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92B1 - 싱글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싱글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92B1
KR102232592B1 KR1020140043007A KR20140043007A KR102232592B1 KR 102232592 B1 KR102232592 B1 KR 102232592B1 KR 1020140043007 A KR1020140043007 A KR 1020140043007A KR 20140043007 A KR20140043007 A KR 20140043007A KR 102232592 B1 KR102232592 B1 KR 10223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axial direction
flange
single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231A (ko
Inventor
신이치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4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72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4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727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12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릴 본체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침입한 경우라도 신속하게 제거 가능한 싱글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싱글 베어링 릴(10)의 스풀(13)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16)와 제1 플랜지부(8a)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1)는, 본체부(21)와, 지지축(14)과, 커버부(21e)를 가지고 있다. 지지축(14)은, 본체부(21)에 설치되고, 스풀(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커버부(21e)는, 스풀(13)의 플랜지부(8b) 중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커버부(21e)는, 하나 이상의 구멍부(21g)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싱글 베어링 릴{SINGLE BEARING REEL}
본 발명은, 싱글 베어링 릴(single bearing reel)에 관한 것이다.
싱글 베어링 릴은, 스풀과, 릴 본체와,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스풀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는,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릴 본체는, 커버부를 가지고 있다. 커버부는, 스풀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이로써, 스풀의 플랜지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스풀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에 권취된 낚싯줄이, 릴 본체에 침입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을 회전시킨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1―72239호 공보
종래의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의 플랜지부의 외주측을 릴 본체의 커버부에 의해 덮는 것에 의해, 스풀의 플랜지부의 외주를 보호하는 동시에 릴 본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에 권취된 낚싯줄이, 릴 본체에 침입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한편, 낚시꾼이 싱글 베어링 릴을 사용하여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낚시꾼은, 낚싯밥을 손으로 빚어 경단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낚시꾼은, 이 낚싯밥이 손에 부착된 상태에서, 릴을 조작하는 경우가 많아, 이 낚싯밥이 낚시꾼의 손으로부터 스풀(예를 들면, 스풀에 권취된 낚싯줄)에 부착된다. 그러면, 이 낚싯밥이, 스풀의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에 침입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낚싯밥에 의해,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의 마찰이 생겨, 스풀의 원활한 회전을 저해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스풀에 부착된 낚싯밥은, 릴 본체의 내부에 침입하여 버릴 염려도 있다. 이 경우, 스풀을 회전시켰을 때, 이상음(異音)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실제 낚시 후의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 커버부에 부착된 낚싯밥 등의 이물질을 세정 등에 의해 제거하려고 하면, 시간이 소요될뿐아니라, 세정액(물 등)이 릴에 남아 버릴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릴 본체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에 신속하게 제거 가능한 싱글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싱글 베어링 릴은, 스풀과, 릴 본체와,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와, 제1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는, 낚싯줄이 권취되는 부분이다. 제1 플랜지부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는, 본체부와, 지지축과, 커버부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다. 지지축은, 본체부에 설치되고,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커버부는, 제1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커버부는, 하나 이상의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을 회전시킨다.
