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827B1 -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827B1
KR102227827B1 KR1020190109667A KR20190109667A KR102227827B1 KR 102227827 B1 KR102227827 B1 KR 102227827B1 KR 1020190109667 A KR1020190109667 A KR 1020190109667A KR 20190109667 A KR20190109667 A KR 20190109667A KR 102227827 B1 KR102227827 B1 KR 10222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ct
striking
cast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495A (ko
Inventor
탁영준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8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1Starter bars
    • B22D11/083Starter bar head; Means for connecting or detaching starter bars and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0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removing cast st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를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분리장치 및 주조방법으로서, 지지체에 분리장치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Apparatus for separating object and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주편을 주조하기 위해서는 수직형의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한다. 이때, 주형의 내에서 응고된 주편을 지지하고, 주편을 주형으로부터 인발하기 위해, 복수의 정반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주편에서 정반들을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토치 혹은 해머를 이용하여 정반들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컨데, 정반들과 주편의 연결부분에 토치로 열을 가하여 정반들을 주편에서 분리시키거나, 혹은 정반들을 해머로 타격하여 주편에서 정반들을 분리시켰다. 하지만, 토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주편과 정반의 연결부분에 손상을 발생시켜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고, 해머를 사용하는 방법은 정반들의 표면에 손상을 발생시켰다. 또한, 상기 두가지 방법은 과도한 인력 낭비와 시간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주편에 부착된 정반들을 직접 타격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JP 2992675
본 발명은 주조된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주편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주편에서 지지체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를 상기 지지체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체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타격부를 밀고 당기며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몸체; 일측이 상기 타격부와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몸체에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부몸체에 설치되는 구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구동부몸체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체; 및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고,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체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의 무게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접촉체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타격부재에 삽입되는 제2 샤프트; 일면이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고, 타면이 상기 타격부재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력기;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동력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구동부몸체의 제2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와 타격부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및 타격부가 상기 이동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순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주형에 지지체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주형에 용강을 공급하고,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주조된 주편에 부착된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분리장치로 상기 지지체를 타격하여 상기 주편에서 상기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주형에 지지체를 삽입시키는 과정은, 주지지체와 상기 주지지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보조지지체를 상기 주형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은, 수직방향으로 주조된 주편을 수평상태로 배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편을 수평상태로 배치시키면서 상기 주편에서 상기 주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보조지지체들 사이에 상기 분리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를 타격하여 상기 주편에서 상기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상기 보조지지체들에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 및 상기 주편과 상기 보조지지체들의 연결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타격부재로 상기 접촉부재를 밀면서 간접적으로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보조지지체들에 상기 접촉부재를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편에서 상기 보조지지체들이 분리될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체들 사이에 분리장치를 배치시키고, 분리장치를 통해 지지체들을 타격하여 지지체들을 주편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안전문제를 예방하면서 주편에서 지지체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장치를 지지체들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촉체들을 타격하므로, 지지체들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지지체들을 타격하므로, 작업자가 지지체들을 분리할 때보다,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주편에서 지지체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주조 설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가 지지체를 분리시키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수직형 주조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주편의 하부를 지지하는 주정반과 주정반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정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분리장치가 주편에서 보조정반들을 분리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지지체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주조 설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수직형 주조설비를 설명한다. 수직형 주조설비는 주편을 일정길이로 수직 주조한 후, 주조를 종료하는 주조설비이다. 이러한 수직형 주조 설비는 용강을 임시 저장하는 턴디쉬(10), 턴디쉬(10)에서 용강을 공급받고 용강을 냉각시키는 주형(20), 상하 이동 가능하며 주형(20)으로부터 주편(S)을 인발하는 정반부(30),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태인 주편(S)을 전달받아 수평상태로 틸팅시키는 틸팅부(40), 틸팅부(40)로 주편(S)을 밀어주는 푸싱부(50) 및 분리장치(100)를 포함한다.
턴디쉬(10)는 주형(20)으로 용강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용강을 임시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주형(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턴디쉬(10)는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주형(20)으로 용강을 공급할 수 있다.
