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93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93B1
KR102232593B1 KR1020140046647A KR20140046647A KR102232593B1 KR 102232593 B1 KR102232593 B1 KR 102232593B1 KR 1020140046647 A KR1020140046647 A KR 1020140046647A KR 20140046647 A KR20140046647 A KR 20140046647A KR 102232593 B1 KR102232593 B1 KR 10223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le shaft
loosening
lever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026A (ko
Inventor
다케시 이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13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릴에 있어서, 핸들축에 핸들 암을 고정시키는 나사 부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 낚시용 릴은, 핸들축(8)과, 핸들 암(10)과, 너트 부재(12)와, 스토퍼(24)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축(8)은 선단부에 기어부(15)를 가진다. 핸들 암(10)은, 핸들축(8)이 걸어맞추어지는 긴 구멍(10c)을 가지고, 핸들축(8)을 긴 구멍(10c)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다. 너트 부재(12)는, 핸들축(8)의 수나사부(16)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c)를 가지고, 핸들 암(10)을 핸들축(8)의 선단부에 장착한다. 스토퍼(24)는, 너트 부재(12)에 설치되고, 핸들축(8)의 기어부(15)에 걸어맞추어져 너트 부재(12)의 해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제1 자세와, 기어부(1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너트 부재의 해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는, 낚싯줄을 권취하기 위한 핸들 조립체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축의 선단에 고정된 핸들 암(hamdle arm)과, 핸들 암의 선단에 설치되는 핸들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핸들 조립체도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낚시용 릴에서는, 너트 부재를 수동에 의해 체결하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낚시용 릴의 핸들 장치에서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너트나 볼트를 체결하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에 핸들 암을 고정하고 있는 너트나 볼트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핸들 암의 핸들축에 대한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2004―13562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공개 제1991―1086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 제2004―222559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구조에서는, 사용 중에 너트가 풀리기 쉬워, 핸들축에 대한 핸들 암의 고정이 안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2 및 3의 구조에서는, 핸들의 낚싯줄 권취 조작에 의해 너트나 볼트가 체결되므로, 핸들 하중이 커지면 나사에 걸리는 하중이 과대하게 되어, 나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구조에서는, 퀵 리프팅(quick lifting) 조작에 의해 핸들이 낚싯줄 권취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여, 볼트가 풀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핸들축에 핸들 암을 고정시키는 나사 부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핸들축과, 핸들 암과, 핸들 손잡이와, 너트 부재와, 풀림 방지 부재(anti-loosening member)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축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 및 수나사부를 가진다. 핸들 암은, 제1 단부(端部)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해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핸들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제1 단부에 가지고, 핸들축의 선단부를 긴 구멍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다. 핸들 손잡이는 핸들 암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너트 부재는, 핸들축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핸들 암을 핸들축의 선단부에 장착한다. 풀림 방지 부재는, 너트 부재에 설치되고, 핸들축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 핸들축에 체결되고 너트 부재의 해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제1 자세와,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너트 부재의 해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핸들축의 선단에, 핸들 암이 너트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핸들 암에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에 대한 핸들축의 고정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핸들 암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암을 핸들축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풀림 방지 부재를 제1 자세로 함으로써, 너트 부재의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 암의 길이를 바꾸는 경우에는, 풀림 방지 부재를 제2 자세로 함으로써,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너트 부재의 형상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너트 부재의 체결을 낚시꾼이 간단하게 행하고, 또한 너트 부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1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풀림 방지 부재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전환 조작하는 전환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환 조작 수단에 의해, 풀림 방지 부재가 제1 자세와 제2 자세와의 사이에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2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너트 부재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부를 가지고 있다. 풀림 방지 부재는, 레버부에 설치되고, 레버부의 폐쇄 자세에서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개방 자세에서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하는 폴(pawl)을 가진다.
이 낚시용 릴에서는, 너트 부재의 레버부를 개방 자세에서 하면, 레버부에 형성된 폴이 핸들축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를 느슨하게 하고, 핸들 암과 핸들축과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레버부를 폐쇄 자세에서 하면, 레버부의 폴이 핸들축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 너트 부재의 풀림이 방지된다.
