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877B1 -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877B1
KR102233877B1 KR1020190038084A KR20190038084A KR102233877B1 KR 102233877 B1 KR102233877 B1 KR 102233877B1 KR 1020190038084 A KR1020190038084 A KR 1020190038084A KR 20190038084 A KR20190038084 A KR 20190038084A KR 102233877 B1 KR102233877 B1 KR 10223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solar cell
fixing
fixing member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371A (ko
Inventor
김정근
김장용
송용
염정환
우정훈
전준호
정영복
최윤석
황언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877B1/ko
Priority to US16/825,793 priority patent/US11302837B2/en
Priority to EP20783418.5A priority patent/EP3951891A4/en
Priority to PCT/KR2020/004323 priority patent/WO2020204527A1/ko
Priority to CN202080037097.7A priority patent/CN113892191A/zh
Publication of KR2020011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연결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 상기 태양 전지부를 둘러싸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커버 부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는 복수 개가 인터커넥터에 의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태양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패키징(packaging) 공정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형태로 제조된다. 최근 태양 전지 패널을 주택, 건물, 차량 등에 일체화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태양 전지 패널의 적용 분야에 따라 기존에 엄격하게 요구되지 않던 특성이 추가로 또는 엄격하게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발전용으로 구비된 태양 전지 패널은 옥상 등에 설치되므로 우수한 외관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지 않았다. 그리고 발전용으로 구비된 태양 전지 패널은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태양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태양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에서는 고정 부재가 밀봉재에 전체적으로 감싸질 수 있어 고정 부재에 의한 수분 침투 등의 문제의 발생 가능성도 낮았다.
반면, 태양 전지 패널을 주택, 건물, 차량 등에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우수한 외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이 차량 등에 적용되어 곡면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곡면 형태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을 구성하는 다양한 층 또는 부재의 위치가 원하지 않게 변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고정 부재가 외부에서 쉽게 인식되지 않아야 하며 고정 부재가 위치한 부분에서 수분 침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또는 곡면 형태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이 요구된다.
종래에 일본등록특허 제4207456호에 태양 전지와 밀봉재를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테이프는 태양 전지와 밀봉재를 고정하는 것이므로, 곡면 형태를 가지는 커버 부재와 복수의 태양 전지 및 이에 연결되는 배선부 등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고정 테이프는 고정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바 최종 구조에서 쉽게 인식되는지 여부가 전혀 고려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중시되는 차량에 적용되는 태양 전지 패널에 적합하지 않다.
일본등록특허 제4207456호(발명의 명칭: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임시정지용 테이프)
본 발명은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우수한 외관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태양 전지와 배선부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우수한 얼라인 특성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우수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수분 침투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어 우수한 신뢰성 및 외관을 가질 수 있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면 형태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신뢰성 및 외관을 가질 수 있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 상기 태양 전지부를 둘러싸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커버 부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태양 전지부가 상기 태양 전지에 연결되는 배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용융 타입(melting type)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 부재, 그리고 상기 태양 전지부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부재가 상기 제2 커버 부재 또는 상기 밀봉재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밀봉재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중첩하여 위치하는 내측 부분과,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 고정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상기 고정 부재의 연장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밀봉재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가 상기 밀봉재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과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태양 전지에 비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태양 전지 스트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태양 전지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태양 전지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태양 전지 스트링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가 상기 태양 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위치하는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버스 리본 사이에 이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이 차량의 지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이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부재가 곡면 형태를 가지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층 단계에서 제1 커버 부재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태양 전지부가 상기 태양 전지에 연결되는 배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적층 단계에서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적층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제1 밀봉재, 태양 전지 및 상기 배선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 제2 밀봉재, 그리고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차례로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 단계 이후에 상기 적층 구조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라미네이션하는 라미네이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에서 녹는 용융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그리고 상기 태양 전지부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상기 접착층이 접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위에 상기 제1 밀봉재 및 상기 태양 전지부를 위치시키는 공정; 상기 태양 전지부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태양 전지부 위에 상기 제2 밀봉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과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상기 제2 밀봉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사이에,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버스 리본 사이에 이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부재가 곡면 형태를 가지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제1 커버 부재, 태양 전지부 및 제2 커버 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용융 타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면 고정 부재를 쉽게 인식되지 않도록 하며 밀봉재가 고정 부재를 빈틈 없이 둘러 싸서 수분 침투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적용되거나 곡면 형태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정 부재를 이용한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적용되거나 곡면 형태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에 적용되어 태양 전지 패널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이 차량의 지붕에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에서 제2 밀봉재, 제2 커버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후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하되, 제2 밀봉재, 제2 커버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후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후면 평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이 차량(1)의 지붕에 적용된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차량(1)의 지붕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 패널(100)은 차량(1)의 지붕 형상에 맞추어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차량(1)의 지붕에 두 개의 태양 전지 