본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에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물질이 스풀의 제1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에 침입했다고 해도, 스풀이 회전하면, 이 이물질을 원심력(遠心力)에 의해 커버부의 구멍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스풀의 제1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에 침입했다고 해도, 유지보수 시에, 커버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구멍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릴 본체에 대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란, 스풀, 및/또는 스풀에 권취된 낚싯줄에, 부착된 낚싯밥 등을 총칭하는 문언(文言)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는, 스풀에 대향하는 홈부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커버부가, 스풀에 대향하는 홈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풀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 홈부를 따라 구멍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풀에 부착된 이물질을 홈부에 체류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에, 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부가, 홈부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구멍부가, 홈부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으므로, 홈부를 따라 구멍부에 안내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부가, 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이 경우, 구멍부가, 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스풀의 제1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에 침입했다고 해도, 이 이물질을 구멍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릴 본체에 대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가,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구멍부는, 간격을 두고, 커버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구멍부가, 간격을 두고 커버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에 부착된 이물질을 복수의 구멍부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구멍부 중 하나 이상이, 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이 경우, 복수의 구멍부 중 하나 이상이, 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버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스풀의 제1 플랜지부와 커버부와의 사이에 침입했다고 해도, 이 이물질을 구멍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싱글 베어링 릴에서는, 릴 본체에 대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단부에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스풀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축 방향 제2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체부는, 스풀의 축 방향 제1 측에 배치된다. 릴 본체는, 제2 플랜지부의 외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지지부는, 연장부와 안내부를 가진다. 연장부는, 본체부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으로 연장된다. 안내부는, 연장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에 안내부가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풀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에 권취된 낚싯줄이 느슨해져 있는 상태에서 스풀이 회전하여 낚싯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낚싯줄은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을 따라 연장부로 안내된다. 즉, 느슨해진 낚싯줄은, 제1 플랜지부와 지지부와의 간극으로 안내되지 않는다. 이 결과, 낚싯줄이 제2 플랜지부와 지지부와의 간극에 들어가 버린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로 안내된 낚싯줄은, 축 방향 제2 측으로 이동해도,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을 따라서 이동이 규제되어, 제2 플랜지부와 지지부와의 간극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의 선단면에서의 축 방향 제1 측의 끝 에지는,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 에지와 축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 또는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 에지보다 축 방향 제2 측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2 플랜지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으로부터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결과, 안내부에 의해 낚싯줄을 더욱 원활하게 연장부로 안내할 수 있어, 제2 플랜지부와 지지부와의 간극에 낚싯줄이 들어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플랜지부는, 소경부(小徑部)와 대경부(大徑部)를 가진다. 대경부는, 소경부의 축 방향 제2 측에 배치되고 소경부보다 직경이 크다. 안내부의 선단면은, 소경부의 외주면과 대향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경부와 대경부와의 단차(段差)를 이용하여, 지지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제2 플랜지부의 외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은, 소경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과 면이 일치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소경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으로부터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으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안내부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대경부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환형(環形)의 홈이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경부의 홈에 지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스풀의 외주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스풀을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 본체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싱글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싱글 베어링 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싱글 베어링 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싱글 베어링 릴에서의 제2 플랜지부와 하부 보호부(9b)와의 경계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2에 관한 싱글 베어링 릴에서의 제2 플랜지부와 하부 보호부(9b)와의 경계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에 관한 다른 싱글 베어링 릴에서의 제2 플랜지부와 하부 보호부(9b)와의 경계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3에 관한 다른 싱글 베어링 릴에서의 제2 플랜지부와 하부 보호부(9b)와의 경계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싱글 베어링 릴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싱글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2는 싱글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축 방향이란, 스풀의 회전축인 제1 축(X1)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축 방향 제1 측이란, 도 1의 우측을 의미하고, 축 방향 제2 측이란 도 1의 좌측을 의미한다. 직경 방향이란, 제1 축(X1)을 중심으로 한 원의 직경 방향을 의미하고, 직경 방향 내측이란 제1 축(X1)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직경 방향 외측이란 제1 축(X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글 베어링 릴(10)은, 릴 본체(11)와, 핸들(12)과, 스풀(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싱글 베어링 릴(10)은, 클러치 레버(20)와, 클러치 장치(2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및 핸들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나 낸 바와 같이, 릴 본체(11)는, 낚싯대 RD에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11)는, 프레임(본체부의 일례)(21)과, 프레임(21)에 고정된 측 커버(23)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21) 측 커버(23)와의 사이에는, 회전 전달 기구(機構)(24)와, 클러치 장치(25)와, 드래그 기구(26)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24)는, 핸들(12)의 회전을 스풀(13)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클러치 장치(25)는, 핸들(12)과 스풀(13)을 연결(클러치 온 상태) 및 연결 차단(클러치 오프 상태)한다. 