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506A -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506A
KR20230106506A KR1020220182082A KR20220182082A KR20230106506A KR 20230106506 A KR20230106506 A KR 20230106506A KR 1020220182082 A KR1020220182082 A KR 1020220182082A KR 20220182082 A KR20220182082 A KR 20220182082A KR 20230106506 A KR20230106506 A KR 2023010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da
inhibitor
lung cancer
expression
smal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랑
허해정
함기옥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10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antineoplastic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Abstract

본 발명은 CDA(cytidine deaminase)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은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여,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resistant to ALK inhibitors comprising cytidine deaminase inhibitor}
본 발명은 CDA(cytidine deaminase)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LK(Anaplastic Lymphoma kinase)는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tyrosine kinase receptor)로서 Ras/Raf/MEK/ERK1/2 경로(pathway), JAK(Janus kinase)/STAT(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 경로, Pl3K(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경로를 통해 세포의 증식, 생장 및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ALK의 과다 발현은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생장을 초래한다.
한편,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에서 ALK의 EML4(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4)-ALK 돌연변이(mutation)는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어 ALK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 치료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ALK의 표적 치료제로는 크리조티닙(crizotinib)과 세리티닙(ceritinib) 등의 ALK 저해제(inhibitor)가 사용되어 왔으나, 계속 사용시 치료효과들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거나, 측정가능한 정도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실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약 10% 정도만이 이들 약물에 반응성을 보이고 있다(Transl Cancer Res 2017;6(Suppl 2):S239-S245).
따라서,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환자군에서 ALK 저해제를 사용할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과 함께,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는 활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CDA 단백질 또는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와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을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CDA 단백질 또는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와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을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고, 유효성분으로서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으며,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including)'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질환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단백질’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또는 '펩타이드(peptide)'와 호환성 있게 사용되며, 예컨대, 자연 상태의 단백질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말한다. CDA 단백질의 '단편(fragment)'은 CDA 단백질의 일부분의 펩타이드를 말한다.
한편, 'mRNA(messenger RNA 또는 전령 RNA)'는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유전 정보를 리보솜(ribosome)으로 전달하여 폴리펩티드 합성(단백질 번역, translation)의 청사진 역할을 하는 RNA이다. 유전자를 주형(template)으로 하여 단일 가닥의 mRNA가 전사(transcription) 과정을 통하여 합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LK 저해제"는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로, EML4-ALK의 카이네이즈 활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LK 저해제에 대한 내성 획득 여부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를 위해 ALK 저해제를 일정 기간 투여하였을 때, 약물이 투여된 초기의 약물 반응과 비교하여 일정 기간 약물을 투여한 후에 ALK 저해제에 대해 극히 낮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암의 증세가 호전, 완화, 경감 또는 치료 증상을 나타내지 않거나, 2차적 ALK 돌연변이가 없고, 다른 ALK 저해제를 투여한 후에도 암이 진행성을 나타내었을 때 ALK 저해제에 대해 비의존적 내성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경우, CDA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수준 증가, 또는 CDA 유전자 메틸화의 감소는 내성 유발에 중요한 인자라 말할 수 있다. 상기 비소세포폐암의 진행은 암의 발생을 이미징하여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초음파, X-선 영상, 유방조영술, PET 스캔, 방사성 핵종 스캔, 뼈 스캔 등의 영상화 기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수단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LK 저해제는 크리조티닙(crizotinib), 세리티닙(ceritinib), 알렉티닙(alec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및 엔트렉티닙(entrectini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현(expression)'은 세포에서 단백질 또는 핵산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CDA는 cytidine(혹은 deoxycytidine)을 uridine (혹은 deoxyuridine)으로 변환시키는 활성을 갖는 효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CDA (cytidine deaminase; EC number 3.5.4.5; 예컨대, CDD): GenBank Accession Nos. NP_001776.1 (유전자: NM_001785.2), CAA06460.1 (유전자: AJ005261.1), NP_416648.1 (유전자: NC_000913.3) 등의 서열을 참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CDA 단백질은 아래 아미노산 서열 및 상기 CDA 유전자는 아래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CDA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maqkrpactl kpecvqqllv csqeakksay cpyshfpvga alltqegrif kgcnienacy
plgicaerta iqkavsegyk dfraiaiasd mqddfispcg acrqvmrefg tnwpvymtkp
dgtyivmtvq ellpssfgpe dlqktq
[CDA 유전자 염기 서열]
a tggcccagaa gcgtcctgcc tgcaccctga agcctgagtg tgtccagcag ctgctggttt
gctcccagga ggccaagaag tcagcctact gcccctacag tcactttcct gtgggggctg
ccctgctcac ccaggagggg agaatcttca aagggtgcaa catagaaaat gcctgctacc
cgctgggcat ctgtgctgaa cggaccgcta tccagaaggc cgtctcagaa gggtacaagg
atttcagggc aattgctatc gccagtgaca tgcaagatga ttttatctct ccatgtgggg
cctgcaggca agtcatgaga gagtttggca ccaactggcc cgtgtacatg accaagccgg
atggtacgta tattgtcatg acggtccagg agctgctgcc ctcctccttt gggcctgagg
acctgcagaa gacccagtga
본 발명에서 상기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바람직하게는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로서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환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는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ALK 유전자의 변이가 발생한 환자를 말한다. 상기 ALK 유전자의 변이는 EML4와 ALK 유전자가 융합되는 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융합이 일어난 유전자는 EML4-ALK을 발현함으로써 암을 유발시킨다.