패널(100)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면, 두 개의 태양 전지 패널(100) 중 하나가 차량(1)의 지붕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붕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1)의 지붕에 실내와 외부를 소통시킬 수 있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 패널(100)이 차량(1)의 지붕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차량(1)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태양 전지 패널(100)이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차량(1)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개수, 배치, 설치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 전지 패널(100)은 차량(1)의 지붕 또는 차량(1)에 설치된 프레임 등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 형태를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을 도시한 후면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100)에서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 및 제2 고정 부재(154)를 도시하지 않은 후면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V-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4에서는 버스 리본(14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태양 전지(142) 및 이에 연결되는 배선부(144)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140)와, 복수의 태양 전지부(140)를 둘러싸서 밀봉하는 밀봉재(130)와,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4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커버 부재(110)과, 밀봉재(130) 위에서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120)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태양 전지부(140) 및 제2 커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태양 전지(142)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수집하여 전달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태양 전지(142)는 배선부(14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 전지(142)는 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 기판과, 이에 또는 이 위에 형성된 반도체 물질(일 예로, 실리콘)로 구성된 도전형 영역을 포함하는 실리콘 태양 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태양 전지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을 가지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비정질 태양 전지, 박막 태양 전지, 염료 감응 태양 전지, 탠덤형 태양 전지, 화합물 반도체 태양 전지 등 다양한 구조의 태양 전지를 태양 전지(142)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태양 전지(142)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태양 전지(142)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선부(144)는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복수의 태양 전지(142)를 연결하는 인터커넥터(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커넥터(146)는 복수의 태양 전지(142) 중에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에서 반복하여 제1 방향으로 하나의 열(列)을 구성하는 태양 전지 스트링(S)을 형성할 수 있다. 인터커넥터(146)는 와이어, 배선재, 리본 등 다양한 형상, 구조 등을 가질 수 있고, 인터커넥터(146)의 개수, 배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인터커넥터(146)가 하나의 태양 전지(142)의 전면에 위치한 제1 전극으로부터 이에 이웃한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위치한 제2 전극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전극이 일정한 패턴을 가져 태양 전지(142)가 양면으로 광이 수광되는 양면 수광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형성된 제2 전극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후면으로 광이 입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이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함께 위치하여 태양 전지(142)가 후면 전극 구조를 가지고, 인터커넥터(146)가 이웃한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서 이웃한 태양 전지(142)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배선부(144)는 태양 전지 스트링(S)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버스 리본(148)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리본(148)은, 서로 인접하는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연결하거나,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션 박스(미도시) 등의 단자함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리본(148)은 태양 전지 스트링(S)의 단부에서 태양 전지 스트링(S)의 연장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 리본(148)은 태양 전지 스트링(S)의 양단부에 위치한 인터커넥터(146)를 교대로 연결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직렬 연결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의 일측(도 3의 상측)에 위치한 제1 버스 리본(148a)이 태양 전지 스트링(S)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 부분(MP)과 정션 박스 등의 단자함에 연결되도록 연장된 연장 부분(EP)을 포함하고, 제1 방향의 타측(도 3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버스 리본(148b)이 태양 전지 스트링(S)에 연결되는 메인 연결 부분(MP)을 포함한다. 제1 버스 리본(148a)과 제2 버스 리본(148b)은 태양 전지 스트링(S)을 교대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리본(148a)이 제1 태양 전지 스트링(S1)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버스 리본(148b)이 제1 태양 전지 스트링(S1) 및 제2 태양 전지 스트링(S2)을 타측에서 연결하고, 또 다른 제1 버스 리본(148a)이 제2 태양 전지 스트링(S2) 및 제3 태양 전지 스트링(S3)을 일측에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반복되어 복수의 태양 전지 스트링(S)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제1 버스 리본(148a)의 연장 부분(EP)은 버스 리본(148)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양측 외측에 위치한 제1 버스 리본(148a)의 연장 부분(EP)은 메인 연결 부분(MP)의 내측 단부에서 하부측으로 절곡된 이후에 단자함의 위치를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다시 절곡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에 위치한 또 다른 제1 버스 리본(148a)의 연장 부분(EP)은 단자함의 위치를 향해 내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외측에 위치한 제1 버스 리본(148a)의 연장 부분(EP)보다 내측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제1 버스 리본(148a)의 연장 부분(EP)이 원하지 않게 중첩되거나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복수의 제1 버스 리본(148a)과 태양 전지(142)의 중첩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버스 리본(148a)의 적어도 일부가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일측(일 예로, 상측)에 위치하는 태양 전지(142)의 적어도 일부(일 예로, 일측 단부에 위치한 태양 전지(142)의 일부)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버스 리본(148a)을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중접하여 위치시키면, 제1 버스 리본(148a)이 전면에서 인식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태양 전지 패널(100)에서 광전 변환에 관여하지 않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태양 전지 스트링(S)과 제1 버스 리본(148a)이 겹치는 부분에서 태양 전지 스트링(S)과 제1 버스 리본(148a) 사이에 절연 부재(149)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 부재(149)에 의하여 태양 전지 스트링(S)과 제1 버스 리본(148a)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전기적 연결을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부재(149)는 각 일측에 위치한 태양 전지(142)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태양 전지 스트링(S)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연 부재(149)는 알려진 다양한 절연 물질(일 예로, 수지)을 포함할 수 있고, 필름, 시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부재(149)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절연 부재(149)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재(130)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밀봉재(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가져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절연 부재(149)는 제2 커버 부재(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 부재(149)가 투명하거나 제2 커버 부재(120)와 다른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버스 리본(148)의 물질, 형상, 연결 구조, 절연 부재(149)의 물질,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봉재(130)는, 태양 전지부(14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31)와, 태양 전지부(14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는 수분과 산소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각 요소들을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는 투광성 및 접착성을 가지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 규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공정 등에 의하여 제2 커버 부재(120), 제2 밀봉재(132), 태양 전지부(140), 제1 밀봉재(131), 제1 커버 부재(110)이 일체화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을 구성할 수 있다.
