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09B1 -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09B1
KR102239309B1 KR1020210010049A KR20210010049A KR102239309B1 KR 102239309 B1 KR102239309 B1 KR 102239309B1 KR 1020210010049 A KR1020210010049 A KR 1020210010049A KR 20210010049 A KR20210010049 A KR 20210010049A KR 102239309 B1 KR102239309 B1 KR 10223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ster batch
cellulose
mulching film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영
이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1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생분해성 수지를 제1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생분해성 수지를 제1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고, 상기 건조시킨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각 원료를 진공 상태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필름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된 필름을 공기 냉각시킨 후 롤러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AGRICULTURE MULCHING FILM}
본 발명은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멀칭필름은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필름으로,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농업용 멀칭필름은 농작물 재배지의 잡초 발생을 억제하거나, 토양의 수분 유지 또는 온도 조절을 위하여 사용되며, 우천 시 빗물에 의해 토양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농작물의 생장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농업용 멀칭필름은 우리나라 농업 생산성 증대에 크게 기여했지만, 사용 후 수거나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어 농촌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해 왔다. 이에,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밭농사나 논농사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다.
베이스 폴리머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틸렌 등의 합성수지류를 사용하고 여기에 생분해성 물질을 첨가제로 혼합한 멀칭필름의 경우, 생분해성 물질의 분해는 가능하더라도 베이스 폴리머 자체의 생분해가 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멀칭필름의 경우, 생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 피복 후 농작물 수확시기에 이르기도 전에 인장강도나 인장신율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멀칭필름은 작업자가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발로 밟는 정도의 힘에도 견디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찢어지게 되어 멀칭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KR 10-0903886 B1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멀칭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원에는 폴리락트산 (PLA)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PBAT)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1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전분,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 유황, 단백질, 산화세륨, 산화란탄, 탄산칼슘, 규조토, 장석, 지방산 금속염, 왁스,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분산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생분해성 수지를 40 내지 70 ℃로 설정된 제1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고, 상기 건조시킨 마스터 배치 성분을 110 내지 300 ℃로 설정된 제2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각 원료를 진공 상태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필름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된 필름을 공기 냉각시킨 후 롤러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산시킨 수용액에 이산화티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콘 오일, 에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고 초음파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얻은 것이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와 마스터 배치 성분은 68 내지 78 중량% 및 22 내지 32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스터 배치 성분은 마스터 배치 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전분과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65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바륨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멀칭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을 이용하여 토양을 멀칭한 다음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모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원에는 폴리락트산 (PLA)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PBAT)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1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전분,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 유황, 단백질, 산화세륨, 산화란탄, 탄산칼슘, 규조토, 장석, 지방산 금속염, 왁스,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분산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생분해성 수지를 40 내지 70 ℃로 설정된 제1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고, 상기 건조시킨 마스터 배치 성분을 110 내지 300 ℃로 설정된 제2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각 원료를 진공 상태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필름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된 필름을 공기 냉각시킨 후 롤러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산시킨 수용액에 이산화티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콘 오일, 에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고 초음파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얻은 것이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와 마스터 배치 성분은 68 내지 78 중량% 및 22 내지 32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용융부는 구간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와 마스터 배치 성분은 73 내지 78 중량% 및 22 내지 37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은 열과 수분에 취약하며 약 60 ℃에서 끓기 시작해 가공 공정에 있어 어려움이 있고 제품의 인장강도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40 내지 70 ℃로 설정된 제1 용융부에서 용융시키고 각 원료를 진공 건조 및 진공 압출하는 공정을 통해 가공성과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닥나무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산시킨 수용액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5 내지 10 wt%의 농도로 분산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는 바인더 성분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에 무기물을 복합 형성한 것으로, 셀룰로오스 섬유 수용액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복합체 형성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7 내지 9 wt%의 농도로 분산시킨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산화티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콘 오일, 에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산시킨 수용액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2 내지 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부로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와 무기물의 복합체 형성을 위해 수용액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산화티탄 2 중량부, 일라이트 2 중량부, 제올라이트 2 중량부, 실리콘 오일 2 중량부, 에틸 셀룰로오스 2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2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멀칭필름의 인장강도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및 옥타메틸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제조하여 첨가함으로써 멀칭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켜 쉽게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락트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스터 배치 성분은 마스터 배치 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전분과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65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여 멀칭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분과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는 1 : 5 내지 7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5 내지 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스터 배치 성분은 마스터 배치 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황 1 내지 2 중량%, 단백질 2 내지 3 중량%, 산화세륨 2 내지 3 중량%, 산화란탄 1 내지 2 중량%, 탄산칼슘 3 내지 4 중량%, 규조토 4 내지 6 중량%, 장석 4 내지 6 중량%, 지방산 금속염 1 내지 3 중량%, 왁스 1 내지 3 중량%,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6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1 중량% 및 소포제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락트산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a) 생분해성 수지와 전분,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 유황, 단백질, 산화세륨, 산화란탄, 탄산칼슘, 규조토, 장석, 지방산 금속염, 왁스,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분산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b) 마스터 배치 성분으로부터 멀칭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생분해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농작물 생육 및 토질 개량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경작물의 질병을 억제하고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멀칭필름은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을 가져 경작 시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스터 배치 성분은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분은 감자 전분 및 옥수수 전분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백질은 카제인 및 콩단백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프로피온산, 카프릴산, 카프릭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지방산 금속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바륨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밀납 및 칸데릴라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암모늄염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원에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이 개시된다.