상기 CDA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상기 CDA mRNA의 번역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저분자 화합물, 안티센스 핵산 서열의 제조나 RNAi 테크닉을 이용한 RNA, siRNA 또는 shRNA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DA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CDA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ntisense oligonucleotide), siRNA, shRNA, miRNA, ribozyme, DNAzyme 및 PNA(protein nucleic aci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D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물질은 상기 CDA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는 프로모터, 인핸서(enhancer), 또는 전사조절인자에 결합하는 단백질 또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CDA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CDA 유전자 또는 그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작은 간섭 RNA(short interfering RNA), 짧은 헤어핀 RNA(short hairpin RNA), 두 가닥 RNA (double strand RNA) 및 마이크로 RNA(mi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CDA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에 대해 안티센스인 뉴클레오티드 분자를 저해제로 사용할 수 있다. '안티센스' 핵산은 CDA를 코딩하는 '센스' 핵산에 상보적인, 예를 들면 두 가닥 사슬 cDNA 분자의 코딩 가닥에 상보적이거나 mRNA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센스 핵산은 전체 CDA 코딩 가닥 또는 단지 그들의 일부(예: 코딩영역)에 상보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질은 구체적으로 CDA 유전자의 mRNA를 타겟으로 하는 shRNA, miRNA 또는 siRNA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DA 활성 억제제는 CDA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거나 이의 활성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유사체(mimetics), 앱타머, 항체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상기 CDA 활성 억제제는 테트라하이드로유리딘(tetrahydrouridine), 세다쥬리딘(Cedazuridine)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무독성인, 즉, 물질이 원하지 않는 생물학적 효과 또는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의 임의의 구성성분과 해로운 방법으로 상호작용 없이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는 담체 또는 희석액과 같은 물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산, 유기산, 용매 화합물, 수화물 또는 그것의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독성의 산으로부터 제조된 투여되는 화합물의 염을 나타낸다. 상기 아피제닌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할 수 있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dextrose), 솔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자일리톨(xylitol), 에리스리톨 말티톨(Erythritol maltitol), 셀룰로즈(celulose), 메틸 셀룰로즈(methyl celulose),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 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5% 덱스트로오스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paraben), 클로로부탄올(Chlorobutanol), 페놀(phenol), 소르빈산(Sorbic acid), 티메로살(thimerosal)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의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소세포폐암의 증상 완화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가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CDA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CDA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CDA의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비소세포폐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ALK 저해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ALK 저해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때, 상기 조성물은 단일 조성물의 형태로 각각 투여되거나 또는 복합제의 형태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은 ALK 저해제와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투여될 때 투여순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은 또한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와 암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disaccharide); 덱스트린(dextrin),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thaumatin), 스테비아(stevia)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aspartame)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이다.
