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445B1 - 낚시용 릴 핸들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445B1
KR102460445B1 KR1020210172074A KR20210172074A KR102460445B1 KR 102460445 B1 KR102460445 B1 KR 102460445B1 KR 1020210172074 A KR1020210172074 A KR 1020210172074A KR 20210172074 A KR20210172074 A KR 20210172074A KR 102460445 B1 KR102460445 B1 KR 10246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ortion
fishing reel
knob
us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원철
Original Assignee
류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원철 filed Critical 류원철
Priority to KR102021017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핸들{Fishing reel handle}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핸들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이란 낚싯줄을 감기 위해 낚싯대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원통 형상의 스풀을 포함하고, 스풀의 외면에 낚싯줄이 감기도록 구성된다. 낚싯줄은 낚시용 릴에 결합된 핸들 장치가 구동됨으로써 스풀의 외면에 감길 수 있으며, 핸들 장치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지 위한 노브가 구비된다.
한편, 핸들 장치는 사용자가 노브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을 그리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되며, 길게 늘어진 낚싯줄을 스풀의 외면에 감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횟수만큼 핸들 장치를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 장치를 용이하게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핸들 장치의 밸런스가 잘 잡혀있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핸들 장치의 각 구성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사용자가 핸들 장치를 회전 시킬 때 노브가 정확한 원을 그리도록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핸들 장치에 용이하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에 의해, 밸런스가 잘 잡혀있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낚시용 릴 핸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7929호에는 낚시용 릴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 핸들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 시킬 수 있는 낚시용 릴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낚시용 릴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 평탄부, 상기 노브가 연결되는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1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평탄부는 상기 제1 평탄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2 평탄부가 상기 제1 평탄부에 비해 상기 낚시용 릴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 시킬 수 있는 낚시용 릴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한 낚시용 릴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낚시용 릴에 낚시용 릴 핸들이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 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낚시용 릴 핸들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암부재를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연결부재와 암부재의 상대적 거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연결부재와 암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암부재의 일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 핸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낚시용 릴에 낚시용 릴 핸들(10)이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 핸들(10)(이하, 릴 핸들이라 함)은 낚시용 릴에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과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릴 핸들(10)을 회전시킴으로서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회전시키는 경우,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과 연결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낚싯줄은 스풀에 권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낚시용 릴은 일반적인 낚시용 릴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릴 핸들(10)은 다양한 형태의 낚시용 릴에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 핸들(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낚시용 릴 핸들(1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10), 일측에서 연결부재(110)와 연결되고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암부재(120) 및 암부재(120)의 타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노브(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10)는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10)는 릴 핸들(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낚시용 릴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브(130)는 연결부재(11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한 채로 원을 그리도록 릴 핸들(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부재(110)는 낚시용 릴의 회전축과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재(110)에는 낚시용 릴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공간의 내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고, 낚시용 릴의 회전축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릴 핸들(10)은 낚시용 릴에 탈착 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릴 핸들(10)이 파손되는 경우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재(110)는 낚시용 릴의 축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10)가 낚시용 릴의 회전축과 체결되는 경우, 후술하는 암부재(120)는 낚시용 릴과 연결부재(110)의 연결부위로부터 낚시용 릴의 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릴 핸들(1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암부재(120)는 연결부재(110)가 낚시용 릴과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암부재(120)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10)가 연결될 수 있고, 암부재(120)의 타측에는 노브(13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암부재(120)의 양측에는 연결부재(110)와 노브(130)가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하여 릴 핸들(10)을 회전시키는 경우, 노브(130)가 연결부재(110)를 중심으로 원을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암부재(120)는 개략적으로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암부재(120)는 개략적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된 얇은 판의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암부재(120)는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암부재(120)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재(120)에 관하여는 더욱 자세하게 후술한다.
노브(13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3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아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는 노브(1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연결부재(110)를 축으로 하여 노브(130)가 연결부재(110)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도록 릴 핸들(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낚싯줄은 낚시용 릴에 포함된 스풀에 권취될 수 있게 된다.
