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145B1 -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 Google Patents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145B1
KR102239145B1 KR1020200156598A KR20200156598A KR102239145B1 KR 102239145 B1 KR102239145 B1 KR 102239145B1 KR 1020200156598 A KR1020200156598 A KR 1020200156598A KR 20200156598 A KR20200156598 A KR 20200156598A KR 102239145 B1 KR102239145 B1 KR 10223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ody
link
uni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특장
Priority to KR102020015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60P3/025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the object being a theater, cinema, auditorium or grand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는, 윙바디 특장차의 운행을 담당하는 운전주행부; 상기 운전주행부에 적재되며, 윙바디가 양측 상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윙바디 컨테이너부;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일측에서 확장되는 제 1 측면확장부; 상기 제 1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1 확장수단;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타측에서 확장되는 제 2 측면확장부; 상기 제 2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2 확장수단;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가 확장될 경우 각 하부에 구비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 1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고, 상기 제 2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며,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확장된 내측공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각종 공연 또는 다양한 행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WING BODY SPECIAL PURPOSE VEHICLE WITH EXPANDED SPACE}
본 발명(Disclosure)은,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윙바디 컨테이너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공간이 확장됨으로써, 각종 공연 또는 다양한 행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화물차를 이용한 물류 이동의 경우 물류이송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화물차는 적재함이 개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근래에는 물품의 고급화와 정밀화, 고부가가치화 되면서 화물의 이송 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제품의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과 운반 중 도난의 문제점, 외부환경에 따른 제품의 손상, 이송중 낙하방지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재함을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덮개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윙바디(wing body)가 제공되고 있으며, 윙바디는 커다란 새의 날개처럼 측면문을 열어 적재, 하역하는 특장차로서, 뛰어난 작업효율, 간편한 조작, 월등한 적재능력 등을 갖춘 특장차이다.
이러한 윙바디는 크게 화물차의 제작과정에서 적재함을 대신하여 윙바디를 갖도록 하거나 또는 기출고된 화물차의 적재함에 간단히 탈부착하여 사용토록 한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윙바디 특장차는 각종 공연(또는 다양한 행사)을 위한 간이 무대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공연을 위한 플로어공간, 음향장비 및 조명장비 설치공간 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지만, 윙바디 특장차에 마련된 원래의 화물적재공간은 이러한 공연을 진행하기에는 그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윙바디 특장차의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5215호(2005.04.15.등록)
본 발명(Disclosure)은, 윙바디 컨테이너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공간이 확장됨으로써, 각종 공연 또는 다양한 행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Disclosure)은, 내측공간을 확대하고자 할 경우 윙바디가 외측 상방으로 회동되고, 링크 구동을 통해 측면 벽체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외측으로 확장되며, 바닥체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이 확대될 경우 유압구동 방식의 아웃트리거를 통해 확대된 내측공간을 갖는 윙바디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확대된 윙바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는, 윙바디 특장차의 운행을 담당하는 운전주행부; 상기 운전주행부에 적재되며, 윙바디가 양측 상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윙바디 컨테이너부;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일측에서 확장되는 제 1 측면확장부; 상기 제 1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1 확장수단;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타측에서 확장되는 제 2 측면확장부; 상기 제 2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2 확장수단;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가 확장될 경우 각 하부에 구비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 1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고, 상기 제 2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며,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확장된 내측공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는, 각각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에 구비된 바닥체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체프레임;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연장에 따라 연장되어 그 상부에 지지되는 측면바닥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연장에 따라 돌출되어 개방된 상기 윙바디를 지지하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바닥체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전후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는, 각각 상기 바닥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닥체프레임을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링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2 