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377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377B1
KR102237377B1 KR1020160103143A KR20160103143A KR102237377B1 KR 102237377 B1 KR102237377 B1 KR 102237377B1 KR 1020160103143 A KR1020160103143 A KR 1020160103143A KR 20160103143 A KR20160103143 A KR 20160103143A KR 102237377 B1 KR102237377 B1 KR 10223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protrusion
lower body
upper body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142A (ko
Inventor
김덕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377B1/ko
Priority to CN201710388754.2A priority patent/CN107732589B/zh
Priority to US15/618,752 priority patent/US10211014B2/en
Publication of KR2018001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2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provided with a cartridge-magaz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2039/008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using the switch for a battery cut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한 쌍의 단자 구멍, 상기 단자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하부 본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자 구멍과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부 본체를 덮으며 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부 본체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의 내면은 상기 상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빈 공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 장치 및 전자 장치는 자동차의 타입에 따라서 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알터네이터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특히 엔진의 시동을 위한 스타터 모터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작동된다. 또한, 알터네이터에서 생산된 전지 중 소모되지 않는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됨으로써 배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 장치와 알터네이터는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케이블을 통해서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배터리의 음극 단자는 접지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배터리와 전원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충돌 사고와 같은 비상 사태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즉,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하여 연료 탱크로부터 누설된 연료에 점화됨으로써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충돌을 감지하여 배터리로부터 전원 공급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화재 및 폭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사고 발생시 사람이 플러그를 뽑거나 배선을 끊고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차량의 전자 장치와 전원과의 연결을 신속하게 끊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한 쌍의 단자 구멍, 상기 단자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하부 본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자 구멍과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부 본체를 덮으며 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부 본체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의 내면은 상기 상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빈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향해서 돌출한 제1 돌기, 제1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홈, 공간에 노출된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상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수직한 하부면과 상기 상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경사면은 상기 덮개의 내면과 대응하고, 제1 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제1 홈의 일면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따라서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수직한 하부면과 상기 하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단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 스토퍼가 삽입되어 있는 제3 홈을 더 포함하고, 스토퍼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의 높이는 상기 단자 구멍을 통과한 단자가 상기 금속 홀더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인출된 전극 단자일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금속 홀더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결합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 구멍, 결합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 하부 본체 및 덮개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한 쌍의 단자 구멍, 상기 단자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단자 구멍과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를 가지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외부를 향해서 돌출한 제1 돌기를 가지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부 본체를 덮으며 단부가 상기 제1 돌기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하부 본체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를 향해서 돌출한 제2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의 단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결합된다.
상기 중심부의 하면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확산 공간을 포함하고, 하부 본체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확산 공간과 마주하는 개구를 가지는 제2 확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확산 공간과 상기 제2 확산 공간은 상기 제1 확산 공간의 개구 및 상기 제2 확산 공간의 개구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내면과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내면을 포함하고, 주변부는 상기 주변부와 상기 중심부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된 이격 공간과 상기 제2 내면과 상기 주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확산 공간을 관통하는 벤트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상부 본체 또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결합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 구멍,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 하부 본체 및 덮개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 장치를 이용하면, 충돌 등이 발생할 때 신속하게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폭발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폭발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안전 장치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안전 장치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하부 본체(200), 하부 본체(2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00), 상부 본체(100) 위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11)를 포함하고, 금속 홀더(11)는 상부 본체(100)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금속 홀더(11)는 하부 본체(200)와 마주하는 쪽에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본체(200)의 단자 구멍(21)과 연통될 수 있다.
상부 본체(100)의 외측에는 상부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덮개(300)의 내측면을 향해서 돌출한 제1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12)는 상부 본체(100)의 외측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하부면(A1)과 상부 본체(100)의 외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A2)을 가진다. 이때, 경사면(A2)은 상부 본체(100)의 상면(A3)과 마주하는 덮개(300)의 내면(A4)과 대응하도록 상기 외측면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경사면을 가지도록 제1 돌기(12)를 형성하면, 제1 돌기(12)가 덮개(300)의 내벽에 형성된 제1 홈(31)에 걸리게 되어, 하부 본체(200)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반면,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힘(또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해질 때 제1 돌기(12)는 제1 홈(31)으로부터 이탈되고, 힘에 의해서 상부 본체(100)는 덮개(300)의 내면(A4)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는 덮개(300)의 측벽을 향해서 돌출되며,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홀더(11)는 커넥터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금속 홀더(11)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는 금속 홀더(11) 사이는 퓨즈(14)로 연결될 수 있다. 퓨즈(14)의 양단은 각각 금속 홀더(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퓨즈(14)의 양단부와 금속 홀더(11)는 용접 또는 별도의 금속 나사 등으로 결합 할 수 있다.
