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904B1 -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904B1
KR102233904B1 KR1020190046212A KR20190046212A KR102233904B1 KR 102233904 B1 KR102233904 B1 KR 102233904B1 KR 1020190046212 A KR1020190046212 A KR 1020190046212A KR 20190046212 A KR20190046212 A KR 20190046212A KR 102233904 B1 KR102233904 B1 KR 10223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tton swab
buffer solution
squeezing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863A (ko
Inventor
조용호
문영주
이웅호
Original Assignee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90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2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mpregnation, e.g. using swabs or loo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6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hemical means or hyd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6Lysis of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는, 검체가 부착된 면봉의 침지를 위한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면봉의 침지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면봉이 상기 침지 경로를 따라 상기 완충 용액에 침지되는 중에 면봉과 접촉하여 검체가 면봉에서 이탈되게 하는 스퀴징부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의 상기 완충 용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침지 경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정의되는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DISPOSABLE BOTTLE FOR DISSOLVING SAMPLE}
본 발명은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장검사(point-of-care test, POCT)란 환자가 있는 곳에서 직접 질병 보유 여부 등을 검사하는 것으로, 병원을 벗어난 지역에서 시행하는 질병 검사를 포함한다.
현장검사의 수요가 많은 곳은 주로 전염성 질병, 풍토병 등이 많은 개발도상국 권역이다. 이 권역은 기후 여건상 현장검사용 진단시약의 보관 조건이 좋지 않다. 또한, 교통수단이 낙후되어 있다. 따라서, 이 권역에서는 병원용 키트로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를 검사시약 수용 용기로 채용하여, 의료시설이 낙후된 지역에서도 현장에서 특별한 의료진 없이도 전염성 질병에 대한 신속 진단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에 검체를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진단자는 면봉을 이용해 환자로부터 검체를 추출하여 용기 내에 넣어서 용기를 쥐어짜는 조작을 해야 한다. 이는 면봉에서 검체를 이탈시켜 용액에 용해시키기 위함이다. 그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50058호(2012.08.09. 공개) 등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한 조작은 진단자의 육체적 피로를 유발하고, 특히 용기의 강도가 높은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 문제가 더욱 부각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용기를 쥐어 짜는 조작 없이도 면봉에서 검체가 이탈되게 하여 진단자의 육체적 피로 발생을 유발하지 않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는, 검체가 부착된 면봉의 침지를 위한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면봉의 침지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면봉이 상기 침지 경로를 따라 상기 완충 용액에 침지되는 중에 면봉과 접촉하여 검체가 면봉에서 이탈되게 하는 스퀴징부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의 상기 완충 용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침지 경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스퀴징부는, 면봉이 통과하면서 스퀴징되게 하는 스퀴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퀴징홀은, 상기 침지 경로에 수직한 단면에서, 부분적으로 면봉의 윤곽선 내로 침범하면서 면봉을 통과시키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완충 용액이 통과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퀴징홀은, 서로 직교하는 제1 직선 및 제2 직선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직선은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직선은 제1 직선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길이 및 상기 제2 길이 중 하나는, 상기 면봉의 외경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퀴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선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퀴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로저는,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완충 용액이 주입되게 허용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 용액의 주입후에 열 또는 초음파 융착되어 폐쇄되는 주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로저는, 상기 주입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입관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 및 상기 클로저는, 상기 완충 용액이 증발되지 않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의하면, 완충 용액을 수용하고 검체를 가진 면봉이 삽입되는 하우징 내에 면봉과 접촉하여 검체가 면봉에서 이탈되게 하는 스퀴징부를 구비함에 의해, 사용자는 하우징을 쥐어짜는 조작 없이도 검체를 완충 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완충 액체의 증발을 막기 위해 하우징을 기존 제품 대비 고밀도의 강도가 높은 재질을 채용하더라도, 역시 그 하우징을 쥐어짤 필요가 없어서 사용자가 조작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주입제거 부재는 하우징 내로 완충 용액이 주입되게 하면서도, 주입 후에 폐쇄되어 완충 용액이 하우징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나아가, 노즐캡은 주입제거 부재가 제거된 후에 하우징에 결합되어 검체가 완충 용액에 용해되어 형성된 희석 용액을 필터링하여 이물질 없이 검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제1 평면(P1)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제2 평면(P2)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퀴징홀(117)을 면봉(S)이 통과하는 상태의 개념적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캡(210)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제1 평면(P1)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제2 평면(P2)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는, 바디(110)와, 주입제거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액체, 구체적으로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구성이다. 