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686B1 -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 Google Patents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686B1
KR102230686B1 KR1020200146738A KR20200146738A KR102230686B1 KR 102230686 B1 KR102230686 B1 KR 102230686B1 KR 1020200146738 A KR1020200146738 A KR 1020200146738A KR 20200146738 A KR20200146738 A KR 20200146738A KR 102230686 B1 KR102230686 B1 KR 10223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mung bean
mung
kernels
fres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윤 filed Critical 김태윤
Priority to KR102020014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를 이용하는 김치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녹두를 물에 침지하여 껍질과 알맹이로 분리하고, 알맹이는 김치속 양념에 혼합하여 김치양념을 만들어 녹두김치를 담그고, 껍질은 건조시켜 80∼100메쉬의 분말로 만들어 용기에 보관하는 녹두김치 상면이나, 김치포장 봉지의 김치 상면에 일정량을 균등하게 살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녹두를 이용한 김치의 신선도를 보다 길게 유지하는 연장방법이다.

Description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A Method for Extension of Kimchi Freshness Using Mung bean}
본 발명은 녹두를 이용하는 김치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녹두를 물에 침지하여 껍질과 알맹이로 분리하고, 알맹이는 김치속 양념에 혼합하여 김치양념을 만들어 녹두김치를 담그고, 껍질은 건조시켜 80∼100메쉬의 분말로 만들어 용기에 보관하는 녹두김치 상면이나, 김치포장 봉지의 김치 상면에 일정량을 균등하게 살포하여 녹두를 이용한 김치의 신선도를 보다 길게 유지하는 연장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배추, 무, 파, 오이등을 소금에 절인뒤 갖은 양념을 넣고 숙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름철이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면 김치 색깔이 변하고 맛이 변해 시거나 군내가 나고 신선도가 떨어져서 아삭한 맛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맥반석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맥반석을 이용하는 방법은 맥반석으로 절임통을 만들어야 하고, 김치 포장시 맥반석 알갱이를 같이 넣어 포장해야 하므로, 먹을 때 이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 10-2002-0000859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고, 사람의 몸에 유익한 녹두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의 신선함을 보다 오래 유지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여, 김치의 변질을 막아 신선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이 오래 유지되게 하고, 녹두의 성분이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녹두김치가 만들어지고, 신선도도 오래 유지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치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 녹두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녹두를 물에 담구어 껍질과 알맹이를 분리하고, 알맹이 냉동보관후, 해동하여 김치양념제조에 첨가하여 김치제조에 사용하고, 껍질은 건조시킨 후, 80∼100메쉬로 분쇄하여 김치를 보관하거나 포장할 때, 일정량을 김치 표면에 균등하게 살포함으로써, 김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은 녹두를 알맹이와 껍질로 분리하여 알맹이는 냉동보관 후, 해동하여 김치양념 제조시 일정량을 첨가하여 김치양념을 만들어 녹두김치를 담그는데 사용하고, 껍질은 분쇄하여, 용기에 보관하는 녹두김치의 표면이나 포장김치 표면에 균등히 살포함으로써, 녹두가 포함된 김치를 먹을 수 있고, 김치표면에 녹두껍질분말이 살포되어 김치가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하거나 이동시에 김치신선도가 오래가고 아삭아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신선한 김치를 얻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는 녹두껍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인 비텍신이 신경보호 항산화 및 미백활성화에 기여하고, 이소비텍신은 항암(난소암)작용과, 비브리오 패혈증균 저해 미백 및 항산화 작용에 우수한 작용을 하는 기능성이 있어 김치가 빨리 시어지는 것을 막기 때문이며, 비텍신 및 이소비텍신이 함유된 김치는 인체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뿐 아니라, 식중독을 예방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염증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기여할 수 있어서 김치의 신선도를 보다 길게 유지하여 아삭한 식감을 오래 못볼 수 있는 김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녹두를 알맹이와 껍질로 분리하여 알맹이는 증자하여 냉동한 다음, 해동하여 김치양념 제조에 사용하고, 껍질은 분쇄하여 김치표면에 일정량을 살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녹두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두를 세척하여 물에 넣고 7∼8시간을 불린 다음, 비벼서 껍질과 알맹이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껍질을 건조실에 넣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에 투입하여 80∼10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리된 녹두 알맹이는 증기에 15∼20분간 접촉하여 증자하고, -3℃에 냉동보관하는 단계,
냉동한 알맹이를 해동하여 김치양념에 1∼50중량부 범위로 첨가하여 녹두알맹이가 혼합된 김치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녹두알맹이가 혼합된 김치양념으로 녹두김치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녹두김치를 용기에 담거나 포장지에 포장할 때, 김치 표면에 김치중량의 0.5∼1.5중량%가 되는 양의 녹두껍질분말을 균등하게 살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녹두를 이용한 김치신선도 유지 방법이다.
녹두는 해독효과가 뛰어난 식품으로 미세먼지로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식품이다. 녹두는 해열작용이 있어 열사병과 갈증을 예방하는 항염효과가 뛰어난 식품이다. 특히 녹두에는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이 함유되어 있어서 세포를 파괴하는 자유라티칼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은 열사병을 앓을 때, 발생하는 산화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다. 녹두의 칼륨은 나트륨과다 섭취시 발생하는 혈압상승을 줄이는 효과와, 나트륨배출을 촉진하고 고혈압을 예방하며, 녹두에 함유된 펩타이드는 혈관 수축에 관여하여 앤지오텐신 전화효소를 방지해 고혈압을 예방한다. 또 녹두의 미그네슘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녹두는 혈당지수가 37로 낮아 혈당수치조절에 좋은 성분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 녹두에는 섬유질과 저항성 전분이 탁월하여 배변을 촉진하고, 저항성 전분은 섬유질처럼 장내유익균의 양분으로 바뀌어 부틸산을 생성한다. 부틸산은 장의 면역을 강화해 대장질환을 예방하며, 소화를 돕는 아밀라제, 뉴클레아제, 우레아제와 같은 소화 효과가 있어서 소화를 증진시킨다. 녹두는 담즙산 배출을 촉진해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인 저밀도 콜레스테롤수지를 내리고, 항상화제인 플라보노이드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해 혈관을 보호하며, 항염증 효과가 있어 심장건강을 지원한다. 녹두에는 풍부한 엽산과 철분, 망간이 있어서 임산부와 태아에 좋고, 엽산은 태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요소이다. 녹두에 함유된 아연이 눈건강을 지원하는 비타민A 생성을 돕고 비타민A의 베타카로틴성분이 야맹증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녹두의 비타민C가 자유라디칼에 의한 시력 손상을 막고, 눈을 구성하는 콜라겐합성을 도우며, 충분한 비타민C로 인해 백내장 예방에 효과적이며, 녹두에 포함된 아미노산과 올리고당과 폴리페놀성분은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플라보니이드 셀레늄을 비롯한 항산화제가 세포변질을 막아 암예방을 지원한다. 녹두의 탄틴 성분은 크롬이나 납따위에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 체내의 중금속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음식의 독성 일부를 제거하여 식중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해열해독효과가 피부의 발진이나 종기와 같은 피부질환을 해소한다. 또한 녹두에 들어 있는 아미노산과 시스테인, 글리신,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아르기닌 성분은 신체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체내에 들어온 각종 독성분을 해독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원기를 보충하고 피로회복과 체력증진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이뇨작용과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몸의 부종완화에도 도움이 되는 귀한 식품이다.
특히,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은 녹두의 껍질에 분포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있고, 비텍신은 신경보호 항산화 및 미백활성화에 작용하고, 이소비텍신은 난소암에 효과가 있는 항암작용이 있고, 비브리오 패혈증균 저해 미백 및 항산화 활성화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laims (2)

