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733B1 -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733B1
KR102232733B1 KR1020190076855A KR20190076855A KR102232733B1 KR 102232733 B1 KR102232733 B1 KR 102232733B1 KR 1020190076855 A KR1020190076855 A KR 1020190076855A KR 20190076855 A KR20190076855 A KR 20190076855A KR 102232733 B1 KR102232733 B1 KR 10223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chinacea
composition
antiviral
influenza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707A (ko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ublication of KR2020012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따른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에키네시아(Echinace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래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항바이러스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COMPOSITION ANTIVIRUS COMPRISING EXTRACT ECHINACEA}
본 발명은 에키네시아(Echinace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며,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virus)는 라틴어로 독성물질을 의미하며, 세균여과지(0.22㎛)를 통과하는 일군의 감염형 병원성 입자이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박테리오파지, 식물 바이러스, 동물 바이러스로 분류하기도 하며, 핵산의 종류에 따라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신종 플루, AI 및 구제역 등 다양한 바이러스 질병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에 따라 바이러스 질병의 효과적인 대책에 대한 고민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표적인 병원성 바이러스에는 리노 바이러스(rhinovirus), 아데노 바이러스 (adenovirus),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가 있으며, 이 외에도 200종 이상의 다양한 바이러스들이 알려졌다. 비교적 경증의 감기부터 독감, 기관지염, 비염, 폐렴, 급성호흡곤란 증후군과 같은 중증의 질환까지 넓은 범위의 임상증상을 포함하며, 전 세계적으로 이환율(morbidity)과 사망률(mortality)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선진국에서도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가장 보편적인 질환으로 의료 재정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아의 경우 일년에 6~8회, 성인의 경우 2~4회 정도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유사한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임상양상만으로는 원인 병원체를 감별하기가 어려워, 치료시 정확한 원인 규명 단계 없이 임상증상을 완화하고 이차 세균감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정도의 목적으로 항생제 투여 또는 대증치료를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접종이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경우, 대체로 많은 바이러스 혈청형(아형) 생성 등에 따른 백신의 효율성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백신의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바이러스 예방용 억제제의 개발 및 보급은 중요한 사항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는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이 있으나, 이들 두 가지 항바이러스 제제들은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만 효과적이며, M2 단백질이 없는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만타딘과 리만타딘은 사용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M2 단백질의 이온채널기능에 영향을 미지지 못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이 매우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16종의 모든 혈청형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혈청형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제제로 자나미비르(zanamivir)와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자나미비르는 흡입 및 정맥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오셀타미비르는 경구투여가 가능하나 최근 내성 바이러스의 출현보고와 경구투여 시 구토와 현기증 등의부작용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최근 해외 및 국내에서 기존의 항바이러스 제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국내에서는 생약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기존의 항바이러스 제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생약 추출물 및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에키네시아는 국화과의 다년생 화초로 굵고 길쭉한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줄기 꼭대기에 다양한 색상의 꽃이 핀다. 에키네시아라는 이름은 꽃 중앙의 꽃술 부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언뜻 보면 가시가 비죽 비죽 돋은 성게 같아 그리스어로 성게를 의마하는 enhinos에 유래한 echinacea라는 이름이 붙었다. 뽀족한 원추형의 꽃술 덕분에 영어로는 콘플라워(cornflower)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북미가 원산지로 북미 원주민들이 많이 이용하여 '인더언의 허브'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였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북미 원주민들은 에키네시아를 400년 이상 만병통치나 다름없는 허브로 귀하게 여겨 사용해 왔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항바이러스 활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KR 10-2015-004293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에키네시아(Echinace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바이러스 활성 효능을 나타내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에키네시아(Echinacea)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감기, 독감, 기관지염, 비염, 폐렴, 천식 및 급성호흡곤란 증후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에키네시아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에키네시아(Echin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에키네시아(Echinacea)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에키네시아 속에는 8가지 종과 여러 가지 변의종이 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에키네시아 푸르푸레아(Echinacea purpurea), 에키네시아 안구스티폴리아(E. angustifolia), 에키네시아 팔리다(E. pallida)가 있으며 이 종들은 북아메리카에서 널리 자생하는데 지금은 유럽 및 중국에서도 산업화 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에키네시아는 북아메리카 원주민들과 초기 이주민들에게 중요한 약용식물이었으며 상처, 화상, 뱀이나 곤충에 물린데 또는 피부 보호를 위한 화장품 원료로도 응용되고 있다. 현재 에키네시아는 많은 염증과정에 비 특이적 면역촉진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대식세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암세포를 죽인다고도 알려져 있다.
