys Val Lys His 210 215 220 Ile Ile Tyr Val Asp Asn Lys Ala Ile Asn Lys Ala Glu Tyr Pro Glu 225 230 235 240 Gly Phe Glu Ile His Ser Met Gln Ser Val Glu Glu Leu Gly Ser Asn 245 250 255 Pro Glu Asn Leu Gly Ile Pro Pro Ser Arg Pro Thr Pro Ser Asp Met 260 265 270 Ala Ile Val Met Tyr Thr Ser Gly Ser Thr Gly Arg Pro Lys Gly Val 275 280 285 Met Met His His Ser Asn Leu Ile Ala Gly Met Thr Gly Gln Cys Glu 290 295 300 Arg Ile Pro Gly Leu Gly Pro Lys Asp Thr Tyr Ile Gly Tyr Leu Pro 305 310 315 320 Leu Ala His Val Leu Glu Leu Thr Ala Glu Ile Ser Cys Phe Thr Tyr 325 330 335 Gly Cys Arg Ile Gly Tyr Ser Ser Pro Leu Thr Leu Ser Asp Gln Ser 340 345 350 Ser Lys Ile Lys Lys Gly Ser Lys Gly Asp Cys Thr Val Leu Lys Pro 355 360 365 Thr Leu Met Ala Ala Val Pro Glu Ile Met Asp Arg Ile Tyr Lys Asn 370 375 380 Val Met Ser Lys Val Gln Glu Met Asn Tyr Ile Gln Lys Thr Leu Phe 385 390 395 400 Lys Ile Gly Tyr Asp Tyr Lys Leu Glu Gln Ile Lys Lys Gly Tyr Asp 405 410 415 Ala Pro Leu Cys Asn Leu Leu Leu Phe Lys Lys Val Lys Ala Leu Leu 420 425 430 Gly Gly Asn Val Arg Met Met Leu Ser Gly Gly Ala Pro Leu Ser Pro 435 440 445 Gln Thr His Arg Phe Met Asn Val Cys Phe Cys Cys Pro Ile Gly Gln 450 455 460 Gly Tyr Gly Leu Thr Glu Ser Cys Gly Ala Gly Thr Val Thr Glu Val 465 470 475 480 Thr Asp Tyr Thr Thr Gly Arg Val Gly Ala Pro Leu Ile Cys Cys Glu 485 490 495 Ile Lys Leu Lys Asp Trp Gln Glu Gly Gly Tyr Thr Ile Asn Asp Lys 500 505 510 Pro Asn Pro Arg Gly Glu Ile Val Ile Gly Gly Gln Asn Ile Ser Met 515 520 525 Gly Tyr Phe Lys Asn Glu Glu Lys Thr Ala Glu Asp Tyr Ser Val Asp 530 535 540 Glu Asn Gly Gln Arg Trp Phe Cys Thr Gly Asp Ile Gly Glu Phe His 545 550 555 560 Pro Asp Gly Cys Leu Gln Ile Ile Asp Arg Lys Lys Asp Leu Val Lys 565 570 575 Leu Gln Ala Gly Glu Tyr Val Ser Leu Gly Lys Val Glu Ala Ala Leu 580 585 590 Lys Asn Cys Pro Leu Ile Asp Asn Ile Cys Ala Phe Ala Lys Ser Asp 595 600 605 Gln Ser Tyr Val Ile Ser Phe Val Val Pro Asn Gln Lys Arg Leu Thr 610 615 620 Leu Leu Ala Gln Gln Lys Gly Val Glu Gly Thr Trp Val Asp Ile Cys 625 630 635 640 Asn Asn Pro Ala Met Glu Ala Glu Ile Leu Lys Glu Ile Arg Glu Ala 645 650 655 Ala Asn Ala Met Lys Leu Glu Arg Phe Glu Ile Pro Ile Lys Val Arg 660 665 670 Leu Ser Pro Glu Pro Trp Thr Pro Glu Thr Gly Leu Val Thr Asp Ala 675 680 685 Phe Lys Leu Lys Arg Lys Glu Leu Arg Asn His Tyr Leu Lys Asp Ile 690 695 700 Glu Arg Met Tyr Gly Gly Lys 705 710 <210> 4 <211> 57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esin Protein sequence <400> 4 Met Pro Lys Thr Ile Ser Val Arg Val Thr Thr Met Asp Ala Glu Leu 1 5 10 15 Glu Phe Ala Ile Gln Pro Asn Thr Thr Gly Lys Gln Leu Phe Asp Gln 20 25 30 Val Val Lys Thr Ile Gly Leu Arg Glu Val Trp Phe Phe Gly Leu Gln 35 40 45 Tyr Gln Asp Thr Lys Gly Phe Ser Thr Trp Leu Lys Leu Asn Lys Lys 50 55 60 Val Thr Ala Gln Asp Val Arg Lys Glu Ser Pro Leu Leu Phe Lys Phe 65 70 75 80 Arg Ala Lys Phe Tyr Pro Glu Asp Val Ser Glu Glu Leu Ile Gln Asp 85 90 95 Ile Thr Gln Arg Leu Phe Phe Leu Gln Val Lys Glu Gly Ile Leu Asn 100 105 110 Asp