여기서는, 레버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함으로써, 너트 부재의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금지하거나, 허용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폴을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 측으로 가압하는 폴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폴이 폴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이로써, 폴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이 안정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풀림 방지 부재는 레버부의 핸들축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레버부의 핸들축과 대향하는 면, 즉 이면(裏面)에 풀림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는 풀림 방지 부재가 외부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풀림 방지 부재에 낚싯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레버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개방 자세에서 타단부가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는, 본체부로부터 레버부를 열면, 레버부가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레버부를, 너트 부재를 회전시킬 때 레버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어, 수동에서의 너트 부재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레버부를 폐쇄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機構)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본체부에 대하여 레버부를 닫았을 때, 유지 기구에 의해 레버부의 폐쇄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 시에 레버부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7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유지 기구는, 핀과, 오목부와, 핀 가압 부재를 가진다. 핀은, 본체부에 설치되고,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進退) 가능하다. 오목부는, 레버부에 설치되고, 레버부가 폐쇄 자세일 때 핀의 선단부가 걸어맞춤 가능하다. 핀 가압 부재는 핀을 오목부에 가압한다.
여기서는, 레버부를 닫으면, 본체부의 핀이 레버부의 오목부에 들어가, 그 상태가 핀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기구로 레버부의 폐쇄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는 핸들축의 선단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가진다.
여기서는, 레버부의 폴이 핸들축의 복수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너트 부재의 풀림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9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복수의 톱니는, 핸들축에 따른 방향의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外徑)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톱니의 선단부가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레버부를 닫을 때, 레버부의 폴이 복수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지기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9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풀림 방지 부재는, 레버부의 핸들축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톱니와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가진다.
여기서는, 레버부에 형성된 스토퍼 플레이트의 복수의 오목부가, 핸들축의 복수의 톱니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너트 부재의 풀림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11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스토퍼 플레이트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레버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플레이트를 소정 각도 위치에 가압하는 플레이트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므로, 본체부에 대하여 레버부를 닫을 때, 스토퍼 플레이트의 오목부와 핸들축의 복수의 톱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경우에, 스토퍼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오목부와 톱니가 맞물려, 양자가 걸어맞추어진다.
본 발명의 제13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11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복수의 톱니는, 핸들축에 따른 방향의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치폭이 좁아지도록 한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톱니의 선단부가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레버부를 닫을 때, 스토퍼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복수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지기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14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2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풀림 방지 부재는, 스토퍼와, 가압 부재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는, 너트 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제1 자세와,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하는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스토퍼를 제1 자세 측으로 가압한다. 조작 부재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토퍼를 제2 자세로 한다.
여기서는, 스토퍼가 가압 부재에 의해 제1 자세 측으로 가압되고,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는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한편, 조작 부재에 의해 스토퍼를 제2 자세로 하면, 스토퍼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3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전환 조작 수단은 레버부이다.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관한 낚시용 릴은, 제14 측면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전환 조작 수단은 조작 부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들 암 연결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핸들축의 선단 부분의 외관도이다.
도 4는 풀림 방지를 위한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너트 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너트 부재와 핸들축과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 부분도다.
도 7은 유지 기구를 나타낸 측면 부분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핸들축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너트 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너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낚시용 릴로서의 듀얼 베어링형 릴(1)을 도 1에 나타낸다. 이 듀얼 베어링형 릴(1)은,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과, 핸들 조립체(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핸들 조립체(4)가 장착되어 있는 측을 덮는 커버 부재(6)를 가지고 있다.
핸들 조립체(4)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8)에 고정되어 있고, 핸들 암(10)과, 핸들 손잡이(11)와, 너트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너트 부재(12)에는, 너트 부재(12)의 풀림 방지를 위한 풀림 방지 부재(후술)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축(8)]
핸들축(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서의 기어부(15)와, 수나사부(16)와, 회전 금지용의 걸어맞춤부(17)를 가지고 있다.
기어부(15)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8)에 따른 방향의 선단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면(15a)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톱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톱니면(齒面; tooth surface)(15b)이 다른 쪽의 톱니면(15c)과 비교하여 톱니바닥의 원(root circle of the gear portion)으로부터의 상승 각도가 급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래칫 톱니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는, 핸들축(8)의 축 방향을 따라 핸들축(8)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너트 부재(12) 등의 다른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부(16) 및 회전 금지용의 걸어맞춤부(17)는, 핸들축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7)는 단면(斷面)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암(10) 및 핸들 손잡이(11)]
핸들 암(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10a)로부터 제2 단부(10b)를 향해 핸들축(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판형 부재이다. 이 핸들 암(10)에는, 제1 단부(10a)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0c)에, 핸들축(8)의 걸어맞춤부(17)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핸들 암(10)은, 핸들축(8)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핸들축(8)과의 고정 위치를 긴 구멍(10c)이 형성된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핸들 손잡이(11)는, 핸들 암(10)의 제2 단부(1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 부재(12)]
너트 부재(1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1)와, 전환 조작 수단으로서의 레버부(2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레버부(22)를 본체부(21)로부터 개방한 개방 자세를 나타내고, 도 6에서는 레버부(22)를 본체부(21)에 닫은 폐쇄 자세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너트 부재(12)는, 본체부(21)를 핸들축(8)의 수나사부(1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핸들 암(10)을 핸들축(8)에 고정 가능하다.
