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33B1 -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733B1
KR102228733B1 KR1020200127358A KR20200127358A KR102228733B1 KR 102228733 B1 KR102228733 B1 KR 102228733B1 KR 1020200127358 A KR1020200127358 A KR 1020200127358A KR 20200127358 A KR20200127358 A KR 20200127358A KR 102228733 B1 KR102228733 B1 KR 10222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eight
parts
agent
toxic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에이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에이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에이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2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도포하는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코팅하는 하드코팅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은 공정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성, 항균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A FINISHING METHOD OF SINK FLOOR}
본 발명은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성, 항균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공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 바닥면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져있으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은 새집의 경우 콘크리트에서 각종 유해성분이 오랜기간 동안 방출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시멘트 혼화제, 6가 크롬, 각종 첨가제 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며, 상기의 성분들은 오랜 기간 방충되면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유아들의 아토피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싱크대 바닥면은 싱크대의 계수대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증식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바람지하지 못하다.
또한, 수분에 오랜기간 노출되는 경우에 균열등이 발생하여 아랫층으로 수분이 유출되는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종래에는 싱크대 바닥면에 별다를 방수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도장재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에 직접 도포하거나,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시트를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도료성분을 도포하는 방법은 도료가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막의 부풀음 현상이나,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도료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합성수지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의 경우 이음새로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여 방수성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수성능이 우수하며 들뜸현상이 개선된 코팅제로 싱크대의 바닥면을 처리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코팅제 자체에서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발생하거나, 코팅제를 코팅한 후에 경화되는 시간이 7 내지 9시간으로 지나치게 길어 공정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837881호(2008.06.05) 한국특허등록 제10-1765067호(2017.07.31)
본 발명은 목적은 공정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성, 항균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공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도포하는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코팅하는 하드코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혼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 티타늄 디옥사이드 35 내지 50 중량부, 석회석 1 내지 12 중량부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1 내지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는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400 내지 600mL/m2의 양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드코팅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70 내지 85 중량부, 아크릴 혼합물 35 내지 50 중량부 및 텍사놀 6 내지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드코팅단계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200 내지 400mL/m2의 양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탕처리단계와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사이에는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을 나노연마제로 연마하는 나노연마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나노연마제는 콜로이달실리카 100 중량부,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 0.6 내지 5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은 공정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성, 항균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4는 마감처리 전에 싱크대 바닥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차단제가 도포된 싱크대 바닥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드코팅제가 도포된 싱크대 바닥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은 싱크대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S101),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도포하는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5) 및 상기 건조단계(S105)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코팅하는 하드코팅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의 바닥면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싱크대 바닥면에 먼지나 콘크리트 분말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형성되는 차단층과 큰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다.
이때, 싱크대 바닥면에 이물질 외에, 콘크리트 바닥면이 불순물이나, 수분의 노출로 인해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따른 표면부식이나, 들뜸부분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표면부식이나 들뜸부분 등을 회전숫돌을 이용하여 그라인딩한 후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싱크대 바닥면에 장판을 고정하기 위해 바른 접착제나 유지 성분이 다량 잔존하는 경우에는 약 1200℃의 토치가열 램프를 이용하여 싱크대 바닥면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토치가열 램프의 불꽃을 싱크대 바닥면에 적용하여 열처리하면 싱크대 바닥면에 적용되는 온도가 300 내지 400℃를 나타내며, 상기의 온도로 열처리된 싱크대 바닥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성분에 잔존하는 접착제, 수분, 유지성분 및 이물질이 탄화의 과정을 통해 쉽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의 온도로 열처리된 싱크대 바닥면에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를 통해 유해물질 차단제가 도포되면, 도포된 유해물질 차단제의 경화 및 건조 시간이 줄어들어 마감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유해물질차단계도포단계(S103)는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400 내지 600mL/m2의 양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해물질 차단제의 도포량이 400mL/m2 미만이면 유해물질 차단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제로 형성된 차단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 외력이나 자연건조에 의해 쉽게 균열이 발생하여 유해물질 차단 효과를 상실할 수 있고, 상기 유해물질 차단제의 도포량이 600mL/m2를 초과하면 유해물질의 차단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차단층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시간이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유해물질 차단제는 아크릴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릴혼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 티타늄 디옥사이드 35 내지 50 중량부, 석회석 1 내지 12 중량부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1 내지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지방족 고리 및/또는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지방족 고리 및/또는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시클로알킬메타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아릴메타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혼합물은 기본적으로 백생을 나타내며, 사용자의 푤이에 따라 다양한 안료성분을 함유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혼합물이 적용된 유해물질 차단제는 싱크대 바닥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시멘트 혼화제, 6가 크롬, 각종 첨가제 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에 대해 우수한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건조단계(S105)는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60 내지 70℃ 열풍으로 10 내지 3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다.
