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92B1 -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92B1
KR102230892B1 KR1020200074671A KR20200074671A KR102230892B1 KR 102230892 B1 KR102230892 B1 KR 102230892B1 KR 1020200074671 A KR1020200074671 A KR 1020200074671A KR 20200074671 A KR20200074671 A KR 20200074671A KR 102230892 B1 KR102230892 B1 KR 10223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aper
unit
housing
manufacturing system
slot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주)씨엘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엘팜 filed Critical (주)씨엘팜
Priority to KR102020007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92B1/ko
Priority to PCT/KR2021/006939 priority patent/WO20212567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 공급 시, 제1, 2 살균부가 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제1, 2 살균부가 자외선을 포장지의 내면으로 균일하게 방출시킴으로써 살균 및 소독이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2 살균부가 이송되는 하부포장지 및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하여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ODF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terilizing effect and hygienic effect}
본 발명은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하부포장지 또는 상부포장지의 공급 이후에, 포장지의 내면으로 살균램프를 출사시키는 소독 및 살균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육안으로 구별이 어려운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철저하게 살균시켜 위생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용해필름(ODF, Oral dissolving film)은 혀, 구강 점막, 설하 등 구강 내에 붙여 녹여 복용하는 필름이며, 전분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물에 용해되는 원액 내부에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혼합하여 필름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휴대성 및 이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구강점막을 통한 흡수속도가 빠르며, 캡슐 및 정제 등과 비교하여 파손성이 절감되며, 투여가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분야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들어, 삶의 질이 발달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영양제, 건강보조제, 의약품, 발기부전제 등의 각종 다양한 목적의 식품들을 복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다목적의 식품들은 주로 캡슐 및 정제 등으로 제작됨에 따라 자발적인 투여는 용이하나 자발적이지 않은 투여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파손이 쉬운 단점을 가지나, 구강용해필름(ODF)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관심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구강용해필름(ODF)의 각 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생산량을 높임과 동시에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구강용해필름 제조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718790호(발명의 명칭 :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에 개시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약제를 도포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110)와, 공급된 필름으로 약제를 토출시켜 코팅하는 약제 공급유닛(101)과, 약제가 코팅된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부(120)와, 약제가 건조되면 필름과 함께 약제를 포함하는 상하부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부(130)와, 필름의 상하로 공급된 포장지와 필름을 하나의 파우치로 융착 및 커팅하여 포장하는 포장부(1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약제 공급유닛(101)은 서로 다른 약제가 저장된 복수의 약제 공급통(102)과, 약제가 코팅되는 필름 위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서로 구획되게 분리된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한쪽에는 복수의 약제 공급통(102)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제가 각 유로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의 주입구가 구비되고 몸체의 다른 쪽에는 유로를 통해 각 주입구와 일대 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서로 다른 약제가 개별적으로 토출되는 복수의 노즐이 구비된 슬롯다이(103)와, 약제 공급통(102)과 슬롯다이(103)의 주입구사이에 연결되는 밸브(104)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약제 공급유닛(101)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약제 공급유닛(101)이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고, 약제 공급유닛(101)에 배속된 각 슬롯다이(103)가 서로 이웃하며 나란하게 설치되어 필름의 위쪽에 다수의 약제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코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최초 권취된 상태로 저장 공간에 보관되고, 최근 들어서는 클린룸(Clean-room) 등과 같이 청정상태가 우수한 저장 공간에 보관하여 위생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으나, 외부와의 철저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필름 보관 시, 박테리아, 바이러스, 효모, 곰팡이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해충 등이 들어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종래기술(100)은 포장부(13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들이 최초 권취된 상태로 보관됨과 동시에 포장지 공급공정 및 포장부(140)까지의 긴 공정시간 동안 이동하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 시, 위생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기술(100)에는 약제가 코팅되는 필름이나 포장지를 공급하기 이전에, 살균 및 소독시키기 위한 별도의 기술 및 구성수단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생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기술(100)에 의해 제조되는 약제는 가식성 제품으로서, 미생물에 오염될 경우, 섭취자의 건강을 해쳐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처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포장지가 권취된 상태로 상당 시간 동안 보관됨에 따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 또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의 접촉에 노출될 위험요소가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하부포장지 공급 시, 제1 살균부가 하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상부포장지 공급 시, 제2 살균부가 상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제1, 2 살균부가 자외선을 상부포장지 또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균일하게 방출시킴으로써 살균 및 소독이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제1, 2 살균부가 이송되는 하부포장지 및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하여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일부를 택일하여 하강시키고, 하강된 슬라이딩 차폐체들에 의해 슬롯 다이의 슬롯의 수량과 폭, 두께가 결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산 격판 등의 장비교체 없이 다양한 폭 및 두께의 ODF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하부포장지를 공급하는 하부포장지 공급부; 실링 시, 내측을 향하는 면을 내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포장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시키는 제1 