참조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의 경계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일체화되어 이들 사이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110)은 제1 밀봉재(131)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면을 구성하고, 제2 커버 부재(120)은 제2 밀봉재(132)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후면을 구성한다. 제1 커버 부재(110) 및 제2 커버 부재(120)은 각기 외부의 충격, 습기, 자외선 등으로부터 태양 전지(142)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 부재(110)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물질로 구성되고, 제2 커버 부재(120)은 투광성 물질, 비투광성 물질, 또는 반사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 부재(110)이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커버 부재(120)가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부재(120)이 TPT(Tedlar/PET/Tedlar) 타입을 가지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폴리불화비닐리덴(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커버 부재(120)가 시트로 형성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무게를 줄여 차량(1)에 적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커버 부재(120)는 일정한 색상을 가져 광이 투과되지 않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백색, 흑색 등을 가지는 시트를 제2 커버 부재(120)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외관 등을 고려한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커버 부재(120)가 광이 투과되는 투광성 물질(일 예로, 투명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때, 태양 전지(142)가 양면 수광형 구조를 가지면 태양 전지 패널(110)이 양면 수광형 구조를 가져 양면으로 수광되는 광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제1 커버 부재(110), 또는 제2 커버 부재(120)가 상술한 설명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부재(110) 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이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기판, 필름, 시트 등) 또는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커버 부재(110)가 밀봉재(130) 및 제2 커버 부재(12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커버 부재(110)의 외곽 부분이 차량(1)의 차체 또는 프레임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밀봉재(130)가 제2 커버 부재(120)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밀봉재(130)가 제2 커버 부재(120)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일정한 공정 마진을 확보하여 제1 커버 부재(110)과 제2 커버 부재(120) 사이에서의 밀봉 특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발전용 등으로 사용되는 태양 전지 패널에서는 밀봉재가 제1 및/또는 제2 커버 부재보다 큰 면적을 가지면 트리밍(trimming) 공정 등으로 제1 및/또는 제2 커버 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곽 부분이 차량(1)의 차체 또는 프레임 등에 고정되므로 별도로 트리밍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밀봉재(130)가 제2 커버 부재(12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거나, 또는 제2 커버 부재(12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은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제1 커버 부재(110)(일 예로, 원하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 제1 커버 부재(110)) 위에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부(140),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일 예로,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로 구성된 제2 커버 부재(120))을 위치시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여 곡면 형태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곡면 형태를 가진다 함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100) 또는 제1 커버 부재(110)가 곡면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원하지 않게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태양 전지부(140)의 위치,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제2 커버 부재(120)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부(140) 및 제2 커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150)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50)는 제1 고정 부재(152) 및 제2 고정 부재(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 부재(152)는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과 태양 전지부(140)의 후면에서 제1 커버 부재(110)와 태양 전지부(14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부재(154)는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과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에서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150)가 제1 고정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태양 전지부(140)의 고정이 신뢰성, 외관 부분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 부재(152)는 태양 전지부(140)의 일부의 후면으로부터 밀봉재(130)의 외부까지 인출되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152)가 버스 리본(148)의 후면과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서 버스 리본(148)과 제1 커버 부재(110)를 고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152)가 버스 리본(148)의 후면으로부터 밀봉재(130)의 내부(좀더 구체적으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 사이)를 지나 외부까지 인출되고 적어도 제1 밀봉재(13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후에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도달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재(130)의 면적이 제2 커버 부재(120)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제1 고정 부재(152)가 제1 밀봉재(131)의 후면 및 측면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152)는 버스 리본(148)의 후면에만 위치하고 태양 전지(142)에 비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고정 부재(152)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제1 고정 부재(152)가 전면에서 인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 부재(152)에 의하여 제1 커버 부재(110)의 정해진 위치에 태양 전지부(1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 형태의 제1 커버 부재(110) 위에 태양 전지부(140)가 위치한 경우에도 태양 전지부(140)를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태양 전지부(140)를 구성하는 태양 전지(142)와 배선부(144)가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54)는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으로부터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제2 커버 부재(120)와 제1 커버 부재(110)를 고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고정 부재(154)가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으로부터 적어도 제2 밀봉재(132)의 측면 및 제1 밀봉재(13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후에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도달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재(130)의 면적이 제2 커버 부재(120)의 면적보다 큰 경우에는 제2 고정 부재(152)가 제2 밀봉재(132)의 후면 및 측면, 그리고 제1 밀봉재(131)의 측면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 부재(154)에 의하여 제2 커버 부재(120)의 정해진 위치에 제1 커버 부재(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 형태의 제1 커버 부재(110) 위에 제2 커버 