상기 건조온도가 7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차단층을 구성하는 아크릴 혼합물의 주성분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열화가 진행될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단계(S107)는 상기 건조단계(S105)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로, 상기 건조단계(S105)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200 내지 400mL/m2의 양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양으로 하드코팅제가 코팅되면, 수분, 자외선 및 긁힘 등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차단층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는데, 상기 하드코팅제의 코팅양이 200mL/m2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하드코팅제의 코팅량이 400mL/m2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하드코팅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균열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건조공정이나 제조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와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S103) 사이에는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을 나노연마제로 연마하는 나노연마단계(S102)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상기 바탕처리단계(S10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을 나노연마제로 연마하여 상기 싱크대 바닥면에 잔존하는 나노사이즈의 미세홈을 제거하기 때문에, 나노사이즈의 미세홈에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여 싱크대 바닥면의 항균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다.
이때, 상기 나노연마제는 콜로이달실리카 100 중량부,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 0.6 내지 5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나노연마제를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표면이 고조도화 및 고평탄화될 뿐만 아니라 연마가 빠르게 진행되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의 연마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콜로이달실리카는 수산화칼륨(KOH), 아민계열(NH4OH)을 포함한 알칼리 용액에 평균 입도가 50 내지 80nm가 되는 SiO2계 지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는 평균 입경이 입경분포가 10 내지 50nm이며, 평균입경이 30nm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평균입경을 나타내는 다이아몬드가 포함된 연마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을 연마하게 되면, 표면조도가 3Å이하이고, 평탄도가 3㎛이하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 글리콜은 상기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 입자들을 콜로이달 실리카 용액에 분산 유지되어 연마제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글리콜 계열의 다른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나열된 물질을 혼합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할 때, 5 내지 20분 동안 초음파로 처리한 다음,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초음파를 조사하여 혼합을 진행하는 이유는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 입자들이 콜로이달 실리카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나노연마단계는 통상적인 연마장치 및 연마패드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연마제와 윤활제를 제공하면서 연마 패드를 회전시켜, 상기 나노연마제로 싱크대바닥면을 연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마감처리된 싱크대 바닥면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유해물질 차단제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정제수 65 중량부, 티타늄 디옥사이드 42.5 중량부, 석회석 6 중량부, 알루미늄실리케이트 6 중량부 및 안료 0.5 중량부(코발트 블루)를 혼합하여 유해물질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하드코팅제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77.5 중량부, 아크릴 혼합물 42.5 중량부 및 텍사놀 7 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드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에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유해물질 차단제를 500mL/m2의 양으로 도포한 후에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65℃의 온도로 20분 동안 건조시켜 차단층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층의 상부면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하드코팅제를 300mL/m2의 양으로 도포하는 고정을 통해 마감처리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싱크대 바닥면 대신 MDF 보드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된 MDF 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싱크대 바닥면.
<비교예 2>
MDF 보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마감처리된 싱크대 바닥면과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마감처리된 MDF 보드 및 상기 비교예 1의 싱크대 바닥면의 항균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은 싱크대 바닥면을 마감처리하고 12시간이 경과된 후에 필름밀착법을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경과 후 측정된 세균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EColi ATCC25922와 Saureous ATCC25923을 시험균주로 적용하였으며 균수는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배수를 곱해 산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2010421482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표면처리된 싱크대 바닥면과 MDF 보드는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마감처리된 MDF 보드와 상기 비교예 2의 MDF 보드의 유해물질 차단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유해물질 차단성은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마감처리된 MDF 보드와 상기 비교예 2의 MDF 보드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포름알데히드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마감처리후 7일이 경과한 후에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은 야나기사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112020104214828-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마감처리된 MDF 보드는 비교예 2의 MDF 보드에 비해 유해물질의 차단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은 공정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차단성, 항균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싱크대 바닥면을 제공한다.