에키네시아의 면역촉진기능은 알카마이드(alkamides), 카페인산 유도체들, 당단백, 다당류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친지질성과 극성 분획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알카마이드와 같은 친지질성 분획이 에키네시아 알콜 추출물의 면역촉진 작용에 주로 기여하며, 알카마이드 분획이 생체 내와 시험관내에서 식세포 작용을 촉진시키다는 보고도 있다. 에키네시아의 알카마이드는 주로 올리핀 결합 또는 아세틸렌 결합을 가진 고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소뷰틸아마이드로 항염증제로서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와 5-리폭시게네이즈를 억제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뿌리에서 얻은 배당체인 에키나코사이드(echinacoside)와 다당류인 에키나킨(echinacin)은 항균활성과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는 등 많은 연구에서 면역체계의 조절 기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활성에 관해 보고된 바 없다.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감기, 독감, 기관지염, 비염, 폐렴, 천식 및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감기(common cold)란 코, 목구멍, 기관지 등 호흡기 점막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의 총칭으로서, 급성 비염, 급성 인두염, 급성 후두염, 급성 편도염, 기관지염 그 밖의 바이러스성 상기도감염증 등을 포함한다. 감기의 원인으로서는 200여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rhinovirus)와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가 대표적이며, 세균에 의한 감염, 한랭이나 먼지 등의 자극, 체온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원 등이 원인이 되나 이들 중 한 가지만이 원인이 되는 감기는 적으며, 대부분은 한랭이나 먼지의 자극, 체온분포의 불균형등이 유인이 되어 바이러스의 감염이 일어나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독감(influenza)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상부 호흡기계(코, 목)나 하부 호흡기계(폐)를 침범하며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 증상을 동반한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에어로솔(aerosol)을 통해서 인체-인체 전파에 따라 감염된다. 독감은 바이러스에 노출된 지 1~3일 후 증상이 나타나는 감기와 달리 근육통이나 빠른 고열을 동반하며, 조류의 배설물 등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 또한, 감기는 보통 2~5일 만에 합병증 없이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독감은 일부 폐렴이나 심근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사망의 원인이 된다.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는 '오르소믹소'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Orthomyxovirus)로서 A, B, C형으로 분류된다. A형은 사람에게 주로 감염이 확인되며 B, C형에 비하여 돼지, 기타 포유류 및 다양한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등은 A형 바이러스에 속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에는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과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HA는 16종이 있고 NA는 9종이 있으므로 16×9=144 종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발생할 수 있다. 조류에서의 인플루엔자 감염은 주로 H5이나 H7형 및 H9형에 관련되며, 3종류의 헤마글루티닌(H1, H2, H3)과 2가지 형태의 뉴라미니데이즈(N1과 N2)만이 인간에서 인플루엔자 감염을 일으키므로 원칙적으로 인간은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조류 인플루엔자는 조류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전자 재조합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람에게 전파된 예도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새로운 항바이러스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에키네시아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에키네시아의 크기는 60~150cm 내외로, 잎은 너비 2~4cm, 4~40cm의 긴 타원형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존재한다. 에키네시아 꽃은 6월과 9월에 걸쳐 줄기나 가지 끝에 자홍색의 지름 10cm 정도로 피는데 화려해서 전 세계적으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특히, 에키네시아 뿌리는 배당체인 에키나코사이드(echinacoside)와 다당류인 에키나킨(echinacin)의 약용성분으로 항균활성과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는 등 많은 연구에서 면역체계의 조절 기능이 있음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항바이러스 활성과 관련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며, 감기나 독감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발생과 예방에 있어서의 효과는 입증된 바가 거의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 4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법위 내에서의 사용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사용에 따른 복합 작용으로 인해, 항바이러스 활성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응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에키네시아 특유의 이취로 인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항바이러스 효과 증진 및 기호성 향상을 위해,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는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원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끝이 곧추서고 녹색이며 처음에는 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높이 30c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또한 꽃은 4 또는 5월에 피고 흰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꽃이삭 밑부분에 약간 달리고 수꽃은 윗부분에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3 내지 5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겉에 털이 없다.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에 분포한다.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는 조롱박과의 초본 다년생 식물이며 중국 및 태국 등지에 자생한다. 나한과의 열매와 잎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는데, 주로 고랭지에서 자생하며 안개가 많고 서늘한 기후와 햇볕을 좋아하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질 이 많은 토양에서 서식하므로 재배조건이 까다로워 인위적인 재배가 어려운 식물로 예로부터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수호초 추출물 및 나한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에키네시아 특유의 이취 및 천연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을 중화시켜, 기호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 40내지 70 중량부, 수호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나한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능성 식품"은 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의하면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 또는 독성 등의 우려가 없으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복용이 가능한 항바이러스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R8-GFP virus) 감염에 대한 12시간 후의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R8-GFP virus) 감염에 대한 24시간 후의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 제조
에키네시아 잎 시료에 추출 용매인 50% 에탄올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 제조
상기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 수호초 추출물(P) 및 나한과 추출물(S)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 수호초 추출물(P) 및 나한과 추출물(S)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E1 100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E2 - 100 30 40 60 80 60 60 60 60
P - - - - - 10 20 30 40
S - - - - - 40 20 30 4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PR8)에 대한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의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1. 독성 실험
랫트 반복투여 독성시험 모델에서 E1 및 E2 투여시 독성 및 부작용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SD 계통의 6주령의 암수 랫트를 군당 10 마리(암수 각 5 마리)씩으로 나누어 E1 단독 투여군, E2 단독 투여군 및 MX5 투여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약물을 0.5% MC 용액에 용해(용시 조제)한 후 매일 동일한 오전 시간대에 1회 경구 투여하는 것을 13주 동안 반복하였다. 1회 투여량은 3.75 mg/kg 내지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이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 및 물 섭취량을 관찰하였다.