부재(120)가 위치한 경우에도 제2 커버 부재(120)를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50)가 제1 고정 부재(152) 및 제2 고정 부재(154)를 각기 포함하여 제1 커버 부재(110), 태양 전지부(140) 및 제2 커버 부재(120)가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을 구성하며 원하는 위치에 정렬되어야 하는 제1 커버 부재(110), 태양 전지부(140), 제2 커버 부재(120)를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고정 부재(152)는, 밀봉재(130)의 내부에서 위치하는 제1 내측 부분(152a)과, 밀봉재(13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1 외측 부분(15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부재(152)는 제2 커버 부재(120)에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내측 부분(154a)과, 제2 커버 부재(1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2 외측 부분(15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 부재(152, 154)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부(140) 및 제1 커버 부재(110)를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하면 고정 안정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측 부분(152a)은 밀봉재(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융 타입(melting type)인 경우에는 밀봉재(130)와의 경계가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1 고정 부재(142)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재(130)와 다른 물질을 포함하므로 성분 분석 등을 통하여 고정 부재(150)가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 밀봉재(130) 내에 위치하는 제1 고정 부재(152)가 육안으로 쉽게 인식되지는 않더라도 현미경 등을 통하여 밀봉재(130) 내에 고정 부재(150)가 구비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외측 부분(152b)에서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위치한 부분, 제2 고정 부재(154) 등은 그 형태가 유지되어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차량(1)의 차체 또는 프레임 등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에 위치하여 차량(1)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이하, 고정 부재(150))는 접착 특성을 가져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와 제1 커버 부재(110)에 접착되어 이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50)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제1 커버 부재(110),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이들의 후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곡면 형태의 제1 커버 부재(110)를 구비할 경우에 라미네이션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의 원하지 않는 유동 방지를 위하여 고정 부재(150)를 사용한다.
고정 부재(150)는 접착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 구조,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50)는 절연성 접착부(일 예로, 절연성 접착 테이프)의 형태를 가져 원하는 위치에 쉽게 접착되어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와 제1 커버 부재(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50)가 용융 타입(meting type)의 절연성 접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50)가 용융 타입(meting type)의 절연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고정 부재(150)가 라미네이션 공정의 온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가져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용융되어 제1 커버 부재(110),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에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50)는 제1 및/또는 제2 밀봉재(131, 132)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도 밀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커버 부재(110), 태양 전지부(140), 제2 커버 부재(120), 그리고 제1 및/또는 제2 밀봉재(131, 132)와 고정 부재(150) 사이에 에어 트랩(air trap)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재(13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고정 부재(150)(일 예로, 제1 고정 부재(152))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밀봉재(130)가 위치한 부분에서는 고정 부재(150)가 밀봉재(13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수분 침투에 의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고온고습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반면, 고정 부재가 비용융 타입(non-melting type)으로 구비되면 밀봉재(130)와 고정 부재 사이가 일부 벌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될 수 있다. 그러면, 태양 전지 패널의 고온고습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50)가 용융 타입으로 구성되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밀봉재(130)와 함께 용융되므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면으로 볼 때 밀봉재(130)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좀더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152)의 제1 내측 부분(152a))와 고정 부재(150)의 경계가 쉽게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고정 부재(150)가 쉽게 인식되지 않아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관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태양 전지 패널(100)이 외관이 중시되는 차량(1)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50)는, 베이스 부재(150a)와, 베이스 부재(150a)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150b)을 포함하는 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라미네이션 공정에서는 접착층(150b)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 태양 전지부(15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고정 부재(150)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밀봉재(130)의 외부에 위치한 부분, 즉, 제1 고정 부재(152)의 제1 외측 부분(152b), 제2 고정 부재(154)는 접착층(150b)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 밀봉재(130)의 적어도 측면, 제2 커버 부재(110)의 후면 등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150a)은, 용융 온도가 라미네이션 공정의 온도보다 낮아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녹을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부재(150a)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물질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용융 온도가 170℃ 이하로서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녹을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150b)은 접착 특성을 가지며 용융 온도가 라미네이션 공정의 온도보다 낮아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녹을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착층(150b)은 아크릴, 실리콘 또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용융 온도가 170℃ 이하로서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녹을 수 있는 접착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150), 또는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은 라미네이션 공정 후에 투명하여 외부에서 인식되기 어렵게 하는 투명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고정 부재(150), 또는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가 특정한 색상, 질감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150a), 접착층(150b), 또는 이를 구성하는 물질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녹는다는 것은 완전히 연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점성을 가지는 페이스트 상태로 