주형(20)은 턴디쉬(10)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용강을 냉각시켜, 단면이 사각형인 주편(S)을 주조할 수 있다. 주형(2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통형상일 수 있고, 횡단면이 사각형인 형상일 수 있다. 즉, 주형(20)은 한쌍의 장변 및 한쌍의 단변을 갖고, 내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주형(20)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주편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정반부(30)는 승하강 가능하며, 주조 전에 상승하여 주형(20)의 하측 개구를 폐쇄하고, 주조 시작 후에 하강하여 주형(20)으로부터 주편(S)을 인발할 수 있다. 즉, 주형(20)에 용강을 장입시키기 전에, 이동대차(미도시)를 통해 정반부(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정반부(30)를 주형(20)의 하측 개구에 삽입하여 주형(20)의 하측 개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턴디쉬(10)에서 주형(20)으로 용강이 유입되고 1차 응고되면, 정반부(30)를 길이방향으로 하강시켜 주편(S)을 수직 주조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주편(S)이 주형(20)에서 인발되어 나오는 방향일 수 있고, 도면상 턴디쉬(10) 및 주형(20)이 배치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형에서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주편, 예컨데 두께가 400mm 내지 1000mm인 주편이 주조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의 길이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이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주편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주편(S)에서 정반부(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정반부(30)가 주정반(31)과 주정반(31)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조정반(32)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주정반(31)과 한쌍의 보조정반(32)으로 주편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정반부(30)가 주정반(31)과 한쌍의 보조정반(32)으로 나누어 형성되므로, 중간에 배치된 주정반(31)을 주편(S)에서 먼저 분리하고, 이후 한쌍의 보조정반(32)을 분리하여 주편(S)과 정반부(3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정반(31) 및 보조정반(32)은 각각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주정반(31) 및 보조정반(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편(S)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주정반(31)은 주형(30)의 폭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방향은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직교하고, 두께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보조정반(32)들은 주정반(31)의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정반(31)과 한쌍의 보조정반(32)의 폭방향 길이의 합은 주형(30)의 폭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주형(3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클 수 있다. 하기에서 분리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분리장치(100)가 타격하는 지지체는 수직형 주조 설비의 정반부(3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는 정반부(30)의 보조정반(32)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틸팅부(40)는 주형(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주조가 종료되어 수직 상태로 놓인 주편(S)을 수직 상태로 전달받아 수평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수직상태의 주편(S)을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는 것을 틸팅이라 명명한다. 틸팅부(40)는 주편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 안착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기 및 안착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틸팅시킨 주편을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부(50)는 인발된 주편(S)의 측면에 위치하며, 주편(S)을 밀어 틸팅부(40)의 안착대로 주편(S)을 옮길 수 있다. 즉, 푸싱부(50)는 폭방향으로 주편(S)에 힘을 가해 주편(S)을 밀어줄 수 있다. 이러한 푸싱부(5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싱부(5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하지만, 푸싱부(5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편(S)을 밀어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 될 수 있다.
한편, 푸싱부(50)로 주편(S)을 안착대로 밀어줌에 있어서, 주편(S)에 부착된 주정반(31)을 주편(S)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이동대차가 주정반(3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푸싱부(50)가 주편을 밀어주므로 주편(S)에서 주정반(31)을 떨어뜨려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주편(S)에는 한쌍의 보조정반(32)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주편(S)에 부착된 한쌍의 보조정반(32) 사이에 분리장치(1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100)가 보조정반(32)들을 밀면서 타격하므로 주편(S)에 부착된 한쌍의 보조정반(32)들을 주편(S)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분리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주편(S)에 부착된 지지체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적어도 일부가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고,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지지체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타격부(120) 및 타격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타격부(120)와 연결되는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장치(100)는 타격부(120)를 지지체와 접촉시킬 수 있는 이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편(S) 부착된 주정반(31)과 보조정반(3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체가 보조정반(32)들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110)은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타격부(120), 구동부(130) 및 이동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동부(140)가 단수개로 마련되고 타격부(120) 및 구동부(130)가 이동부(140)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폭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110)의 중앙에 이동부(140)가 배치되고, 이동부(140)의 양측에 이동부(14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부(130) 및 타격부(120)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130) 및 타격부(120)가 프레임(110)의 개방된 양측면을 통해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타격부(120)가 지지체(32)를 타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분리장치(100)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11) 및 결합볼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프레임(110)과 별체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트(112)는 플레이트(111)와 틸팅부(40)의 안착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프레임(110)이 안착대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프레임(11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타격부(120)는 