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748B1 - 주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주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748B1
KR102227748B1 KR1020200183118A KR20200183118A KR102227748B1 KR 102227748 B1 KR102227748 B1 KR 102227748B1 KR 1020200183118 A KR1020200183118 A KR 1020200183118A KR 20200183118 A KR20200183118 A KR 20200183118A KR 102227748 B1 KR102227748 B1 KR 10222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tube
liquor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행
안찬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안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안찬희 filed Critical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8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48B1/ko
Priority to PCT/KR2021/001136 priority patent/WO20221390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주류가 저장된 용기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와, 용기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와 토출튜브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토출되는 주류에 거품을 생성함과 동시에, 토출 완료 후 토출튜브에 잔존하는 주류를 용기 내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주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류 디스펜서{DISPENSER FOR ALCOHOLIC BEVERAGES}
본 발명은 주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주류가 저장된 용기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와, 용기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와 토출튜브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여, 토출되는 주류에 거품을 생성함과 동시에, 토출 완료 후 토출튜브에 잔존하는 주류를 용기 내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주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제맥주의 관심도 증가 및 이에 따른 수제맥주의 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수제맥주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수제맥주는 물론 일반 기성 맥주까지도 다양한 제품이 출시 및 수입되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맥주는 맥주 자체의 향과 맛에 더해, 맥주를 따랐을 때의 거품 양에 따라 그 맛과 풍미 등이 더해지는데, 수제맥주 전문 펍 등에서 생산, 보관되어 판매되는 맥주와 달리, 캔 등의 밀폐용기로 포장되어 공산품으로 유통되는 맥주는 잔에 따랐을 때 거품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너무 많이 발생되어, 거품이 더해진 맥주 특유의 맛을 충분하게 느끼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일반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맥주 제품에 거품 양을 증가 및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잔에 따를 수 있게 하는 가정용 맥주 디스펜서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8699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맥주 디스펜서는 기본적으로 맥주 용기에 삽입되는 맥주 토출관, 맥주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공압펌프 등의 가압수단, 토출되는 맥주에 거품 양을 증가 내지 조절시키는 거품 발생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거품 발생수단은 대표적으로 토출관의 유로 크기를 좁히거나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거품 양을 증가시키는 방식과, 토출관에 진동을 발생시켜 거품 양을 증가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맥주 디스펜서의 경우, 구조 상 토출관이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맥주 토출 후 토출관에 소량의 맥주가 잔존할 수밖에 없는데, 사용 후 토출관을 바로 세척하지 않으면 잔존 맥주의 변질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하나의 맥주 디스펜서로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따라서 마시게 되면 맥주들이 혼합되어 맥주 특유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지역 주류로만 인식되던 막걸리도 다양한 맛으로 개발되어 캔 등의 형태로 출시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맥주 디스펜서를 활용해 막걸리를 따라 마셔서 막걸리의 풍미를 더욱 높여서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맥주 디스펜서는 잔존 주류의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맛의 막걸리를 마시거나 맥주와 막걸리를 같이 마실 때 섞여서 해당 주류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토출튜브에 주류가 잔존하지 않게 하여, 잔존 주류의 변질, 이종 주류의 혼합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기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와, 용기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가 이원화되어 구비되어 있는 주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는,
류가 저장되며, 주류용 배출구와 공압용 급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탈착되는 장착부, 상기 배출구와 토출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의 주류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급기구와 급기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 상기 배기구와 배기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 상기 토출튜브의 소정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공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로 토출되는 주류에 거품이 생성되면서 토출되고,
상기 제2 공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에 잔존하는 주류를 상기 용기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는,
상기 배출구와 급기구에는 각각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근접하게 길게 연장 연결된 배출관과 급기관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 공압 발생부의 공압이 상기 급기관으로 공급될 때 상기 용기 내의 주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에서,
상기 배출관과 급기관 중 하나 이상은 열전도성의 금속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금속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 내 주류의 실시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에서,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접하는 일부가 경질 소재의 토출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는,
주류 토출 후 토출튜브 상에 주류가 잔존하지 않으므로, 잔존 주류의 변질 및 이종 주류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주류 자체의 맛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맥주와 막걸리와 같이 완전하게 주종이 다른 주류의 경우에도 주류 혼합이 발생하지 않아 이종의 주류를 겸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며,