실험 기간 내에 E1, E2 및 MX5 투여군에서 사망개체가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결과에 비추어,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독성은 문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방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PR8)를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8Х105cell/well)에 감염시켜 분석하였다.
12-웰 TC 플레이트에 세포를 배양한 후, 1% FBS가 첨가된 DMEM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의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 및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을 각각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1% FBS가 첨가된 DMEM만을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은 마우스 IFN-*?*(500units/㎖)를 처리하였다.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 및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의 처리 12시간 후, PR8-GFP(MOI:1.0)를 접종하였다. 접종하고 2시간 후 접종액을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하였으며, 12 및 24시간 후, 바이러스 감염 정도를 확인하였다.
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PR8-GFP virus)의 분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결과를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 46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개시하였다. 도 1은 감염 12시간 후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감염 24시간 후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 및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로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바이러스 감염군에 비해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복합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분석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 및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E2)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후, 복합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E1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E1과 비교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위해 E1을 지수 5로 놓고, MX3 내지 MX10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항바이러스 활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E1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항바이러스 활성 5 6 6 7 6 7 8 9 7
(단위: 지수)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과 비교하여, MX3 내지 MX10에서 동등 이상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E1)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항바이러스 활성이 상승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2: 기호성 테스트]
1. 관능성 평가 시험
MX1, MX2 및 복합 추출물 MX3 내지 MX10를 희석하여 차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차음료는 10인의 시음자가 시음하여 맛과 향을 1내지 10의 지수로 표현하였고, 그 평균값(0.5 반올림 적용)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MX1 MX2 MX3 MX4 MX5 MX6 MX7 MX8 MX9 MX10
2.5 4.0 4.0 6.0 6.0 6.0 6.5 7.0 7.0 6.0
4.5 4.5 6.0 6.0 6.5 6.0 6.5 7.0 7.5 7.0
종합기호도(평균) 4.0 4.0 5.0 6.0 6.0 6.0 7.0 7.0 7.0 6.5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MX1 내지 MX6의 경우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향은 좋게 평가되나, 에키네시아 특유의 맛이 기호도를 저하시켰고, MX7 내지 MX10의 혼합에 의하는 경우 에키네시아 특유의 맛이 중화되면서 기호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MX8 내지 MX9에 의하는 경우 향 또한 높게 평가되어 기호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발효 복합 추출물 MX8 내지 MX9에 의하는 경우, 보다 기호도가 높은 향미와 맛으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에키네시아(Echinacea) 잎 추출물, 에키네시아(Echinacea) 줄기 추출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기, 독감, 기관지염, 비염, 폐렴, 천식 및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예방하는 것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7. 제 1항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KR1020190076855A 2019-04-16 2019-06-27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232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16385030A 2019-04-16 2019-04-16
US16/385,030 2019-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07A KR20200121707A (ko) 2020-10-26
KR102232733B1 true KR102232733B1 (ko) 2021-03-26

Family

ID=7300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55A KR102232733B1 (ko) 2019-04-16 2019-06-27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909A (ko) 2020-09-21 2022-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력 저장 장치
KR20220075824A (ko) 2020-11-30 2022-06-08 (주)디마인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KR102442714B1 (ko) 2021-08-19 2022-09-14 주식회사 에이치엔비랩스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6187A (ja) 2006-06-20 2016-02-12 イズ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抗炎症可溶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2018B1 (it) * 2010-10-11 2013-08-28 Indena Spa Formulazioni per il trattamento delle affezioni delle prime vie respiratorie.
KR101638930B1 (ko) 2013-10-14 2016-07-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YlMpo1 단백질을 이용한 만노스인산화 반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6187A (ja) 2006-06-20 2016-02-12 イズ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抗炎症可溶フィル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chinacea reduces the risk of recurrent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complica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DVANCES IN THERAPY, 32, pp187-200(2015.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707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733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139376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KR10212459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342190A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Devmurari et al. A review: Carissa congesta: phytochemical constituents, traditional use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KR101369100B1 (ko) 아이비엽 및 황련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7096B1 (ko) 관중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로로글루시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7971A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톡소플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3973B1 (ko)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0980A (ko)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Masev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Clerodendron glabrum var glabrum (Verbenaceae) used traditionally to treat candidiasis in Venda, South Africa
Nigam The Bornean Mistletoes as Versatile Parasites: A Systematic Review.
KR20150027469A (ko) Nk세포 활성화 작용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2455B1 (ko) 천연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0597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 및 그 조성물
KR20220161908A (ko) 면역증진 또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l et al. A review on ethno botanical, phytochemistry, bioactivities and medicinal potential of Prunella vulgaris (mint family/common self-heal)
KR20230072554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 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또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070060029A (ko) 맨드라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간 질환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