완충 용액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검체에서 이물질이 탈리되게 할 수 있다. 바디(110)는, 구조적으로, 하우징(111), 스퀴징부(116), 및 결합부(121)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1)은 대체로 길쭉한 수용 공간(112)을 갖는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112)은 상부 공간(112a)과 하부 공간(1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공간(112a)은 외부로 개방되며, 하부 공간(112b)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공간(112a)과 하부 공간(112b)의 구분은 대체로 스퀴징부(116)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1)은 또한, 재질 면에서, 완충 용액이 증발되지 않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1)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성상은 반투명 고체이다. 본 발명자는, 하우징(111)이 밀도가 0.94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서 0.5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하우징(111) 내부의 완충 용액의 증발율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가 세계보건기구(WHO)의 평가 승인 기준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스퀴징부(116)는 하우징(111)에 형성되어, 하우징(111) 내로 진입하는 면봉과 접촉되는 구성이다. 면봉은 대체로 침지 경로(D)를 따라 하우징(111) 내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침지 경로(D)는 대체로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을 따르며 상부 공간(112a)에서 하부 공간(112b)을 향한 방향을 따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스퀴징부(116)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11) 중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스퀴징부(116)는 면봉이 쥐어 짜지면서 통과되게 하는 스퀴징홀(117)을 구비할 수 있다. 스퀴징홀(117)은 최소 단면부(117a), 상부 테이퍼부(117b), 그리고 하부 테이퍼부(117c)로 구성될 수 있다. 최소 단면부(117a)는 스퀴징홀(117)에서 단면적이 가장 작은 영역으로서, 침지 경로(D)에 수직한 단면일 수 있다. 상부 테이퍼부(117b)는 최소 단면부(117a)에서 상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와 반대로, 하부 테이퍼부(117c)는 최소 단면부(117a)에서 하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스퀴징부(116)는 하우징(111)의 상부보다는 하부에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121)는 하우징(111)의 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노즐캡(210, 도 6 참조)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결합부(121)는 걸림홈(123)과 스토퍼(125)를 가질 수 있다. 걸림홈(123)은 하우징(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그루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125)는 하우징(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25)는 걸림홈(123) 보다는 하우징(111)의 상단에서 먼 곳에 위치하게 된다.
주입제거 부재(150)는 하우징(111)에 완충 용액이 주입되게 하고 또한 차후 제거될 수 있는 구성이다. 주입제거 부재(150)는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112)에 완충 용액이 주입된 후에 내부 공간(112)을 폐쇄한다는 점에서 클로저(closer)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주입제거 부재(150)는, 구체적으로, 주입관(151)과, 손잡이부(156), 그리고 절취부(161)를 가질 수 있다. 주입관(151)은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112)에 연통되어 완충 용액이 내부 공간(112)으로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완충 용액이 주입된 후에, 주입관(151)의 상단부(153)는 열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나아가, 주입관(151)의 유로는 하우징(111)의 중심축과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6)는 주입관(15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56)에서, 주입관(15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취부(161)는 주입관(151)과 손잡이부(156)를 하우징(111)에 연결하고, 또한 손잡이부(156)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단되는 부분이다. 절취부(161)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주입제거 부재(150) 역시 하우징(111)과 같이 완충 용액이 증발되지 않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는 바디(110)와 주입제거 부재(150)가 일체화된 채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바디(110)와 주입제거 부재(150)를 각기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수와 생산 단계를 줄여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바디(110)와 주입제거 부재(150)가 형성된 후에, 주입제거 부재(150)의 주입관(151)을 통해서 하우징(111) 내로 완충 용액이 주입될 수 있다. 완충 용액은 내부 공간(112)에 수용된다. 이후 주입관(151)의 상단(153)이 열융착되어, 완충 용액은 하우징(111)과 주입관(151)에 의해 폐쇄된 공간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보관시에, 바디(110)와 주입제거 부재(150)가 고밀도 재질로 형성됨에 의해, 완충 용액은 거의 증발되지 않고 초기 주입량을 유지할 수 있다.