연화되고,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 다시 경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 부재(150) 또는 이를 구성하는 물질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연화되므로 밀봉재(130)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의 부분(좀더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152)의 제1 내측 부분(152a))은 밀봉재(130)과 함께 연화되었다가 경화되므로 밀봉재(130)와 이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의 부분이 서로 사이의 간격 없이 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재(130)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의 부분이 전체적으로 밀봉재(130)에 의하여 밀봉되어 둘러싸이므로 수분 침투 경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50)의 두께는 밀봉재(13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150)의 두께는 밀봉재(130)의 전체 두께(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 사이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150)의 두께는 제1 밀봉재(130)의 두께(제1 커버 부재(110)와 태양 전지부(140) 사이의 두께) 및 제2 밀봉재(130)의 두께(태양 전지부(140)와 제2 커버 부재(120) 사이의 두께) 각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 부재(150)(즉, 제1 고정 부재(152))가 밀봉재(130) 내부에 위치하여도 구조적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50)의 두께가 1um 내지 200um(일 예로, 5um 내지 100u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150)가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150)의 연장 방향(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로부터 제1 커버 부재(110)까지 연장되는 방향)보다 이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고정 부재(150)의 폭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150)의 연장 방향을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폭은 작게 하여 고정 부재(150)의 재료 비용을 줄이고 고정 부재(150)가 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150)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부재(152) 및 제2 고정 부재(154)가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152) 및 제2 고정 부재(154)가 태양 전지 패널(100)의 모서리 부근에 인접한 부분에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 부근에 인접한 부분이라 함은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더 짧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 부재(15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4)가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양측 단부에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이러한 유동 경로를 통하여 기포가 외부로 안정적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양측 단부에 기포가 잔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제1 고정 부재(15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4)가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 단부에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유동 경로를 막아 기포 등의 잔류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 부재(152)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4)가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 부재(150)는 버스 리본(148) 및 절연 부재(149)의 후면에서 버스 리본(148) 및 절연 부재(149)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버스 리본(148)와 태양 전지(142)의 후면 사이에 절연 부재(149)가 위치하므로, 절연 부재(149)의 후면 위에 버스 리본(148)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절연 부재(149) 및 버스 리본(148)의 후면을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156)가 절연 부재(149) 및 버스 리본(148)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버스 리본(148)과 태양 전지(142) 사이에 절연 부재(149)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고정 부재(156)는 양측에 위치한 각 제1 버스 리본(148a)을 하나씩 대칭 구조로 절연 부재(149)에 고정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버스 리본(148)(즉, 복수의 제1 버스 리본(148a))과 절연 부재(149)의 위치 고정을 좀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으로 버스 리본(148)이 인출되는 중앙 부분에서 이격하도록 제3 고정 부재(156)를 위치시켜 버스 리본(148)를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버스 리본(148a)의 일부에는 제3 고정 부재(156)가 위치하고 다른 일부에는 제3 고정 부재(156)가 위치하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다. 버스 리본(148)과 절연 부재(149)를 고정하면서도 제3 고정 부재(156)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고정 부재(156)의 위치, 개수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고정 부재(156)가 제1 버스 리본(148) 전체를 각기 모두 고정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버스 리본(148)에 대응하는 제3 고정 부재(156)가 북수 또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3 고정 부재(156)는,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고정 부재(156)는, 접착층(150b)이 버스 리본(148)의 후면 위에서 절연 부재(148)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버스 리본(148)을 절연 부재(148)의 후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고정 부재(156)의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의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3 고정 부재(156)의 두께에 대해서는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의 두께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제3 고정 부재(156)의 연장 방향의 길이가 제3 고정 부재(156)의 폭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고정 부재(152, 154, 156)는 서로 동일한 물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고정 부재(152)가 태양 전지(142)에 비중첩되도록 위치하여 태양 전지(142)와 제1 커버 부재(110)에 직접 연결되어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 부재(152)가 버스 리본(148) 및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함께 부착되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이 변형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50)가 버스 리본(148)에 중첩 또는 연결되지 않고 태양 전지(142)와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서 태양 전지(142)와 제1 커버 부재(110)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추가 고정 부재(15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참조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하되, 도 3에서와 같이 제2 밀봉재, 제2 커버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후면 평면도이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태양 전지(142)를 고정하는 셀간 고정 부재(15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셀간 고정 부재(159)는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는 인터커넥터(146)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 또는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 스트링(S)에 걸쳐서 셀간 고정 부재(159)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셀간 고정 부재(159)는 모든 태양 전지(142)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태양 전지(142)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예로, 버스 리본(148)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태양 전지(142)를 셀간 고정 