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736B1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736B1
KR102231736B1 KR1020167036710A KR20167036710A KR102231736B1 KR 102231736 B1 KR102231736 B1 KR 102231736B1 KR 1020167036710 A KR1020167036710 A KR 1020167036710A KR 20167036710 A KR20167036710 A KR 20167036710A KR 102231736 B1 KR102231736 B1 KR 10223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container
cas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482A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7004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케이스(1)의 전면(前面)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통 수용 공간(4)과,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와,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도록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27)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물통으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부터,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에 교환식의 물통을 세팅하고, 그 물통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는, 교환식의 물통이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滿水)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세팅할 때에, 물통을 높이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물통은, 통상 10리터∼12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 이상의 중량을 갖는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물통의 교환 작업은 매우 힘들었다.
그래서, 물통의 교환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기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바닥면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전면(前面)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출납 가능하게 슬라이드 레일로 지지된 상자형의 통 홀더와, 그 통 홀더에 삽입된 교환식의 물통과, 물통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물통으로부터 냉수 탱크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와, 냉수 탱크로부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를 갖는다. 그리고, 물통의 물 출구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물통을 상자형의 통 홀더에 삽입하고, 그 통 홀더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물통의 물 출구가,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 홀더의 하부에는, 물통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닥면 위를 구르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물통이 냉수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워터 서버에 세팅할 때에, 물통을 높이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90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8332호 공보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물통을 교환할 때, 상자형의 통 홀더로부터 빈 상태의 물통을 꺼낸 후, 통 홀더의 상방으로부터 통 홀더 내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홀더에 삽입할 때,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이고, 또한 만수 상태의 물통은 상당한 중량이 있기 때문에, 물통의 자중(自重)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기 쉬워, 물통과 상자형의 통 홀더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워터 서버는, 통 홀더를 케이스로부터 출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이나, 물통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닥면 위를 구르는 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낮은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의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바닥면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과,
그 물통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와,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물 출구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물통을 수용하는 통 수용 공간과,
그 통 수용 공간에 수용된 물통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와,
그 통 슬라이딩 지지부를 따라 상기 물통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통의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통 수용 공간에, 물통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자중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물통으로서는,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를 갖고, 그 목부의 선단 중앙에 상기 물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수 로드가 상기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의 목부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통수 로드가 상기 물 출구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의 어깨부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물통의 물 출구를 통수 로드에 끼워 맞출 때에, 물통의 목부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물통의 목부의 위치가 안정되어, 확실하게 물 출구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통 수용 공간의 상기 케이스의 전면측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 수용 공간으로부터 케이스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을 구성하는 전면 도어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면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의 통 도입 안내면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스의 외부에 있는 물통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도입하는 작업의 수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면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에 접지하는 접지부를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면 도어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실었을 때에, 물통의 중량이 전면 도어의 접지부를 통해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물통의 중량으로 케이스가 전방으로 전도(轉倒)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통 수용 공간에의 물통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물통의 자중에 의해 물통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물통을 통 수용 공간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측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수 로드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물통이 점차 수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서버에 만수 상태의 물통을 세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도시한다. 이 워터 서버는, 바닥면(F) 위에 배치되는 세로로 긴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상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와, 케이스(1)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된 교환식의 물통(5)과,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 퍼올림로(6)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접속하는 탱크 접속로(7)를 갖는다. 냉수 탱크(2)는, 물통(5)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3)가 냉수 탱크(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10)과, 통벽(10)의 상부를 막도록 설치된 상부판(11)과, 통벽(10)의 하부를 막도록 설치된 저부판(12)으로 이루어진다. 통벽(10)은, 좌우 한 쌍의 측면판(13)과, 측면판(13)의 앞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전면판(14)과, 측면판(13)의 뒤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판(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해 선 사용자로부터 보아 앞쪽측이 전방, 안쪽측이 후방이다.
통 수용 공간(4)은,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통 수용 공간(4)은, 케이스(1)를 구성하는 통벽(10)의 전면 하부[전면판(14)의 하측]에 개구(16)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개구(16)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통(5)을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전면측에는, 개구(16)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17)가 조립되어 있다.
