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215B1 -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215B1
KR100485215B1 KR1020040004693A KR20040004693A KR100485215B1 KR 100485215 B1 KR100485215 B1 KR 100485215B1 KR 1020040004693 A KR1020040004693 A KR 1020040004693A KR 20040004693 A KR20040004693 A KR 20040004693A KR 100485215 B1 KR100485215 B1 KR 10048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ody
control unit
fixed
spring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풍
Original Assignee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2Dowels;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물차의 전면벽체 및 후면벽체의 상단부에 장력조절부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관통홀 내에 삽입된 부시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에 삽입홀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에 제1연결홀과 제2연결홀이 형성된 링크암, 상기 링크암의 제1연결홀과 핀을 매개로 일측이 힌지고정되는 제1연결편, 상기 제1연결편의 타측과 핀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볼트,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스프링케이스, 상기 스프링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을 사이에 두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브라켓, 상기 장력조절브라켓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드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링크암의 제2연결홀은 핀을 매개로 제2연결편의 일측과 힌지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편의 타측은 핀을 매개로 윙바디에 고정된 장착브라켓과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벽체의 장력조절부를 조절하도록 된 작동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윙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Apparatus for Operating Wing-Body of freight Car}
본 발명은 화물차의 윙바디를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윙바디를 개폐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에는 다량의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적재하기 위해 윙바디(Wing-Body)라고 불리우는 옆면의 덮개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윙바디는 천정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날개처럼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통상 상기 윙바디를 개폐하는 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 및 유압펌프 등의 유압시스템을 수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구성품으로 인해 제작단가가 상승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형 화물차에 설치할 경우에는 윙바디 구동장치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장착이 어렵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윙바디 구동장치를 제공하되, 이 윙바디 구동장치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윙바디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차의 후방에 구비된 덮개인 윙바디를 개폐시키도록 된 윙바디 구동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화물차의 전면벽체 및 후면벽체의 상단부에 장력조절부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관통홀 내에 삽입된 부시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에 삽입홀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에 제1연결홀과 제2연결홀이 형성된 링크암, 상기 링크암의 제1연결홀과 핀을 매개로 일측이 힌지고정되는 제1연결편, 상기 제1연결편의 타측과 핀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볼트,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스프링케이스, 상기 스프링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을 사이에 두고 일측이 상기 몸체에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브라켓, 상기 장력조절브라켓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드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링크암의 제2연결홀은 핀을 매개로 제2연결편의 일측과 힌지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편의 타측은 핀을 매개로 윙바디에 고정된 장착브라켓과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벽체의 장력조절부를 조절하도록 된 작동수단이 구비되되, 이 작동수단은 다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의 상부는 상기 장력조절부의 고정축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작동레버가 구비된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감속모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의 고정축이 연결되고, 상기 감속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지인 장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구동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대응도로서 윙바디가 열려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구동장치에 의해 윙바디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화물차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화물차의 후방에 구비된 덮개인 윙바디를 개폐시키도록 된 윙바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200)의 전면벽체(210) 및 후면벽체(211)의 상단부에 장력조절부(100)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부(100)는, 양측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전방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관통홀(11) 내에 삽입된 부시(13)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20)에 삽입홀(31)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1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에 제1연결홀(32)과 제2연결홀(33)이 형성된 링크암(30), 상기 링크암(30)의 제1연결홀(32)과 핀(45)을 매개로 일측이 힌지고정되는 제1연결편(40), 상기 제1연결편(40)의 타측과 핀(46)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볼트(50),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2)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스프링케이스(60), 상기 스프링케이스(60)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81)을 사이에 두고 일측이 상기 몸체(10)에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70), 상기 스프링(70)의 타측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브라켓(80), 상기 