살균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필름원액이 수용되는 수용채널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용된 필름원액이 토출되는 슬롯이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슬롯을 통해 이송된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필름원액을 토출하여 코팅하는 슬롯 다이를 포함하는 슬롯 다이 코팅부; 상기 슬롯 다이 코팅부에 의해 코팅된 필름원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구강용해필름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불량검사부; 상기 불량검사부를 통과한 하부포장지에 합지되는 상부포장지를 상기 구강용해필름의 상부로 공급하는 상부포장지 공급부;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기 설정된 실링영역을 실링하는 실링부; 상기 실링부에 의해 실링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실링된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과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실링된 영역을 폭 방향으로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하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광-조사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ODF 제조 시스템은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시키기 위한 제2 살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광-조사부들을 포함하는 광 조사장치; 이송되는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제2 고주파 표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를 향하여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표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부는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코팅체들로 열풍, 적외선, 냉풍, 제습 및 자연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발생시켜 코팅체들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롯 다이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설치 시 하부포장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전면이 하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이 상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필름원액이 수용되는 수용채널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과 동일한 면적의 판재로 형성되되, 선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하부면까지 연장되는 토출홈이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분산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다이의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선단부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분산격판에 의해 수용채널에 연결되는 단일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전면까지 연장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 다이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차폐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해당 설치홈의 천장벽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들; 길이를 갖는 막대로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승하강수단들 각각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차폐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차폐체들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설치홈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단부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수용채널의 후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되, 선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선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승강 시, 하면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되, 하강 시, 상기 분산격판 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롯 다이는 상기 분산격판의 토출홈들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영역을 외측격판체라고 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선단부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외측격판체들 및 상기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하강되는 슬라이딩 차폐체들에 의해 상기 단일 슬롯이 복수개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지가 권취된 상태로 상당 시간 동안 보관됨에 따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 또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의 접촉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특성을 감안하여, 하부포장지 공급 시, 제1 살균부가 하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포장지 공급 시, 제2 살균부가 상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2 살균부가 자외선을 상부포장지 또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균일하게 방출시킴으로써 살균 및 소독이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2 살균부가 이송되는 하부포장지 및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하여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일부를 택일하여 하강시키고, 하강된 슬라이딩 차폐체들에 의해 슬롯 다이의 슬롯의 수량과 폭, 두께가 결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산 격판 등의 장비교체 없이 다양한 폭 및 두께의 구강용해필름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국내등록특허 제10-1718790호(발명의 명칭 :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에 개시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DF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슬롯 다이 코팅부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슬롯 다이와 부속장비들을 나타내는 측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롯 다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슬롯 다이를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상부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부하우징의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일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ODF 제조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DF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DF 제조 시스템(1)은 1)하부포장지 및 상부포장지를 공급하기 이전에, 자외선을 이용하여 포장지의 내면을 비접촉식으로 살균 및 소독함으로써 보관 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위생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섭취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포장지 공급부(2-1)와, 제1 살균부(2-2), 슬롯 다이 코팅부(3), 건조부(4), 불량검사부(5), 상부포장지 공급부(6-1), 제2 살균부(6-2), 실링부(7), 슬리팅부(8), 커팅부(9)로 이루어진다.
하부포장지 공급부(2-1)는 권취된 상태의 하부포장지(210)의 권취를 해제하여 슬롯 다이 코팅부(3)로 하부포장지(2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하부포장지(210)는 본 발명의 ODF의 하부를 포장하는 용지이며, 내면으로 슬롯 다이 코팅부(3)에 의해 필름원액이 코팅된다.
또한 하부포장지 공급부(2-1)에 의해 공급된 하부포장지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을 통해 이송되고, 이러한 롤투롤 공정은 필름제조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하부포장지(210)는 통상적으로,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창고 등의 저장 공간에 보관되며, 짧게는 수시간, 길게는 수일 동안 보관처리 된다.