측면확장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1 확장수단 및 제 2 확장수단은, 각각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전단링크절의 타단에 제 1 중앙링크부에서 제 1 후단링크절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기준링크절;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전단링크절의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제 2 전단링크절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단링크절의 타단이 제 2 중앙링크부에서 제 2 후단링크절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후단링크절의 타단이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기준링크절; 상기 제 1 중앙링크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링크절; 및 일단이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중앙링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절;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1 기준링크절은, 상기 제 2 기준링크절과 결합되되, 상기 제 1 전단링크절 및 제 2 전단링크절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되고, 상기 제 1 후단링크절 및 제 2 후단링크절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 1 전단링크절은, 상기 제 2 전단링크절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전단링크절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후단링크절은, 상기 제 1 후단링크절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 구동방식으로 상하 이동되는 지지대를 통해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트리거; 및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수평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윙바디 특장차와 연결된 컨트롤러로 구비되거나, 혹은 상기 윙바디 특장차의 컨트롤러와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는, 후면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향 회동되어 개방되는 뒷문을 구비하고, 상기 후면에 상기 뒷문의 개방 후에 하향 회동되는 계단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에서,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는, 측면에 지붕내장형 사다리를 구비하고, 상부에 접이식 난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윙바디 컨테이너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공간이 확장됨으로써, 각종 공연 또는 다양한 행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공간을 확대하고자 할 경우 윙바디가 외측 상방으로 회동되고, 링크 구동을 통해 측면 벽체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외측으로 확장되며, 바닥체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이 확대될 경우 유압구동 식의 아웃트리거를 통해 확대된 내측공간을 갖는 윙바디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확대된 윙바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내측공간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상세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내측공간이 확대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의 상세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는 운전주행부(100), 윙바디 컨테이너부(200), 제 1 측면확장부(300), 제 1 확장수단(400), 제 2 측면확장부(500), 제 2 확장수단(600), 지지부(700), 제어부(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주행부(100)는 윙바디 특장차의 운행을 담당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엔진, 운전석 등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바퀴(a) 등이 구비되며, 후방에는 윙바디 컨테이너부(200)가 적재되어 고정되는 적재플레이트(b) 등이 구비됨으로써, 윙바디 특장차를 원하는 위치까지 운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전주행부(100)에서는 안전 운행을 위한 다양한 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전면 상부에 끝단표시등(c)이 구비되고, 전면 측부에 전조등(d, 변환빔), 차폭등(e), 전조등(f, 주행빔), 방향지시등(g), 안개등(h) 등이 구비되며, 측면에 보조방향지시등(i), 옆면표시등(j) 등이 구비되고, 후면 상부에 끝단표시등(k) 등이 구비되며, 후면 측부에 방향지시등(l), 안개등(m), 후퇴등(n), 후부반사기(o), 제동등(p), 후미등(q), 후부안전판(r)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운행주행부(100)의 하부에는 발전기(s), 실외기(t) 등 각종 전자장비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전주행부(100)는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윙바디 컨테이너부(200)는 운전주행부(100)에 적재되며, 윙바디(220)가 양측 상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것으로, 컨테이너(210), 윙바디(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테이너(210)는 전면과 상부면이 막힌 함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사각프레임(211) 상에 바닥체(212), 전면벽체(213), 상부벽체(214) 등이 구비될 수 있고, 내측공간에는 중앙링크부에 리프트형테이블(215)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전자장비(예를 들면, 음향기기(216) 등)와 방송데스크(21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210)의 측면에는 내측공간을 개방시키는 윙바디(220)가 구비될 수 있고, 후면에는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상향 회동되어 개방되는 뒷문(2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후면에 뒷문(230)의 개방 후에 하향 회동되는 계단(2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뒷문(230) 및 계단(240)은 유압 구동방식으로 상향 회동 또는 하향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210)에는 측면(즉, 측면 상부)에 지붕내장형 사다리(250)를 구비할 수 있고, 상부에는 접이식 난간(250), 환기팬(2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윙바디(220)는 컨테이너(2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상향 회동되어 내측공간을 개방시키는 것으로, 일측면에 일측면회동수단(221)을 통해 상향 회동되어 내측공간이 개방되는 일측면윙바디(222)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타측면회동수단(223)을 통해 상향 회동되어 내측공간이 개방되는 타측면윙바디(2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측면확장부(300)는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일측(즉, 행사 시 전면부)에서 확장되는 것으로, 제 1 바닥체프레임(310), 제 1 측면바닥체(320), 제 1 측면프레임(330), 제 