지지체(32)를 타격하여 주편(S)에서 지지체(3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32)를 타격한다는 것은 후술하는 타격부재(122)가 후술하는 접촉부재(121b)를 밀며 지지체(32)를 타격하여 지지체(32)에 충격력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타격부(120)는 지지체(32)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체(121)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체(121)는 지지체(32)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체(121)의 표면에 가해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체(121)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체(32)의 표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접촉체(121)는 타격부재(122)의 무게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접촉체(121)들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보다 지지체(32)의 표면에 균일하게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접촉체(121)가 4개로 마련되며, 타격부재(122)의 무게중심에서 90°씩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접촉체(121)는 제2 샤프트(121a) 및 지지체(32)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재(121b) 및 제2 탄성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21a)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며, 타격부재(122)와 서로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타격부재(12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이동은 제2 샤프트(121a)와 타격부재(122)가 서로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다른 한쪽이 위치가 바뀔 수 있도록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샤프트(12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접촉부재(121b)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2 샤프트(121a)보다 직경이 길고, 폭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을 수 있다. 접촉부재(121b)는 제2 샤프트(121a)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121b)는 일면이 지지체(32)와 접촉할 수 있고, 타면이 후술하는 제2 탄성부재(121c)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면은 접촉부재(121b)를 기준으로 지지체(32)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고, 타면은 그 반대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일측은 지지체(3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타측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121b)는 지지체(32) 표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질, 예컨데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접촉부재(12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21c)는 폭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탄성부재(121c)는 접촉부재(121b)와 타격부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부재(121c)는 제2 샤프트(121a)를 관통하여 일측이 접촉부재(121b)와 연결되고 타측이 타격부재(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탄성부재(121c)는 지지체(32)를 향하여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타격부재(122)가 접촉부재(121b)와의 접촉시 수축될 수 있고, 신장되며 타격부재(1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탄성부재(12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타격부재(122)는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타격부재(122)는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부재(121b)와 접촉할 수 있고, 접촉부재(121b)를 밀면서 지지체(32)를 타격할 수 있다. 타격부재(122)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격부재(122)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홀(122a)과 상기 홀(122a)과 단차지게 형성된 함몰된 홈(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2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121a)가 삽입될 수 있고, 단차진 함몰된 홈(122b)에는 제2 탄성부재(121c)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122a)과 상기 홈(122b)은 접촉체(121)의 형성 개수 및 위치에 맞추어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타격부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타격부(120)를 밀고 당기며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이동부(140)와 연결되는 구동부몸체(131),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132) 및 이동체(13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몸체(131)는 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프레임(110) 내에서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몸체(131)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몸체(131)의 일측 면에는 후술하는 이동체(132)의 제1 샤프트(13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몸체(131)는 내부에 제2 지지판(131a)을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구동부몸체(1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지지판(131a)은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부몸체(13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판(131a)에는 후술하는 제1 샤프트(132a)가 삽입될 수 있게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판(131a)은 후술하는 제1 탄성부재(133b)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판(131a)은 제1 탄성부재(133b)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판(131a)은 구동부몸체(131)의 폭방향 길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동체(132)는 구동부몸체(13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체(132)는 일측이 타격부재(122)와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체(133)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동체(132)는 구동부몸체(131)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132a), 제1 지지판(132b) 및 제1 연결부재(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32a)는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부몸체(131)의 관통홀에 삽입되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부몸체(1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32a)는 적어도 일부가 구동부몸체(13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용접 등의 방식으로 타격부재(12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판(132b)은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샤프트(132a)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판(132b)은 제2 지지판(131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판(131a)보다 일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132b)은 제2 지지판(131a)보다 크기가 작게 즉, 길이방향과 두께방향 및 폭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판(132b)이 제1 샤프트(132a)와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할 때, 구동부몸체(131)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지지판(132b)은 제1 탄성부재(133b)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판(132b)이 제1 샤프트(132a)와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지지판(131a)에 의해 지지된 제1 탄성부재(133b)를 수축 혹은 신장시킬 수 있다. 