이에 따라 하부포장지(210)는 저장 공간의 습도, 온도, 청결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보관 중에,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공정실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이송 중에 안착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으로 코팅된 필름원액이 미생물에 의해 전염(전달) 되거나 해충이 눌어붙어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포장지 공급부(2-1) 및 슬롯 다이 코팅부(3) 사이에 제1 살균부(2-2)를 설치함으로써 제1 살균부(2-2)가 하부포장지 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어 슬롯 다이 코팅부(3)로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를 살균 처리함으로써 미생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함과 동시에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제1 살균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포장지 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어 슬롯 다이 코팅부(3)로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의 상면(내면)으로 자외광을 출사하여 하부포장지(210)의 상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는 광 조사장치(21)와,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하부포장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표출수단(22)으로 이루어진다.
광 조사장치(21)는 하부포장지(210)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갖는 하우징(201)과, 하부포장지를 향하는 하우징(210)의 일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로 자외선을 출사시켜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을 살균 소독시키는 광-조사부(20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조사부(203)들은 출사되는 자외선 광신호가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201)에 설치된다.
또한 광-조사부(20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외선을 출사하는 광원소자와, 광원소자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외부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외선을 도광판의 입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조사부(203)의 광원소자는 점광원 형태의 자외선 LED 또는 선광원 형태의 자외선 램프가 적용될 수 있고, 점광원 형태인 경우에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하부포장지 공급부(2-1)로부터 공급되는 하부포장지(210)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제1 살균부(2-2)가 별도로 설치되고, 제1 살균부(2-2)는 자외선을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으로 방출함으로써 하부포장지의 환경호르몬 발생을 방지하면서 하부포장지(210)의 상면을 깨끗하게 살균 및 소독시킬 수 있게 된다.
고주파 표출수단(22)은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동시에 출력하여 해충 접근을 퇴치하도록 하며, 상세하게로는 600nm 파장을 발산하는 LED조명(미도시)과, 20kHz ~ 50kHz의 고주파영역의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고주파 표출수단(22)은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가지며,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로 고음파 및 고주파 파장을 출력하여 하부포장지(210)로의 해충 접근을 철저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슬롯 다이 코팅부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슬롯 다이 코팅부(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으로 필름원액이 수용되는 원액탱크(31)와, 내부에 원액탱크(33)로부터 유입된 필름원액이 각각 수용되는 수용채널이 형성되되, 일측에 수용채널에 수용된 필름원액이 토출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슬롯 다이(30)와, 원액탱크(31) 및 슬롯 다이(30)의 수용채널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해당 원액탱크(31)에 수용된 필름원액을 슬롯 다이(30)의 수용채널로 이동시키는 연결튜브(33)와, 연결튜브(33)에 설치되어 원액탱크(31)의 필름원액을 슬롯 다이(30)의 수용채널(3310)로 유입시키는 펌프(35)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름원액은 영양제, 건강보조제, 의약품, 발기부전제 등의 다양한 액상의 재료들이 적용될 수 있고, 상세하게로는 겔화제 용도로 젤라틴, 잔탄검, 구아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의약 용도로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기능성 용도로 인삼, 홍삼, 엽록소 함유식물,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녹차 추출물, 알로에 전잎, 프로폴리스 추출물, 바나나 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밀크 시슬 추출물,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 스쿠알렌, 매실 추출물, 루테인, 글루코사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향료 용도로 딸기향, 사과향, 망고향, 포도향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천연색소 용도로 치자 청색소, 치자 황색소, 카라멜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슬롯 다이와 부속장비들을 나타내는 측면 확대도이다.
슬롯 다이 코팅부(3)의 슬롯 다이(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장비들에 의해 전진 및 후진의 수평왕복운동과, 틸팅(Tilting) 회전 동작을 통해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에 필름원액을 코팅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슬롯 다이(30)의 선단부에는 수용된 필름원액이 토출되는 슬롯(350)들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 슬롯(350)을 통해 필름원액이 간헐적으로 토출됨으로써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에는 동시에 복수열의 구강용해필름이 병렬로 나란하게 코팅되게 된다.
또한 슬롯 다이(30)의 수평왕복이동 및 틸팅 회전을 위한 부속장비는, 슬롯 다이(30)가 안착되는 프레임(428)을 포함한다.