물통(5)은,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되어 있다. 물통(5)은,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21)와, 그 몸통부(21)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22)와, 몸통부(21)의 타단에 어깨부(23)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24)를 갖는다. 물통(5)의 물 출구(20)는 목부(24)의 선단 중앙에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어깨부(23)는, 몸통부(21)로부터 목부(24)를 향해 점차 오므라지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5)의 몸통부(21)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물통(5)이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통(5)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물통(5)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퍼올림로(6)는, 물통(5)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원수 퍼올림로(6)의 도중에는, 원수 퍼올림로(6) 내의 음료수를 물통(5)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하는 펌프(25)가 편입되어 있다. 펌프(25)와 냉수 탱크(2) 사이에는 유량 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원수 퍼올림로(6)의 물통(5)측의 단부에는,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는 통수 로드(27)가 설치되어 있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이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9)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28)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고,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9)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30)에 의해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25)가 작동하여,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공급된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하부로부터 케이스(1)의 전면측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31)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로(32)가 접속되어 있고, 냉수 수도꼭지(31)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용량은, 물통(5)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3)는, 음료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3)가 부착되어 있고, 온수 탱크(3)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3) 내의 상부로부터 케이스(1)의 전면측에 배치된 온수 수도꼭지(34)에 고온의 음료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35)가 접속되어 있고, 온수 수도꼭지(34)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3)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유입되기 때문에, 온수 탱크(3)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3)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통 수용 공간(4)의 하부에는,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는,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한 물통(5)의 몸통부(21)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는, 물통(5)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각통(角筒)형의 몸통부(21)를 갖는 물통(5)을 채용할 때에는, 각통형의 몸통부(21)의 하부 외주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모홈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 또는 각통형의 몸통부(2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원통형의 몸통부(21)를 갖는 물통(5)을 채용할 때에는, 원통형의 몸통부(21)의 하부 외주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홈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 또는 원통형의 몸통부(2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채용할 수 있다.
통수 로드(27)는,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되어 있고, 물통(5)을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물통(5)의 물 출구(20)가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 로드(27)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통체이다. 물통(5)의 물 출구(20)는, 통수 로드(27)와 끼워 맞춰져 있지 않을 때에는 마개체(41)로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통수 로드(27)가 물 출구(20)에 삽입되면, 마개체(41)가 통수 로드(27)의 전단에 설치한 반구부(半球部; 42)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통수 로드(27)의 외주에는, 통수 로드(27)를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물통(5)의 내부로 개구되는 통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하부에는, 통수 로드(27)가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물통(5)의 목부(24)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44)와, 그 가이드 부재(44)와 일체로 설치된 스토퍼(4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는, 물통(5)의 어깨부(23)와 전후로 대향하는 부분이며, 물통(5)의 물 출구(20)가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물통(5)의 어깨부(23)에 접촉함으로써 물통(5)의 후방으로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전면 도어(17)는, 케이스(1)의 저부판(12)의 전단부에 형성된 요동 지점(46)을 중심으로 눕혔다 세웠다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통 수용 공간(4)으로부터 케이스(1)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47)을 구성한다. 여기서, 통 도입 안내면(4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면 도어(17)의 후측의 면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의 상면과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바닥면(F)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갖는다. 접지부(4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면 도어(17)의 전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워터 서버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워터 서버의 사용자가, 냉수 수도꼭지(31)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또한, 온수 수도꼭지(34)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3)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해도,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로(7)를 통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3)에 도입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수위를 하회한 것을 수위 센서(30)가 검출하면, 펌프(25)가 작동하여, 물통(5)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린다.
물통(5)의 음료수가 점차 감소하여, 빈 상태가 되면, 펌프(25)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퍼올림로(6)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26)에 의해 검지하고, 전면판(14)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용기 교환 램프를 점등시켜, 물통(5)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물통(5)이 빈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물통(5)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먼저, 전면 도어(17)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통해 빈 물통(5)을 꺼낸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 상태의 물통(5)을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전면 도어(17)의 통 도입 안내면(47)에 배치한다. 그 후, 물통(5)을 후방으로 밀어 움직여, 케이스(1)의 내부의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물통(5)의 물 출구(20)가, 케이스(1)의 내부에 고정된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춰지고, 물통(5)과 원수 퍼올림로가 연통된다.