퓨즈(14)는 배터리팩 내부의 이상 반응으로 인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쉽게 끊어져 전류 흐름이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금속 홀더(11)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 장치, 히터, 냉각기 등 차량의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본체(200)는 한 쌍의 단자 구멍(21), 단자 구멍(21)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본체(200)의 중앙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인플레이터(inflator)(22)를 포함한다. 단자 구멍(21)은 각각 금속 홀더(11)와 대응한다.
하부 본체(200)는 제2 돌기(23)를 포함하며, 제2 돌기(23)는 하부 본체(200)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23)는 하부 본체(200)의 외측면에 대해서 수직한 하부면과 경사진 경사면을 가져, 제1 돌기(12)와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본체(20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25)를 포함한다. 결합부(25)는 하부 본체(200)의 외측에 형성?? 있으며, 하부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한 플랜지일 수 있다. 결합부(25)는 하부 본체(200)의 하부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본체(2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5)는 복수의 결합 구멍(5)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 구멍(5)에는 결합 나사(7)가 삽입되어 전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5)를 통해서 전기 커넥터를 배터리팩(400)에 결합시킬 때, 결합부(25)와 배터리팩(400) 사이에는 제1 실링재(62)를 배치한 후 결합할 수 있다.
제1 실링재는 오링(O-ring), 디링(D-ring)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요철을 포함한 실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재는 실리콘러버(silicon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EPR(EPDM, ethylene propylene rubber)등의 초탄성체 재질로 구성됩니다.
대기와 노출되어, 밀폐하여 방수형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제1 실링재는 생략될 수 있다.
단자 구멍(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치의 단자(41)가 통과하며, 예를 들어, 배터리팩(400)의 전극 단자 일 수 있다.
인플레이터(22)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 본체에 나사 결합하는 결합부(22a), 결합부(22a) 위에 위치하는 가스저장소(22b) 및 접속부(squib connector)(22c)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22)는 기폭 신호가 접속부(22c)에 전달되면 결합부(22a) 내에 저장된 화약이 폭발하고, 가스 저장소(22b)의 가스가 분출된다. 폭발에 의해서 발생되는 폭발 압력은 상부 본체(100)에 전달되어 상부 본체(100)를 밀어 이동시킨다.
이처럼, 상부 본체(100)가 이동하면 상부 본체(100)의 금속 홀더(11)가 하부 본체(200)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단자(41)로부터 분리되면서, 금속 홀더(11)와 단자(4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며, 이와 연결된 전자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2)의 폭발 압력이 상부 본체(100)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부 본체(200)의 중심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본체(200)의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인플레이터(22)가 설치되면, 상부 본체(100)의 중심에서 벗어난 부분에 최대 압력이 전달되어 상부 본체(100)가 기울어져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본체(100)가 기울어질 경우 상부 본체(100)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상부 본체(100)의 금속 홀더(11)가 단자(4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할 수 있다.
덮개(300)는 상부 본체(100)를 덮으며, 하부가 하부 본체(200)에 결합되어 있다. 덮개(3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수용 공간 내에 하부 본체(200)의 상부 및 상부 본체(100)가 수용될 수 있다.
덮개(300)의 내면(A4)과 서로 마주하는 상부 본체(100)의 상면(A3)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상부 공간(S)이 형성된다.