클러치 레버(20)는, 클러치 장치(25)를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클러치 레버(20)는, 측 커버(23)의 외측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26)는, 스풀(13)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1)은, 제1 원판부(21b)와, 외통부(21c)와, 내통부(21d)를 가지고 있다. 제1 원통부(21b)는, 중심부에 개구(21a)를 가진다. 이 개구(21a)에는, 스풀(13)의 보스부(15)가 통과 가능하다. 외통부(21c)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원판부(21b)의 외주부로부터 핸들(12) 측(도 3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21d)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원판부(21b)의 내주 에지부로부터 외통부(21c)와는 반대측(도 3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원판부(21b)의 외주측에는,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를 수용 가능한 플랜지부(flange portion)(21e)(커버부의 일례)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21e)는,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 중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플랜지부(21e)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원판부(21b)의 외주부로부터 스풀(13)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1e)는, 제1 원판부(2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1e)는, 홈부(21f)와,복수의 구멍부(21g)를 가지고 있다. 홈부(21f)는, 플랜지부(21e)의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21f)는,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홈부(21f)는,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의 외주부와 대향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구멍부(21g)는, 홈부(21f)의 바닥부(121f)(도 4를 참조)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멍부(21g)는, 홈부(21f)를 따라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21g)는, 홈부(21f)의 바닥부(121f)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구멍부(21g)의 중 적어도 하나[후술하는 제3 구멍부(321g)]는, 후술하는 스풀(13)의 스풀축(14)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중력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멍부(21g) 중 1개가, 중력 방향[도 3에서의 스풀축(14)의 아래쪽]에 있어서, 홈부(21f)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의 구멍부(21g)가, 홈부(21f)의 바닥부(121f)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개의 구멍부(21g) 중 3개의 제1 구멍부(121g)는, 플랜지부(21e)의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각 제1 구멍부(121g)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개의 구멍부(21g) 중 3개의 제2 구멍부(221g)는, 플랜지부(21e)의 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3개의 제2 구멍부(221g)는, 3개의 제1 구멍부(121g)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각 제2 구멍부(221g)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7개의 구멍부(21g) 중 1개의 제3 구멍부(321g)는, 스풀축(14)의 아래쪽(중력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1e)의 홈부(21f)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싱글 베어링 릴(10)이, 낚싯대 RD를 수평이라고 가정하고, 낚싯대 RD에 대하여 수직 방향(아래쪽)에 설치된 상태의 예를 기재하고 있다. 이 대신에, 낚싯대 RD에 대하여 수직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장착된 경우, 예를 들면, 낚싯대 RD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된 경우, 제1 구멍부(121g) 및 제2 구멍부(221g) 중 어느 하나가, 스풀축(14)에 대하여 중력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부(21c)의 개구단부[핸들(12) 측의 단부]는, 측 커버(23)에 의해 막혀져 있다. 내통부(21d)는, 스풀(13) 내에 들어간 낚싯줄이 보스부(15)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걸림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외통부(21c)의 외주면에는, 상부 보호부(9a) 및 하부 보호부(9b)가,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부 보호부(9a) 및 하부 보호부(9b)는, 스풀(13)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측 커버(23)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보호부(9a)에는, 싱글 베어링 릴(10)을 낚싯대 RD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rod) 장착 다리(22c)가,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보호부(9b)에는, 개구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2d)는, 제3 구멍부(321g)와 대향하도록, 하부 보호부(9b)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 커버(23)는, 2개의 연결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있다. 측 커버(23)는, 제2 원판부(23a)와, 팽출부(膨出部)(23b)를 가지고 있다. 제2 원판부(23a)는, 외통부(21c)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된다. 팽출부(23b)는,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서, 제2 원판부(23a)로부터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판부(23a)의 중심은, 제1 원판부(21b)의 중심을 지나는 제1 축(X1)이다. 즉, 제1 원판부(21b)의 중심과 제2 원판부(23a)의 중심과는 같다. 제1 축(X1)은, 로드 장착 다리(22c)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팽출부(23b)는, 회전 전달 기구(24)와, 클러치 장치(25)와, 드래그 기구(26)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팽출부(23b)는, 제1 축(X1)(도 2)으로부터 편심된 위치 X4(도 2)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 외측[도 2의 지면(紙面) 직교 방향 바로 앞쪽]으로 팽출되어 있다.
팽출부(23b)에는, 드래그 기구(26)를 수납하는 드래그 수납통부(23c)가, 코킹(caulking)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드래그 수납통부(23c)의 중심을 지나는 제2 축(X2)(도 2)은, 제1 축(X1)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팽출부(23b)의 중심(X4)과 제1 축(X1)을 연결하는 직선(L) 상에서 중심(X4)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12)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12)은, 예를 들면, 2개의 핸들 손잡이(30)와, 핸들 암(arm)(31)을 가지고 있다. 핸들(12)은, 예를 들면, 더블 핸들형이다. 각 핸들 손잡이(30)는, 핸들 암(31)의 양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 암(31)은, 핸들축(32)의 선단부에, 고정 볼트(27)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핸들축(32)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 전달 기구의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24)는, 핸들축(32)과, 메인 기어(34)와, 피니언 기어(36)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2)은, 제2 축(X2)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핸들축(32)은, 제1 원판부(21b)에 장착된 베어링(38), 및 측 커버(23)에 장착된 롤러 클러치(40)에 의해, 릴 본체(11)에 대하여, 제2 축(X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40)는, 드래그 기구(26)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핸들축(32)을 지지하고 있다.