Asp Ile Tyr Cys Pro Pro Glu Thr Ala Val Leu Leu Ala Ser Tyr 115 120 125 Ala Val Gln Ser Lys Tyr Gly Asp Phe Asn Lys Glu Val His Lys Ser 130 135 140 Gly Tyr Leu Ala Gly Asp Lys Leu Leu Pro Gln Arg Val Leu Glu Gln 145 150 155 160 His Lys Leu Asn Lys Asp Gln Trp Glu Glu Arg Ile Gln Val Trp His 165 170 175 Glu Glu His Arg Gly Met Leu Arg Glu Asp Ala Val Leu Glu Tyr Leu 180 185 190 Lys Ile Ala Gln Asp Leu Glu Met Tyr Gly Val Asn Tyr Phe Ser Ile 195 200 205 Lys Asn Lys Lys Gly Ser Glu Leu Trp Leu Gly Val Asp Ala Leu Gly 210 215 220 Leu Asn Ile Tyr Glu Gln Asn Asp Arg Leu Thr Pro Lys Ile Gly Phe 225 230 235 240 Pro Trp Ser Glu Ile Arg Asn Ile Ser Phe Asn Asp Lys Lys Phe Val 245 250 255 Ile Lys Pro Ile Asp Lys Lys Ala Pro Asp Phe Val Phe Tyr Ala Pro 260 265 270 Arg Leu Arg Ile Asn Lys Arg Ile Leu Ala Leu Cys Met Gly Asn His 275 280 285 Glu Leu Tyr Met Arg Arg Arg Lys Pro Asp Thr Ile Glu Val Gln Gln 290 295 300 Met Lys Ala Gln Ala Arg Glu Glu Lys His Gln Lys Gln Met Glu Arg 305 310 315 320 Ala Met Leu Glu Asn Glu Lys Lys Lys Arg Glu Met Ala Glu Lys Glu 325 330 335 Lys Glu Lys Ile Glu Arg Glu Lys Glu Glu Leu Met Glu Arg Leu Lys 340 345 350 Gln Ile Glu Glu Gln Thr Lys Lys Ala Gln Gln Glu Leu Glu Glu Gln 355 360 365 Thr Arg Arg Ala Leu Glu Leu Glu Gln Glu Arg Lys Arg Ala Gln Ser 370 375 380 Glu Ala Glu Lys Leu Ala Lys Glu Arg Gln Glu Ala Glu Glu Ala Lys 385 390 395 400 Glu Ala Leu Leu Gln Ala Ser Arg Asp Gln Lys Lys Thr Gln Glu Gln 405 410 415 Leu Ala Leu Glu Met Ala Glu Leu Thr Ala Arg Ile Ser Gln Leu Glu 420 425 430 Met Ala Arg Gln Lys Lys Glu Ser Glu Ala Val Glu Trp Gln Gln Lys 435 440 445 Ala Gln Met Val Gln Glu Asp Leu Glu Lys Thr Arg Ala Glu Leu Lys 450 455 460 Thr Ala Met Ser Thr Pro His Val Ala Glu Pro Ala Glu Asn Glu Gln 465 470 475 480 Asp Glu Gln Asp Glu Asn Gly Ala Glu Ala Ser Ala Asp Leu Arg Ala 485 490 495 Asp Ala Met Ala Lys Asp Arg Ser Glu Glu Glu Arg Thr Thr Glu Ala 500 505 510 Glu Lys Asn Glu Arg Val Gln Lys His Leu Lys Ala Leu Thr Ser Glu 515 520 525 Leu Ala Asn Ala Arg Asp Glu Ser Lys Lys Thr Ala Asn Asp Met Ile 530 535 540 His Ala Glu Asn Met Arg Leu Gly Arg Asp Lys Tyr Lys Thr Leu Arg 545 550 555 560 Gln Ile Arg Gln Gly Asn Thr Lys Gln Arg Ile Asp Glu Phe Glu Ser 565 570 575 Met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SL4 FW Primer <400> 5 gggaagaagg acagccttgg g 21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SL4 BW Primer <400> 6 tcggccctgg tctcacagaa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esin FW Primer <400> 7 gctgtggagt ggcagcaga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oesin BW Primer <400> 8 cgttcctcct cactgcggt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RNA FW primer <400> 9 gtaacccgtt gaaccccat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RNA BW primer <400> 10 ccatccaatc ggtagtagcg 20

Claims (10)

  1. 유방암세포를 포함하는 생체 시료로부터 ACSL4(acyl-CoA synthetase long chain family member 4) 및 모에신(Moesin)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방암의 방사선 내성 진단용 키트.