이때 프레임(428)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419)이 각각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레일(419)에는 슬롯다이 베이스(420)가 설치됨으로써 슬롯다이 베이스(420)가 가이드레일(419)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롯다이 베이스(420) 상에 지지되는 슬롯 다이(30) 또한 함께 수평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롯다이 베이스(420)의 양쪽 측면부에는 지지판(439)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슬롯 다이(30)는 지지판(439)들과 핀(42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핀(421)을 축으로 하여 틸팅(Tilting)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428)에는 슬롯 다이(30)의 회전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 틸팅용 실린더(423)가 설치되고, 마련되고, 틸팅용 실린더(423)는 슬롯다이 베이스(420)의 후면부에 수직 자세로 지지됨과 동시에 로드가 슬롯 다이(3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브라켓(44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틸팅용 실린더(423)의 인입(로드 하강) 시, 슬롯 다이(30)는 핀(4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선단부가 상향 이동하여 하부포장지(210)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또한 틸팅용 실린더(423)의 인출(로드 승강) 시, 슬롯 다이(30)는 핀(4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선단부가 하향 회전하여 원래의 수평자세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8)에는 슬롯 다이(30)의 수평왕복운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수평이동용 서보모터(424)가 설치되고, 수평이동용 서보모터(424)는 로드가 커플링 등을 통해 슬롯다이 베이스(420)의 후면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용 서보모터(424)의 전진 및 후진의 수평왕복운동에 따라 슬롯다이 베이스(420)를 포함하는 슬롯 다이(30) 전체가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 제어를 통해 슬롯 다이(30)는 전진 위치에서 하부포장지(210)로 근접되면서 구강용해필름을 코팅한 후에, 후진 위치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슬롯 다이(30)는 전진 → 코팅(필름원액 토출) → 상향 틸팅회전(약제 분사 중단) → 후진 → 복귀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에 이송방향으로의 일정 피치 간격으로 구강용해필름을 반복해서 코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슬롯 다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슬롯 다이를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이다.
슬롯 다이(3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301)과, 하부하우징(303), 분산격판(305)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하우징(301)은 설치 시, 하부포장지(2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전면(313)이 하향될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하우징(30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길이 보다 폭이 큰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301)의 상면(312) 및 하면(311)에는 볼트공(312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볼트공(3121)들로는 볼트(B)들이 관통되고,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을 통과한 볼트(B)는 하부하우징(303)의 볼트홈(3311)으로 삽입되어 나사산 체결됨으로써 상부하우징(301) 및 하부하우징(303)이 결합된다.
하부하우징(303)은 전면(333)이 하향될수록 후방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즉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은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과 동일한 면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에는 상면(331)으로부터 내측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채널(3310)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303)의 수용채널(3310)의 내측벽과 후면(332) 사이에는 유입관(3321)이 설치되고, 하부하우징(303)의 후면(332)에 노출되는 유입관(3321)은 연결튜브(33)와 결합됨으로써 원액탱크(31)에 수용된 필름원액은 펌프(35)의 제어에 따라 연결튜브(33) -> 유입관(3321)을 통해 하부하우징(303)의 수용채널(331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에는 복수개의 볼트홈(331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볼트홈(3311)들의 내측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부하우징(301)의 볼트공(3121)들을 통과한 볼트(B)들의 외주면의 나사산과 체결됨으로써 상부하우징(301) 및 하부하우징(303)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하부하우징(303) 및 상부하우징(301)은 상면(331) 및 하면(311) 사이에 분산격판(305)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에는 분산격판(305)이 설치된다.
분산격판(305)은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 또는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과 동일한 면적의 판재로 형성되되,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사각형 형상의 토출홈(352)이 형성된다.
이때 토출홈(352)은 하부하우징(303)의 수용채널(331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수용채널(3310)의 후단부로부터 하부하우징(303)의 선단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분산격판(305)의 토출홈(352)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영역을 외측격판체(351)라고 할 때, 외측격판체(351)는 조립 시,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의 수용채널(3310)의 양측의 상면(331)에 대접된다.
이러한 분산격판(305)은 조립 시,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과 하부하우징(303)의 상면(331)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분산격판(305)의 토출홈(352)을 형성하는 공간으로는 후술되는 도 10 내지 12의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중 하강하는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이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듯이 설치됨으로써 분산격판(305)의 토출홈(532)은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각 공간은 직하부에 배치된 하부하우징(303)의 수용채널(3310)에 연결되게 된다.