핸들축(32)의 일단부에는, 핸들 암(31)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축(32)의 선단부에 있어서, 핸들 암(31)이 핸들축(32)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32)의 타단부에는, 메인 기어(34)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32)에는, 드래그 기구(26)가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26)에서는, 핸들축(32)에 나사결합하는 드래그 조작부(80)를, 나사 체결 방향으로 돌리면, 접시 스프링이 압축된다. 그러면, 접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따라,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메인 기어(34)는, 예를 들면, 황동제의 원판 형상의 부재이다. 메인 기어(34)는, 핸들축(3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34)는, 직선형 기어(直齒; straight teeth)이며, 예를 들면, 톱니수가 43이다.
피니언 기어(36)는, 메인 기어(34)에 서로 맞물려 있어 스풀축(14)에 회전 가능하거나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6)는, 예를 들면, 놋쇠제의 통형의 기어 본체(42)를 가지고 있다. 기어 본체(42)에는, 메인 기어(34)가 서로 맞물려 있다. 기어 본체(42)는, 예를 들면, 직선형 기어이며, 톱니수가 12이다. 그러므로, 회전 전달 기구(24)의 증속비는, 43/12로 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6)는, 기어 본체(42)의 선단부에는, 클러치 장치(25)를 구성하는 제1 클러치 걸어맞춤부(44)를 가지고 있다.
<스풀의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3)은, 릴 본체(11)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된 스풀축(14)(지지축의 일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3)은, 스풀축(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핸들(12)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풀축(14)은, 제1 축(X1)을 따라 배치되고, 측 커버(23)에 고정 볼트(28)에 의해 기단(基端)이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4)은, 클러치 장치(25)를 구성하는 스프링 걸어맞춤부(74)를 기단측(基端側) 외주면에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축(14)의 선단측에는, 테이퍼부(14a)와 환형의 스풀 걸림홈(14b)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스풀(13)은, 보스부(15)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16)와, 제1 플랜지부(8a)와, 제2 플랜지부(8b)를 가지고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16)는, 보스부(15)의 외주측에 있어서 보스부(15)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8a)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6)의 제1 단부(도 3의 우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8b)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6)의 제2 단부(도 3의 좌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8b)는, 핸들(12)로부터 이격된 측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8a)는, 핸들(12)에 가까운 쪽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8a)는, 프레임(21)[제1 원판부(21b)]의 플랜지부(21e)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15)는, 스풀축(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스부(15)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16)는, 원판형의 연결부(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보스부(15)에는, 원터치 착탈(着脫) 기구(52)와,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원터치 착탈 기구(52)는, 스풀(13)을 원터치로 스풀축(14)에 착탈하기 위한 기구이다.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는, 클러치 장치(25)를 구성한다.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는, 보스부(15)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보스부(15)의 외주면에는, 캡부재(49)가 장착된다. 보스부(15)의 내주면에는, 예를 들면, 볼베어링의 형태의 제1 베어링(50) 및 제2 베어링(51)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원터치 착탈 기구(52)는, 스풀 걸림홈(14b)과, 착탈 조작부(56)와, 토션(torsion) 코일 스프링(57)을 가지고 있다. 착탈 조작 부재(56)는, 스풀 걸림홈(14b)에 걸어맞추어진다. 토션 코일 스프링(57)은, 착탈 조작 부재(56)를 직경 방향 외측(도 3의 위쪽)으로 가압한다. 착탈 조작 부재(56)는, 90° 절곡되어 형성된 착탈 조작부(56a)를 가지고 있다.
스풀(13)을 스풀축(14)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는, 착탈 조작부(56a)를 스풀축(14)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압압(押壓)한다. 그러면, 토션 코일 스프링(57)과 착탈 조작 부재(56)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스풀(13)을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스풀(13)을 장착하는 경우, 착탈 조작 부재(56)가, 테이퍼부(14a)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착탈 조작 부재(56)가 스풀 걸림홈(14b)에 배치되면 토션 코일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의해, 착탈 조작 부재(56)가 스풀 걸림홈(14b)에 걸려, 스풀(13)의 이탈이 방지된다.