상기 멀칭필름은 모종이나 파종 전에 밭이나 논에 고랑을 파서 토양을 덮은 다음, 일정 비율로 구멍을 파고 상기 구멍에 모종 또는 파종하여 농작물을 경작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은 높은 유연성 및 강도를 가져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등 주변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우수한 멀칭 기능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멀칭필름은 자연상태에서 45 내지 180일 이내에 95% 내지 100% 생분해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멀칭필름은 일정한 온도 (약 58 ℃)와 습도 (약 70%) 조건에서 퇴비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분말상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8 wt%의 농도로 분산시켜 셀룰로오스 섬유 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수용액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산화티탄 2 중량부, 일라이트 2 중량부, 제올라이트 2 중량부, 디메치콘 2 중량부, 에틸 셀룰로오스 2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2 중량부를 투입하고, 초음파 분산시켰다. 이후, 원심분리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수득하고, 하기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폴리락트산과 상기 폴리락트산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5 중량부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생분해 수지를 제1 저장부에 투입한 후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또한, 옥수수 전분 12 중량%, 상기 제조한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 60 중량%, 유황 1 중량%, 콩단백 2 중량%, 산화세륨 2 중량%, 산화란탄 1 중량%, 탄산칼슘 3 중량%, 규조토 4 중량%, 장석 4 중량%,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중량%, 파라핀 왁스 1 중량%, 안료 1 중량%,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6 중량%, 암모늄염 0.5 중량% 및 소포제 0.5 중량%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저장부에 투입한 후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시킨 생분해성 수지를 40 내지 70 ℃로 설정된 제1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고, 상기 건조시킨 마스터 배치 성분을 110 내지 300 ℃로 설정된 제2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켰다. 용융된 각 원료를 진공 상태의 압출기에 투입하고 스크류로 이동시키면서 혼합하고 필름을 배출하였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와 마스터 배치 성분은 75 중량% 및 25 중량%로 혼합하였다. 배출된 필름은 공기 냉각시킨 다음, 롤러에 통과시켜 규격에 맞게 두께 및 길이를 조정하였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가 아닌 분말상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멀칭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멀칭필름의 인장강도, 인장신율 및 생분해율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종방향 (MD) 및 횡방향 (TD)에서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을 JIS K6251-1에 준거하여 시료 각각 3개를 시험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2) 생분해율
시료 각각 3개를 대상으로 KS M3100-1 (2003)에 의해 180일간 측정한 생분해도 값의 표준 물질과의 비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생분해율 (%) = (시료의 생분해도) / (표준 물질의 생분해도) × 100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이용한 멀칭필름은 96%의 생분해율을 나타내었고, 446%의 종방향 인장신율과 467%의 횡방향 인장신율을 나타내어 우수한 인장신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이용한 멀칭필름은 221.5 kgf/cm2의 종방향 인장강도와 207.5 kgf/cm2의 횡방향 인장강도를 나타내어 생분해성 수지 기반 멀칭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순히 분말상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멀칭필름에 비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약 8% 이상의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이용하여 멀칭필름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폴리락트산 (PLA)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PBAT)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를 제1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전분,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 유황, 단백질, 산화세륨, 산화란탄, 탄산칼슘, 규조토, 장석, 지방산 금속염, 왁스,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분산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성분을 제2 저장부에 투입하여 진공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생분해성 수지를 40 내지 70 ℃로 설정된 제1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고, 상기 건조시킨 마스터 배치 성분을 110 내지 300 ℃로 설정된 제2 용융부에서 혼합 및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각 원료를 진공 상태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필름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된 필름을 공기 냉각시킨 후 롤러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분산시킨 수용액에 이산화티탄,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실리콘 오일, 에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고 초음파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얻은 것이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와 마스터 배치 성분은 68 내지 78 중량% 및 22 내지 32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배치 성분은 마스터 배치 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전분과 셀룰로오스-무기물 복합체를 65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바륨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010049A 2021-01-25 2021-01-25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KR10223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49A KR102239309B1 (ko) 2021-01-25 2021-01-25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49A KR102239309B1 (ko) 2021-01-25 2021-01-25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09B1 true KR102239309B1 (ko) 2021-04-12