제1 지지판(132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2c)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샤프트(132a)에 용접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2c)는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133a)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32c)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32c)는 N극 혹은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제1 연결부재(132c)가 제2 연결부재(133a)와 접촉 및 분리되는 방식을 다시 설명한다. 제1 연결부재(132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체(133)는 이동체(132)를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체(133)는 제1 연결부재(132c)에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 연결부재(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3a)는 구동부몸체(131)에 설치되며, 제1 연결부재(132c)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재(133a)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재(133a)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자기력을 발생시켜 제1 연결부재(132c)와 다른 극성을 갖을 수 있고,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면 극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재(133a)는 후술하는 전원부(미도시)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33a)는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1 연결부재(132c)와 같은 극성을 갖을 수도 있다. 즉, 제어부가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같은 극성 혹은 다른 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같은 극성을 갖을 경우, 제1 연결부재(132c)와 척력이 발생되며 이동체(132)를 지지체(32)를 향하여 밀수 있다. 반대로,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다른 극성을 갖을 경우, 제1 연결부재(132c)와 인력이 발생되며 이동체(132)를 당길 수 있다. 하지만, 제1 연결부재(132c)와 제2 연결부재(133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연결부재(133a)는 제1 연결부재(132c)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체(133)는 이동체(132)를 지지체(32)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탄성부재(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32a)는 제1 탄성부재(133b)를 관통하고, 제1 지지판(132b)과 제2 지지판(131a) 사이에 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재(132c)와 제2 연결부재(133a)의 인력이 해제될 경우, 이동체(132)를 지지체(32)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32c)와 제2 연결부재(133a)의 사이에 척력이 발생할 때, 제1 탄성부재(133b)가 이동체(132)를 더 효과적으로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133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구동부(13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접촉부재(121b)를 지지체(3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140)는 구동부몸체(131)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구동부몸체(131)에 설치되는 이동체(132) 및 구동체(133)도 구동부몸체(1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132)와 연결된 타격부재(122) 및 접촉체(121)도 이동체(132)의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부(140)는 구동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구동부(130)와 연결된 타격부(130)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형(20)에서는 폭방향 길이가 다양한 주편(S)이 인발될 수 있다. 이에, 주편(S)의 폭방향 길이에 따라 부착된 지지체(32)들 사이의 거리도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주편(S)의 폭방향 길이에 맞추어 타격부(120) 및 구동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타격부(120)를 지지체(32)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접촉부재(121b)를 지지체(3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30) 및 타격부(12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140)는 동력기(141) 및 동력전달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기(141)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동력기(141)는 모터일 수 있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기(141)는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고, 프레임(110)의 폭방향 길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동력기(141)가 설치되는 위치 및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42)는 동력기(14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구동부몸체(131)에 전달하여, 구동부몸체(131)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력전달부재(142)는 동력기(141)의 구동력을 구동부몸체(131)에 전달하도록, 일측이 구동부몸체(131)에 연결되고, 타측이 동력기(14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부재(142)는 웜 회전축과 웜 스크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웜 회전축 동력기(14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웜 스크류는 웜 회전축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폭방향으로 전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웜스크류는 구동부몸체(131)의 중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동력전달부재(142)가 구동부몸체(131)를 이동시킬 때, 구동부몸체(131)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동력전달부재(14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제2 연결부재(133a)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는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133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2 연결부재(133a)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재(133a)가 N극 또는 S극을 갖을 수 있도록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연결부재(133a)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제2 연결부재(133a)에 발생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장치가 지지체를 분리시키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a)는 분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b)는 지지체에 분리장치를 접촉시킨 도면이고, 도 4a(c)는 지지체를 타격하는 도면이고, 도 4a(d)는 지지체 타격 후 복귀하는 도면이고, 도 4b(e)는 지지체가 주편에서 분리되는 도면이고, 도 4b(f)는 지지체를 타격하기 전 상태로 복귀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분리장치(100)로 지지체(32)를 타격하고, 주편(S)에서 지지체(32)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분리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실시 예에서는 주편(S)에서 정반부(30)의 주정반(31)이 분리되고, 보조정반(32)들 사이에 배치된 분리장치(100)가 보조정반(32)들을 분리시키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주편(S)에서 주정반(31)이 분리되는 과정 및 상기 과정 이전의 과정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분리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이동부(140)를 중심으로 도면상 좌측에 설치되는 구동부(130) 및 타격부(120)를 기준으로 하여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a)를 참조하면, 푸싱부(50)를 통해 주편이 안착대로 옮겨지고, 분리장치(100)가 지지체(32)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분리장치(100)가 주편(S)과 접촉되기 이전의 상태를 대기 상태라고 명명한다. 