즉 상부하우징(301) 및 하부하우징(303)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분산격판(305)에 의해 선단부들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슬롯)(350)이 형성되고, 이 슬롯(350)은 분산격판(305)의 토출홈(532) 및 하부하우징(303)의 수용채널(3310)에 연결됨으로써 수용채널(3310)에 수용된 필름원액이 슬롯(350)을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하우징(301) 및 하부하우징(303)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도 10 내지 12의 상부하우징(301)의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전체가 승강된 상태일 때, 장길이의 단일 슬롯(350)이 형성되게 되고,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중 일부가 하강된 상태일 때, 전방에는 복수개의 슬롯(350)들이 형성되게 된다.
도 10은 도 7의 상부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상부하우징의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일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부하우징(301)은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312)이 경사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에는 하면(311)으로부터 내측으로 사각형 형상의 설치홈(3110)이 형성된다.
이때 설치홈(3110)은 상부하우징(301)의 전면(312)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하우징(301)의 설치홈(3110)은 분산격판(305)의 토출홈(352)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하우징(301)은 조립 시, 설치홈(3110)의 양측에 배치된 하면(311)에는 분산격판(305)의 외측격판체(351)가 대접되게 된다.
또한 상부하우징(301)의 설치홈(3110)에는 슬라이딩 차폐부(3111)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차폐부(3111)는 상부하우징(301)의 설치홈(3110)의 천장벽(3119)에 설치되는 승하강수단(3115)들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승하강수단(3115)들 각각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설치홈(311)의 폭 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설치홈(3110)과 동일한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승하강수단(3115)에 결합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차폐체(3112)들은 승강 시, 하면이 상부하우징(301)의 하면(311)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하강 시, 하방으로 이동하여 분산격판(305)의 토출홈(352)으로 배치되어 슬롯 다이(30)의 슬롯(350)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상부하우징(301)의 설치홈(3110)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필름원액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접촉되게 설치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사이는 실링 또는 패킹 처리됨으로써 내부로의 필름원액의 유입을 철저하게 차단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하강 시, 슬롯 다이(30)의 슬롯의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슬롯 다이(930)가 필름원액을 다양한 폭 및 두께로 하부포장지(210)에 코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은 하강 시, 분산격판(305)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다.
즉 종래에는 슬롯 다이가 고정된 폭과 두께의 ODF만을 제조할 수 있고, ODF의 폭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폭에 맞는 부속장비(분산격판)을 다시 설계하여야하기 때문에 공정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공정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슬롯 다이(30)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중 일부를 택일하여 하강시킴으로써 분산격판의 교체 없이도 다양한 폭 및 두께의 ODF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롯의 수량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다이(305)는 작업자에 의해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중 일부(C’)는 승강되되, 슬라이딩 차폐체(3112)들 중 일부(C)가 하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롯 다이(305)는 총 12개의 슬롯들을 형성하여 하부포장지(210)에는 총 12열로 필름원액을 토출하게 된다.
다시 도 2와 3을 참조하여 건조부(4)를 살펴보면, 건조부(4)는 하부포장지(210)의 이송방향으로, 슬롯 다이 코팅부(3)와 인접한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건조부(4)는 슬롯 다이 코팅부(3)에 의해 필름원액이 코팅된 하부포장지(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코팅체(220)들로 열풍, 적외선, 냉풍, 제습 및 자연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발생시켜 원액을 건조시켜 코팅된 원액을 겔(gel)화 시키는 장치이며, 원액의 특성에 따라 1)열풍, 냉풍, 제습, 적외선 및 자연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방식이 결정됨과 동시에 2)건조온도 및 시간이 결정된다.
이때 하부포장지(210)의 코팅체(220)들의 필름원액은 건조부(4)에 의해 겔(gel)화 됨에 따라 구강용해필름(230)으로 가공된다.
또한 건조부(4)를 통과한 구강용해필름(230)은 불량검사부(5) 측으로 이송된다.
불량검사부(5)는 건조부(5)와 인접한 후방에 설치되며, 건조부(5)를 통과한 구강용해필름(230)의 비전검사를 통해 코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하며, 상세하게로는 구강용해필름(230)의 필름 누락여부 및 코팅 불량 등을 검사한다.
또한 불량검사부(5)는 불량품으로 판별된 구강용해필름을 별도로 선별하여 분리시킨다.