<클러치 레버의 구성>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20)는, 측 커버(23)의 팽출부(23b)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레버(20)는, 제1 축(X1)의 위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축(X3)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축(X2) 및 제3 축(X3)은, 제1 원판부(21b)의 중심에 배치된 제1 축(X1)을 지나는 직선(L) 상에 상하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직선(L)은, 로드 장착 다리(22c)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에서 로드 장착 다리(22c)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축(X3)은, 제2 축(X2)과 제1 축(X1)을 협지(sandwich)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릴 본체(11)를 포함하여 싱글 베어링 릴(1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직선(L)에 대하여 대략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20)는, 리턴 스프링(73)의 작용에 의해, 통상은,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20)는, 레버축(65)과, 레버 본체(66)와, 레버 손잡이(67)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축(65)은, 측 커버(23)에 고정 볼트(2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레버 본체(66)는, 레버축(65)에 일체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본체(66)는, 고정 볼트(29)에 의해 레버축(65)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 손잡이(67)는, 레버 본체(66)의 선단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러치 레버(20)를 요동시킴으로써, 클러치 장치(25)의 온 오프가 설정된다. 그리고, 요동 조작이 종료되면, 피니언 기어(36)는, 리턴 스프링(73)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 온 위치로 복귀한다.
<클러치 장치의 구성>
클러치 장치(25)는, 클러치 레버(20)에 의해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클러치 장치(25)는, 제1 클러치 걸어맞춤부(44)와,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와, 클러치 제어 기구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러치 걸어맞춤부(44)는, 피니언 기어(36)의 기어 본체(42)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는, 스풀(13)에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는, 제1 클러치 걸어맞춤부(44)를 제2 클러치 걸어맞춤부(48)에 걸어맞춤으로써, 클러치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클러치 제어 기구는, 이동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동 기구는, 클러치 레버(20)의 요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클러치 캠(70)과, 클러치 캠에 걸어맞추어지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71)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캠(70)은, 클러치 레버(20)의 레버축(65)과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이로써, 클러치 캠(70)은, 클러치 레버(20)의 요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클러치 요크(71)는, 클러치 레버(20)의 요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36)를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클러치 요크(71)는, 레버축(65)에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요크(71)는, 피니언 기어(36)의 기어 본체(42)에 걸어맞추어져, 피니언 기어(36)를 이동시킨다. 클러치 요크(71)의 배면에는, 리턴 스프링(73)이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요크(71)는, 기어 본체(42)에 걸어맞춤으로써 회전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리턴 기구에 의해, 피니언 기어(36)는,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복귀한다.
<스풀의 회전 시의 이물질 제거 동작>
낚시꾼이 핸들(12)을 회전시키면, 스풀(13)이 회전한다. 예를 들면, 이물질 예를 들면, 낚싯밥이, 스풀(13)의 제2 플랜지부(8b), 및/또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6)에 권취된 낚싯줄에 부착되어 있어도, 스풀(13)이 회전하면, 낚싯밥에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이 원심력에 의해, 스풀에 부착된 낚싯밥이 외측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낚싯밥이,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와 프레임(21)의 플랜지부(21e)와의 사이에 침입되면, 이 낚싯밥이 제1 플랜지부(8a)와 플랜지부(21e)와의 사이에 퇴적된다. 또한, 낚싯밥의 퇴적량이 많아지면, 낚싯밥이 제1 플랜지부(8a) 및/또는 플랜지부(21e)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스풀(13)의 원활한 회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된다. 또한, 이 낚싯밥이, 릴 본체(11)에 침입해 버린 경우, 낚싯밥이 회전 전달 기구 등에 간섭하여, 이상음의 발생 및/또는 회전 불량 등이 생기는 원인으로 된다.