대기 상태에서 분리장치(100)의 제2 연결부재(133a)는 전원부에서 전력을 계속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다른 극성을 갖으므로, 제1 연결부재(132c)와 인력이 작용하여 제1 연결부재(132c)와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3a)와 제1 연결부재(132c)가 접촉함에 따라, 제2 지지판(131a)에 지지된 제1 탄성부재(133b)가 제1 지지판(132b)의해 가압되여 수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a(b)을 참조하면, 동력기(141)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동력전달부재(142)가 동력기(141)의 구동력을 구동부몸체(131)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몸체(131)를 지지체(32)를 향하는 방향, 즉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구동부몸체(131)의 이동에 따라 접촉부재(121b)도 좌측으로 이동하며 지지체(3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제2 연결부재(133a)에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제1 연결부재(132c)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132b)과 제2 지지판(131a) 사이의 제1 탄성부재(133b)는 수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4a(c)를 참조하면, 타격부재(122)를 접촉부재(121b)에 접촉시켜 지지체(32)를 간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즉, 타격부재(122)가 접촉부재(121b)를 밀며 지지체(32)에 충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부에서 제2 연결부재(133a)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제2 연결부재(133a)의 극성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부재(133a)와 제1 연결부재(132c) 사이의 인력이 사라지고, 제1 지지판(132b)과 제2 지지판(131a) 사이에 수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133b)가 신장되며 제1 샤프트(132a)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132a)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타격부재(122)도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며 접촉부재(121b)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타격부재(122)가 이동하며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접촉부재(121b)를 통해 지지체(32)로 전달되며, 지지체(32)를 간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즉, 지지체(32)에 충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좌측으로 이동하는 타격부재(122)에 의해 제2 탄성부재(121c)가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제1 샤프트(132a)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제어부로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같은 극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32c)가 N극을 갖고 제2 연결부재(133a)가 S극을 갖고 있을 경우, 제2 연결부재(133)가 N극의 극성을 갖도록 제어부가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부재(133a)와 제1 연결부재(132c)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며,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제1 탄성부재(133b)도 함께 제1 샤프트(132a)를 밀어냄으로 제1 샤프트(132a)를 더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a(d)를 참조하면, 전원부에서 다시 제2 연결부재(133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가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연결부재(133a)가 제1 연결부재(132c)와 다른 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제2 연결부재(133a)와 제1 연결부재(132c) 사이의 인력이 발생하며, 제1 연결부재(132c)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 연결부재(133a)와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샤프트(132a)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타격부재(122)도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며 타격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타격부재(122)가 이동함에 있어서, 수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121c)가 신장되며 타격부재(122)를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줄 수 있고, 이에 타격부재(122)를 더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b(e)를 참조하면, 도 4a(b) 내지 도 4a(d)의 과정을 통해 주편에서 지지체(32)가 분리되지 않으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다시 타격부재(122)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지지체(32)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도 4a(c)를 참조하여 기술한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타격 과정을 반복하여 지지체(32)와 주편의 연결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주편에서 지지체(3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b(f)를 참조하면, 주편에서 지지체(32)를 분리시키면, 동력기(141)가 구동력을 발생시켜 동력전달부재(142)를 통해 구동부몸체(131)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정들을 통해, 지지체(32)에 접촉부재(121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타격부재(122)로 지지체(32)를 밀며 간접 타격하므로, 지지체(32)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주편에서 지지체(32)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방법은 주형(20)에 지지체를 삽입시키는 과정(S110), 주형(20)에 용강을 공급하고, 주편(S)을 주조하는 과정(S120), 주조된 주편(S)에 부착된 지지체와 마주보게 분리장치(100)를 배치하는 과정(S130) 및 분리장치(100)로 지지체를 타격하여 주편(S)에서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철소의 수직형 주조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고, 지지체가 주조설비의 정반부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주지지체는 정반부의 주정반일 수 있고, 보조지지체는 정반부의 보조정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주조 개시 전에 지지체(30)를 상승시켜 주형(20)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S110). 즉, 이동대차(미도시)가 주지지체(31)와 주지지체(31)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보조지지체(32)를 상승시켜, 주형(20) 하측이 폐쇄될 수 있도록 주지지체(31)와 보조지지체(32)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후, 턴디쉬(10)에서 용강을 주형(20)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주형(20)에서 용강을 응고시킬 수 있다. 이때, 용강은 주지지체(31)와 보조지지체(32)의 상면에서부터 응고될 수 있다.