이 워터 서버는, 통 수용 공간(4)에의 물통(5)의 삽입 방향이, 연직 하방[물통(5)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할 때에, 물통(5)의 자중에 의해 물통(5)이 삽입 방향으로 가속되어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물통(5)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물통(5)을 통 수용 공간(4)에 삽입할 때에, 슬라이드 레일식의 통 홀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통(5)의 하면을 직접 슬라이딩시켜 물통(5)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5) 주변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 로드(27)에 물통(5)의 물 출구(20)를 끼워 맞추는 구성이기 때문에, 물통(5)을 케이스(1)로부터 출납할 때에, 물통(5)에 추종하여 통수 로드(27)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원수 퍼올림로(6)의 길이를 짧게 억제하고, 원수 퍼올림로(6)에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물통(5)의 물 출구(20)를 통수 로드(27)에 끼워 맞출 때에, 물통(5)의 목부(24)의 선단이 가이드 부재(44)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물통(5)의 목부(24)의 위치가 안정되어, 확실하게 물 출구(20)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전면 도어(17)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17)의 통 도입 안내면(47)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스(1)의 외부에 있는 물통(5)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도입하는 작업의 수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는, 전면 도어(17)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 도어(17)에 만수 상태의 물통(5)을 실었을 때에, 물통(5)의 중량이 전면 도어(17)의 접지부(48)를 통해 바닥면(F)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물통(5)의 중량으로 케이스(1)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케이스 2: 냉수 탱크
4: 통 수용 공간 5: 물통
6: 원수 퍼올림로 17: 전면 도어
20: 물 출구 21: 몸통부
22: 저부 23: 어깨부
24: 목부 27: 통수 로드
31: 냉수 수도꼭지 32: 냉수 주출로
40: 통 슬라이딩 지지부 44: 가이드 부재
45: 스토퍼 47: 통 도입 안내면
48: 접지부 F: 바닥면

Claims (5)

  1. 바닥면(F)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에 수용되고,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 교환식의 물통(5)과,
    상기 물통(5)보다 상방에 배치된 냉수 탱크(2)와,
    상기 물통(5)으로부터 상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퍼 올리는 원수(原水) 퍼올림로(6)와,
    상기 냉수 탱크(2)로부터 상기 케이스(1)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냉수 수도꼭지(31)에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32)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물 출구(20)를 후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물통(5)을 수용하는 통 수용 공간(4)과,
    상기 통 수용 공간(4)에 수용된 물통(5)의 하면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슬라이딩 지지부(40)와,
    상기 통 슬라이딩 지지부(40)를 따라 상기 물통(5)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통(5)의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지도록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고정된 통수(通水) 로드(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5)은, 중공 통 형상의 몸통부(21)와, 그 몸통부(21)의 일단에 형성된 저부(22)와, 상기 몸통부(21)의 타단에 어깨부(23)를 개재하여 형성된 목부(24)를 포함하고, 그 목부(24)의 선단 중앙에 상기 물 출구(20)가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 로드(27)가 상기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5)의 목부(24)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내부 직경이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44)와,
    상기 통수 로드(27)가 상기 물 출구(20)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5)의 어깨부(23)에 접촉하는 스토퍼(45)
    를 더 포함하는 워터 서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수용 공간(4)의 상기 케이스(1)의 전면측의 개구(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 수용 공간(4)으로부터 케이스(1)의 외부로 연속되는 통 도입 안내면(47)을 구성하는 전면 도어(17)를 더 포함하는 워터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도어(17)는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F)에 접지하는 접지부(48)를 구비하는 것인 워터 서버.
KR1020167036710A 2014-08-25 2014-09-09 워터 서버 KR102231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0480A JP5789334B1 (ja) 2014-08-25 2014-08-25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JP-P-2014-170480 2014-08-25
PCT/JP2014/073774 WO2016031086A1 (ja) 2014-08-25 2014-09-09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82A KR20170043482A (ko) 2017-04-21
KR102231736B1 true KR102231736B1 (ko) 2021-03-23

Family

ID=5434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710A KR102231736B1 (ko) 2014-08-25 2014-09-09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89334B1 (ko)
KR (1) KR102231736B1 (ko)
TW (1) TW201615534A (ko)
WO (1) WO2016031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5463B (zh) * 2018-08-01 2020-02-21 銓寶工業股份有限公司 下置式飲水機及配設有收縮包裝水桶之下置式飲水機及其使用方法
JP7154901B2 (ja) * 2018-09-10 2022-10-18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機
JP7266278B2 (ja) * 2018-11-27 2023-04-28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水ボトルリース契約管理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651A (ja)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ボトルウォーターを原水とする飲用水供給装置におけるボトルウォーター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WO2013128666A1 (ja)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4045763A1 (ja) 2012-09-18 2014-03-2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4603B2 (en) * 2006-08-30 2008-10-14 Mtn Products, Inc. Bottom load water cooler
JP5235092B2 (ja) 2008-04-11 2013-07-10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651A (ja) 2011-02-21 2012-09-10 Tech Corporation:Kk ボトルウォーターを原水とする飲用水供給装置におけるボトルウォーターの挿入方法および挿入装置
WO2013128666A1 (ja) 2012-03-02 2013-09-06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4045763A1 (ja) 2012-09-18 2014-03-2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4058332A (ja) 2012-09-18 2014-04-03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5534A (zh) 2016-05-01
WO2016031086A1 (ja) 2016-03-03
JP5789334B1 (ja) 2015-10-07
JP2016043969A (ja) 2016-04-04
KR20170043482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KR102231736B1 (ko)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US10563909B2 (en) Refrigerator with a quick fill dispenser
KR20120001758A (ko) 음료 디스펜서
RU2015145059A (ru) Система наполнения емкости и клапан для нее
US2191918A (en) Dispensing device
CN111380311A (zh) 用于制冷设备的预注水组件
KR20150127130A (ko) 워터 서버
KR20140143818A (ko) 워터 서버
KR20090014078A (ko) 음료수용 서버
IL211021A (en) Water facility that includes a bag unit in a box
CN105813948A (zh) 一种用于关闭流体容器的装置
RU2015146919A (ru) Кувшин для напитков и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кувшин
CN104736467A (zh) 饮水机
EP2962982A1 (en) Water server
US11267685B2 (en) Beverage containment and dispensing system
CA2983105C (en) Portable water cooler
JP7176721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2703755B1 (en) A cooling device having a water dispenser
KR102288480B1 (ko) 음료용 디스펜서
JP4114866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1816455A (en) Bottle cooler
ITMI20000195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con dispositivo erogatore di bevande
EP3771686A2 (en) Foam on beer (fob)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