상부 공간(S)은 인플레이터(22)가 폭발 할 때, 이동한 상부 본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즉, 인플레이터(22)가 폭발 하면, 상부 본체(100)는 인플레이터(22)의 폭발 압력에 의해서 상부 본체(100)와 덮개(300)의 내면(A4)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S)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 본체(100)가 이동하여 위치하는 공간(S)의 높이(H1)는 단자 구멍을 통과한 단자(41)가 금속 홀더(11)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H2)보다 클 수 있다.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면 상부 본체(100)는 상부 공간(S)으로 이동하며, 이때 이동 거리는 단자가 금속 홀더(11)에 삽입된 일부분의 길이(H2)보다 충분히 커야, 금속 홀더(11)가 단자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도 연결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S)의 높이(H1)는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한 후 상부 본체(100)가 금속 홀더(1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덮개(300)의 내측벽에는 제1 홈(31), 제2 홈(32) 및 제3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홈(31)은 제1 돌기(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홈(32)은 상부 공간(S)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3 홈(33)은 덮개(300)의 하부 단부와 제1 홈(3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홈(31)과 제2 홈(32) 사이의 거리(H3)는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여 상부 본체(100)가 이동 한 후, 다시 상부 본체(100)의 금속 홀더(11)와 단자(4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전기적 단선을 유지하도록 금속 홀더(11)에 삽입된 단자의 일부분의 길이(H2)보다 클 수 있다.
제1 홈(31)과 제2 홈(32)은 각각 서로 평행한 제1 면(A5)과 제2 면(A6)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면(A6)은 제1 면(A5)보다 덮개(300)의 내면(A4)과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1 홈(31)에는 제1 돌기(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돌기(12)의 하부면(A1)은 제1 면(A5)과 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홈(31), 제2 홈(32) 및 제3 홈(33)은 덮개(300)의 내측벽을 따라서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2)는 제1 홈(31)을 따라서 상부 본체(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길게 형성되어 폐곡선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기(12)는 복수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홈(33)에는 상부 본체(100)의 스토퍼(13)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13)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스토퍼(13)와 제3 홈(33)의 일면은 선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3)에 힘이 가해질 경우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제3 홈(33)을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13)도 제1 돌기(12)와 같이 제3 홈(33)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홈(33)에는 하부 본체(200)의 제2 돌기(2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13)와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덮개(300)의 하부 단부와 하부 본체(200) 사이에는 제2 실링재(64)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링재(64)는 제1 실링재와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형태 일 수 있으며, 덮개(300)의 내부의 공간을 밀폐하여 덮개(300) 내부에 분출된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금속 홀더(11) 및 단자(41)가 외기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배터리팩(40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팩(400)은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40),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82), 전지부(84), 고전압 접속부(86), 저전압 접속부(88), 한 쌍의 단자(41)를 포함한다.
한 쌍의 단자(41)는 전지부(84)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양극 또는 음극 중 한 전극은 고전압 접속부(86)를 통해서 한 단자(41)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 접속부(86)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팩(400) 내부의 전기적 연결은 금속 배선(8)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저전압 접속부(8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지부(84)의 전압, 전류, 온도, 비이상 신호 등을 측정하여 전지부(84)의 충전과 방전을 적정한 수준으로 제어한다.
전기 커넥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0)에 설치된 개구부에 하부 본체(200)가 일부 삽입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40)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자(41)는 하우징(4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차량의 배터리에 설치하면, 충돌 신호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폭발한 후의 단면도이다.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면, 인플레이터(22)의 접속부(22c)에 기폭 신호가 전달되어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한다. 기폭 신호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또는 차량의 ACU(airbag control unit)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폭발시 인플레이터(22)로부터 분출된 가스 압력으로 인해서, 상부에 위치하는 금속 홀더(11)를 단자(41)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배터리팩(400)로부터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홀더(11)가 단자(41)로부터 이탈된 후에도, 단자(41)와 금속 홀더(1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덮개(300) 내부에 상부 본체(100)를 수용하여 금속 홀더(11)와 단자(41)가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덮개를 이용하여 인플레이터의 폭발 압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로 인해서 파손 또는 가스 누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는 대부분 도 1의 전기 커넥터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하부 본체(200), 하부 본체(200) 위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00), 상부 본체(100) 위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상부 본체(1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금속 홀더(11)를 포함하는 중심부(71)와 중심부(7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주변부(73)를 포함한다. 주변부(73)와 중심부(71)는 간격재(75)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주변부(73)는 중심부(71)의 외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주변부(73)와 중심부(71) 사이에 이격 공간(W)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71)에는 한 쌍의 금속 홀더(11)가 삽입되어 있으며, 금속 홀더(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금속 홀더(11) 사이에는 하부 본체(200)를 향해서 개방된 제1 확산 공간(SS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확산 공간(SS1)은 하부 본체(200)와 인접할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73)는 하부 본체(200)의 외측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덮개(300)의 측벽을 향해서 돌출한 제1 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부(73)의 단부는 하부 본체(200)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한 제1 걸림돌기(9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변부(73)는 주변부(73)를 관통하여 형성된 벤트 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벤트 구멍(2)은 간격재(75)와 제1 돌기(12)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주변부(73)는 중심부(71)로부터 이격되어 단부가 결합으로 고정되지 않을 경우, 일정한 힘에 의해서도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하부 본체(200)의 상부 외측에는 제2 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본체(100)의 제1 걸림 돌기(91)는 제2 돌기(23)와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하부 본체(200)의 중심에는 인플레이터(22)가 삽입되어 있으며, 인플레이터(22)의 결합부(22a)에 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서 하부 본체(200)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부 본체(200)는 제1 확산 공간(SS1)과 마주하는 제2 확산 공간(SS2)을 가지며, 인플레이터(22)의 가스 저장소(22b)는 제2 확산 공간(SS2) 내에 위치한다.