장력조절브라켓(80)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드볼트(50)에 체결되는 너트(9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링크암(30)의 제2연결홀(33)은 핀(115)을 매개로 제2연결편(120)의 일측과 힌지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편(120)의 타측은 핀(116)을 매개로 윙바디(220)에 고정된 장착브라켓(110)과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벽체(210)의 장력조절부(100)를 조절하도록 된 작동수단이 구비되되, 이 작동수단은 다수개의 링크(130a)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130a)의 상부는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작동레버(1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20)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70)은 코일스프링이며, 그 장력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여 사용하기에 알맞는 장력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100)는 전면벽체(210) 및 후면벽체(211)에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부(100)를 조절하는 작동수단은 전면벽체(210)쪽에만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후면벽체(211)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작동수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링크(130a)를 이용하여 상기 장력조절부(100)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링크(130a)의 상부는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작동레버(1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물차(200)의 윙바디(22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소정의 힘으로 상기 작동레버(140)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링크(130a)가 힌지점(r)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축(20)의 회전에 따라 이 고정축(20)과 연결된 상기 링크암(30)이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윙바디(220)를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링크암(30)과 제2연결편(120)을 매개로 연결된 로드볼트(50)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스프링(70)을 구속하고 있던 장력조절브라켓(80)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윙바디(220)는 더 이상의 외력이 필요없이 상기 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천천히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상기 화물차(200)의 윙바디(220)를 밀폐시킬 경우, 작업자가 상기 작동레버(1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전술한 윙바디(220) 개방 동작의 역순으로 윙바디(220)가 닫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윙바디(2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스프링(70)이 탄성압축되면서 상기 윙바디(220)가 천천히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70)의 탄성력과 윙바디(220)의 하중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균형을 깨뜨릴 정도의 소정 하중(2~3kgf) 이상의 작동하중(Operating Load)이 작용될 경우 상기 윙바디(220)를 손쉽게 계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은 감속모터(130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감속모터(130b)의 회전부와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이 연결되고, 상기 감속모터(130b)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안됨)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화물차(2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감속모터(130b)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축(20)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윙바디(22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은 유체실린더(130c)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유체실린더(130c) 로드의 선단과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이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유체실린더(130c)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안됨)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화물차(20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유체실린더(130c)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축(20)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윙바디(22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의 설치위치의 작업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차실내 또는 전면벽체(210) 등 다양하게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은 로프(130d)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로프(130d)의 일단과 상기 윙바디(220)의 일측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윙바디(220)를 일정높이 개방하게 되면 전술한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윙바디(220)가 개방되는 한편, 개방된 상기 윙바디(220)를 폐쇄할 경우에는 상기 로프(130d)를 잡아 당겨 윙바디(220)를 손쉽게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로프(130d)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20)의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윙바디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윙바디 구동장치의 메카니즘이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여 수리 및 고장의 우려가 적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지인 장력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구동장치가 설치된 화물차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대응도로서, 윙바디가 열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 구동장치에 의해 윙바디가 열려진 모습을 도시한 화물차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1 : 관통홀
12 : 개구부 13 : 보스
20 : 고정축 30 : 링크암
31 : 삽입홀 32 : 제1연결홀
33 : 제2연결홀 40 : 제1연결편
45,46,115,116 : 핀 50 : 로드볼트
60 : 스프링케이스 70 : 스프링
80 : 장력조절브라켓 81 : 패킹
90 : 너트 100 : 장력조절부
110 : 장착브라켓 120 : 제2연결편
130a : 링크 130b : 감속모터
130c : 유체실린더 130d : 로프
140 : 작동레버 150 : 연결부재
200 : 화물차 210 : 전면벽체
211 : 후면벽체 220 : 윙바디

Claims (5)