질병 진단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주입제거 부재(150)의 손잡이부(156)를 잡고서 주입제거 부재(150)를 바디(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절취부(161)의 파단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면봉으로 검체(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진단 시에 코속에서 얻어지는 콧물)를 채취한 후에, 검체가 묻은 면봉을 하우징(111)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면봉은 침지 경로(D)를 따라 완충 용액 내로 침지된다. 나아가, 그 과정에서, 면봉은 스퀴징부(116)의 스퀴징홀(117)을 통과하면서 쥐어 짜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하우징(111)을 쥐어짜서 면봉이 쥐어 짜지게 하지 않고, 단지 면봉을 침지 경로(D)를 따라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까지 포함해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면봉에서 검체가 이탈될 수 있다. 이탈된 검체는 완충 용액에 용해되어, 희석 용액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스퀴징부(116)의 스퀴징홀(117)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100)에 대해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퀴징홀(117)[구체적으로, 최소 단면부(117a), 도 3 참조]은 서로 길이가 다른 2개의 직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퀴징홀(117)의 일 방향을 따른 양 지점을 연결한 제1 직선(118a)과 그에 수직한 타 방향을 따른 양 지점을 연결한 제2 직선(118b)이 그들이다.
여기서, 제1 직선(118a)의 길이(제1 길이)는 제2 직선(118b)의 길이(제2 길이)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길이는 면봉(S, 도 5)의 외경보다 큰 것이며, 제2 길이는 면봉(S)의 외경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의해, 스퀴징홀(117)은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퀴징홀(117)은 직사각형 형상이나 트랙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스퀴징홀(117)을 면봉(S)이 통과하는 상태의 개념적 횡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퀴징홀(117)에 대한 횡단면에서, 스퀴징홀(117)은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면봉(S)은 대체로 원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면봉(S)은 스퀴징홀(117) 내로 침투하여, 침지 경로(D, 도 3 참조)를 따르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퀴징홀(117)[구체적으로, 최소 단면부(117a), 도 3 참조]은 면봉(S)과의 관계에서 제1 영역(119a)과, 제2 영역(119b)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영역(119a)은 면봉(S)이 통과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119a)은 부분적으로 면봉(S)의 영역 내로 침범한다. 이는, 역으로, 면봉(S)의 가장자리 부분(C)이 압축되면서{압축된 면봉은 S'로 표시함} 제1 영역(119a)을 통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 과정에서의 스퀴징부(116)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면봉(S)에서 검체가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제2 영역(119b)은 제1 영역(119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제2 영역(119b)을 통해서는 완충 용액이 스퀴징홀(117)을 통과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 제2 영역(119b)은 제1 영역(119a)의 양측에 제1 직선(118a)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각각 존재하는 한 쌍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상과 달리, 스퀴징부(116)는 타원형 등의 스퀴징홀(117)을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111)의 내면에서 스퀴징 돌기가 하우징(111)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한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퀴징 돌기 역시 침지 경로(D)로 진입하는 면봉(S)과 접촉하여 그로부터 검체가 이탈되게 하는 점은 스퀴징홀(117)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주입제거 부재(150)가 하우징(111)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하우징(111)에 결합부(121)를 통해 결합되는 노즐캡(210)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노즐캡(210)은 바디(110) 및 주입제거 부재(150, 이상 도 1 참조)와 함께 검체의 용해와 토출을 위한 일회용 키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캡(210)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노즐캡(210)은 주입제거 부재(150)가 제거된 후에 하우징(111)에 결합되고, 희석 용액을 필터링하여 토출하는 구성이다. 토출된 희석 용액은 진단 장치에 점적되어, 질병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노즐캡(210)은, 몸체(211), 고정 후크(216), 제한턱(221), 및 필터(226)를 가질 수 있다.
