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314B1 -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314B1
KR102237314B1 KR1020200167707A KR20200167707A KR102237314B1 KR 102237314 B1 KR102237314 B1 KR 102237314B1 KR 1020200167707 A KR1020200167707 A KR 1020200167707A KR 20200167707 A KR20200167707 A KR 20200167707A KR 102237314 B1 KR102237314 B1 KR 10223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gear shaft
hole
gear
w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경
박재민
박은영
Original Assignee
나재경
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재경, 박재민 filed Critical 나재경
Priority to KR102020016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25B7/04Jaw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6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4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8Adjusting means for the operat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좌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우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1 바디부; 우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2 바디부; 및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벌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오므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오므라들면서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를 상호 간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를 오므려 물체를 집은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악력 사용을 최소화시킨다.

Description

플라이어 { PLIER }
본 발명은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임 회전에 의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러한 조임력을 유지하는 고정력을 더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악력 사용을 최소화시키는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어는 레버의 원리를 이용해서 악력을 배가시키는 작업용 공구로, 판이나 둥근 봉 외에 여러 물체를 집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라이어는 집게가 둥글게 된 것, 네모진 것 등이 있고, 집게를 이용하여 물건을 구부리는 데도 사용된다.
종래의 플라이어는 작업자의 악력에 의존하여 조임력을 형성하므로, 작업자의 악력이 떨어지면 집은 물체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225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554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임 회전에 의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러한 조임력을 유지하는 고정력을 더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악력 사용을 최소화시키는 플라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는,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좌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우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1 바디부; 우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2 바디부; 및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벌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오므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오므라들면서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를 상호 간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를 오므려 물체를 집은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우측 집게부는,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보다 후방 측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의 경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지지벽부홀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집게부는, 전방 측에 제 1 와이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2 와이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보다 후방 측 상기 우측 손잡이부와의 경계 부분에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접촉되게 오므라든 상태에서 제 1 지지벽부홀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지지벽부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임부는,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의 하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후방 측 변부에 상기 제 1 지지벽부홀와 상기 제 2 지지벽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호형의 지지벽부를 구비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하단플레이트부;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의 상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중단플레이트부;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에 일측이 지지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5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상단플레이트부;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3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 및 제 5 조임기어축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조임기어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임기어를 구비하고, 상단에 조임 회전을 위한 조임회전핸들부를 구비하는 조임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우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우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우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우기어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우기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우기어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우권취부를 구비하는 우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좌측 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역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역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역기어를 구비하는 역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좌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좌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역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좌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좌기어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좌기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기어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좌권취부를 구비하는 좌기어부;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와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에 권취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와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권취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에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에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4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4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플레이트부는,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이 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조임기어부는, 상기 조임기어축 상부에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는 회전이 구속되지 않고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의 내벽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키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임기어부는, 상기 조임기어축 상에 조임 회전 로킹 상태 및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를 정의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단플레이트부에 부딪치도록 상기 중단플레이트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부에 부딪치도록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이어는 사용자의 조임 회전에 의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러한 조임력을 유지하는 고정력을 더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악력 사용을 