  1. 삭제
  2. 녹두를 세척하여 물에 넣고 7∼8시간을 불린 다음, 비벼서 껍질과 알맹이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껍질을 건조실에 넣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에 투입하여 80∼10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리된 녹두 알맹이는 증기에 15∼20분간 접촉하여 증자하고, -3℃에 냉동보관하는 단계,
    냉동한 녹두알맹이를 해동시켜서 김치양념 총량에 1∼50중량부 범위로 첨가하여 녹두알맹이가 혼합된 김치양념을 제조하는 단계,
    녹두알맹이가 혼합된 김치양념으로 녹두김치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녹두김치를 용기에 담거나 포장지에 포장할 때, 김치 표면에 80∼100메쉬 되는 녹두껍질분말을 김치중량의 0.5∼1.5중량%가 되는 량으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KR1020200146738A 2020-11-05 2020-11-05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KR10223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38A KR102230686B1 (ko) 2020-11-05 2020-11-05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38A KR102230686B1 (ko) 2020-11-05 2020-11-05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686B1 true KR102230686B1 (ko) 2021-03-19

Family

ID=7526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38A KR102230686B1 (ko) 2020-11-05 2020-11-05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59A (ko) 2001-12-13 2002-01-05 윤용길 맥반석 김치 제조방법
KR20060027033A (ko) * 2004-09-22 2006-03-27 정은주 김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59A (ko) 2001-12-13 2002-01-05 윤용길 맥반석 김치 제조방법
KR20060027033A (ko) * 2004-09-22 2006-03-27 정은주 김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6043A (zh) 一种即食黑木耳的制作方法
CN105557893A (zh) 一种白骨壤果实制备的月饼的方法
CN106962824A (zh) 一种即食带鱼真空油炸食品及生产工艺
JP2010017164A5 (ko)
KR20140013569A (ko)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62941A (ko)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KR102230686B1 (ko) 녹두를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 연장방법
KR101533105B1 (ko) 양파분말 조미 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1897A (ko) 영양 강화떡의 제조 방법 및 영양 강화떡
JP5596431B2 (ja) 磨砕したコンニャク入り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磨砕したコンニャク入り食品
KR20100111000A (ko) 연근을 이용한 일회용 컵 누룽지탕 및 그 제조방법
JP3121240B2 (ja) 穀類加工食品用ほぐれ改良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穀類加工食品
KR101966924B1 (ko) 산야초 과실이 함유된 백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S62122567A (ja) 加工をなした米を用いたねり製品の製造方法
KR101821171B1 (ko) 콜라겐이 함유된 치자현미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314B1 (ko) 감자옹심이가 함유된 황태 수프의 제조방법
KR20220090914A (ko) 녹두를 이용한 김치양념 제조방법
KR20160006969A (ko) 미나리가 함유된 쌀돈까스
JP2003047415A (ja) 即席粥の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6743B1 (ko) 김치를 주재료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879B1 (ko) 밥전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6000A (ko) 도토리 성분이 함유된 국수의 제조방법
KR102372301B1 (ko) 전복밥의 제조방법
KR101774744B1 (ko) 간편편이식 무청시래기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2524113B1 (ko) 식감이 우수한 기능성 누룽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