1 전후단플레이트(340), 제 1 링크수단(360), 제 1 프레임지지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은 윙바디 컨테이너부(210)에 구비된 바닥체(212)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1 측면바닥체(320)는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연장에 따라 연장되어 그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바닥체프레임(310)과 제 1 측면바닥체(320)는 이중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펼쳐져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 1 측면바닥체(3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각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측면프레임(330)은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연장에 따라 돌출되어 개방된 윙바디(220)를 지지할 수 있고, 제 1 전후단플레이트(340)는 제 1 바닥체프레임(310) 및 제 1 측면프레임(330)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측면프레임(330) 상에는 비상출입문(330a)이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바닥체프레임(310)에는 제 1 링크수단(36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제 1 링크수단(360)은 제 1 바닥체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을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은 제 1-1 프레임링크절(311)과 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1-2 프레임링크절(312)을 포함하고, 제 1-1 프레임링크절(311)의 일단은 컨테이너(210)의 사각프레임(211) 하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1 프레임링크절(311)의 타단은 제 1-2 프레임링크절(312)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수단(360)은 수축 또는 신장되는 유압 구동방식의 제 1-1 링크절(361) 및 제 1-2 링크절(3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1 링크절(361)의 일단은 제 1-1 프레임링크절(311)의 중단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1 링크절(361)의 타단은 제 1-2 링크절(36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2 링크절(362)의 일단이 제 1-2 프레임링크절(312)의 중단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1 링크절(361) 및 제 1-2 링크절(362)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신장됨(펼쳐짐)으로써,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제 1-1 프레임링크절(311)과 제 1-2 프레임링크절(312)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컨테이너(21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은 전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제 1 바닥체프레임(310)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전후프레임(도시 생략됨)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후프레임의 하부로 제 1 프레임지지대(370)이 기 설정된 간격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레임지지대(370)는 적어도 2단의 프레임 결합을 통해 상하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기어, 레버 등을 이용한 가변고정수단(371)을 통해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면에 하부면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지지대(3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의 내부인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수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다가 제 1 바닥체프레임(310)이 펼쳐지게 될 경우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확장수단(400)은 제 1 측면확장부(300)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1 측면확장부(300)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윙바디 컨테이너(200)의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1 기준링크절(410), 제 1-2 기준링크절(420), 제 1-1 지지링크절(430), 제 1-2 지지링크절(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측면확장부(3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 1 확장수단(400)의 구성부를 설명하면, 제 1-1 기준링크절(410)은 윙바디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1 전단링크절(411)의 타단에 제 1-1 중앙링크부(412)에서 제 1-1 후단링크절(41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 1-1 후단링크절(413)의 타단이 제 1 측면프레임(320)에 제 1-2 중앙링크부(42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기준링크절(420)은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제 1-1 중앙링크부(41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 1-1 전단링크절(411)의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제 1-2 전단링크절(421)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1-2 전단링크절(421)의 타단이 제 1-2 중앙링크부(422)에서 제 1-2 후단링크절(42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 1-2 후단링크절(423)의 타단이 제 1-1 후단링크절(413)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제 1 측면프레임(32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1 지지링크절(430)은 제 1-1 중앙링크부(41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측면프레임(3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2 지지링크절(440)은 일단이 윙바디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1-2 중앙링크부(4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1 기준링크절(410)은 제 1-2 기준링크절(420)과 결합되되, 제 1-1 전단링크절(411) 및 제 1-2 전단링크절(421)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되고, 제 1-1 후단링크절(413) 및 제 1-2 후단링크절(423)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1 전단링크절(411)은 제 1-2 전단링크절(421)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제 1-2 전단링크절(421)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될 수 있고, 제 1-2 후단링크절(423)은 제 1-1 후단링크절(413)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제 1-1 후단링크절(413)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확장수단(400)에 구비된 제 1-2 