한편, 본 싱글 베어링 릴(10)에서는, 낚싯밥이,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와 프레임(21)의 플랜지부(21e)와의 사이에 침입한 상태에 있어서, 낚시꾼이 핸들(12)을 회전시키면, 스풀(13)의 제1 플랜지부(8a)의 회전에 의해, 낚싯밥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 낚싯밥이 복수의 구멍부(21g)[121g, 221g, 321g]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낚싯밥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이 낚싯밥은, 홈부(21f)와 맞닿고, 홈부(21f)를 따라 각 구멍부(21g)[121g, 221g, 321g]에 안내된다. 그리고, 낚싯밥이, 각 구멍부(21g)[121g, 221g, 321g]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제3 구멍부(321g)는, 스풀축(14)의 아래쪽(중력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21e)의 홈부(21f)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풀(13)을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낚싯밥은, 예를 들면, 홈부(21f)의 물 등에 의해, 홈부(21f)를 따라 제3 구멍부(321g)에 안내된다. 그리고, 낚싯밥이, 제3 구멍부(321g)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홈부(21f)의 물 등은, 낚시의 실행 시의 해수(海水), 및/또는 유지보수 시에 세정수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싱글 베어링 릴(10)에서는, 낚싯밥이 구멍부(21g)로부터 제거되므로, 릴 본체(11)의 내측으로의 낚싯밥의 침입, 예를 들면, 프레임(21)과 스풀(13)과의 사이로의 낚싯밥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싱글 베어링 릴(10)에서는,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 원터치 착탈 기구(52)에 의해 스풀(13)을 스풀축(14)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플랜지부(21e)의 내주부에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홈부(21f) 및/또는 각 구멍부(21g)[121g, 221g, 321g]에 잔류한 낚싯밥을 없애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릴 본체(11)는, 상부 보호부(9a) 및 하부 보호부(9b)를 가지고 있지만, 이 상부 보호부(9a) 및 하부 보호부(9b)에 의해 제2 플랜지부(8b)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8b)는, 소경부(81)와, 대경부(82)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82)는, 소경부(81)보다 직경이 큰 원판형으로서, 소경부(81)의 축 방향 제2 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경부(82)는, 소경부(8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82)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인 내측면(821)에 홈(8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822)은, 주위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822)은, 대경부(82)의 외주부로서, 소경부(81)보다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홈(822)의 직경 방향 내측의 측면(823)은, 소경부(81)의 외주면(811)과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홈(822)의 직경 방향 내측의 측면(823)과 소경부(81)의 외주면(811)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82)의 내측면(821)은, 소경부(81)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인 내측면(812)보다도, 축 방향 제2 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부 보호부(9b)는, 연장부(91), 안내부(92), 및 돌출부(93)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91)는, 프레임(21)의 외주부로부터 축 방향 제1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연장부(91)는, 프레임(21)의 외통부(21c)의 외주면으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91)는 제1 축(X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안내부(92)는, 연장부(91)의 선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부(92)의 선단면(921), 즉 직경 방향 내측의 측면(921)은, 제2 플랜지부(8b)의 외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경부(81)의 외주면(811)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선단면(921)의 축 방향 제1 측의 끝 에지는, 외주면(811)의 축 방향 제1 측의 끝 에지와 축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안내부(92)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인 가이드면(922)은, 소경부(81)의 내측면(812)과 면일치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면(922)은, 연장부(91)의 직경 방향 내측면(911)에 대하여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93)는, 안내부(92)의 선단부(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돌출부(93)의 선단부(축 방향 제2 측의 단부)는, 대경부(82)에 형성된 홈(82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돌출부(93)의 직경 방향 내측의 측면(931)과 안내부(92)의 선단면(921)은 연속된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 1에 관한 하부 보호부(9b)가 본 발명의 지지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상부 보호부(9a)도, 하부 보호부(9b)와 마찬가지로, 연장부(91), 안내부(92), 및 돌출부(93)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변형예 2
변형예 1에서는, 안내부(92)의 가이드면(922)과 소경부(81)의 내측면(812)이 면일치로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92)의 가이드면(922)이, 소경부(81)의 내측면(812)보다도, 축 방향 제2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92)의 가이드면(922)이, 소경부(81)의 내측면(812)보다도, 축 방향 제1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3
변형예 1에서는, 안내부(92)는, 직경 방향으로 평행, 즉 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92)는 경사진 상태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 4
변형예 1에서는, 안내부(92)의 선단면(921)은, 소경부(81)의 외주면(811)과 대향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안내부(92)의 선단면(921)은, 대경부(82)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있어도 되고, 소경부(81)의 외주면(811) 및 대경부(82)의 외주면의 양쪽과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7개의 구멍부(21g)가 플랜지부(21e)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구멍부(21g)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플랜지부(21e)에는, 적어도 제3 구멍부(321g)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홈부(21f)가 플랜지부(21e)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홈부(21f)는, 복수의 구멍부(21g)를 연결하는 것이면, 부분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10 싱글 베어링 릴
11 릴 본체
12 핸들
13 스풀
14 스풀축(지지축의 일례)
16 와이어 권취 보디부
8a 제1 플랜지부
8b 제2 플랜지부
21 프레임(본체부의 일례)
21c 외통부
21e 플랜지부(커버부의 일례)
22c 로드 장착 다리
21f 홈부
21g 구멍부
121g 제1 구멍부
221g 제2 구멍부
321g 제3 구멍부(중력 방향의 구멍부의 일례)

Claims (11)

  1. 낚싯줄이 권취되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 및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제1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스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제1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덮고 또한 상기 플랜지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부를 가지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릴 본체; 및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시키는 핸들;
    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한 직경 방향으로 개구하고,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한 주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구멍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풀의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싱글 베어링 릴(single bearing reel).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랜지부에 대향하는 홈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싱글 베어링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상기 홈부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싱글 베어링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싱글 베어링 릴.