제2 확산 공간(SS2)은 가스 저장소(22b)로부터 제1 확산 공간(SS1)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으며, 제1 확산 공간(SS1)과 연통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덮개(300)는 상부 본체(100)를 덮고 있으며, 덮개(300)의 단부는 상부 본체(100)의 측벽을 향해서 돌출한 제2 걸림 돌기(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걸림 돌기(93)는 상부 본체(100)의 제1 돌기(12)에 맞물려 결합되어 있다.
덮개(300)는 상부 본체(100)의 상면을 포함하는 외측면에 접촉하는 제1 내면과 상부 본체(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내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내면과 상부 본체(100) 사이에는 제3 확산 공간(SS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면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주변부(73)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주변부(73)의 벤트 구멍(2)은 이격 공간(W)과 제3 확산 공간(SS3)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폭발한 후의 단면도이다.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면, 인플레이터에 기폭 신호가 전달되어 인플레이터가 폭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폭발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된 가스는 제2 확산 공간, 제1 확산 공간을 통해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00)를 가압한다.
폭발이 발생하면 분출된 가스는 상부 본체(100)의 하면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서 상부 본체(100)가 단자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될 수 있다.
즉, 가스는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서, 주변부(73)와 중심부 사이의 이격 공간(W)으로 이동(화살표 참조)하여 벤트 구멍(2)을 통해서 제3 확산 공간(SS3)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스는 벤트 구멍(2)으로 배출된 후, 제3 확산 공간(SS3)을 통해서 덮개(300)를 가압하기 때문에 제2 걸림돌기(93)와 제1 돌기(12)의 결합부(C2)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제2 걸림돌기(93)가 제1 돌기(1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2 걸림돌기(93)가 제1 돌기(12)로부터 분리되면 제1 걸림돌기(91)와 제2 돌기(23)의 결합부(C1)에서의 결합력도 약해지고, 가스가 주변부(73)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1 걸림돌기(91)가 제2 돌기(23)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덮개(300)가 상부 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부 본체(100) 또한 단자(41)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팩(400)으로부터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전기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의 전기 커넥터와 달리, 상부 본체(100)뿐 아니라 덮개(300)도 하부 본체(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내부의 분리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 및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안전 장치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500)은 ACU(airbag control unit)(52), 전원부(402), 통신부(54) 및 전자 장치(56)를 포함한다.
ACU(52)는 자동차의 충돌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서 에어백을 전개시키기 위한 전개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부(402)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82), 전지부(84)를 포함하는 배터리팩과 전기 커넥터(1000)를 포함한다. 전지부(84)는 복수의 단위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전지는 리튬 전지일 수 있다.
전지부(84)는 인버터 또는 컨버터 등을 통해서 각각의 전자 장치(56)에 맞는 전압으로 전환된 후 전자 장치(5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고전압 접속부와 연결된 스위치(contactor switching)(58)를 통해서 전자 장치(56)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56)는 예를 들어 엔진 구동용 시동 장치, 히터, 에어컨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전지부(84)의 전압, 전류, 온도, 비이상 신호 등을 측정하여 전지부(84)의 충전과 방전을 적정한 수준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과방전, 과충전, 과열, 충돌 신호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되면 스위치(58)를 오프(off) 시켜 전지부(84)의 충전 및 방전을 중단시킨다.