전단링크절(421)을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될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각 링크를 기준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짐으로써,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1 측면확장부(300)를 안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제 2 측면확장부(500)는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타측(즉, 행사 시 후면부)에서 확장되는 것으로, 제 2 바닥체프레임(510), 제 2 측면바닥체(520), 제 2 측면프레임(530), 제 2 전후단플레이트(540), 복수의 제 2 지지프레임(550), 제 2 링크수단(560), 제 2 프레임지지대(5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은 윙바디 컨테이너부(210)에 구비된 바닥체(212)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측면바닥체(520)는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연장에 따라 연장되어 그 상부에 지지될 수 있고, 제 2 측면프레임(530)은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연장에 따라 돌출되어 개방된 윙바디(22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바닥체프레임(510)과 제 2 측면바닥체(520)는 이중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펼쳐져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 2 측면바닥체(5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각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제 2 측면프레임(530) 상에는 강화유리 등으로 제조되어 전면에 광고, 안내 등을 위한 영상을 출력하는 LCD 전광판(530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전후단플레이트(540)는 제 2 바닥체프레임(510) 및 제 2 측면프레임(530)에 결합되어 돌출될 수 있고, 복수의 제 2 지지프레임(550)은 제 2 측면프레임(530)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측면바닥체(520)에는 제 2 링크수단(56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제 2 링크수단(560)은 제 2 바닥체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을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은 제 2-1 프레임링크절(511)과 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2-2 프레임링크절(512)을 포함하고, 제 2-1 프레임링크절(511)의 일단은 컨테이너(210)의 사각프레임(211) 하부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1 프레임링크절(511)의 타단은 제 2-2 프레임링크절(512)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크수단(560)은 수축 또는 신장되는 유압 구동방식의 제 2-1 링크절(561) 및 제 2-2 링크절(56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1 링크절(561)의 일단은 제 2-1 프레임링크절(511)의 중단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1 링크절(561)의 타단은 제 2-2 링크절(56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2 링크절(562)의 일단이 제 2-2 프레임링크절(512)의 중단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1 링크절(561) 및 제 2-2 링크절(562)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신장됨(펼쳐짐)으로써,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제 2-1 프레임링크절(511)과 제 2-2 프레임링크절(512)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컨테이너(21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은 전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링크결합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전후프레임(도시 생략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후프레임의 하부로 제 2 프레임지지대(570)이 기 설정된 간격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지지대(570)는 적어도 2단의 프레임 결합을 통해 상하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기어, 레버 등을 이용한 가변고정수단(571)을 통해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지면에 하부면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레임지지대(5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의 내부인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수납되는 방식으로 구비되다가 제 2 바닥체프레임(510)이 펼쳐지게 될 경우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확장수단(600)은 제 2 측면확장부(500)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2 측면확장부(500)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윙바디 컨테이너(200)의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1 기준링크절(610), 제 2-2 기준링크절(620), 제 2-1 지지링크절(630), 제 2-2 지지링크절(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측면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 2 확장수단(600)의 구성부를 설명하면, 제 2-1 기준링크절(610)은 윙바디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1 전단링크절(611)의 타단에 제 2-1 중앙링크부(612)에서 제 2-1 후단링크절(61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며, 제 2-1 후단링크절(613)의 타단이 제 2 측면프레임(52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2 기준링크절(620)은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 2-1 전단링크절(611)의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제 2-2 전단링크절(621)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2-2 전단링크절(621)의 타단이 제 2-2 중앙링크부(622)에서 제 2-2 후단링크절(623)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 2-2 후단링크절(623)의 타단이 제 2-1 후단링크절(613)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제 2 측면프레임(52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2-1 지지링크절(630)은 제 2-1 중앙링크부(61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측면프레임(52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2 지지링크절(640)은 일단이 윙바디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내부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제 2-2 중앙링크부(6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1 기준링크절(610)은 제 2-2 기준링크절(620)과 결합되되, 제 2-1 전단링크절(611) 및 제 2-2 