  1. 화물차의 후방에 구비된 덮개인 윙바디를 개폐시키도록 된 윙바디 구동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화물차(200)의 전면벽체(210) 및 후면벽체(211)의 상단부에 장력조절부(100)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부(100)는, 양측에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전방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관통홀(11) 내에 삽입된 부시(13)에 의해 고정된 고정축(20)에 삽입홀(31)이 연결되어 상기 몸체(1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양측에 제1연결홀(32)과 제2연결홀(33)이 형성된 링크암(30), 상기 링크암(30)의 제1연결홀(32)과 핀(45)을 매개로 일측이 힌지고정되는 제1연결편(40), 상기 제1연결편(40)의 타측과 핀(46)을 매개로 힌지고정되며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볼트(50),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2)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스프링케이스(60), 상기 스프링케이스(60)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81)을 사이에 두고 일측이 상기 몸체(10)에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70), 상기 스프링(70)의 타측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브라켓(80), 상기 장력조절브라켓(80)을 지지하도록 상기 로드볼트(50)에 체결되는 너트(90)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링크암(30)의 제2연결홀(33)은 핀(115)을 매개로 제2연결편(120)의 일측과 힌지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편(120)의 타측은 핀(116)을 매개로 윙바디(220)에 고정된 장착브라켓(110)과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벽체(210)의 장력조절부(100)를 조절하도록 된 작동수단이 구비되되, 이 작동수단은 다수개의 링크(130a)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130a)의 상부는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작동레버(140)가 구비된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감속모터(130b)로 이루어지되, 상기 감속모터(130b)의 회전부와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이 연결되고, 상기 감속모터(130b)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유체실린더(130c)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체실린더(130c) 로드의 선단과 상기 장력조절부(100)의 고정축(20)이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유체실린더(130c)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5. 삭제
KR1020040004693A 2004-01-26 2004-01-26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KR10048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693A KR100485215B1 (ko) 2004-01-26 2004-01-26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693A KR100485215B1 (ko) 2004-01-26 2004-01-26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755U Division KR200348772Y1 (ko) 2004-01-26 2004-01-26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215B1 true KR100485215B1 (ko) 2005-04-25

Family

ID=3730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693A KR100485215B1 (ko) 2004-01-26 2004-01-26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2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69B1 (ko) * 2008-04-15 2010-09-07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KR101579685B1 (ko)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KR20160144276A (ko) 2015-06-08 2016-12-16 김대일 트럭 윙 바디 안전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2239145B1 (ko) 2020-11-20 2021-04-12 주식회사 한국특장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245063B1 (ko) 2020-11-20 2021-04-28 주식회사 한국특장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455278B1 (ko) 2021-07-16 2022-10-18 한상연 맞춤형 트러스를 가지는 비닐하우스 골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69B1 (ko) * 2008-04-15 2010-09-07 코리아특장자동차 주식회사 윙바디 개폐 장치
KR101579685B1 (ko) 2014-06-17 2015-12-22 유운모 화물차량용 윙바디
KR20160144276A (ko) 2015-06-08 2016-12-16 김대일 트럭 윙 바디 안전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2239145B1 (ko) 2020-11-20 2021-04-12 주식회사 한국특장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245063B1 (ko) 2020-11-20 2021-04-28 주식회사 한국특장 확대된 공간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
KR102455278B1 (ko) 2021-07-16 2022-10-18 한상연 맞춤형 트러스를 가지는 비닐하우스 골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8114B1 (en) Aircraft door assembly
RU25035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по высоте воздушного дефлектора и воздушный дефлектор,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8515721A (ja) 荷重に応じた力を補助する補助力発生装置
KR100485215B1 (ko)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US665509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vehicle door
JPH09104235A (ja) 自動車の幌及び又は幌ボックスカバーのための駆動装置
US20020158488A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wing door of truck
EP1276624A2 (en) Rod on rail power liftgate drive mechanism
US6454284B1 (en) Torsion bar suspension with power height adjustment
JP2003262247A (ja) 車両の動力式リフトゲートのための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20020008404A1 (en) Active door upper
KR200348772Y1 (ko) 화물차의 윙바디 구동장치
KR101082540B1 (ko)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EP1943405B1 (en) Door system and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door system
KR101894668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구 개폐 시스템
CN111002888B (zh) 一种电动脚蹬结构
JP4252862B2 (ja) 荷箱ドア折り畳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バン型トラック
JP5631189B2 (ja) 車両のカバーのための操作機構及びロック機構
JP7121608B2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US20040139657A1 (en) Opening movement control device of a sliding door for a vehicle
WO2002058952A1 (en) Wing opening/closing device for trucks or the like
KR100534331B1 (ko) 차량용 후드힌지의 각도조절구조
KR200295496Y1 (ko) 다단 스크류 상승 차량용 적재함
JP2003080948A (ja) トラック等のウイング開閉装置
JPH11334376A (ja) バン型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