본 발명에 따른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가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때, 그 양은 증상 개선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CDA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와 함께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식품으로 이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CDA 단백질 또는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와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을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분석의 대상인 시험 물질이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접촉(contacting)' 또는 '처리(treatment)'는 일반적인 의미이며, 2개 이상의 제제(예를 들어, 2개의 리펩티드)를 결합시키거나, 제제와 세포(예를 들어, 단백질과 세포)를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접촉은 시험 관 내(in vitro)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시험관(test tube) 또는 다른 컨테이너(container)에서 2개 이상의 제제를 결합시키거나 시험 제제와 세포 또는 세포 용해물과 시험 제제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접촉은세포 또는 인 시투(in situ)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예컨대, 2개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재조합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세포 내에서 공동발현(coexpression)시킴으로써 세포 또는 세포 용해물에서 2개의 폴리펩티드를 접촉시키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하고자 하는 단백질이 고정상의 표면에 배열된 단백질 칩(protein chip)이나 단백질 어레이(protein array)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시험 물질'은 시험 제제(test agent) 또는 제제(agent)와 호환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임의의 물질(substance), 분자(molecule), 원소(element), 화합물(compound), 실재물(entity)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백질, 폴리펩티드, 저분자 유기화합물(small organic molecule), 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뉴클레오티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자연 산물(natural product), 합성 화합물 또는 화학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 물질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는 시험 제제는, 폴리펩티드, 베타-턴 유도체(beta-turn mimetics), 다당류, 인지질, 호르몬, 프로스타글란딘, 스테로이드, 방향족 화합물,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 올리고머릭 N-치환 글리신(oligomeric N-substituted glycines), 올리고카르바메이트(oligocarbamates), 당류(saccharides), 지방산, 퓨린, 피리미딘 또는 이들의 유도체, 구조적 아날로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시험 제제는 합성 물질 또는 천연물질일 수 있다. 상기 시험 제제는 합성 또는 자연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출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조합(combinatorial) 라 이브러리는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화합물로 생산될 수 있다. 다수의 조합 라이브러리의 화합물들은 ESL(encoded synthetic libraries) 방법(WO 95/12608, WO93/06121, WO 94/08051, WO95/395503 및 WO 95/30642)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펩티드 라이브러리는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WO91/1898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박테리아, 곰팡이, 식물 및 동물 추출물 형태의 자연 화합물의 라이브러리는 상업적인 출처로부터 얻거나 또는 필드(field)에서 수집될 수 있다. 공지된 약리학적(pharmacological) 제제가 구조적 아날로그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실화, 알킬화, 에스테르화 반응(esterification), 아미드화 반응(amidification)과 같이 지시되거나(direct) 무작위한 화학적 수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현(expression)'이라 함은 세포에서 단백질 또는 핵산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CDA를 발현하는 세포는 CDA를 내재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일 수도 있고, CDA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되어 CDA를 과발현하는 세포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DA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시험 물질을 접촉시킨 CDA를 발현하는 세포와 시험 물질을 접촉시키지 않은 CDA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CDA의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CDA mRNA 발현의 측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발현 수준 확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분석 방법의 예로 역전사중합체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microarray chip), RNA 염기서열분석(RNA sequencing)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CDA 단백질의 발현 수준 측정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닷 블랏팅(dot blotting),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능 면역분석법(RIA),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 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법(immunoprecipitation), 보체 고정 분석법, 유세포 분석법(FACS) 또는 단백질 칩 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단계는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을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자가 규명한 바와 같이, CDA의 활성을 저해하면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세포의 성장 및 전이가 억제되고, 생존율이 향상되는 바와 같이, CDA의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을 저해하는 물질 또한 CDA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상기 스크리닝 방법에서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란 바람직하게는 CDA의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을 저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CDA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일 수 있다.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은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여,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ALK 저해제 내성 세포(LR)에 대한 CDA 발현 또는 활성 억제의 항암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A: H3122 및 LR 세포 용해물에서 CDA의 웨스턴 블롯 분석.
B,C qRT-PCR(B) 및 웨스턴 블로팅(C)에 의해 평가된 siRNA의 녹다운(knock-down) 효율.
D 표시된 시간 동안 siRNA로 형질감염된 LR 세포의 증식.
E 표시된 시간 동안 테트라히드로우리딘(0-20 μM)으로 처리된 H3122 및 LR 세포의 증식.
F CDA 녹다운 후 EMT 관련 단백질의 발현.
G 상단: 세포 표면이 긁힌 후 0시간과 15시간 후 CDA가 고갈된 LR 세포의 상처 치유 분석.