노브(130)에 관하여는 더욱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4는 도 2의 암부재(120)를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연결부재(110)와 암부재(120)의 상대적 거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연결부재(110)와 암부재(120)가 이루는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암부재(120)는 연결부재(110)와 노브(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두 부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암부재(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암부재(120)는 연결부재(110)가 연결되는 제1 평탄부(121), 노브(130)가 연결되는 제2 평탄부(122) 및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121)는 연결부재(11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탄부(121)는 암부재(1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평탄하게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탄부(121)에는 연결부재(110)가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10)는 일측에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는 제1 연결홈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암부재(120)와 연결부재(110)는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10)는 낚시용 릴의 회전축과 고정된 상태에서 암부재(120)만 회전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제2 평탄부(122)는 노브(13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평탄부(122)는 암부재(1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고, 평탄하게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탄부(122)에는 노브(130)가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30)는 제2 평탄부(122)와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연결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평탄부(122)와 노브(130)는 서로 연결되되, 노브(130)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평탄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평탄부(122)와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평탄부(122)는 정지된 상태에서 노브(130)는 제2 평탄부(122)에 삽입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을 그리는 방향으로 노브(130)에 힘을 가하는 경우 노브(130)는 제2 평탄부(12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노브(130)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된 상태에서 릴 핸들(10)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경사부(123)는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의 사이에 배치되며, 도 4를 기준으로 제1 평탄부(121)의 제2 평탄부(122)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암부재(120)는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 사이에 경사부(123)를 포함하기 위해, 굴곡진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경사부(123)는 제2 평탄부(122)가 제1 평탄부(121)에 비해 낚시용 릴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암부재(120)는 제1 평탄부(121)로부터 도 4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굴곡되어 제1 평탄부(121)와 경사부(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굴곡부(124)와 경사부(123)로부터 위방향으로 굴곡되어 경사부(123)와 제2 평탄부(1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굴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10)와 낚시용 릴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1 평탄부(121)까지의 거리(D1)는 연결부재(110)와 낚시용 릴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2 평탄부(122)까지의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10)와 낚시용 릴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1 평탄부(121)까지의 거리(D1)는 연결부재(1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의존한다. 즉, 연결부재(11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1 평탄부(121)까지의 거리(D1)는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1 평탄부(121)까지의 거리(D1)가 확보됨으로써 릴 핸들(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하여 노브(130) 및 암부재(120)를 회전시키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경사부(123)는 제2 평탄부(122)가 제1 평탄부(121)에 비해 낚시용 릴이 연결된 방향, 즉 가상의 선(L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가상의 선(L3)으로부터 노브(130)까지의 거리(D2)는 가상의 선(L3)으로부터 제1 평탄부(121)까지의 거리(D1)보다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하고 릴 핸들(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가하는 힘이 균형있게 릴 핸들(1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릴 핸들(1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평탄부(122)는 제1 평탄부(12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와 경사부(123) 사이의 거리보다 경사부(123)와 노브(130)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의 회전을 위해 노브(130)에 가하는 힘과 회전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길게 확보되므로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릴 핸들(10)에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평탄부(121)의 바닥면을 연장한 가상의 선(L1)은 낚시용 릴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선(H1)과 수직을 이룰 수 있고, 제2 평탄부(122)의 바닥면을 연장한 가상의 선(L2)은 노브(130)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선(H2)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낚시용 릴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선(H1)과 노브(130)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선(H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동작시키는 경우, 즉 노브(130)가 원을 그리도록 회전하는 경우에 노브(130)는 도 6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수평 방향으로만 원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하는 힘이 균형있게 릴 핸들(1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릴 핸들(1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에는 다양한 무늬가 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를 구성하는 재료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1 평탄부(121) 및 제2 평탄부(122)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고, 나아가 암부재(120)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힘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릴 핸들(10)을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에 형성되는 무늬는 다양한 형태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선형의 무늬일 수 있고, 물방울 무늬일 수 있고, 다양한 도형의 무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부재(120)를 포함함으로써, 릴 핸들(10)은 연결부재(110), 암부재(120) 및 노브(130) 등 릴 핸들(10)을 이루는 각 구성 간의 밸런스가 적절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암부재(120)의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가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회전시키는 경우 노브(130)는 상하로 이동함이 없이 원을 그리도록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릴 핸들(10)에 가하는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릴 핸들(10)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암부재(120)의 제1 평탄부(121)와 제2 평탄부(122)가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조작할 