전기 커넥터(1000)는 ACU(5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커넥터(1000)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일 수 있다.
통신부(54)는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모듈일 수 있으며, ACU(52)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82)과 통신하도록 설치된다.
이상의 안전 장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안전 장치 시스템은 신속하게 전원을 차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 시스템(500)의 작동 방법은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2),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는 단계(S3),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4),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에서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S1)할 경우 충돌 센서에서 측정된 충돌 신호가 ACU(52)로 입력된다. 이후, ACU(52)는 충돌 신호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2)에서, 에어백 작동 장치는 ACU(52)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백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 에어백을 전개한다.
전기 컨넥터(1000)의 인플레이터를 작동하는 단계(S3)에서, 인플레이터에 ACU(52)로부터 전달되는 인플레이터 작동 신호, 즉 인플레이터의 기폭 신호가 입력되어 폭발한다. 기폭 신호는 인플레이터의 화약을 폭발시킬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또는 배선을 통해서 직접 인가되어 인플레이터를 기폭 시키는 전류 일 수 있다.
이처럼,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면, 폭발 압력에 의해서 도 2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금속 홀더(11)가 단자(41)로부터 분리되고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4)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가 맞는지 판단한다. 이때, 충돌 신호는 통신부(54)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5)는, 판단하는 단계(S4)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스위치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지부(84)와 전자 장치(5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한편,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4)에서,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종료되며, 전자 장치에는 전원이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공급된다.
도 6의 안전 장치 시스템은 도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1),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12),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3),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14), 인플랙터 작동신호를 요청하는 단계(S15), 인플랙터가 작동하는 단계(S16)를 포함한다.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1)에서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S11)할 경우 충돌 센서에서 측정된 충돌 신호가 ACU(52)로 입력된다. 이후, ACU(52)는 충돌 신호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12)에서, 에어백 작동 장치는 ACU(52)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백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 에어백을 전개한다.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가 맞는지 판단한다. 이때, 충돌 신호는 통신부(54)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14)는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스위치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전지부(84)와 전자 장치(5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전기 커넥터(1000)의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요청하는 단계(S15)는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에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라고 요청한다. 이는 전기 커넥터(1000)의 인플레이터가 ACU(5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터를 작동하는 단계(S16)에서, ACU(52)로부터 전기 커넥터(1000)에 작동 신호, 즉 인플레이터(22)를 기폭 시키는 인플레이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한다,
이처럼,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면, 폭발 압력에 의해서 도 2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금속 홀더(11)가 단자(41)로부터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스위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종료되며, 전자 장치에는 전원이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공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안전 장치 시스템의 작동 흐름도이다.
도 9의 안전 장치 시스템(502)은 대부분 도 6의 안전 장치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 장치 시스템(502)은 ACU(airbag control unit)(52), 통신부(54), 전원부(402) 및 전자 장치(56)를 포함한다. 전원부(402)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82) 및 전지부(84)를 포함하는 배터리팩과 전기 커넥터(1000)를 포함한다. 전지부(84)는 스위치(58)를 통해서 전자 장치(56)와 연결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0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8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 시스템(502)의 작동 방법은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21),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22),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3),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는 단계(S24), 스위치가 작동하는 단계(S25)를 포함한다.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21)에서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S1)할 경우 충돌 센서에서 측정된 충돌 신호가 ACU(52)로 입력된다. 이후, ACU(52)는 충돌 신호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22)에서, 에어백 작동 장치는 ACU(52)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백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 에어백을 전개한다.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3)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가 맞는지 판단한다. 이때, 충돌 신호는 통신부(54)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를 작동하는 단계(S24)는, 판단하는 단계(S23)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작동 신호, 즉 인플레이터(22)를 기폭하는 인플레이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인플레이터(22)에 전달한다.
전달된 작동 신호에 의해서,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면, 폭발 압력에 의해서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금속 홀더(11)와 단자(4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25)는, 판단하는 단계(S23)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스위치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전지부(84)와 전자 장치(5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한편,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23)에서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스위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종료되며, 전자 장치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공급된다.
도 9의 안전 장치 시스템은 도 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 시스템(502)의 작동 방법은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31),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32),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3),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34), 전기 커넥터를 작동하는 단계(S35), 스위치를 오프 하는 단계(S36)를 포함한다.