최소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집게부와 좌측 집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단플레이트부와 중단플레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조임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조임부의 회전 로킹 해제 상태 및 회전 로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집게부와 좌측 집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하단플레이트부와 중단플레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조임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조임부의 회전 로킹 해제 상태 및 회전 로킹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는 제 1 바디부(100), 제 2 바디부(200) 및 조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종래의 플라이어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바디부(100)는,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에 S 자 형태로 전방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우측 집게부(12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우측 집게부(120)는,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와이어홀(1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121)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와이어홀(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122)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조임기어축홀(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123)보다 후방 측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의 경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지지벽부홀(124)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바디부(200)는, 우측 손잡이부(2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에 S 자 형태로 전방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좌측 집게부(22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좌측 집게부(220)는, 전방 측에 제 1 와이어홀(121)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와이어홀(2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221)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2 와이어홀(122)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와이어홀(222)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222)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123)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조임기어축홀(2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223)보다 후방 측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와의 경계 부분에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상호 간 접촉되게 오므라든 상태에서 제 1 지지벽부홀(124)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지지벽부홀(224)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는, 종래의 플라이어와 마찬가지로,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를 벌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상호 간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를 오므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상호 간 오므라들면서 가까워져 그 사이의 물체를 집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부(300)는,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를 벌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상호 간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를 오므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상호 간 오므라들면서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 바디부(100)와 상기 제 2 바디부(200)를 상호 간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를 오므려 물체를 집은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조임부(300)는, 하단플레이트부(310), 중단플레이트부(320), 상단플레이트부(330), 조임기어부(340), 우기어부(350), 역기어부(360), 좌기어부(370), 제 1 와이어(380), 및 제 2 와이어(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플레이트부(310)는,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의 하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후방 측 변부에 상기 제 1 지지벽부홀(124)와 상기 제 2 지지벽부홀(22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호형의 지지벽부(311)를 구비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조임기어축홀(223)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는,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의 상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311)에 일측이 지지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조임기어축홀(321)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는, 그 상면에,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321)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 1 우기어축홈(322),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321)의 좌측에 상기 제 1 우기어축홈(322)보다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역기어축홈(323), 및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321)의 좌측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 1 좌기어축홈(324)이 구비될 수 있다.(이 경우, 후술하는 기어축들의 형태에 따라 홈 형태가 아니라 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는,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311)에 일측이 지지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5 조임기어축홀(331)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331)은 키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는, 그 하면에, 상기 제 1 우기어축홈(322) 및 상기 제 1 좌기어축홈(32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우기어축홈(도번 미부여) 및 제 2 좌기어축홈(도번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기어축들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 1 역기어축홈(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역기어축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고, 홈 형태가 아니라 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임기어부(340)는,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123),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223), 상기 제 3 조임기어축홀(312),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321) 및 제 5 조임기어축홀(3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기어축(341)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조임기어축(341)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기어축(341)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임기어(342)를 구비하고, 상단에 조임 회전을 위한 조임회전핸들부(34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조임기어부(340)는, 상기 조임기어축(341) 상부에 상기 조임기어축(341)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는 회전이 구속되지 않고 상기 조임기어축(342)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331)의 내벽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키돌출부(3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임기어부(340)는, 상기 조임기어축(341) 상에 조임 회전 로킹 상태 및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를 정의하는 플랜지부(34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345)는, 상기 조임기어축(341)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에 부딪치도록 상기 중단플레이트(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플랜지부(345a) 및 상기 조임기어축(341)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부(310)에 부딪치도록 상기 하단플레이트(310)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플랜지부(34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345)는, 상기 조임기어축(341)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우기어부(350)는, 상기 조임기어부(340)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설치되는 