주형(20) 내에서 용강이 응고되기 시작하면,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지지체를 하강시켜 응고된 용강 즉, 주편(S)을 주형(20)으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S120). 즉, 주편(S)을 주지지체(31)와 보조지지체(32)에 접촉 지지한 상태로 주형(20)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편(S)을 작업자가 주조하고자 하는 길이로 인발하면 턴디쉬(10)에서 주형(20)으로 용강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발된 주편(S)은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푸싱부(50)와 틸팅부(40)를 이용하여 수직상태의 주편(S)을 수평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푸싱부(50)가 주편(S)을 밀어 틸팅부(40)의 안착대로 주편(S)을 옮길 수 있다. 이때, 푸싱부(50)가 주편(S)을 밀면서, 주편(S)에 부착된 주지지체(31)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주지지체(31)를 이동대차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푸싱부(50)가 주편(S)과 수직한 방향에서 주편(S)을 밀어 주편(S)에서 주지지체(31)를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주편(S)은 한쌍의 보조지지체(32)만 부착된 상태로 안착대에 안착될 수 있고, 틸팅부(40)의 회전기에 의해 수평상태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주편(S)에 부착된 한쌍의 보조지지체(32)를 분리시키도록, 분리장치(100)를 보조지지체(32)들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S130). 즉, 분리장치(100)의 타격부재(122)를 보조지지체(32)들과 마주보도록 분리장치(100)를 안착대에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이동부(140)를 작동시켜 접촉부재(121b)를 보조지지체(32)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접촉부재(121b)를 보조지지체(32)들의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샤프트(132a)들을 보조지지체(32)들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타격부재(122)를 접촉부재(121b)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전원부에서 제2 연결부재(133a)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제1 연결부재(132c)와의 인력을 해제시키고, 수축되어 있던 제1 탄성부재(133b)가 신장되며 제1 샤프트(132a)를 보조지지체(32) 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가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2 연결부재(133a)의 극성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에, 제1 샤프트(132a)와 함께 타격부재(122)도 보조지지체(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부재(121b)를 밀어 줄 수 있다. 이에, 타격부재(122)가 이동하며 발생되는 운동에너지가 접촉부재(121b)를 통해 보조지지체(32)로 전달되며, 보조지지체(32)를 간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즉, 보조지지체(32)에 충격력을 전달할 수 있다.
분리장치(100)는 접촉부재(121b)를 보조지지체(32)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며 반복하여 보조지지체(32)를 타격할 수 있다. 이에, 주편(S)과 보조지지체(32)의 연결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주편(S)에서 보조지지체(32)를 분리시킬 수 있다(S140).