S101 ; 바탕처리단계
S102 ; 나노연마단계
S103 ;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S105 ; 건조단계
S107 ; 하드코팅단계

Claims (7)

  1. 싱크대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탕처리단계;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도포하는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차단층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코팅하는 하드코팅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크릴혼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정제수 60 내지 70 중량부, 티타늄 디옥사이드 35 내지 50 중량부, 석회석 1 내지 12 중량부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1 내지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는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에 아크릴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차단제를 400 내지 600mL/m2의 양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70 내지 85 중량부, 아크릴 혼합물 35 내지 50 중량부 및 텍사놀 6 내지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단계는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차단층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제를 200 내지 400mL/m2의 양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탕처리단계와 상기 유해물질차단제도포단계 사이에는 상기 바탕처리단계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싱크대 바닥면을 나노연마제로 연마하는 나노연마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나노연마제는 콜로이달실리카 100 중량부, 나노 입경의 다이아몬드 0.6 내지 5 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KR1020200127358A 2020-09-29 2020-09-29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KR10222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58A KR102228733B1 (ko) 2020-09-29 2020-09-29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58A KR102228733B1 (ko) 2020-09-29 2020-09-29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733B1 true KR102228733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358A KR102228733B1 (ko) 2020-09-29 2020-09-29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331A (ja) * 2001-02-16 2002-08-28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を発生源とする有害ガスの遮断方法
KR100837881B1 (ko) 2007-11-08 2008-06-13 (주)한성개발 콘크리트 바닥 폴리싱 방법
KR20160100117A (ko) * 2015-02-13 2016-08-23 (주)청우산업개발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1765067B1 (ko) 2016-12-21 2017-08-04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폴리우레탄시트의 웰딩 접합에 의한 방수 시공방법
KR20170126870A (ko) * 2015-03-10 2017-11-20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연마제, 연마제용 저장액 및 연마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331A (ja) * 2001-02-16 2002-08-28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を発生源とする有害ガスの遮断方法
KR100837881B1 (ko) 2007-11-08 2008-06-13 (주)한성개발 콘크리트 바닥 폴리싱 방법
KR20160100117A (ko) * 2015-02-13 2016-08-23 (주)청우산업개발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20170126870A (ko) * 2015-03-10 2017-11-20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연마제, 연마제용 저장액 및 연마 방법
KR101765067B1 (ko) 2016-12-21 2017-08-04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폴리우레탄시트의 웰딩 접합에 의한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209B2 (en) Methods for providing glossy surfaces
JP6688734B2 (ja) 水性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改質粒子
KR101502063B1 (ko) 표면착색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20060105876A (ko) 수성도료 조성물
JP4637656B2 (ja) 塗装仕上げ方法
CN103242742A (zh) 一种用于卷材pvc地板的水性光固化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3078945A (ja) 積層体
KR102228733B1 (ko) 싱크대 바닥면의 마감처리방법
US9371439B2 (en) Protective coatings
KR102205517B1 (ko) 인조대리석의 코팅시공방법
TW201235330A (en) Humidity-conditioning construction material
KR20150010894A (ko) 내오존 성능을 갖는 표면 보호용 도료 조성물, 이를 적용한 수처리 구조물의 표면처리 및 타일접착공법
JP2006232870A (ja) コーティング溶液およびその使用
CN112391120A (zh) 一种纯色瓷砖防渗蜡防污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670852A (zh) 一种室内环保墙面的装修方法
JP4033766B2 (ja) 建築物表面の化粧構造
JP4874143B2 (ja) 塗膜積層体
JP2006052297A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JP6095275B2 (ja) 下地コンクリート表面高圧調整方法及びこれを施した下地コンクリート床施工方法
CN110357918A (zh) 一种多官能团嘌呤类化合物及其应用和制备玻璃用的超疏水材料的方法
KR20100008884A (ko) 표면에 보호막을 갖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621427B2 (ja) 撥水撥油処理建築材料
EP2380860A1 (en) Polysiloxane-coated iron oxide pigments
CN115873310A (zh) 耐污染一体盆及其制备方法、改性二氧化硅和卫浴洁具
JP5439547B2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