우기어축(351)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우기어축(351)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342)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우기어(352)를 구비하고, 상기 우기어축(341) 상에 구비되되 상기 우기어(34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우기어축(341)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우권취부(35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우기어축(351)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우기어축홈(322) 및 상기 제 2 우기어축홈(도번 미부여)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우권취부(353)의 상부(353a)의 직경은 상기 우권취부(353)의 하부(353b)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기어부(360)는, 상기 조임기어부(340)의 좌측 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설치되는 역기어축(361)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역기어축(361)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342)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역기어(362)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역기어축(361)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역기어축홈(323)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제 1 역기어축홈(323) 및 상기 제 2 역기어축홈(미도시)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기어부(370)는, 상기 조임기어부(340)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설치되는 좌기어축(371)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33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좌기어축(371)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3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역기어(361)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좌기어(372)를 구비하고, 상기 좌기어축(371) 상에 구비되되 상기 좌기어(37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기어축(371)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좌권취(373)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좌기어축(371)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좌기어축홈(324) 및 상기 제 2 좌기어축홈(도번 미부여)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권취부(373)의 상부(373a)의 직경은 상기 좌권취부(373)의 하부(373b)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와이어(380)는, 상기 우권취부(353)의 상부(353a)와 상기 좌권취부(373)의 상부(373a)에 권취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와이어(380)는, 상기 우권취부(353)의 상부(353a)의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와 상기 좌권취부(373)의 상부(373a)에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353)의 상부(353a)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2 와이어홀(122)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222)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121)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221)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권취부(373)의 상부(373a)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2 와이어(390)는, 상기 우권취부(353)의 하부(353b)와 상기 좌권취부(373)의 하부(373b)에 권취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와이어(390)는, 상기 좌권취부(373)의 하부(373b)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353)의 하부(353b)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373)의 하부(373b)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4 와이어홀(222)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122)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221)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122)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우권취부(353)의 하부(353b)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의 동작 방식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임회전핸들부(343)를 집고 들어서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를 형성(도 5 참조)하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110)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210)를 벌렸다 오므리면서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로 물체를 집는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조임회전핸들부(343)를 돌려 조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임력을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임회전핸들부(34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기어(342)는 시계 방향 회전, 상기 우기어(352)는 반시계 방향 회전, 상기 역기어(362)는 반시계 방향 회전, 상기 좌기어(372)는 시계 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우권취부(353)의 상부(353a)의 직경은 상기 우권취부(353)의 하부(353b)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좌권취부(373)의 상부(373a)의 직경은 상기 좌권취부(373)의 하부(373b)의 직경보다 큰 구조와 상기 제 1 와이어(380)와 상기 제 2 와이어(390) 설치 구조에 의해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가지게 하는 조임력을 형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위와 같이 상기 조임회전핸들부(343)를 돌리다가 특정 위치 즉, 상기 키돌출부(344)가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331)에 키 맞춤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조임기어축(342)을 하측으로 밀어 상기 키돌출부(344)가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331)의 내벽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는 조임 회전 로킹 상태를 형성(도 6 참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우측 집게부(120)와 상기 좌측 집게부(220)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고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플라이어는 사용자의 조임 회전에 의하여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이러한 조임력을 유지하는 고정력을 더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악력 사용을 최소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공구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제 1 바디부
110: 좌측 손잡이부
120: 우측 집게부
121: 제 1 와이어홀
122: 제 2 와어어홀
123: 제 1 조임기어축홀
124: 제 1 지지벽부홀
200: 제 2 바디부
210: 우측 손잡이부
220: 좌측 집게부
221: 제 3 와이어홀
222: 제 4 와어어홀
223: 제 2 조임기어축홀
224: 제 2 지지벽부홀
300: 조임부
310: 하단플레이트부
311: 지지벽부
312: 제 3 조임기어축홀
320: 중단플레이트부
321: 제 4 조임기어축홀
322: 제 1 우기어축홈
323: 제 1 역기어축홈
324: 제 1 좌기어축홈
330: 상단플레이트부
331: 제 5 조임기어축홀
340: 조임기어부
341: 조임기어축
342: 조임기어
343: 조임기어핸들부
344: 키돌출부
345: 플랜지부
345a: 제 1 플랜지부
345b: 제 2 플랜지부
350: 우기어부
351: 우기어축
352: 우기어
353: 우권취부
353a: 상부
353b: 하부
360: 역기어부
361: 역기어축
362: 역기어
370: 좌기어부
371: 좌기어축
372: 좌기어
373: 좌권취부
373a: 상부
373b: 하부
380: 제 1 와이어
390: 제 2 와이어

Claims (8)

  1.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좌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우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1 바디부;
    우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에 S 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 2 바디부; 및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벌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벌어지면서 멀어지고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부를 오므리면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오므라들면서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를 상호 간 축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를 오므려 물체를 집은 상태에서 조임 회전에 의하여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 조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더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조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집게부는,
    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보다 후방 측 상기 좌측 손잡이부와의 경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지지벽부홀이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집게부는,
