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990B1 - 수로구조 - Google Patents

수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990B1
KR102228990B1 KR1020190091684A KR20190091684A KR102228990B1 KR 102228990 B1 KR102228990 B1 KR 102228990B1 KR 1020190091684 A KR1020190091684 A KR 1020190091684A KR 20190091684 A KR20190091684 A KR 20190091684A KR 102228990 B1 KR102228990 B1 KR 10222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socket
pair
socke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907A (ko
Inventor
이완표
Original Assignee
이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표 filed Critical 이완표
Priority to KR102019009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9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과; 저면에 한 쌍의 소켓블럭레일홈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켓바닥면부와 상기 소켓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소켓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블럭레일홈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소켓블럭과; 관바닥면부와 상기 관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관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양 종단 개방영역이 상기 소켓블럭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블럭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수로의 초기형성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수로의 수평방향전환이나 수직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수로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수로구조{Structure of Waterway}
본 발명은 수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륨관(Flume Tube)과 같이 소정 길이구간을 갖는 다수의 수로관을 지표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농수로, 넓은 택지 등에 내린 빗물 등과 같은 다량의 물을 하천, 저수지 또는 농경지 등으로 안내하기 위해 물길영역의 지표면에 수로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플륨관(Flume Tube)과 같이 소정 길이구간을 갖는 다수의 수로관을 지표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수로구조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수로구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물안내경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수로관(150)과, 수로관(150)에 설치된 와이어로프(161)를 갖고 있다.
각 수로관(150)은 관바닥면부(151)와, 관바닥면부(151)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관측벽부(152)와, 각 관측벽부(152)의 외표면에 형성된 수평리브(153) 및 수직리브(154)를 갖고 있다.
각 수로관(150)은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관바닥면부(151)는 저면 일단에 관바닥안착계단부(151b)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일단의 상면에는 관바닥안착홈(151c)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측벽부(152)는 일단의 외표면에 관측벽안착계단부(152a)가 관바닥안착계단부(151b)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일단의 내표면에는 관측벽안착홈(152b)이 관바닥안착홈(151c)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평리브(153)에는 중앙영역에 로프삽입공(15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리브(153)에는 로프포설공(153b)이 로프삽입공(153a)에 연결되고, 관바닥면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리브(154)는 수평리브(153)와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로프(161)는 로프포설공(153b)을 통과하도록 포설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로구조를 이용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로의 일부구간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관바닥면부(151)의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수로관(150)을 설치한다.
다음에 설치된 수로관(150)에 속하는 관바닥안착홈(151c)과 관측벽안착홈(152b)에 각각 관바닥안착계단부(151b)와 관측벽안착계단부(152a)가 안착되도록 다른 수로관을 설치한다.
다음에 로프삽입공(153a)을 통해 인접하는 한 쌍의 수로관에 속하는 로프포설공(153b)을 통과하도록 와이어로프(161)를 포설한 후, 와이어로프(161)의 양단을 클램핑하는 방법으로 수로관(150) 상호간을 구속시킨다.