본체부(21)는 시트부(21a) 및 한 쌍의 측벽부(21b)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21a)는, 대략 타원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축(8)의 수나사부(16)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1c)를 중앙부에 가지고 있다.
레버부(22)는, 본체부(21)의 한 쌍의 측벽부(2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지지부(22a)와, 타단에 형성된 보스부(22b)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2c)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22a)는, 한 쌍의 측벽부(21b)에 핀(2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스부(22b)는, 레버부(22)를 폐쇄 자세로 한 경우에, 시트부(21a)의 상면과 맞닿는다. 연결부(22c)는, 지지부(22a) 및 보스부(22b)보다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연결부(22c)의 핸들축(8)의 선단과 대향하는 이면에는,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림 방지 부재로서의 스토퍼(24)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24)는, 레버부(22)를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핀(26)에 의해 레버부(22)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24)의 선단에는 폴(24a)이 형성되어 있고, 기어부(15)의 한쪽의 톱니면(15b)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스토퍼(24)의 폴(24a)이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폴(24a)을 기어부(15) 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27)은 레버부(22)의 이면에 지지되어 있다.
이 폴(24a)이 기어부(15)의 한쪽의 톱니면(15b)에 걸어맞춤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부재(12)와 기어부(15)[즉, 핸들축(8)]는, 상대적으로, A 방향의 회전[너트 부재(12)를 체결하는 방향의 회전]은 허용되지만, B 방향의 회전[너트 부재(12)가 풀리는 방향의 회전]은 금지된다.
[유지 기구(30)]
레버부(2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부(22)를 폐쇄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기구(30)는, 핀(31)과, 오목부(22d)와, 코일 스프링(32)을 가지고 있다. 핀(31)은, 제1 지지부(21d) 및 제2 지지 플레이트(33)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라이딩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지지부(21d)는 너트 부재(12)의 시트부(21a)의 상면에 시트부(2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33)는 시트부(21a)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22d)는, 레버부(22)의 보스부(22b)의 측면으로서, 제1 지지부(21d)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2d)에, 레버부(22)가 폐쇄 자세일 때 핀(31)의 선단부가 걸어맞춤 가능하다. 코일 스프링(32)은, 핀(31)에 형성된 플랜지부(flange portion)(31a)와 제2 지지 플레이트(33)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플랜지부(31a) 즉 핀(31)을 오목부(22d) 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핀(31)은, 핸들축(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며,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항상 오목부(22d) 측으로 가압되고, 또한 보스부(22b)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보스부(2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핸들 길이의 조정]
핸들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너트 부재(12)의 레버부(22)를 개방하여 개방 자세로 한다(도 5 참조). 레버부(22)를 개방 자세로 함으로써, 레버부(22)의 이면의 스토퍼(24)의 폴(24a)과 핸들축(8)의 기어부(15)의 톱니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레버부(22)를 개방 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레버부(22)의 선단[보스부(22b)]가 핸들축(8)으로부터 멀어지고, 레버의 암 길이가 길어지므로, 나사를 체결하는 조작 또는 푸는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레버부(22)를 조작하여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방향으로 너트 부재(12)를 돌림으로써, 너트 부재(12)를 핸들 암(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핸들축(8)에 대한 핸들 암(10)의 고정이 해제되어, 핸들 암(10)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암(10)의 긴 구멍(10c)의 원하는 위치에 핸들축(8)을 위치시켜, 레버부(22)를 가지고 너트 부재(12)를 앞의 조작과는 반대로 돌리는 것에 의해, 너트 부재(12)를 핸들축(8)의 수나사부(16)에 체결할 수 있다. 너트 부재(12)의 체결에 의해, 핸들 암(10)이 핸들축(8)에 고정된다. 그 후, 레버부(22)를 폐쇄 자세로 한다.