  4. 유방암세포를 포함하는 생체 시료로부터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의 유방암 치료 효능 예측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는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의 유방암 치료 효능 예측용 조성물.
  6. 제 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ACSL4 및 모에신 발현 억제제의 유방암 치료 효능 예측용 키트.
  7.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트리아신-C, 5-FU, 및 미슬토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사선 내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ACSL4 및 모에신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것인,
    방사선 내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KR1020190130956A 2019-10-21 2019-10-21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56A KR102239722B1 (ko) 2019-10-21 2019-10-21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56A KR102239722B1 (ko) 2019-10-21 2019-10-21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722B1 true KR102239722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56A KR102239722B1 (ko) 2019-10-21 2019-10-21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90A (ko) * 2008-03-14 2009-09-17 씨비에스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간암 진단용 단백질성 마커
WO2015161792A1 (en) * 2014-04-22 2015-10-29 Shanghai Kexin Biotech Co., Ltd. Method and biomarker for detecting cancer
KR20170129620A (ko) 2016-05-17 2017-11-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rp-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암 진단용 또는 방사선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490A (ko) * 2008-03-14 2009-09-17 씨비에스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간암 진단용 단백질성 마커
WO2015161792A1 (en) * 2014-04-22 2015-10-29 Shanghai Kexin Biotech Co., Ltd. Method and biomarker for detecting cancer
KR20170129620A (ko) 2016-05-17 2017-11-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rp-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저항성 암 진단용 또는 방사선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rk J Miller et al, Proc Natl Acad Sci (1979),vol 76, no 10, pp 5222-5225. *
Ulises Daniel Orlando et al, Biochemical Pharamcology (available online 2018.11.), vol 159, pp 52-63. *
Xinyu Wu et al, PLOS ONE (2013), vol 8, Issue 10, e7706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925B1 (ko) 연자육 또는 연자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957B1 (ko) Slit-robo 시스템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2693B1 (ko) H-rev107 유래 펩타이드의 신규한 용도
JP2017039729A (ja) Slit−Roboシステムを用いた骨折又は骨粗鬆症の予防或いは治療用組成物
KR102239722B1 (ko)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8110B1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US10857206B2 (en) Composition for regulating cutaneous pigmentation 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DF1
KR102360622B1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사선 내성 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32300B1 (ko) 방사선 내성 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 스크리닝 방법
KR20200115883A (ko) 테트라스파닌-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6054B1 (ko) 메테오린-유사체 (meteorin-like)를 포함하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362322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umor proliferation comprising salvia plebei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CN110325189A (zh) 含有吡啶类化合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dyrk相关疾病的药物组合物
KR101593595B1 (ko) Cx-494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플라이싱 조절제
KR102666457B1 (ko) Cxcl1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1988B1 (ko) 감마-글루타밀티로신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28407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남극 지의류 움빌리카리아 안타티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5363B1 (ko) C12orf59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6016990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inhibitor for treating chronic inflammatory pain
KR20180138435A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135544A (ko)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5422B1 (ko) Hax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리닝 방법
KR20230036289A (ko) 신규 항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30106506A (ko)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EP386839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