다음에 관바닥안착홈(151c)과 관측벽안착홈(152b)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의 방법으로 수로관(150) 상호간의 연결영역에 대한 누수방지 작업을 실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로구조에 따르면, 수로관(150)의 초기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수로의 초기형성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로관(150) 상호간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수로의 수평방향전환이나 수직방향전환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로프(161)를 로프포설공(153b)에 포설한 다음 클램핑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고 수로관(150) 양단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수로관(150)의 연결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81471호(등록일자: 2005년 04월 04일, 발명의 명칭: 수로관 유니트)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로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초기형성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수로의 수평방향전환이나 수직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수로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수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과; 저면에 한 쌍의 소켓블럭레일홈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켓바닥면부와 상기 소켓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소켓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블럭레일홈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소켓블럭과; 관바닥면부와 상기 관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관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종단 개방영역이 상기 소켓블럭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블럭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수로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바닥면부는 저면에 한 쌍의 수로관레일홈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로관은 상기 수로관레일홈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소켓블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레일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레일 상호간을 구속하는 레일구속브라켓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레일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구속브라켓트는 각각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과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상면개방영역이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레일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레일구속브라켓트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레일구속브라켓트는 각각 양 종단과 저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과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저면개방영역이 하방향을 향하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레일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레일은 긴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상면에 상기 받침판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홈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블럭은 상기 소켓블럭레일홈에 상기 홈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레일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지지레일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일의 분할부분을 분할레일이라고 할 때 상기 분할레일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레일과 같은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양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억지끼움돌부를 가지고, 상기 억지끼움돌부가 인접하는 분할레일의 인접 종단 내부로 억지끼움되고 상기 끼움판이 인접하는 분할레일의 인접 종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레일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과, 저면에 형성된 소켓블럭레일홈에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소켓블럭과, 양 종단 개방영역이 소켓블럭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되도록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로관을 포함함으로써, 수로의 초기형성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지지레일에 의해 수로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 소켓블럭의 형태를 변경하여 수로의 수평방향전환이나 수직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수로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해진다(와이어로프가 필요 없으며 수로관 양단의 형태를 동일하게 할 수 있음).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속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를 이용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속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9,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종래의 수로구조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의 수로구조를 이용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속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10)과, 지지레일(10)에 설치된 레일연결구(20), 레일구속브라켓트(30) 및 소켓블럭(40)과, 소켓블럭(40)에 설치된 복수의 수로관(50)을 갖고 있다.
지지레일(10)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레일(10a)은 관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분할레일(10a)은 지지레일(10)의 각 분할부분을 의미한다.
레일연결구(20)는 분할레일(10a)과 같은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 끼움판(21)과, 끼움판(21)의 양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억지끼움돌부(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일연결구(20)는 억지끼움돌부(22)가 인접하는 분할레일(10a)의 인접 종단 내부로 억지끼움되고, 끼움판(21)이 인접하는 분할레일(10a)의 인접 종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과, 레일구속포켓(31)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3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은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레일구속포켓(31)의 상면개방영역이 상방향을 향하고, 레일구속포켓(31)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지지레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레일(1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지지레일(10) 상호간을 구속하게 된다.
소켓블럭(40)은 소켓바닥면부(41)와, 소켓바닥면부(41)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소켓측벽부(42)를 갖고 있다.
소켓블럭(40)은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소켓바닥면부(41)는 저면에 한 쌍의 소켓블럭레일홈(41a)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켓블럭레일홈(41a)은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진입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바닥면부(41)는 상면 양단에 소켓바닥안착홈(41b)이 하나씨 형성되어 있다.
각 소켓측벽부(42)는 양단에 소켓측벽안착홈(42a)이 하나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소켓블럭(40)은 소켓블럭레일홈(41a)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지지레일(10)에 설치된다.
각 수로관(50)은 관바닥면부(51)와, 관바닥면부(51)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관측벽부(52)를 갖고 있다.
각 수로관(50)은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관바닥면부(51)는 저면에 한 쌍의 수로관레일홈(51a)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로관레일홈(51a)은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진입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관바닥면부(51)는 저면 양단에 관바닥안착계단부(51b)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각 관측벽부(52)는 양단에 관측벽안착계단부(52a)가 하나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로관(50)은 수로관레일홈(51a)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수로관(50)은 관바닥안착계단부(51b)가 소켓바닥안착홈(41b)에 안착하고 관측벽안착계단부(52a)가 소켓측벽안착홈(42a)에 안착되도록 소켓블럭(40)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수로관(50)의 양 종단 개방영역이 소켓블럭(40)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구조를 사용하여 수로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로의 일부구간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분할레일(10a) 상호간을 결합한다(도4 참조).
다음에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지지레일(10)에 이격 설치한다(도5 참조)
다음에 지지레일(10)을 지면에 설치한다(도5 참조).