  5.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단부에 상기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은,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축 방향 제2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풀의 축 방향 제1 측에 배치되고,
    상기 릴 본체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싱글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선단면에서의 축 방향 제1 측의 끝 에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 에지와 축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 에지보다 축 방향 제2 측에 위치하는, 싱글 베어링 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소경부(小徑部)와, 상기 소경부의 축 방향 제2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大徑部)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의 선단면은,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싱글 베어링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은, 상기 소경부의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과 면이 일치한, 싱글 베어링 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내부로부터 축 방향 제2 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대경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환형(環形)의 홈이 축 방향 제1 측의 측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싱글 베어링 릴.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43007A 2013-04-26 2014-04-10 싱글 베어링 릴 KR102232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4182A JP6227273B2 (ja) 2013-04-26 2013-04-26 片軸受リール
JPJP-P-2013-094183 2013-04-26
JPJP-P-2013-094182 2013-04-26
JP2013094183A JP6227274B2 (ja) 2013-04-26 2013-04-26 片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31A KR20140128231A (ko) 2014-11-05
KR102232592B1 true KR102232592B1 (ko) 2021-03-25

Family

ID=5176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007A KR102232592B1 (ko) 2013-04-26 2014-04-10 싱글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32592B1 (ko)
CN (1) CN104115798B (ko)
TW (1) TWI63086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874A (ja) 2001-01-22 2002-08-06 Daiwa Seiko Inc 魚釣用片軸受リール
JP2002218877A (ja) 2001-01-22 2002-08-06 Daiwa Seiko Inc 片軸受けリール
JP2011072239A (ja) * 2009-09-30 2011-04-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ク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4547Y2 (ko) * 1972-05-02 1975-07-23
JPH0287468U (ko) * 1988-12-23 1990-07-11
JPH0555875U (ja) * 1992-01-17 1993-07-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4366280B2 (ja) * 2004-09-29 2009-11-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カバー
CN2850281Y (zh) * 2005-12-16 2006-12-27 陶宁 渔线轮组合式线轮壳体
JP4921188B2 (ja) * 2007-01-25 2012-04-25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874A (ja) 2001-01-22 2002-08-06 Daiwa Seiko Inc 魚釣用片軸受リール
JP2002218877A (ja) 2001-01-22 2002-08-06 Daiwa Seiko Inc 片軸受けリール
JP2011072239A (ja) * 2009-09-30 2011-04-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ク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31A (ko) 2014-11-05
TW201511674A (zh) 2015-04-01
CN104115798A (zh) 2014-10-29
TWI630865B (zh) 2018-08-01
CN104115798B (zh) 201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350B2 (en) Spinning reel waterproofing member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ame
KR102219554B1 (ko) 스피닝 릴
KR10168929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278089B1 (ko) 양 베어링 릴
KR102473153B1 (ko) 낚시용 릴의 방수 구조
KR102294432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JP647294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90028459A (ko) 스피닝 릴
CN104509501A (zh) 垂钓用渔线轮的卷线筒单元
KR20150032787A (ko) 양 베어링 릴
JP2015035986A5 (ko)
KR102243482B1 (ko) 스피닝 릴
JP2006217848A5 (ko)
JP200621784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EP2248418B1 (en) Rotor for spinning reel
JP33728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フレーム構造
KR102232592B1 (ko) 싱글 베어링 릴
KR20100130145A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손잡이
KR102422192B1 (ko) 양 베어링 릴
KR102601753B1 (ko) 양 베어링 릴
KR1020542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스풀
JP6227273B2 (ja) 片軸受リール
JP7355522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8023321A5 (ko)
KR102275977B1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