부재(159)가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의 일측(도 3의 상측)에서는 제1 버스 리본(148a)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은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 스트링(S)(예를 들어, 제1 태양 전지 스트링(S1)과 제2 태양 전지 스트링(S2), 또는 내부에 대칭되게 위치한 두 개의 제3 태양 전지 스트링(S3))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142)에 걸쳐 셀간 고정 부재(159)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의 타측(도 3의 하측)에서는 제2 버스 리본(148b)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은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 스트링(S)(예를 들어, 제1 태양 전지 스트링(S1)과 제2 태양 전지 스트링(S3))에 포함된 두 개의 태양 전지(142)에 걸쳐 셀간 고정 부재(159)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버스 리본(148)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은 이웃한 태양 전지(142)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셀간 고정 부재(159)가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셀간 고정 부재(159)는,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을 구비할 수 있다. 셀간 고정 부재(159)는, 접착층(150b)이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제2 방향으로 이웃한 두 개의 태양 전지(142)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셀간 고정 부재(159)의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의 베이스 부재(150a) 및 접착층(150b)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셀간 고정 부재(159)의 두께에 대해서는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의 두께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셀간 고정 부재(159)의 연장 방향의 길이(제2 방향에서의 길이)가 셀간 고정 부재(159)의 폭(제1 방향에서의 폭)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셀간 고정 부재(159)는 제1 내지 제3 고정 부재(152, 154, 156)는 서로 동일한 물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 및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3 고정 부재(152, 154, 156) 및 셀간 고정 부재(159)가 모두 동일한 물질 및 구조를 가지면, 한 종류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 부재(152), 제2 고정 부재(154), 제3 고정 부재(156), 셀간 고정 부재(159), 추가 고정 부재(158)의 부착 위치, 개수, 부착 각도 등은 태양 전지 패널(100) 또는 제1 커버 부재(110)의 곡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 부재(110)와,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150)를 구비하여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에 적용되거나 곡면 형태를 구비하여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의 위치가 원하지 않게 변화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되어 제1 커버 부재(110)에 대한 태양 전지부(140)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용융 타입의 고정 부재(150)를 사용하여,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 밀봉재(130)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의 부분이 외부에서 쉽게 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용융 타입의 고정 부재(150)에 의하여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밀봉재(130)와 이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의 부분 사이에 빈틈 없이 채워져서 수분 침투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차량(1)에 적용되거나 곡면 형태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을, 도 7,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적층 단계(S10) 및 라미네이션 단계(S20)을 포함한다.
먼저, 적층 단계(S10)에서는, 라미네이션 장치의 작업대 위에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부(140),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를 차례로 위치시키고, 고정 부재(150)를 이용하여 이들을 차례로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제1 커버 부재(110)를 라미네이션 장치의 작업대 쪽에 위치시켜 그 위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부(140),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 등이 제1 커버 부재(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안정적으로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어서, 라미네이션 단계(S20)에서는 적층 구조체에 열과 압력을 가한다. 그러면, 제1 밀봉재(131) 및 제2 밀봉재(132)가 용융된 후에 경화되어 압력에 의하여 압착되어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의 사이 공간을 밀봉재(130)가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밀봉재(130)에 의하여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의 사이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면서 태양 전지부(140)가 밀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100)이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 단계(S10)에서 고정 부재(150)를 사용(일 예로, 부착)하여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부(140),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일 예로, 가고정 또는 임시 고정)하여 라미네이션 단계(S20)에서 이들의 위치가 원하지 않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후면 평면도들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10) 위에 제1 밀봉재(131) 및 태양 전지부(140)를 차례로 위치시킨다. 일 예로, 제1 커버 부재(110)는 곡면 형태를 가지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밀봉재(131)는 태양 전지부(140)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태양 전지부(140)와 같거나 그보다 큰 면적을 가지되 제1 커버 부재(11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태양 전지부(140)의 복수의 태양 전지(142)의 후면에 셀간 고정 부재(159)가 위치하여 복수의 태양 전지(14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10)와 태양 전지부(140)의 후면에 제1 고정 부재(152)를 위치시켜 태양 전지부(140)를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한다.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152)는 버스 리본(148)의 후면, 제1 밀봉재(131)의 적어도 측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152)의 접착층(150b)이 버스 리본(148)의 후면, 제1 밀봉재(131)의 적어도 측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접촉되어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부(140)를 원하는 위치에서 제1 커버 부재(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변형예로, 추가 고정 부재(도 6의 참조부호 158)를 추가로 사용하여 태양 전지부(140)와 제1 커버 부재(1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142)와 버스 리본(148)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태양 전지(142)와 버스 리본(148) 사이에 절연 부재(149)를 위치시키고, 버스 리본(148)과 절연 부재(149)의 후면에 제3 고정 부재(156)를 위치시켜 버스 리본(148)을 절연 부재(149)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3 고정 부재(156)의 접착층(150b)이 버스 리본(148)의 후면 및 이에 인접한 절연 부재(149)의 후면에 접촉되어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태양 전지부(140)의 위치(즉, 태양 전지부(140)의 태양 전지(142) 및 버스 리본(148)의 위치) 등을 확인하여 태양 전지부(140)를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한 후에 절연 부재(149)를 위치시켜 절연 부재(149)가 투명하지 않은 경우에도 태양 전지부(14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부(140)에 절연 부재(149) 및 제3 고정 부재(156)를 먼저 위치시킨 후에 제1 고정 부재(152)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부(140)와 제1 커버 부재(1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순서가 적용 가능하다.