다음에 소켓블럭(40)을 지지레일(10)에 설치한다(도6 참조). 소켓블럭(40)의 설치는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소켓블럭레일홈(41a)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수로관(50)을 소켓블럭(40)에 설치한다(도6 참조). 수로관(50)의 설치는 지지레일(10)과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수로관레일홈(51a)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소켓바닥안착홈(41b)와 소켓측벽안착홈(42a)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의 방법으로 수로관(50)과 소켓블럭(40) 사이의 연결영역에 대한 누수방지 작업을 실시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레일(10)을 분할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으나, 수로구조의 형성구간이 짧은 경우 지지레일(10)을 일체로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레일구속포켓(31)을 갖도록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형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개방된 레일구속포켓을 갖도록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속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양 종단과 저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과, 레일구속포켓(31')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32')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은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레일구속포켓(31')의 저면개방영역이 하방향을 향하고, 레일구속포켓(31')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레일구속브라켓트(30')는 지지레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지지레일(10) 상호간을 구속하게 된다.
소켓블럭레일홈(41a)은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진입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로관레일홈(51a)은 레일구속포켓(31')의 상단이 진입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 높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폭을 갖도록 지지레일(10)을 형성하고 있으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지지레일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레일(10')은 긴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판부(11')와, 받침판부(11')의 상면에 받침판부(11')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홈삽입부(12')를 갖고 있다.
소켓블럭(40)은 소켓블럭레일홈(41a)에 홈삽입부(12')가 삽입되도록 지지레일(10)에 설치된다.
수로관(50)은 수로관레일홈(51a)에 홈삽입부(12')가 삽입되도록 지지레일(10)에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휨이 없는 형태로 소켓블럭(40)과 소켓블럭레일홈(41'a)을 형성하고 있으나, 도9,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이 있는 형태로 소켓블럭과 소켓블럭레일홈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소켓블럭(40')과 소켓블럭레일홈(41'a)은 중간에서 수평방향으로 1회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9에 도시된 소켓블럭을 사용하면 수로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소켓블럭(40')과 소켓블럭레일홈(41'a)의 휨각도는 좌우 90도까지(도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럭의 휨각도가 제로라고 할 경우) 가능하다. 도9에 도시된 소켓블럭(40') 및 소켓블럭레일홈(41'a)과 반대방향으로 90도까지 휨이 가능하다.
도10과 도11에 도시된 소켓블럭(41", 41"-1)과 소켓블럭레일홈(41"a, 41"-1a)은 중간에서 수직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10과 도11에 도시된 소켓블럭을 사용하면 수로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소켓블럭(41", 41"-1)과 소켓블럭레일홈(41"a, 41"-1a)의 휨은 꺽임 형태(도9 및 도10) 또는 곡선형태(도11)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관바닥면부(51)에 수로관레일홈(51a)을 형성하여 수로관레일홈(51a)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수로관(50)을 소켓블럭(40)에 설치하고 있으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레일홈을 형성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수로관의 경우 전체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한 구간만큼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10)과, 저면에 형성된 소켓블럭레일홈(41a)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지지레일(10)에 설치되는 소켓블럭(40)과, 양 종단 개방영역이 소켓블럭(40)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수로관(50)을 포함함으로써, 수로의 초기형성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지지레일에 의해 수로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 소켓블럭(40)의 형태를 변경하여 수로의 수평방향전환이나 수직방향전환이 용이하고, 수로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해진다(와이어로프가 필요 없으며 수로관 양단의 형태를 동일하게 할 수 있음).