Family

ID=7543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049A KR102239309B1 (ko) 2021-01-25 2021-01-25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043A (zh) * 2021-11-24 2022-01-07 江苏科技大学 一种pla/pbat基弹性体共混物的制备方法
CN114103355A (zh) * 2021-11-16 2022-03-01 阙春桃 一种高强度可降解农用地膜及其制备方法
WO2023244793A1 (en) * 2022-06-17 2023-12-21 Multi Packaging Solutions, Inc. Compostable ta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675A (ko) * 2003-03-28 2005-12-2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폴리락트산이축 연신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0903886B1 (ko) 2008-12-16 2009-06-24 이상한 폴리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20090078170A (ko) * 2008-01-14 2009-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875603B1 (ko) * 2017-09-19 2018-07-06 양태권 토양개량 및 비료 기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KR20200075252A (ko) * 2018-12-18 2020-06-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폴리락틱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675A (ko) * 2003-03-28 2005-12-2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폴리락트산이축 연신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형품
KR20090078170A (ko) * 2008-01-14 2009-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0903886B1 (ko) 2008-12-16 2009-06-24 이상한 폴리유산을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1875603B1 (ko) * 2017-09-19 2018-07-06 양태권 토양개량 및 비료 기능을 가지는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KR20200075252A (ko) * 2018-12-18 2020-06-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폴리락틱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3355A (zh) * 2021-11-16 2022-03-01 阙春桃 一种高强度可降解农用地膜及其制备方法
CN113897043A (zh) * 2021-11-24 2022-01-07 江苏科技大学 一种pla/pbat基弹性体共混物的制备方法
CN113897043B (zh) * 2021-11-24 2023-02-28 江苏科技大学 一种pla/pbat基弹性体共混物的制备方法
WO2023244793A1 (en) * 2022-06-17 2023-12-21 Multi Packaging Solutions, Inc. Compostable ta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309B1 (ko) 생분해 농업용 멀칭필름의 제조방법
DE69724950T2 (de) Bioabbaubarer polyester und natürliche polymer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gestellte filme
AU629411B2 (en) Biodegradable controlled release matrices
KR100974639B1 (ko) 농업용 필름 및 화분 제조를 위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농업용 필름 및 화분과 그 제조방법
EP1109858A1 (en) Biodegradable compositions comprising starch and polysaccharide esters
WO2012026653A1 (en) Biodegradable, photodegradable bio film containing rice hull and rice bra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3166232A (ja) 生分解性のカバー用フイルムとその製法
JPH04146952A (ja) 微生物分解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JP3912023B2 (ja) 生分解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64542A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tion,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use thereof
Râpă et al. Biodegradable alternative to plastics for agriculture application
KR102176955B1 (ko)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멀칭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903597B (zh) 抑制杂草的全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Oliveira et al. Influence of carnauba wax on films of poly (butylene adipate co-terephthalate) and sugarcane residue for application in soil cover (mulching)
KR102599541B1 (ko) 작물재배후 토양조건에서 생분해성이 향상된 멀칭필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한 멀칭필름
DE69818635T2 (de) Kunststoff-Folie
KR20210020659A (ko) 생분해성 방출 조절 비료,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8821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shaped body, and film
JP2001348498A (ja) 改良されたマルチングフィルム用組成物及びマルチングフィルム
JP2013172678A (ja) 生分解性マルチフィルム
KR102142972B1 (ko) 무기미량원소비료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미량원소비료 방출조절 생분해성 멀칭필름
SK279572B6 (sk) Biologicky odbúrateľný materiál, spôsob jeho výrob
BR112015019157B1 (pt) mulch biodegradável para aplicações agrícolas
CA2027034A1 (en) Biologically degradable cover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N114292424A (zh) 纳米改性的高阻隔生物降解地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