충돌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31)에서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돌 센서에서 측정된 충돌 신호가 ACU(52)로 입력된다. 이후, ACU(52)는 충돌 신호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ACU(52)는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S33)한다.
에어백이 작동하는 단계(S2)에서, 에어백 작동 장치는 ACU(52)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백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 에어백을 전개한다.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34)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로부터 충돌 신호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입력 받아 충돌 신호가 맞는지 판단한다. 이때, 충돌 신호는 통신부(54)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00)의 인플레이터를 작동하는 단계(S35)는, 판단하는 단계(S34)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 또는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작동 신호, 즉 인플레이터(22)의 기폭 신호를 생성하여 인플레이터(22)에 전달한다.
전달된 작동 신호에 의해서, 인플레이터(22)가 폭발하면, 폭발 압력에 의해서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금속 홀더(11)와 단자(4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위치를 오프하는 단계(S36)는 판단하는 단계(S34)에서 작동 조건이 맞으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작동 조건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신호가 충돌 신호일 경우 조건을 만족한다
판단 후 작동 조건이 맞으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충돌 신호로부터 스위치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전지부(84)와 전자 장치(5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한편, 작동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34)에서 작동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스위치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종료되며, 전자 장치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공급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은 ACU(52)로부터 충돌 신호 및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동시에 전달받는다. 이처럼, 배터리 관리 시스템(82)에 두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작동 신호를 판단하는데 있어 판단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전기 커넥터가 ACU로부터 직접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입력 받을 경우, 충돌 신호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는 반면 고장이나 오류로 인해서 ACU(52)가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면,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서와 같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의 작동 신호 및 충돌 신호가 함께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어느 한 신호만 입력되더라도 충돌 상태로 판단하여, 전기 커넥터의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 벤트 구멍 7: 결합 나사
8: 금속 배선 11: 금속 홀더
12: 제1 돌기 13: 스토퍼
14: 퓨즈 21: 단자 구멍
22: 인플레이터 22a, 25: 결합부
22b: 가스 저장소 22c: 접속부
23: 제2 돌기 25: 결합부
31: 제1 홈 32: 제2 홈
33: 제3 홈 40: 하우징
41: 단자 52: ACU
54: 통신부 56: 전자 장치
58: 스위치 62: 제1 실링재
64: 제2 실링재 71: 중심부
73: 주변부 75: 간격재
82: 배터리 관리 시스템 84: 전지부
86: 고전압 접속부 88: 저전압 접속부
91: 제1 걸림돌기 93: 제2 걸림돌기
100: 상부 본체 200: 하부 본체
300: 덮개 400: 배터리팩
500, 502: 안전 장치 시스템
1000: 전기 커넥터

Claims (19)

  1. 한 쌍의 단자 구멍, 상기 단자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 위에 위치하며, 상기 단자 구멍과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를 덮으며 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의 상면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의 내면은 상기 상면과 이격되어 형성된 빈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향해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홈,
    상기 공간에 노출된 상기 덮개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홈
    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상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수직한 하부면과 상기 상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덮개의 내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제1 홈의 일면과 접촉하여 결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따라서 폐곡선을 이루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수직한 하부면과 상기 하부 본체의 측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결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서,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측벽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있는 제3 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곡면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서,
    상기 공간의 높이는 상기 단자 구멍을 통과한 단자가 상기 금속 홀더에 삽입된 부분의 길이보다 큰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서,
    상기 단자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인출된 전극 단자인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서,
    이웃하는 상기 금속 홀더 사이를 연결하는 퓨즈
    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서,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 구멍,
    상기 결합 구멍에 삽입되는 결합 나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3. 한 쌍의 단자 구멍, 상기 단자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본체,
    상기 단자 구멍과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 홀더를 가지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외부를 향해서 돌출한 제1 돌기를 가지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를 덮으며 단부가 상기 제1 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내면과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내면을 가지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외부를 향해서 돌출한 제2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의 단부는 상기 제2 돌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변부는 상기 주변부와 상기 중심부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된 이격 공간과 상기 제2 내면과 상기 주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확산 공간을 관통하는 벤트 구멍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서,
    상기 중심부의 하면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3항에서,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는 제1 확산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며 상기 제1 확산 공간과 마주하는 개구를 가지는 제2 확산 공간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확산 공간과 상기 제2 확산 공간은 상기 제1 확산 공간의 개구 및 상기 제2 확산 공간의 개구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커넥터.