    전방 측에 제 1 와이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2 와이어홀과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와이어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보다 후방 측에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보다 후방 측 상기 우측 손잡이부와의 경계 부분에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가 상호 간 접촉되게 오므라든 상태에서 제 1 지지벽부홀과 상하 방향으로 공통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지지벽부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의 하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후방 측 변부에 상기 제 1 지지벽부홀와 상기 제 2 지지벽부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호형의 지지벽부를 구비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3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하단플레이트부;
    상기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의 상면 측에 밀착 접촉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4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중단플레이트부;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지지벽부에 일측이 지지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5 조임기어축홀이 구비되는 상단플레이트부;
    상기 제 1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2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3 조임기어축홀, 상기 제 4 조임기어축홀 및 제 5 조임기어축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조임기어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임기어를 구비하고, 상단에 조임 회전을 위한 조임회전핸들부를 구비하는 조임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우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우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우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우기어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우기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우기어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우권취부를 구비하는 우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좌측 전방 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역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역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조임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역기어를 구비하는 역기어부;
    상기 조임기어부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설치되는 좌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좌기어축 상에 결합되고 상기 중단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역기어와 1:1의 기어비로 기어 결합되는 좌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좌기어축 상에 구비되되 상기 좌기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좌기어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하는 좌권취부를 구비하는 좌기어부;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와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에 권취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와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권취되는 제 2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의 직경은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에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에 우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의 상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4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좌권취부의 상부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에 좌측으로 인출입되게 권취되고, 상기 좌권취부의 하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4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3 와이어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2 와이어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우권취부의 하부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플레이트부는,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이 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조임기어부는, 상기 조임기어축 상부에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는 회전이 구속되지 않고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리지 않은 조임 회전 로킹 상태에서는 상기 제 5 조임기어축홀의 내벽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키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기어부는,
    상기 조임기어축 상에 조임 회전 로킹 상태 및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를 정의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단플레이트부에 부딪치도록 상기 중단플레이트와 상기 상단플레이트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플랜지부 및 상기 조임기어축을 들어올린 조임 회전 로킹 해제 상태에서 상기 하단플레이트부에 부딪치도록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하측에 개재되는 제 2 플랜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KR1020200167707A 2020-12-03 2020-12-03 플라이어 KR10223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07A KR102237314B1 (ko) 2020-12-03 2020-12-03 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07A KR102237314B1 (ko) 2020-12-03 2020-12-03 플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314B1 true KR102237314B1 (ko) 2021-04-07

Family

ID=7546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07A KR102237314B1 (ko) 2020-12-03 2020-12-03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6495A (zh) * 2021-05-20 2021-07-23 祥鑫(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撬杠抓取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65A (ja) * 2000-05-09 2001-11-13 Clover Mfg Co Ltd プライヤ
KR200270225Y1 (ko) 2001-12-28 2002-03-29 심규명 개선된 손잡이 구조를 갖는 플라이어
KR200375554Y1 (ko) 2004-11-10 2005-03-11 이규상 작업용 플라이어
KR20170096022A (ko) * 2014-12-17 2017-08-23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크림핑 플라이어들, 및 치형부들을 가진 치형식 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065A (ja) * 2000-05-09 2001-11-13 Clover Mfg Co Ltd プライヤ
KR200270225Y1 (ko) 2001-12-28 2002-03-29 심규명 개선된 손잡이 구조를 갖는 플라이어
KR200375554Y1 (ko) 2004-11-10 2005-03-11 이규상 작업용 플라이어
KR20170096022A (ko) * 2014-12-17 2017-08-23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크림핑 플라이어들, 및 치형부들을 가진 치형식 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6495A (zh) * 2021-05-20 2021-07-23 祥鑫(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撬杠抓取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314B1 (ko) 플라이어
JP2009118561A (ja) 碍子バインド
JP5850800B2 (ja) 掴線器
WO2019208650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柱上吊上げ装置、碍子支持具、対電柱固定具及び掛吊具
JPWO2017179550A1 (ja) 掴線器及び該掴線器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JP2002262421A (ja) 電線接地用フック金具
JP6325301B2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US20070164578A1 (en) Pipe engaging and lifting apparatus
JP6967218B2 (ja) 安全器
KR102426022B1 (ko) 와이어 그리퍼
KR20200005231A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1705790B1 (ko) 중량물 집게장치
JP3978274B2 (ja) 固定具
JP3827393B2 (ja) 線状体把持器
JP4187378B2 (ja) ケーブル撚り戻し工具
JP6481444B2 (ja) 間接活線工法
JP2736410B1 (ja) 回転ヤットコ
WO2022168647A1 (ja) 掴線器
CN218708571U (zh) 一种吊装夹具和吊装装置
JP2022010441A (ja) 結束バンド余長切断工具及び切断方法
JP2022020252A5 (ko)
JPH0245305Y2 (ko)
CN206332369U (zh) 导线飞车制动辅助装置
JP2000175323A (ja) 振り子式「の」の字巻付け工具
JPH0656154U (ja) マンホール蓋開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