몸체(211)는 수용부(212)와 토출부(213)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212)는 주입제거 부재(150)가 제거된 하우징(111)에서 결합부(121)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토출부(213)는 수용부(212)에서 돌출 연장되면서, 수용부(212) 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토출부(213)를 통해서는 하우징(111) 내의 희석 용액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고정 후크(216)는 몸체(2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후크(216)는 몸체(211)의 내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을 갖는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후크(216)는 몸체(211)가 결합부(12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걸림홈(123, 도 1 참조)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한턱(221)은 몸체(211)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제한턱(221)은 고정 후크(216) 보다 토출부(21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한턱(221)은 고정 후크(216)와 유사하게 링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필터(226)는 몸체(21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희석 용액을 필터링하는 구성이다. 필터(226)는 희석 용액 중에 고형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필터(226)는 제한턱(221)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끼워져서 몸체(211)와 원터치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11)의 결합부(121)에 몸체(211)를 결합함에 있어서, 몸체(211)에 하우징(111)을 밀어 넣기만 하면 그들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는 고정 후크(216)가 걸림홈(123)에 삽입 고정됨에 의해, 그들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필터(226)는 제한턱(221)에 걸리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몸체(2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바디(110)와 노즐캡(210)을 결합한 후에, 희석 용액을 토출부(213)를 통해 진단 장치에 점적하는 과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110: 바디
111: 하우징 116: 스퀴징부
117: 스퀴징홀 121: 결합부
150: 주입제거 부재/클로저 151: 주입관
156: 손잡이부 161: 절취부
210: 노즐캡 211: 몸체
216: 고정 후크 221: 제한턱
226: 필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검체가 부착된 면봉의 침지를 위한 완충 용액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공간에서 면봉의 침지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면봉이 상기 침지 경로를 따라 상기 완충 용액에 침지되는 중에 면봉과 접촉하여 검체가 면봉에서 이탈되게 하는 스퀴징부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의 상기 완충 용액의 누출을 차단하는 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침지 경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정의되고,
    상기 스퀴징부는, 면봉이 통과하면서 스퀴징되게 하는 스퀴징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퀴징홀은, 최소 단면부; 상기 최소 단면부에서 상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테이퍼부; 및
    상기 최소 단면부에서 하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소 단면부는, 상기 침지 경로에 수직한 단면에서, 서로 직교하는 제1 직선 및 제2 직선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직선은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직선은 제1 직선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면봉의 외경의 길이 보다 큰 것이며,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면봉의 외경의 길이 보다 작은 것이고,
    상기 최소 단면부는, 상기 침지 경로에 수직한 단면에서, 부분적으로 면봉의 윤곽선 내로 침범하면서 면봉을 통과시키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완충 용액이 상기 스퀴징홀을 통과하여 유동하게 허용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단면부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는,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완충 용액이 주입되게 허용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 용액의 주입후에 열 또는 초음파 융착되어 폐쇄되는 주입관을 포함하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는,
    상기 주입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입관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12. 삭제
KR1020190046212A 2019-04-19 2019-04-19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KR10223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12A KR102233904B1 (ko) 2019-04-19 2019-04-19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12A KR102233904B1 (ko) 2019-04-19 2019-04-19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63A KR20200122863A (ko) 2020-10-28
KR102233904B1 true KR102233904B1 (ko) 2021-03-30

Family

ID=7301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12A KR102233904B1 (ko) 2019-04-19 2019-04-19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9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058A (ja) * 2011-01-20 2012-08-09 Toppan Printing Co Ltd 試薬容器、及び検出キット
KR101626189B1 (ko) 2009-10-13 2016-05-31 사이토메딕스, 인크. 생물학적 유체들의 분리를 위한 키트
JP2017026554A (ja) * 2015-07-27 2017-02-02 Solize株式会社 検体採取器具、検出容器及び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1U (ko) * 1989-05-24 1991-01-08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189B1 (ko) 2009-10-13 2016-05-31 사이토메딕스, 인크. 생물학적 유체들의 분리를 위한 키트
JP2012150058A (ja) * 2011-01-20 2012-08-09 Toppan Printing Co Ltd 試薬容器、及び検出キット
JP2017026554A (ja) * 2015-07-27 2017-02-02 Solize株式会社 検体採取器具、検出容器及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63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9093B2 (ja) 検体の採取方法および検査方法
JP5154979B2 (ja) 医療用サンプリングバルブ
JP4869910B2 (ja) 液体貯留容器、液体採取器具及び採血器具
CN103167910B (zh) 用于分析样品液的微流体元件
JP4879704B2 (ja) 採血初流除去バッグ及び採血初流除去セット並びに血液バッグ
JP2021521430A (ja) 安全弁と取り外し可能なサンプルホルダとを備えるパウチ
EP0452902A2 (en) Hollow fiber type liquid processing apparatus
KR102233904B1 (ko) 일회용 검체 용해 용기
US20210015413A1 (en) Fluid collec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2014502362A (ja) 光学分析用の流体処理チューブ、および流体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
JP2015187592A (ja) 血液試料分注用アダプタ並びにそれを備えた分注キット及び針キット
KR101821020B1 (ko) 일체형 타액채취기
US20110015543A1 (en) Fluid sample collection system
JP2009042081A (ja) 試料抽出容器
US661299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5967096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11093260A1 (ja) 採血初流除去バッグ及び採血初流除去セット
JP4173831B2 (ja) サンプリングデバイス
JP2017015536A (ja) 血液分析方法および血液分析装置
JPWO2016158471A1 (ja) 樹脂成形体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成形体
JP2007117210A (ja) 混注管および弁装置
US6221307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008295705A (ja) 採血管用栓体
JP5368466B2 (ja) 採血初流除去バッグ及び採血初流除去セット並びに血液バッグ
JP2021536571A (ja) 条線を有する試験管およびこれを用いる流体移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