H 상단: 세포 시딩 후 48시간 후에 CDA가 고갈된 LR 세포가 이주하고 침습하는 정도를 관찰한 현미경 이미지.
도 2는 폐암 세포주 H3122, ALK 저해제 내성 세포(LR) 와 내성세포에서 CDA의 발현을 고갈시킨 세포의 유전자 발현량 프로파일과 CDA 발현 또는 활성 억제의 항암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A : RNA-seq에 의한 폐암 세포주 H3122와 ALK 저해제 내성 LR 세포주의 유전자 발현량과 RNA-seq에 의한 CDA의 발현이 고갈된 LR 세포의 유전자 발현 분석.
B : CDA가 고갈된 LR 세포에서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된 유전자의 기능
C : 표시된 시간 동안 테트라히드로우리딘(0-20 μM)으로 처리된 H3122 및 LR 세포의 증식.
D : 표시된 시간 동안 세다쥬리딘(0-30 μM)으로 처리된 H3122 및 LR 세포의 증식.
E : 세리티닙(Ceritinib) 민감도 증가에 따른 LR 세포증식 억제 효과.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LK 저해제 내성 폐암 세포주의 형성
폐암 세포주, H3122를 1% 항생제 (Gibco, Cat 번호 15240062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및 10% 태아 소 혈청 (HyClone, UT, USA). Ceritinib (LDK378)이 보충된 RPMI-1640 배지 (WELGENE, Cat 번호 LM 011-01, 한국)에서 배양했다. ALK 저해제 내성 폐암 세포주인 LR 세포는 이전 보고된 방법에 따라 형성하였다. 간략하게, H3122 세포에 세리티닙(ceritinib)을 IC30으로 시작하여 점차 농도를 증가시켜 배양하고, 연속적인 1μM 세리티닙 처리 조건에서 대략 6 개월의 배양 후 내성 세포를 유도하였다. 모든 세포를 5% CO2를 함유한 가습 대기에서 37℃로 유지시켰다.
실시예 2: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한 ALK 저해제 내성 폐암 세포주의 증식 및 이주 억제
폐암 세포주 H3122와 ALK 저해제 내성 LR 세포주의 단백질 발현을 Western blotting으로 분석해 본 결과, CDA 발현 수준이 내성 세포에서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도 1A).
본 발명자는 세 가지 다른 CDA siRNA를 사용하여 LR 세포에서 CDA의 발현을 고갈시켰다(표 1). 세 가지 siRNA 모두 CDA mRNA와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켰다(도 1B 및 2C). 그 결과, siRNA에 의한 CDA 고갈은 LR 세포 증식을 감소시켰다(도 1D).
Figure pat00001
그 다음으로, siRNA에 의한 LR 세포주에서의 CDA 고갈은 상피 마커 E-Cadherin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중간엽 마커 N-Cadherin 및 Vimentin의 발현을 감소시켰다(도 1E). 또한, CDA 고갈은 상처 치유(도 1F)와 세포 이동 및 침습(도 1G)을 감소시켜 암 세포의 이주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LR 세포주와 CDA(cytidine deaminase) 발현억제 세포의 유전자 발현량 프로파일과 CDA 발현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한 내성 폐암 세포주의 증식 억제
폐암 세포주 H3122와 ALK 저해제 내성 LR 세포주의 유전자 발현을 RNA-seq으로 분석해 본 결과, CDA 발현 수준이 내성 세포에서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CDA siRNA를 사용하여 LR세포에서 CDA의 발현을 고갈시킨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RNA-seq으로 분석해 본 결과, LR세포에서 상향 조절된 유전자는 CDA 고갈 세포에서 하향 조절되었다(도 2A). CDA 고갈 세포에서 하향 조절된 CDA는 증식, 이주 및 침습과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2B).
CDA의 경쟁적 억제제인 테트라하이드로유리딘(tetrahydrouridine)과 세다쥬리딘(Cedazuridine)의 처리는 H3122의 증식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LR 세포주의 증식에 대한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2C.2D). 또한, LR 세포주의 CDA의 발현 억제는 세리티닙(Ceritinib)의 민감도를 증가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세리티닙(Ceritinib) 단독처리보다 테트라하이드로유리딘(tetrahydrouridine) 또는 세다쥬리딘(Cedazuridine)과의 병용 처리시 더 효과적으로 LR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도 2E).