이어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및 태양 전지부(140) 위에 제2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를 차례로 위치시킨다. 도 8d에서는 제1 밀봉재(131), 제2 밀봉재(132), 제2 커버 부재(120)가 동일한 면적을 가져 전체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밀봉재(131), 제2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부재(120) 및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제2 고정 부재(154)를 위치시켜 제2 커버 부재(120)를 제1 커버 부재(110)에 고정한다. 일 예로, 제2 고정 부재(154)는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 제1 및 제2 밀봉재(132)의 적어도 측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부재(154)의 접착층(150b)이 제2 커버 부재(120)의 후면, 제1 및 제2 밀봉재(132)의 적어도 측면, 제1 커버 부재(110)의 후면에 접촉되어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커버 부재(120)를 제1 커버 부재(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적층 단계(S10)에 의한 적층 구조체의 형성을 완료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라미네이션 단계(S20)를 수행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f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밀봉재(130)가 압착되면서 제2 커버 부재(120)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밀봉재(130)는 제2 커버 부재(120)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또는 제2 고정 부재(152, 154), 제3 고정 부재(156), 셀간 고정 부재(158) 등이 용융 타입이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밀봉재(130)와 함께 연화된 후에 다시 경화되어 밀봉재(130) 내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와 밀봉재(130)의 경계 등을 육안으로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재(130)와 이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 부재(150)가 빈틈 없이 밀착된 상태로 경화되어 고정 부재(150)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재(130) 내부에 위치하여도 수분 침투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150)를 이용한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에 적용되거나 곡면 형태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에 적용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관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 등에서는 태양 전지 스트링(S)이 여섯 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 스트링(S)의 개수, 태양 전지 스트링(S)에 포함되는 복수의 태양 전지(142)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 등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이 제2 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제1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만곡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에서 곡면 형상을 가지고 다른 형상에서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곡면 형태 또한 대칭, 비대칭, 불규칙한 형태로 구형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 또는 제1 커버 부재(110)가 곡면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 패널(100) 또는 제1 커버 부재(110)가 편평한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도 고정 부재(150)가 구비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층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각기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구조에서 고정 부재(150)가 구비되면 무거운 유리 기판이 양측에 사용된 구조에서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이 차량(1)의 지붕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태양 전지 패널(100)이 건물 등에 일체화되는 건물 일체형 구조를 가지거나, 단순한 발전용으로 옥상 등에 개별 설치 되는 경우에도, 고정 부재(150)가 구비되어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100: 태양 전지 모듈
110: 제1 커버 부재
120: 제2 커버 부재
130: 밀봉재
140: 태양 전지부
150: 고정 부재
152: 제1 고정 부재
154: 제2 고정 부재
156: 제3 고정 부재
158: 추가 고정 부재
159: 셀간 고정 부재

Claims (20)

  1.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연결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
    상기 태양 전지부를 둘러싸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위치하고, 곡면의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 제1 커버 부재;
    상기 밀봉재 위에서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 및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용융 타입(melting type)인 태양 전지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 부재, 그리고 상기 태양 전지부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테이프 형태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재가 상기 제2 커버 부재 또는 상기 밀봉재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밀봉재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중첩하여 위치하는 내측 부분과,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 고정되는 외측 부분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폭이 상기 고정 부재의 연장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태양 전지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밀봉재와 다른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두께가 상기 밀봉재의 두께보다 작은 태양 전지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과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태양 전지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태양 전지에 비중첩되도록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태양 전지 스트링을 구성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태양 전지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태양 전지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태양 전지 스트링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태양 전지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상기 태양 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위치하는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버스 리본 사이에 이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이 차량의 지붕으로 사용되는 태양 전지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이 곡면 형태를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
  13. 삭제
  14. 곡면의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 제1 커버 부재, 제1 밀봉재,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연결되는 배선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부, 제2 밀봉재, 그리고 제2 커버 부재를 차례로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 구조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라미네이션하는 라미네이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 쪽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태양 전지부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고정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에서 녹는 용융 타입으로 구성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그리고 상기 태양 전지부 또는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상기 접착층이 접착되도록 고정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위에 상기 제1 밀봉재 및 상기 태양 전지부를 위치시키는 공정;