또한 불량검사부(5)를 통과한 하부포장지(210)는 롤투롤 방식에 의해 상부포장지 공급부(6-1) 측으로 이송된다.
상부포장지 공급부(6-1)는 불량검사부(5)를 통과한 하부포장지(210)에 합지되는 상부포장지(240)를 구강용해필름(230)의 상부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부포장지(240)는 하부포장지(210)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창고 등의 저장 공간에 보관되며, 짧게는 수시간, 길게는 수일 동안 보관처리 된다.
이에 따라 상부포장지(240)는 저장 공간의 습도, 온도, 청결도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보관 중에,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공정실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안착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으로 코팅된 필름원액이 미생물에 의해 전염(전달) 되거나 해충이 눌어붙어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포장지 공급부(6-1) 및 실링부(7) 사이에 제2 살균부(6-2)를 설치함으로써 제2 살균부(6-2)가 상부포장지 공급부(6-1)로부터 공급되어 실링부(7)로 이송되는 상부포장지(240)를 살균 및 소독함과 동시에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살균부(6-2)는 제1 살균부(2-2)와 동일하게, 상부포장지 공급부(6-1)로부터 공급되어 롤투롤 방식에 의해 실링부(7)로 이송되는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으로 자외광을 출사하여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는 광 조사장치(미도시)와, 이송되는 상부포장지(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표출수단(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 조사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자외선 광신호는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고, 광 조사장치의 광원소자는 점광원 형태의 자외선 LED 또는 선광원 형태의 자외선 램프가 적용될 수 있고, 점광원 형태인 경우에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상부포장지 공급부(6-1)로부터 공급되는 하부포장지(240)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제2 살균부(6-2)가 별도로 설치되고, 제2 살균부(6-2)는 자외선 광신호를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으로 방출함으로써 상부포장지의 환경호르몬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을 깨끗하게 살균 및 소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살균부(6-2) 및 상부포장지 공급부(6-1)에 의해 공급된 상부포장지(240), 하부포장지(210) 및 구강용해필름(230)은 롤투롤 방식에 의해 실링부(7)의 실링 영역 내로 이송된다.
실링부(7)는 이송된 상부포장지(240), 구강용해필름(230) 및 하부포장지(210)를 파우치 형태로 실링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실링부(7)는 포장지(240), (210)들의 상부와 하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구강용해필름(230)의 외측을 따라 포장지(240), (210)들을 가압시켜 각각의 구강용해필름이 개별적으로 독립 포장되도록 한다. 이때 실링부(7)의 실링방식으로는 공지된 테이프 라벨을 이용한 방식, 접착방식, 봉인방식 및 가열밀봉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7)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는 슬리팅부(8)로 이송된다.
슬리팅부(8)는 실링부(7)를 통과한 파우치의 실링된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절개(커팅)하는 장치이다.
커팅부(9)는 슬리팅부(8)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파우치의 실링된 영역을 폭 방향으로 절개(커팅)하는 장치이다.
도 13은 도 2의 ODF 제조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의 동작 과정인 ODF 제조 방법(S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포장지 공급단계(S10)와, 제1 살균단계(S20), 필름원액 코팅단계(S30), 건조단계(S40), 불량검사단계(S50), 상부포장지 공급단계(S60), 제2 살균단계(S70), 슬리팅단계(S80), 커팅단계(S90)로 이루어진다.
하부포장지 공급단계(S10)는 권취된 상태의 하부포장지(210)의 권취를 해제하여 하부포장지(210)를 공급하는 공정단계이다. 이때 하부포장지는 롤투롤 방식에 의해 이송된다.
제1 살균단계(S20)는 전술하였던 도 5의 제1 살균부(2-2)가 하부포장지 공급단계(S10)로부터 공급되는 하부포장지(210)를 살균 및 소독시키는 공정단계이다.
이때 제1 살균단계(S20)는 도 5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으로 자외선 광신호를 균일하게 조사함과 동시에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함으로써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살균 및 소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필름원액 코팅단계(S30)는 전술하였던 도 6 내지 12의 슬롯 다이(30)가 수평이동운동 및 틸팅 회전을 통해 제1 살균단계(S20)를 통과한 하부포장지(210)의 내면으로 필름원액을 토출시켜 코팅시키는 공정단계이다.