때 릴 핸들(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노브(130)를 빠르게 회전시키거나 강하게 회전시키는 등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암부재의 일 변형예(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소개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암부재(120')는 가운데에 제1 평탄부(121')가 배치되고, 제1 평탄부(121')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각각 경사부(123')와 제2 평탄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평탄부(121')는 연결부재(11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연결부재(110')는 제1 평탄부(121')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부재(110')는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암부재(120')는 제1 평탄부(121')를 통해 연결부재(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연결부재(1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 평탄부(122')는 노브(130')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암부재(120')는 제1 평탄부(121')의 양측에 제2 평탄부(122')가 배치되고, 각각의 제2 평탄부(122')에는 노브(130')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결국 하나의 암부재(120')에 두개의 노브(130')가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개의 노브(130') 중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의 노브(130')를 선택하여 파지한 후 릴 핸들(1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두 곳의 제2 평탄부(122')는 모두 제1 평탄부(121')보다 도 7을 기준으로 아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평탄부(121')의 양측에는 경사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평탄부(121')와 두 곳의 제2 평탄부(122')의 사이에는 경사부(12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암부재(120')는 경사부(123')를 포함하기 위해 제1 평탄부(121')의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경사부(123')는 제2 평탄부(122')가 제1 평탄부(121')에 비해 낚시용 릴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암부재(120')는 제1 평탄부(121')로부터 도 7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굴곡되어 제1 평탄부(121')와 경사부(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굴곡부(124')와 경사부(123')로부터 위방향으로 굴곡되어 경사부(123')와 제2 평탄부(1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굴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굴곡부(124')와 제2 굴곡부(125')는 제1 평탄부(121')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평탄부(122')가 제1 평탄부(121')보다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부재(11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사용자가 릴 핸들(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2의 노브(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브(130)는 연결부(131)와 파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1)는 암부재(120)의 제2 평탄부(122)에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30)는 연결부(131)를 통해 제2 평탄부(12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1)와 제2 평탄부(122)는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평탄부(122)는 정지된 상태에서 노브(130)는 제2 평탄부(122)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을 그리는 방향으로 노브(130)에 힘을 가하는 경우 노브(130)는 제2 평탄부(12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노브(130)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된 상태에서 릴 핸들(10)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파지부(13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파지부(132)를 감싸쥐도록 잡은 상태에서 릴 핸들(10)을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파지부(132)는 도 8을 기준으로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 파지부(1321), 제1 파지부(1321)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파지부(1322) 및 제2 파지부(1322)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3 파지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1321)는 제2 파지부(1322) 및 제3 파지부(1323)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지부(1321)의 최상단면에는 개략적으로 평평만 면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파지부(1321)의 옆면은 개략적으로 원기둥의 옆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132)를 파지할 때, 제1 파지부(1321)의 최상단면은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에 접촉될 수 있고, 제1 파지부(1321)의 옆면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적어도 일부가 얹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130)를 회전시키는 동안 노브(130)는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2 파지부(1322)는 제1 파지부(1321)의 하측에 배치되되, 길이를 따라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파지부(1322)는 개략적으로 역원뿔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부(132)를 파지할 때, 제2 파지부(1322)의 경사진 면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의 일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릴 핸들(1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3 파지부(1323)는 제2 파지부(13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파지부(1323)는 제2 파지부(1322)와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파지부(1322)에 비해 직경이 좁아지는 정도는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파지부(132)는 제1 파지부(1321)에서는 직경이 유지되다가, 제2 파지부(1322)에서 직경이 급격하게 좁아진 후, 제3 파지부(1323)에서는 직경이 완만하게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부(132)를 파지할 때, 제3 파지부(1323)에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의 끝부분이 안착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릴 핸들(10)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낚시용 릴 핸들
110: 연결부재
120: 암부재
121: 제1 평탄부
122: 제2 평탄부
123: 경사부
124: 제1 굴곡부
125: 제2 굴곡부
130: 노브
131: 연결부
132: 파지부
1321: 제1 파지부
1322: 제2 파지부
1323: 제3 파지부

Claims (5)

  1.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암부재; 및
    상기 암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낚시용 릴의 축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낚시용 릴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낚시용 릴의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암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 평탄부;
    상기 노브가 연결되는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1 평탄부와 상기 제2 평탄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낚시용 릴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제1 평탄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낚시용 릴이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제2 평탄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낚시용 릴 핸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탄부는,
    상기 제1 평탄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낚시용 릴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2 평탄부가 상기 제1 평탄부에 비해 상기 낚시용 릴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낚시용 릴 핸들.