    상기 태양 전지부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
    상기 태양 전지부 위에 상기 제2 밀봉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버스 리본의 후면과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과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버스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상기 제2 밀봉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사이에,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버스 리본 사이에 이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 부재를 위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후면에서 상기 버스 리본 및 상기 절연 부재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부재가 곡면 형태를 가지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90038084A 2019-04-01 2019-04-01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84A KR102233877B1 (ko) 2019-04-01 2019-04-01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6/825,793 US11302837B2 (en) 2019-04-01 2020-03-20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783418.5A EP3951891A4 (en) 2019-04-01 2020-03-30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0/004323 WO2020204527A1 (ko) 2019-04-01 2020-03-30 태양전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202080037097.7A CN113892191A (zh) 2019-04-01 2020-03-30 太阳能电池板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84A KR102233877B1 (ko) 2019-04-01 2019-04-01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71A KR20200116371A (ko) 2020-10-12
KR102233877B1 true KR102233877B1 (ko) 2021-03-30

Family

ID=7260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84A KR102233877B1 (ko) 2019-04-01 2019-04-01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2837B2 (ko)
EP (1) EP3951891A4 (ko)
KR (1) KR102233877B1 (ko)
CN (1) CN113892191A (ko)
WO (1) WO2020204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1804A (en) * 2020-12-11 2022-06-15 Sono Motors Gmbh Car body panel including a solar cell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3230401A1 (en) * 2022-05-01 2023-11-30 Aptera Motors Corp. Process for making curved laminated solar panel having decorative appearance using distortion printing and panel produc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351A (en) * 1988-05-24 1992-09-22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for making a curved solar panel for an automobile
JPH11186572A (ja) * 1997-12-22 1999-07-09 Canon Inc 光起電力素子モジュール
JP4207456B2 (ja) 2002-02-27 2009-01-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ための仮止め用テープ
CA2576270A1 (en) 2004-08-11 2006-02-16 Dyesol Ltd. Photoelectrochemical photovoltaic panel and method to manufacture thereof
US20090114261A1 (en) * 2007-08-29 2009-05-07 Robert Stancel Edg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WO2010019829A1 (en) * 2008-08-13 2010-02-18 Robert Stancel Impact resistant thin-glass solar modules
KR101063717B1 (ko) * 2009-06-12 2011-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11581B1 (ko) * 2011-08-04 2018-10-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에지 보호된 배리어 조립체
KR101417219B1 (ko) * 2011-11-29 2014-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JP5780209B2 (ja) 2012-05-29 2015-09-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804106B2 (ja) * 2013-03-08 2015-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ソーラーパネル
KR20140121920A (ko) 2013-04-05 2014-10-17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6163027B2 (ja) * 2013-06-18 2017-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86979A (zh) * 2015-05-12 2015-12-23 尚白羽 一种开合式太阳能电池组件
KR102483637B1 (ko) * 2017-08-04 2023-01-02 상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패널
JP6484260B2 (ja) * 2017-01-13 2019-03-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0520A (ko) * 2017-06-23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7363B1 (ko) * 2017-07-07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02837B2 (en) 2022-04-12
CN113892191A (zh) 2022-01-04
KR20200116371A (ko) 2020-10-12
EP3951891A4 (en) 2023-01-04
EP3951891A1 (en) 2022-02-09
WO2020204527A1 (ko) 2020-10-08
US20200313012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240B2 (en) Solar cell module
TWI413266B (zh) 太陽能電池模組
JP526859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5826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30948B1 (en) Solar roof tile spacer with embedded circuitry
US20140209151A1 (en) Solar cell module
WO2013183395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233877B1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01082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作成方法
JP200627869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200051112A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08826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367612B1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0520A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21294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A2741508A1 (en)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of solar panels for a kind of solar shingles
KR102604429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3637B1 (ko) 태양 전지 패널
KR20190113559A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3084A (ko) 태양 전지 모듈
CN220672592U (zh) 一种太阳能平面瓦
WO2023127382A1 (ja) 太陽電池デバイ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03435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41133B1 (ko)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222719A1 (en) Solar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