[너트 부재(12)의 풀림 방지에 대하여]
레버부(22)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하면, 레버부(22)의 이면(裏面)에 형성된 스토퍼(24)의 폴(24a)이 핸들축(8)의 기어부(15)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진다(도 4 참조). 따라서, 너트 부재(12)가 핸들축(8)에 대하여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24)의 폴(24a)이 기어부(15)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질 때는, 기어부(15)의 선단에 테이퍼면(1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폴(24a)을, 톱니에 원활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너트 부재(12)를 핸들축(8)에 체결할 때는, 레버부(22)를 폐쇄 자세로 한 채로도 행할 수 있다. 기어부(15)의 톱니는,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 톱니로 되어 있으므로, 너트 부재(12)를 도 4의 A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폴(24a)은 톱니의 다른 쪽의 톱니면(15c)에 올라앉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24)는 판스프링(2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26)의 주위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너트 부재(12)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부(22)의 자세 유지]
레버부(22)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할 때, 보스부(22b)의 측면이 유지 기구(30)의 핀(31)의 선단과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레버부(22)를 다시 시트부(21a) 측으로 압입(押入)하면, 핀(31)은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보스부(2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입되고(retract), 또한 레버부(22)를 압입하면, 보스부(22b)에 형성된 오목부(22d)에 핀(31)의 선단이 끼워넣어진다. 그러므로, 레버부(22)의 폐쇄 자세가 유지된다.
[특징]
(1) 너트 부재(12)에 풀림 방지 부재로서의 스토퍼(2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너트 부재(12)를 수동으로 가볍게 체결한 경우라도, 너트 부재(12)의 풀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레버부(22)를 본체부(21)에 대하여 개폐함으로써, 너트 부재(12)의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을 금지하거나, 허용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22)의 개방 자세에서는, 레버부(22)를 너트 부재(12)를 조작할 때의 레버로서 사용할 수 있어, 너트 부재(12)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3) 스토퍼(24)의 폴(24a)이 판스프링(27)에 의해 항상 기어부(15)의 톱니에 서로 맞물리도록 가압되고 있으므로, 폴(24a)의 톱니에 대한 걸어맞춤이 안정된다.
(4) 스토퍼(24)는 레버부(22)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부(22)를 닫은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12)의 표면에 부재는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시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5) 레버부(22)를 닫았을 때, 핀(31)의 선단이 레버부(22)의 오목부(22d)에 끼워넣어, 레버부(22)의 폐쇄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 시에 레버부(22)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기어부(15)의 톱니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부(22)를 닫을 때, 폴(24a)이 복수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지기 용이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a) 도 8 및 도 9에, 핸들축(8)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의 변형예와 풀림 방지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핸들축(8)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는, 래칫 톱니를 가지는 기어부가 아니고, 복수의 톱니(35)를 가지는 스플라인축(36)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축(36)의 각 톱니(35)는, 도 8에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선단으로 갈수록 톱니폭이 좁아지도록 한 쌍의 테이퍼면(35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림 방지 부재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로 구성되어 있다.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는, 레버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22c)의 이면에 형성된 홈(22e)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는, 중앙부에 형성된 원판부(38a)와 원판부(38a)로부터 레버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38b)를 가지고 있다. 원판부(38a)에는 원형의 구멍(38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의 구멍(38c)의 내주 에지에, 스플라인축(36)의 각 톱니(35)가 맞물림 가능한 복수의 홈(38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부(38b)의 각각의 선단부는, 비스(vis)(40)의 헤드부와 홈(22e)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확보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각각의 다리부(38b)와 연결부(22c)의 홈(22e)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다리부(38b)는, 비스(40)의 헤드부와 홈(22e)과의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어 지지되어 있으므로,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는, 원형의 구멍(38c)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원판부(38a)의 외주부에는, 일부에 평탄부(38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부(38e)에는,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의 스프링(41)이 맞닿아 있고, 이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해,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는 소정의 회전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버부(22)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하면,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홈(38d)에 스플라인축(36)의 톱니(35)가 걸어맞추어진다. 따라서, 레버부(22)를 닫은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12)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22)를 폐쇄 자세로 할 때,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홈(38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톱니(35)가 닿은 경우에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는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스플라인축(36)의 톱니(35)가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38)의 홈(38d)에 걸어맞추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도 10 및 도 11에,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너트 부재의 구성이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다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11은 너트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고 그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너트 부재(42)는, 시트부(43)와, 손잡이부(44)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43)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타원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부(43)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구멍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44)는, 시트부(43) 측이 개구되는 상자형의 부재이며, 2개의 비스(45)에 의해 시트부(43)에 장착 가능하다.