전단링크절(621)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되고, 제 2-1 후단링크절(613) 및 제 2-2 후단링크절(623)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1 전단링크절(611)은 제 2-2 전단링크절(621)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제 2-2 전단링크절(621)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될 수 있고, 제 2-2 후단링크절(623)은 제 2-1 후단링크절(613)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제 2-1 후단링크절(613)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확장수단(600)에 구비된 제 2-2 전단링크절(621)을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될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각 링크를 기준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짐으로써,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2 측면확장부(500)를 안정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지지부(700)는 제 1 측면확장부(300) 및 제 2 측면확장부(500)가 확장될 경우 각 하부에 구비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지면에 지지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트리거(710), 수평검출센서(7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웃트리거(710)는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하부에 적어도 4개가 구비되며,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711)에 결합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상하 이동되는 지지대(712)를 통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아웃트리거(710)는 제어부(800)의 수평상태 제어에 따라 각각의 지지대(712)를 원하는 길이만큼 수직프레임(7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삽입 또는 돌출시킴으로써, 윙바디 컨테이너부(200), 제 1 측면확장부(300) 및 제 2 측면확장부(5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검출센서(720)는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윙바디 컨테이너부(200), 제 1 측면확장부(300) 및 제 2 측면확장부(500)의 수평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기울기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자이로센서를 통해 기울기 정보를 획득하고, 자이로센서의 드리프트에 의한 누적오차를 기울기센서의 정보를 적분하여 보정함으로써, 정밀한 수평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검출센서(720)는 도 13에서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기 설정된 간격 및 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수평상태를 더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8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윙바디 컨테이너부(200)를 제어하여 윙바디(220)를 양측 상부로 회동하여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제 1 확장수단(400)을 제어하여 제 1 측면확장부(300)를 확장시키고, 제 2 확장수단(600)을 제어하여 제 2 측면확장부(500)를 확장시키며,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에 구비된 컨테이너(210)의 확장된 내측공간을 지지하도록 지지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800)에서는 수평검출센서(720)를 통해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아웃트리거(710)에 구비된 지지대(712)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검출센서(720)를 통해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수평상태를 판단하고,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 지지부(700)에 구비된 아웃트리거(71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하 이동(즉, 각각의 아웃트리거(7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을 제어함으로써, 윙바디 컨테이너부(20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윙바디 특장차와 연결된 컨트롤러로 구비되거나, 윙바디 특장차의 컨트롤러와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 또는 무선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윙바디 특장차의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윙바디 컨테이너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공간이 확장됨으로써, 각종 공연 또는 다양한 행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공간을 확대하고자 할 경우 윙바디가 외측 상방으로 회동되고, 링크 구동을 통해 측면 벽체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외측으로 확장되며, 바닥체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측공간이 확대될 경우 유압구동 방식의 아웃트리거를 통해 확대된 내측공간을 갖는 윙바디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확대된 윙바디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윙바디 특장차의 운행을 담당하는 운전주행부;
    상기 운전주행부에 적재되며, 윙바디가 양측 상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윙바디 컨테이너부;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일측에서 확장되는 제 1 측면확장부;
    상기 제 1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1 확장수단;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타측에서 확장되는 제 2 측면확장부;
    상기 제 2 측면확장부에 구비되어 링크 구동방식으로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제 2 확장수단;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가 확장될 경우 각 하부에 구비되어 유압 구동방식으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 1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고, 상기 제 2 확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측면확장부를 확장시키며,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확장된 내측공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는, 각각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에 구비된 바닥체에서 링크 구동방식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바닥체프레임;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연장에 따라 연장되어 그 상부에 지지되는 측면바닥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체프레임의 연장에 따라 돌출되어 개방된 상기 윙바디를 지지하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바닥체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전후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는, 각각