CDA의 발현 또는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은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증식, 이주 및 침습을 억제하여, ALK 저해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비소세포폐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1)

  1.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A 발현 억제제는 CDA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antisense oligonucleotide), siRNA, shRNA, miRNA, ribozyme, DNAzyme 및 PNA(protein nucle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DA 발현 억제제는 서열번호 1 내지 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si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A 활성 억제제는 CDA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거나 이의 활성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 화합물, 펩티드, 펩티드 유사체(mimetics), 앱타머, 항체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DA 활성 억제제는 테트라하이드로유리딘(tetrahydrouridine), 세다쥬리딘(Cedazuridine)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LK 저해제와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과 ALK 저해제를 병용 투여 시 단일 약물로 순차적으로 또는 별도로 투여되거나, 또는 복합제의 형태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CDA(cytidine deaminase)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a) CDA 단백질 또는 mRNA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세포와 시험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CDA 단백질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을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후보물질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DA의 mRNA 발현 수준은 RT-PCR,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 RT-PCR(Quentitative or semi-Quentitative RT-PCR),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 리얼 타임 RT-PCR(Quentitative or semi-Quentitative real-time RT-PCR), 노던 블롯(northern blot), DNA 칩(chip) 및 RNA 칩으로 이루어지는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CDA의 단백질 발현 수준은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면역분석법,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레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분석, 보체고정분석, FACS 및 단백질 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KR1020220182082A 2022-01-03 2022-12-22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65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69 2022-01-03
KR20220000569 2022-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506A true KR20230106506A (ko) 2023-07-13

Family

ID=8699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082A KR20230106506A (ko) 2022-01-03 2022-12-22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6506A (ko)
WO (1) WO20231287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56411A1 (en) * 2011-11-21 2013-05-30 Immunogen, Inc. Method of treatment of tumors that are resistant to egfr therapies by egfr antibody cytotoxic agent conjugate
KR20170085619A (ko) * 2016-01-14 2017-07-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lk 저해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를 위한 스타틴계 약물의 용도
AU2018207464B2 (en) * 2017-01-10 2020-05-14 Novartis Ag Pharmaceutical combination comprising an ALK inhibitor and a SHP2 inhibitor
KR101999476B1 (ko) * 2018-01-25 2019-07-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lk 저해제에 내성을 획득한 eml4-alk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를 위한 약물 선택의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722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957B1 (ko) Slit-robo 시스템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5607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racture or osteoporosis using slit-robo system
US20180318298A1 (en) Method of Treating Obesity
US20190011457A1 (en) Biomarkers for diagnosing keloid skin or keloid scar, and use thereof
CN112867495A (zh) 包含syt11抑制剂作为活性成分的胃癌治疗组合物
CN101273131A (zh) 胰腺癌相关基因cst6和gabrp
KR20230106506A (ko) Cda 억제제를 포함하는 alk 저해제 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조성물
US9752151B2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metastasis suppression of cancers which includes p34 expression inhibitor or activity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KR20200115883A (ko) 테트라스파닌-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5533A (ko) Gnpa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단용 또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1540319B1 (ko) cyb5R3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94537B1 (ko) 피어스 1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57354B1 (ko) Syk 저해제를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병용투여 조성물
EP428593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malignant breast cancer
KR102239722B1 (ko) 암의 방사선 내성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사선 내성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Guo et al. RhoA stimulates IEC-6 cell proliferation by increasing polyamine-dependent Cdk2 activity
EP3142660B1 (en) Composition comprising 7-hydroxymatairesinol
KR102337860B1 (ko) 슈와크만-보디안-다이아몬드 증후군 유전자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WO2004080287A2 (en) Method of killing cancer cells
KR20230110972A (ko) March6 저해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EP3950946A1 (en) Aptamer specifically binding to cancer stem cells, and use thereof
KR101987970B1 (ko) 아스파라기닐 tRNA 합성효소 (Asparaginyl tRNA synthetase, NRS)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10440A (ko) 악성 유방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EP29796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vary granulosa cell tumors containing glycogen synthase kinase-3 beta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and functional health food composition
KR20220145688A (ko) 대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