손잡이부(44)의 내부에는, 핸들축(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4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47) 및 이 스토퍼(47)의 선단에 형성된 폴(47a)을 기어부(15) 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48)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손잡이부(44)의 일단부에는, 걸어맞춤 해제용의 푸시 버튼(50)(전환 조작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푸시 버튼(50)은, 손잡이부(44)의 측면에, 일부가 손잡이부(4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또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4)의 내부에는, 푸시 버튼(50)을 외부를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5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푸시 버튼(50)은,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항상 외부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푸시 버튼(50)을 누름으로써, 푸시 버튼(50)은 손잡이부(44)의 내부로 이동한다.
푸시 버튼(50)에는, 손잡이부(44)의 내부에 있어서 돌기(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50a)는, 스토퍼(47)의 타단(47b)과 맞닿아 있다. 그리고, 푸시 버튼(50)을 누름으로써, 스토퍼(47)는 회동하고, 선단의 폴(47a)의 기어부(15)의 톱니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44)를 가지고 너트 부재(42)를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47)의 폴(47a)은, 판스프링(4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기어부(15)의 톱니를 넘어 회전이 허용된다. 한편, 너트 부재(42)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스토퍼(47)의 폴(47a)이 기어부(15)의 톱니에 걸어맞추어져, 그 회전이 금지된다. 따라서, 너트 부재(42)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핸들 암(10)의 길이 조정 등을 위해 너트 부재(42)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푸시 버튼(50)을 누른다. 이로써, 스토퍼(47)가 회동하고, 폴(47a)의 기어부(15)의 톱니로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너트 부재(42)는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너트 부재(42)를 풀리게 하여 핸들 암(10)을 핸들축(8)으로부터 분리해 내어, 핸들 암(1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1 듀얼 베어링형 릴
2 릴 본체
8 핸들축
10 핸들 암
10c 긴 구멍
11 핸들 손잡이
12, 42 너트 부재
15 기어부(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
16 수나사부
17 걸어맞춤부
21 본체부
21c 암나사부
22 레버부
22d 오목부
24, 47 스토퍼(풀림 방지 부재)
24a, 47a 폴
27, 48 판스프링
30 유지 기구
31 핀
32 코일 스프링
35 톱니
36 스플라인축
38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38d 홈
41 스프링
50 푸시 버튼
51 코일 스프링

Claims (16)

  1.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에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anti-loosening engaging portion) 및 수나사부를 가지는 핸들축;
    제1 단부(端部)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해 상기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핸들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을 제1 단부에 가지고, 상기 핸들축의 선단부를 상기 긴 구멍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핸들 암(handle arm);
    상기 핸들 암의 상기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
    상기 핸들축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핸들 암을 상기 핸들축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너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의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핸들축에 체결된 상기 너트 부재의 풀리는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제1 자세와,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너트 부재의 풀리는 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풀림 방지 부재;
    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부재를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전환 조작하는 전환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부;
    를 가지고,
    상기 풀림 방지 부재는, 상기 레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의 폐쇄 자세로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개방 자세로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하는 폴(pawl)을 가지고, 상기 전환 조작 수단은 상기 레버부인, 낚시용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을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 측으로 가압하는 폴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부재는 상기 레버부의 상기 핸들축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개방 자세에서 타단부가 상기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낚시용 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를 폐쇄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機構)를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進退) 가능한 핀;
    상기 레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가 폐쇄 자세일 때 상기 핀의 선단부가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 및
    상기 핀을 상기 오목부에 가압하는 핀 가압 부재;
    를 가지는, 낚시용 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는 상기 핸들축의 선단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가지는, 낚시용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는, 상기 핸들축에 따른 방향의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外徑)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부재는, 상기 레버부의 상기 핸들축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톱니와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가지는, 낚시용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레버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를 소정 각도 위치에 가압하는 플레이트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낚시용 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는, 상기 핸들축에 따른 방향의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톱니폭이 좁아지도록 한 테이퍼면을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방지 부재는,