건조단계(S40)는 건조부(4)가 필름원액 코팅단계(S30)에 의해 코팅된 필름원액들로 열풍, 적외선, 냉풍, 제습 및 자연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원액을 건조시켜 코팅체(222)들의 원액을 겔(gel)화 시킴으로써 구강용해필름(230)을 가공하는 공정단계이다.
불량검사단계(S50)는 비전검사기가 건조단계(S40)에 의해 건조된 구강용해필름(230)의 코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하는 공정단계이며, 상세하게로는 구강용해필름(230)의 필름 누락여부 및 코팅 불량 등을 검사한다.
또한 불량검사단계(S50)는 불량품으로 판별된 구강용해필름을 별도로 선별하여 분리시킨다.
상부포장지 공급단계(S60)는 불량검사단계(S50)를 통과한 구강용해필름(230)의 상부로 상부포장지를 공급하는 공정단계이다.
제2 살균단계(S70)는 제2 살균부(6-2)가 상부포장지 공급단계(S60)로부터 공급되는 상부포장지(240)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는 공정단계이다.
이때 제2 살균단계(S70)는 제1 살균단계(S20)와 동일하게, 이송되는 상부포장지(210)의 내면으로 자외선 광신호를 균일하게 조사함과 동시에 상부포장지(240)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함으로써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을 살균 및 소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충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실링단계(S80)는 상부포장지 공급단계(S60)에 의해 공급된 상부포장지(240), 구강용해필름(230) 및 하부포장지(210)를 파우치 형태로 실링시키는 공정단계이다.
슬리팅단계(S90)는 슬리팅 장치가 실링단계(S80)에 의해 실링된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커팅(Cutting) 하는 공정단계이다.
커팅단계(S100)는 커팅기가 슬리팅단계(S9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커팅된 파우치의 실링된 영역을 폭 방향으로 커팅하는 공정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ODF 제조 시스템(1)은 포장지가 권취된 상태로 상당 시간 동안 보관됨에 따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호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 또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의 접촉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특성을 감안하여, 하부포장지 공급 시, 제1 살균부가 하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상부포장지 공급 시, 제2 살균부가 상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 및 소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부포장지의 내면에 오염된 오염물을 철저하게 살균 및 소독시켜 위생효율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제1, 2 살균부가 자외선을 상부포장지 또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균일하게 방출시킴으로써 살균 및 소독이 더욱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제1, 2 살균부가 이송되는 하부포장지 및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표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충을 효과적으로 퇴치하여 위생효율 및 섭취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DF 제조 시스템(1)은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일부를 택일하여 하강시키고, 하강된 슬라이딩 차폐체들에 의해 슬롯 다이의 수량과 폭, 두께가 결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산 격판의 교체 없이 다양한 폭 및 두께의 ODF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ODF 제조 시스템 2-1:하부포자지 공급부
2-2:제1 살균부 3:슬롯 다이 코팅부 4:건조부
5:불량검사부 6-1:하부포장지 공급부
6-2:제2 살균부 7:실링부 8:슬리팅부
9:커팅부 30:슬롯 다이 35:펌프 31:원액탱크 33:연결튜브 210:하부포장지
220:코팅체 230:구강용해필름 240:상부포장지
301:상부하우징 303:하부하우징 305:분산격판
350:슬롯 351:외측격판체 352:토출홈
3310:수용채널 3321:유입관 3110:설치홈
3111:슬라이딩 차폐부 3112:슬라이딩 차폐체 3115:승하강수단

Claims (8)

  1. 하부포장지를 공급하는 하부포장지 공급부;
    실링 시, 내측을 향하는 면을 내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부포장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시키는 제1 살균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필름원액이 수용되는 수용채널이 형성됨과 동시에 수용된 필름원액이 토출되는 슬롯이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슬롯을 통해 이송된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필름원액을 토출하여 코팅하는 슬롯 다이를 포함하는 슬롯 다이 코팅부;
    상기 슬롯 다이 코팅부에 의해 코팅된 필름원액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구강용해필름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불량검사부;
    상기 불량검사부를 통과한 하부포장지에 합지되는 상부포장지를 상기 구강용해필름의 상부로 공급하는 상부포장지 공급부;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기 설정된 실링영역을 실링하는 실링부;
    상기 실링부에 의해 실링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실링된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는 슬리팅부;
    상기 슬리팅부를 통과한 상부포장지 및 하부포장지의 실링된 영역을 폭 방향으로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상기 하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광-조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ODF 제조 시스템은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부포장지의 내면을 살균시키기 위한 제2 살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살균부는
    상기 상부포장지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방향에 따라 길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내면으로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광-조사부들을 포함하는 광 조사장치;