KR1020210172074A 2021-12-03 2021-12-03 낚시용 릴 핸들 KR10246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74A KR102460445B1 (ko) 2021-12-03 2021-12-03 낚시용 릴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074A KR102460445B1 (ko) 2021-12-03 2021-12-03 낚시용 릴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445B1 true KR102460445B1 (ko) 2022-10-31

Family

ID=8380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074A KR102460445B1 (ko) 2021-12-03 2021-12-03 낚시용 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4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66B1 (ko) * 2002-05-09 2010-08-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JP4885666B2 (ja) * 2006-09-22 2012-02-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9295241B2 (en) * 2013-04-30 2016-03-29 Shimano Inc. Fishing reel
US9693543B2 (en) * 2015-03-24 2017-07-04 Globeride, Inc. Double bearing reel
KR20200000952U (ko) * 2018-11-05 2020-05-13 피싱코리아(주) 조절 부싱을 가진 낚시용 핸들
KR20200137929A (ko) * 2019-05-29 2020-12-0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66B1 (ko) * 2002-05-09 2010-08-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JP4885666B2 (ja) * 2006-09-22 2012-02-2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9295241B2 (en) * 2013-04-30 2016-03-29 Shimano Inc. Fishing reel
US9693543B2 (en) * 2015-03-24 2017-07-04 Globeride, Inc. Double bearing reel
KR20200000952U (ko) * 2018-11-05 2020-05-13 피싱코리아(주) 조절 부싱을 가진 낚시용 핸들
KR20200137929A (ko) * 2019-05-29 2020-12-0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8244B2 (ja) スコットラッセル機構式装置
JP4818016B2 (ja) ハンド装置、及びハンド装置の駆動方法
JP2012166297A (ja)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装置
KR102113578B1 (ko) 입력 부재를 구비한 로봇 팔
KR102460445B1 (ko) 낚시용 릴 핸들
KR20200080778A (ko) 소프트 그리퍼 및 그 그리퍼의 구동방법
US4660054A (en) Pen changer with orthogonal pick up from the turret
JP4889701B2 (ja) 理美容はさみ
KR102583215B1 (ko) 핑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핸드
JPH04111792A (ja) アクチュエータ
JP7149267B2 (ja) 把持システム
JP2008185543A (ja) 非接触3次元座標測定装置の測定ヘッド保持機構
CN114833851A (zh) 把持装置
CN2640760Y (zh) 异轴笔的持握部改良结构
JP3673140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US20160002003A1 (en) Angular winding
CN209478925U (zh) 气动抓手
US20230226701A1 (en) Robot hand and manipulator
JP2004262156A (ja) ペン差し具
JP2018103292A (ja) ロボットハンド
JP5897894B2 (ja) ゲーム機用入力装置、ゲーム機
JP2022098035A (ja) 魚釣用リール及びハンドルツマミ
WO2019102913A1 (ja) 把持システム
JP2003191193A (ja) スライド式チャック及びその把持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3196983A (ja) 人間形ロボット指機構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