    상기 너트 부재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풀림 방지용 걸어맞춤부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자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2 자세로 하기 위한 조작 부재;
    를 가지고,
    상기 전환 조작 수단은 상기 조작 부재인, 낚시용 릴.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46647A 2013-04-30 2014-04-18 낚시용 릴 KR102232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4965A JP6227891B2 (ja) 2013-04-30 2013-04-30 釣り用リール
JPJP-P-2013-094965 201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026A KR20140130026A (ko) 2014-11-07
KR102232593B1 true KR102232593B1 (ko) 2021-03-25

Family

ID=5039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647A KR102232593B1 (ko) 2013-04-30 2014-04-18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95241B2 (ko)
EP (1) EP2798952B1 (ko)
JP (1) JP6227891B2 (ko)
KR (1) KR102232593B1 (ko)
CN (1) CN104126554B (ko)
MY (1) MY177694A (ko)
TW (1) TWI627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61B1 (ko) * 2016-02-24 2017-04-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풀림방지형 보강 핸들을 구비한 낚시릴
JP7105613B2 (ja) * 2018-05-22 2022-07-25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リターン位置調整機構
JP7086827B2 (ja) * 2018-12-14 2022-06-2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用キャップ
CN111820200B (zh) * 2020-07-13 2021-12-14 山东环球渔具股份有限公司 一种鱼线线轮连接结构
KR102460445B1 (ko) * 2021-12-03 2022-10-31 류원철 낚시용 릴 핸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0327A (ja) 2012-09-05 2014-03-20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6008693B2 (ja) 2012-10-30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2173A (en) * 1938-02-17 1939-06-13 Jr Levin B Huntington Adjustable crank structure
US2326023A (en) * 1942-03-16 1943-08-03 Cheney S Fredricksen Adjustable handle
JPS608693Y2 (ja) * 1979-12-27 1985-03-28 リヨ−ビ株式会社 両軸受けリ−ルの枠体
JPS60156966U (ja) * 1984-03-28 1985-10-1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置
US5489070A (en) * 1985-07-22 1996-02-06 Zebco Corporation Bait casting fishing reel
JP2922572B2 (ja) * 1990-04-06 1999-07-26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変速装置
JP3325773B2 (ja) * 1996-05-16 2002-09-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3325779B2 (ja) * 1996-08-28 2002-09-1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US6029922A (en) * 1998-12-08 2000-02-29 Brunswick Corporation Retainer element for a securing element used to maintain a crank handle on a fishing reel
US6666396B2 (en) * 2001-06-11 2003-12-23 Gator Grip, Inc. Multidirectional rotatable handle
JP3776029B2 (ja) * 2001-11-07 2006-05-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045167B2 (ja) * 2002-05-01 2008-02-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4135624A (ja) 2002-10-21 2004-05-13 Ever Green International:Kk 魚釣り用リール
JP2004222559A (ja) 2003-01-21 2004-08-12 Ever Green International:Kk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2006217848A (ja) * 2005-02-09 2006-08-2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10273629A (ja) * 2009-05-29 2010-12-09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0327A (ja) 2012-09-05 2014-03-20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6008693B2 (ja) 2012-10-30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6554B (zh) 2018-09-18
EP2798952A1 (en) 2014-11-05
KR20140130026A (ko) 2014-11-07
TW201507615A (zh) 2015-03-01
US20140319264A1 (en) 2014-10-30
MY177694A (en) 2020-09-23
EP2798952B1 (en) 2018-06-06
JP2014212770A (ja) 2014-11-17
CN104126554A (zh) 2014-11-05
US9295241B2 (en) 2016-03-29
JP6227891B2 (ja) 2017-11-08
TWI627901B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593B1 (ko) 낚시용 릴
US9103405B2 (en) Tensioning device for chains
JP2014212770A5 (ko)
JP4058047B2 (ja) ターンバックル
WO2012037014A3 (en) Ratchet locking mechanism for threaded fastener
JP2015042440A (ja) ラチェット工具
JP5878718B2 (ja) 両軸受リール
KR10194287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1535220B1 (ko) 조절이 가능한 만능 파이프 체결 공구
US8943929B2 (en) Torsion adjustment structure of ratchet wrench
JP4939487B2 (ja) ねじの緩み止め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シャックル
US10935104B2 (en) Load binder
TW201545645A (zh) 雙軸承捲線器的離合器復位機構
US10004215B2 (en) Fishing reel equipped with anti-loosening handle
EP2452556B1 (en) Reel
KR101069314B1 (ko) 풀림방지 너트
JP6261254B2 (ja) トルクレンチ
JP5986876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WO2017017680A1 (en) Interdental coupling of door-spindles
CN115426878A (zh) 拉转杆拖拽预设旋钮
CA3063404A1 (en) Load binder
US20170030106A1 (en) Interdental coupling of door spindles
JP2004073007A (ja) 魚釣り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