이처럼, 주편(S)을 주조함에 있어서,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주편(S)에 부착된 보조지지체(32)들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보조지지체(32)들에 분리장치(100)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조지지체(32)들을 타격하여 주편(S)에서 보조지지체(32)들을 분리할 수 있다. 접촉부재(121b)들을 보조지지체(32)들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촉부재(121b)를 밀면서 간접적으로 보조지지체(32)를 타격하므로 보조지지체(32)들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고 분리장치(100)를 이용하므로, 작업자의 안전문제가 예방될 수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보조지지체(32)들을 분리할 때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 주형 30: 정반부
100: 분리장치 120: 타격부
121: 접촉체 122: 타격부재
132: 이동체 133: 구동체
30: 구동부 140: 이동부

Claims (18)

  1. 주편에 부착된 지지체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고,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체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재의 무게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되는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를 상기 지지체와 접촉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체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타격부를 밀고 당기며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몸체;
    일측이 상기 타격부와 연결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몸체에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부몸체에 설치되는 구동체;를 포함하는 분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구동부몸체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분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타격부재에 삽입되는 제2 샤프트;
    일면이 상기 지지체와 접촉 가능하고, 타면이 상기 타격부재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타격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분리장치.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력기;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동력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주편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분리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분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구동부몸체의 제2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리장치.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타격부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및 타격부가 상기 이동부에서 외측을 향하는 순서로 배치되는 분리장치.
  13. 주형에 지지체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주형에 용강을 공급하고,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
    주조된 주편에 부착된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
    상기 분리장치로 상기 지지체를 타격하여 상기 주편에서 상기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형에 지지체를 삽입시키는 과정은, 주지지체와 상기 주지지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보조지지체를 상기 주형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은, 수직방향으로 주조된 주편을 수평상태로 배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편을 수평상태로 배치시키면서 상기 주편에서 상기 주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마주보게 분리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은,
    상기 보조지지체들 사이에 상기 분리장치를 배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타격하여 상기 주편에서 상기 지지체를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상기 보조지지체들에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 및
    상기 주편과 상기 보조지지체들의 연결부분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타격부재로 상기 접촉부재를 밀면서 간접적으로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체들을 타격하는 과정은,
    상기 보조지지체들에 상기 접촉부재를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주편에서 상기 보조지지체들이 분리될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하는 주조방법.
KR1020190109667A 2019-09-04 2019-09-04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KR102227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67A KR102227827B1 (ko) 2019-09-04 2019-09-04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67A KR102227827B1 (ko) 2019-09-04 2019-09-04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95A KR20210028495A (ko) 2021-03-12
KR102227827B1 true KR102227827B1 (ko) 2021-03-15

Family

ID=7513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67A KR102227827B1 (ko) 2019-09-04 2019-09-04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093B1 (ko) * 2022-07-18 2022-09-26 신규성 기어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675B2 (ja) 1995-10-17 1999-12-20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半連続鋳造装置
KR100705677B1 (ko) * 2001-05-03 2007-04-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기용 더미바의 헤드 클립 분리장치
KR101053975B1 (ko) * 2009-01-21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반연속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1617746B1 (ko) * 2014-09-24 2016-05-0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반연속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20160092619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2124335B1 (ko) * 2018-09-06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093B1 (ko) * 2022-07-18 2022-09-26 신규성 기어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95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827B1 (ko)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WO2021147475A1 (zh) 落砂装置
WO2015115707A1 (ko) 다이캐스팅 제품 사상기
KR101870336B1 (ko) 체인 핀 분해장치
JP5612379B2 (ja) 成形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及び成形機
KR101271919B1 (ko) 용접 소재 고정장치
WO2018173540A1 (ja) 射出成形機の金型姿勢設定方法及び金型姿勢設定装置
CN106493787B (zh) 一种管材冲孔设备
KR101755397B1 (ko) 수직형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2124335B1 (ko)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N107962309B (zh) 振动摩擦焊接机
KR20130017948A (ko) 슬라브 절단설 제거 장치
CN104399955B (zh) 90°倾转式金属型重力铸造机
JP7315945B2 (ja) 射出成型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
CN112141887B (zh) 一种转向机构的垫板固定装置及方法
CN211304718U (zh) 一种分段模模架装置
JP7453807B2 (ja) 溶接ガン、スタッド溶接セット及びスタッド溶接方法
KR101255158B1 (ko) 피어싱 금형장치
KR102265195B1 (ko) 주조기용 더미장치
JP5474511B2 (ja) ハイブリッド加圧成形装置
KR101617746B1 (ko) 수직형 반연속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N217859530U (zh) 一种焊接过程中强力气冷装置
JP5979724B2 (ja) 材料溶融装置
US20070138857A1 (en) Milling arrangement for tunnel walls
CN216881168U (zh) 一种角钢火曲机用固定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