    이송되는 상부포장지로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제2 고주파 표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균부는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하부포장지를 향하여 고주파 파장 및 고음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표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이송되는 하부포장지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코팅체들로 열풍, 적외선, 냉풍, 제습 및 자연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발생시켜 코팅체들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다이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설치 시 하부포장지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전면이 하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이 상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필름원액이 수용되는 수용채널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면과 동일한 면적의 판재로 형성되되, 선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하부면까지 연장되는 토출홈이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분산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 다이의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선단부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분산격판에 의해 수용채널에 연결되는 단일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전면까지 연장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 다이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차폐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해당 설치홈의 천장벽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승하강수단들;
    길이를 갖는 막대로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승하강수단들 각각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차폐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차폐체들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설치홈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단부가 상기 하부하우징의 수용채널의 후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되, 선단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선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승강 시, 하면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되, 하강 시, 상기 분산격판 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다이는
    상기 분산격판의 토출홈들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영역을 외측격판체라고 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선단부들 사이의 공간이 상기 외측격판체들 및 상기 슬라이딩 차폐체들 중 하강되는 슬라이딩 차폐체들에 의해 상기 단일 슬롯이 복수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DF 제조 시스템.
KR1020200074671A 2020-06-19 2020-06-19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3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71A KR102230892B1 (ko) 2020-06-19 2020-06-19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1/006939 WO2021256746A1 (ko) 2020-06-19 2021-06-03 살균성, 위생효율 및 제조 정밀도를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71A KR102230892B1 (ko) 2020-06-19 2020-06-19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92B1 true KR102230892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671A KR102230892B1 (ko) 2020-06-19 2020-06-19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018A (ja) * 1995-12-12 1997-06-24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食品の殺菌方法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7171392A (ja) * 2017-05-30 2017-09-28 大森 弘一郎 無菌包装物を製造する方法
KR101980283B1 (ko) * 2017-09-12 2019-05-20 허수학 슬롯 다이 코터 및 이를 구비한 구강 용해 필름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018A (ja) * 1995-12-12 1997-06-24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食品の殺菌方法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7171392A (ja) * 2017-05-30 2017-09-28 大森 弘一郎 無菌包装物を製造する方法
KR101980283B1 (ko) * 2017-09-12 2019-05-20 허수학 슬롯 다이 코터 및 이를 구비한 구강 용해 필름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5885A (en) Parametric control in pulsed light sterilization of packages and their contents
US6566659B1 (en) Parametric control in pulsed light sterilization
US7038219B2 (en) Sterilization of packages and their contents using light
RU26789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створимой пленки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ей несколько медикамент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в несколько рядов
US5786598A (en) Sterilization of packages and their contents using high-intensity, short-duration pulses of incoherent, polychromatic light in a broad spectrum
KR101013206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5515421A (ja) モジュール型充填装置及び方法
KR102230891B1 (ko) 슬롯다이를 이용한 줄형상 코팅형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RU24017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в стерильных условиях
CN102458484A (zh) 鞋类的消毒方法及装置
KR102230892B1 (ko) 살균성 및 위생효율을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30893B1 (ko) 비접촉식 질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 정밀도를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263368B1 (ko)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12451715A (zh) 一种物流冷链快速消毒机
KR101214140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9018850A (ja) Pet製カップ状容器の殺菌方法及び装置
JP2006168831A (ja) パッケージの移送路を横断して複数のuvランプを備えた包装機械
KR102230894B1 (ko) 건조도(lod) 측정기를 이용하여 제조 정밀도를 높인 odf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4841A (ko) 스트로 제조 시스템
ES2347056T3 (es) Un dispositivo para retirar objetos desplazados en un transportador.
CN215504513U (zh) 一种物流冷链消毒机全方位杀菌装置
CN204766664U (zh) 一种防爆药品杀菌消毒设备
JPH0958635A (ja) 無菌充填包装装置及び無菌充填包装装置の殺菌方法
CN211884636U (zh) 一种胶囊快速灭菌设备
JP4046516B2 (ja) 空気コンベヤ型容器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