    상기 바닥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닥체프레임을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링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확장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장수단 및 제 2 확장수단은, 각각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전후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전단링크절의 타단에 제 1 중앙링크부에서 제 1 후단링크절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기준링크절;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상측에 일단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전단링크절의 일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되는 제 2 전단링크절이 수평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전단링크절의 타단이 제 2 중앙링크부에서 제 2 후단링크절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후단링크절의 타단이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기준링크절;
    상기 제 1 중앙링크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지지링크절; 및
    일단이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의 내부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중앙링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절;을 포함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링크절은, 상기 제 2 기준링크절과 결합되되, 상기 제 1 전단링크절 및 제 2 전단링크절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되고, 상기 제 1 후단링크절 및 제 2 후단링크절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링크결합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단링크절은, 상기 제 2 전단링크절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전단링크절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후단링크절은, 상기 제 1 후단링크절과 교차하는 위치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후단링크절의 외측에 구비되는 두 개의 링크절로 구비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 구동방식으로 상하 이동되는 지지대를 통해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트리거; 및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 제 1 측면확장부 및 제 2 측면확장부의 수평상태를 검출하는 수평검출센서;를 포함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아웃트리거에 구비된 상기 지지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윙바디 특장차와 연결된 컨트롤러로 구비되거나, 혹은 상기 윙바디 특장차의 컨트롤러와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단말기로 구비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는, 후면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향 회동되어 개방되는 뒷문을 구비하고, 상기 후면에 상기 뒷문의 개방 후에 하향 회동되는 계단을 구비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윙바디 컨테이너부는, 측면에 지붕내장형 사다리를 구비하고, 상부에 접이식 난간을 구비하는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0200156598A 2020-11-20 2020-11-20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23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98A KR102239145B1 (ko) 2020-11-20 2020-11-20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598A KR102239145B1 (ko) 2020-11-20 2020-11-20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145B1 true KR102239145B1 (ko) 2021-04-12

Family

ID=7544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598A KR102239145B1 (ko) 2020-11-20 2020-11-20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15B1 (ko) 2004-01-26 2005-04-25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KR20110064790A (ko) * 2009-12-09 2011-06-15 김한주 캠핑카용 실내공간 가변기구
KR101956229B1 (ko) * 2018-12-04 2019-03-08 이승욱 캠핑카의 활동공간 가변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215B1 (ko) 2004-01-26 2005-04-25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KR20110064790A (ko) * 2009-12-09 2011-06-15 김한주 캠핑카용 실내공간 가변기구
KR101956229B1 (ko) * 2018-12-04 2019-03-08 이승욱 캠핑카의 활동공간 가변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1436B1 (en) Safety trailer
US8678941B2 (en) Rapidly deployable primary stage unit
KR101213713B1 (ko) 고소작업차의 붐대 제어장치
CN108571200B (zh) 一种立体泊车装置及泊车方法
KR102239145B1 (ko)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EP0431969B1 (en) Mobile accommodation unit
KR102245063B1 (ko)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1891617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KR101580064B1 (ko) 높이조절 가능한 경광등 장착구조
US2908946A (en) Structure providing for vertically arranged parking areas
JP2003291805A (ja) 鉄道車両の非常用折り畳み式階段
CN103738438B (zh) 信息化移动警务平台
US2778694A (en) Mobile swinging lift platform equipment
CN101554969B (zh) 电梯
US11299292B2 (en) Deployable landing pads for vertical landing and takeoff vehicle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JPH05155285A (ja) 車載用組立て構造体
KR200482179Y1 (ko) 사인보드 트레일러
CA3209088A1 (en) Retractable access means with collapsible handrail assembly
JPH10330094A (ja) 高所作業車
JP2004115179A (ja) 自走式ユニットクレ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架設方法
KR102022293B1 (ko) 탑승형 다족 로봇
JP3269755B2 (ja) 高所作業車
KR102147264B1 (ko)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CN210194351U (zh) 空中列车轨道及空中列车
JP3205377B2 (ja) 移動式シェル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