그리고 관바닥면부(51)의 저면에 수로관레일홈을 형성하는 한편, 수로관레일홈(51a)에 지지레일(10)이 삽입되도록 수로관(50)을 소켓블럭(40)에 설치함으로써, 수로관(5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레일(10)에 설치되어 지지레일(1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지지레일(10) 상호간을 구속하는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추가함으로써, 지지레일(1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과 레일구속포켓(31)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32)를 갖도록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형성하여 레일구속포켓(31)의 상면개방영역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레일(10)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31')과 레일구속포켓(31')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32')를 갖도록 레일구속브라켓트(30')를 형성하여 레일구속포켓(31')의 저면개방영역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레일(10)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레일구속브라켓트(3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판부(11')와 받침판부(11')의 상면에 받침판부(11')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홈삽입부(12')를 갖도록 지지레일(10')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레일(10')의 초기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레일(10)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한편, 레일연결구(20)틀 통해 분할레일(10a) 상호간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레일(1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10: 지지레일 20: 레일연결구
30, 30': 레일구속브라켓트 31, 31': 레일구속포켓
32, 32': 연결판부 40, 40', 40", 40"-1: 소켓블럭
41, 41': 소켓바닥면부 42, 42': 소켓측벽부
50, 150: 수로관 51, 151: 관바닥면부
52, 152: 관측벽부 161: 와이어로프

Claims (7)

  1. 물안내경로를 따라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레일과;
    저면에 한 쌍의 소켓블럭레일홈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켓바닥면부와 상기 소켓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소켓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켓블럭레일홈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소켓블럭과;
    관바닥면부와 상기 관바닥면부의 폭방향 양측 연부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관측벽부를 가지고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양 종단 개방영역이 상기 소켓블럭의 종단개방영역에 연결되도록 상기 소켓블럭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로관과;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레일 상호간을 구속하는 레일구속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바닥면부는 저면에 한 쌍의 수로관레일홈이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로관은 상기 수로관레일홈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소켓블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속브라켓트는 각각 양 종단과 상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과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상면개방영역이 상방향을 향하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속브라켓트는 각각 양 종단과 저면이 개방된 요형(凹形)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레일구속포켓과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내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판부를 가지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의 저면개방영역이 하방향을 향하고 상기 레일구속포켓에 상기 지지레일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긴 직사각형 형태의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상면에 상기 받침판부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홈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블럭은 상기 소켓블럭레일홈에 상기 홈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레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지지레일의 분할부분을 분할레일이라고 할 때 상기 분할레일은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할레일과 같은 외관을 갖도록 형성된 끼움판과 상기 끼움판의 양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억지끼움돌부를 가지고, 상기 억지끼움돌부가 인접하는 분할레일의 인접 종단 내부로 억지끼움되고 상기 끼움판이 인접하는 분할레일의 인접 종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레일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구조.
KR1020190091684A 2019-07-29 2019-07-29 수로구조 KR10222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84A KR102228990B1 (ko) 2019-07-29 2019-07-29 수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84A KR102228990B1 (ko) 2019-07-29 2019-07-29 수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07A KR20210013907A (ko) 2021-02-08
KR102228990B1 true KR102228990B1 (ko) 2021-03-16

Family

ID=7456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84A KR102228990B1 (ko) 2019-07-29 2019-07-29 수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9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982B2 (ja) * 1996-01-24 2001-10-0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磁歪式トルク検出装置
US20060159520A1 (en) * 2004-06-07 2006-07-20 Charon James W Modular drainage components
KR100697638B1 (ko) *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982U (ja) * 2018-04-24 2018-07-05 積水樹脂株式会社 ブ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982B2 (ja) * 1996-01-24 2001-10-0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磁歪式トルク検出装置
US20060159520A1 (en) * 2004-06-07 2006-07-20 Charon James W Modular drainage components
KR100697638B1 (ko) * 2007-01-15 2007-03-20 김형준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07A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8983A (ko) 배수 탱크 또는 채널 모듈
EP1870519A2 (en) Reinforced sectional gutter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28990B1 (ko) 수로구조
KR20130137665A (ko)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KR101258476B1 (ko) 가변식 집 배수관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KR101034853B1 (ko)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KR102301862B1 (ko) 수로구조
KR102153783B1 (ko) 자립식 말뚝 벽체를 이용한 합벽식 지하도로
CN104594228A (zh) 排水管及其构成的排水系统
KR101386558B1 (ko) 흙막이 벽체용 피에이치씨 파일 시공방법
US763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ing drainage and trench forming systems
PT1887137E (pt) Sistema de drenagem de canal largo
JP2009249874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20090048147A (ko) 관로 받침대
CN110820473B (zh) 具有网络连通的快速扩散透水排水铺面结构
KR200398132Y1 (ko) 배수로용 블록
JP4596177B2 (ja) 路面用水路施設の形成方法及びその中継用水路ブロック、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20160096299A (ko) 낙차형 콘크리트 수로관
KR20060118381A (ko) 패널 옹벽에 플라스틱재의 보강재 결합구조
KR20150002028U (ko) 다발관을 이용한 경사면 배수구조
KR101159636B1 (ko) 유도휀스가 구비된 배수로
KR102591308B1 (ko) 선택적 틸팅이 가능한 측구 수로 시스템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