  17. 삭제
  18. 제13항에서,
    상기 제1 돌기 또는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상부 본체 또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전기 커넥터.
  19. 제13항에서,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 구멍,
    상기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나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60103143A 2016-08-12 2016-08-12 전기 커넥터 KR10223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43A KR102237377B1 (ko) 2016-08-12 2016-08-12 전기 커넥터
CN201710388754.2A CN107732589B (zh) 2016-08-12 2017-05-27 电连接器
US15/618,752 US10211014B2 (en) 2016-08-12 2017-06-09 Electrical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43A KR102237377B1 (ko) 2016-08-12 2016-08-12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42A KR20180018142A (ko) 2018-02-21
KR102237377B1 true KR102237377B1 (ko) 2021-04-06

Family

ID=6116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43A KR102237377B1 (ko) 2016-08-12 2016-08-1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11014B2 (ko)
KR (1) KR102237377B1 (ko)
CN (1) CN107732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8582A1 (ja) 2018-03-28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路遮断装置
GB2582307A (en) * 2019-03-18 2020-09-23 Eaton Intelligent Power Ltd Switching device for fast disconnection of short-circuit currents
GB2592280A (en) * 2020-02-20 2021-08-25 Eaton Intelligent Power Ltd An electrical interrupter
DE102020111765B4 (de) * 2020-04-30 2023-09-07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 Sicherungs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cherungs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lektrischen Sicherungs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1103A (zh) 2012-08-31 2014-03-26 丰田合成株式会社 电阻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0572A (en) * 1997-02-28 1999-11-23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Electric circuit breaker for vehicle
US6295930B1 (en) * 1998-01-08 2001-10-02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Circuit breaker
JP2000251599A (ja) * 1999-03-03 2000-09-14 Yazaki Corp 電源遮断器
JP3568817B2 (ja) * 1999-03-10 2004-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遮断装置
JP3797590B2 (ja) * 1999-08-25 2006-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遮断器
JP2001068000A (ja) * 1999-08-27 2001-03-16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JP2002015648A (ja) * 2000-06-28 2002-01-18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JP2004007919A (ja) 2002-05-31 2004-01-08 Fuji Heavy Ind Ltd 高電圧バッテリ搭載車両のバッテリ回路遮断装置
FR2911719B1 (fr) * 2007-01-19 2009-02-27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interruption/enclenchement d'un circuit electrique
JP5545231B2 (ja) * 2011-01-28 2014-07-09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KR20130010302A (ko)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자동차용 전원 차단장치
US20130033843A1 (en) * 2011-08-03 2013-02-07 Laird Technologies, Inc. Board leve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s including releasably attached/detachable pickup mem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1103A (zh) 2012-08-31 2014-03-26 丰田合成株式会社 电阻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142A (ko) 2018-02-21
US10211014B2 (en) 2019-02-19
US20180047533A1 (en) 2018-02-15
CN107732589A (zh) 2018-02-23
CN107732589B (zh)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377B1 (ko) 전기 커넥터
US9774026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for battery of vehicle
US9099732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fuse with an insulating blocking member
JP7037019B2 (ja) コネクター破断装置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738215B1 (ko) 배터리 셀 조립체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배터리 모듈
KR102273768B1 (ko) 이차전지
EP2930771B1 (en) Rechargeable battery
EP3567651B1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JP2011505650A (ja) スイッチを利用した電気自動車用2次電池の安全装置及び保護方法
KR20130086728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20180064051A (ko) 과충전 안전장치
WO2013058974A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device
KR102080903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60113888A (ko) 배터리 팩
KR101551036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EP2822056A1 (en) Secondary Battery
JP7038287B2 (ja) 蓄電装置
KR20120134698A (ko)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KR102324863B1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구조
EP3333929B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98336A (ko) 적어도 하나의 압력 경감 장치를 구비한 전기 화학 셀
KR102328738B1 (ko) 과충전 시험 장치
KR20040110535A (ko) 파열기구를 구비한 이차전지 조립체
EP4358282A1 (en) Battery pack
KR20160037547A (ko)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