용기에 저장된 주류 자체의 실시간 온도를 감지해 최상의 맛을 낼 수 있는 온도에서 주류를 토출하여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되는 주류에 전달되는 진동 효율을 증대시켜, 거품 발생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내부를 촬영한 샘플 사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가 저장되며, 주류용 배출구(11)와 공압용 급기구(12A)와 배기구(12B)를 구비한 용기(10);
상기 용기(10)가 탈착되는 장착부(21), 상기 배출구(11)와 토출튜브(22)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10) 내의 주류가 토출되는 토출구(23), 상기 급기구(12A)와 급기튜브(24A)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10)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C1), 상기 배기구(12B)와 배기튜브(24B)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10)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C2), 상기 토출튜브(22)의 소정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6)를 구비한 본체(2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공압 발생부(C1)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22)로 토출되는 주류에 거품이 생성되면서 토출되고,
상기 제2 공압 발생부(C2)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22)에 잔존하는 주류를 상기 용기(10)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10)는 캔 등의 유통용기와 별개의 주류 디스펜서용 전용 용기로써, 주류의 제조사나 종류 등에 따라 유통용기의 종류나 크기, 모양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주류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용기(10)는 상단 개구부에 마개(13)가 나사 결합 등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13)에 상기 배출구(11)와 급기구(12A)와 배기구(12B)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11)에는 주류 토출을 위한 배출관(14)이, 상기 급기구(12A)와 배기구(12B)에는 공압 급배기를 위한 공압관이 용기(10)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구(11)와 급기구(12A)에는 각각 상기 용기(10)의 바닥부에 근접하게 길게 연장 연결된 배출관(14)과 급기관(1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구(12B)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짧게 형성된 배기관(16)이 결합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급기관(15)의 하부에 별도의 금속관이 연장되는 형태로 연장부(15a)를 점선으로 표시하여 도시하였으나, 연장부(15a) 일체형의 금속 급기관(15)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5a)를 포함한 급기관(15)은 막걸리와 같이 침전물이 발생하는 주류 토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본체(20)의 세부 구성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14)과 급기관(15) 중 하나 이상은 열전도성의 금속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20)는 상기 용기(10)가 상기 장착부(2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금속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28)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10) 내 주류의 실시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28)은 용기(10) 장착 시 금속관(보다 엄밀하게는 금속관이 연결된 배출구(11) 또는 급기구(12A)의 전도체)에 접촉하는 온도 감지센서로, 용기(10) 외부의 간접 온도가 아니라 용기(10)에 저장된 주류의 온도를 직접 감지한다.
이러한 센싱수단(28)은 본체(2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게 하며, 냉각수단(미도시)과 연동하여 설정된 온도까지 주류가 냉각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2B)에는 상기 배기튜브(24B) 방향으로만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배기관(16) 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5)를 이용한 용기(10) 내 음압 발생이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11)와 급기구(12A) 및 배기구(12B)는 니블 형태로 구성되어, 각 튜브(22)(24A)(24B)의 탈착을 편리하게 한다.
이러한 용기(10)는 본체(20)에 포함된 개별 구성품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주류를 용기(10)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주류 제조업자가 본 용기(10)에 직접 주류를 저장시켜 포장 판매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2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장착부(21)를 개폐하는 뚜껑(20A)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20A)에는 상기 제1, 제2 공압 발생부(C1)(C2) 및 솔레노이드 밸브(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L) 및 상기 토출튜브(22)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부(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21)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상기 용기(1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며, 장착부(21)의 바닥 및/또는 내벽부 상에 냉각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장착부(21)의 용기(10)에 대한 주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토출구(23)는 상기 배출구(11)와 실리콘 등 연질의 토출튜브(22)로 연결되어 있는데, 연질의 토출튜브(22)에 진동이 가해질 경우 소재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토출튜브(22)가 진동을 흡수하여 튜브 내의 주류로 진동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토출튜브(22)는 상기 진동 발생부(26)와 접하는 소정 부위에 플라스틱 등의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토출관(22a)이 연결되게 하여, 진동에 의한 거품 발생 효율을 높인다.
상기 급기튜브(24A) 및 배기튜브(24B)는 각각 상기 급기구(12A)와 배기구(12B)에 탈착 가능하며, 실리콘 등의 연질 튜브로 이루어져 용기(1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 공압 발생부(C1)(C2)는 공압 발생용 전동모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2 공압 발생부(C2)는 상기 제1 공압 발생부(C1)와 반대로 공기를 배기시켜야 용기(10) 내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 공압 발생부(C2)는 상기 배기튜브(24B)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며 공압의 흡배기 방향을 전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튜브(24B)는 'ㅏ'자형 커넥터를 포함하여, 제1 유로에 상기 배기구(12B)와 연결된 튜브가 결합되고, 제2 유로에 상기 제2 진동 발생부(26)의 전동모터에 연결된 튜브가 결합되고, 제3 유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에 연결된 튜브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는 초기 닫힘형 직동 밸브로써, 배기공을 폐쇄,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배기공을 개방하여, 배기튜브(24B) 내에서 공압의 흡배기 방향이 전환되게 한다.
상기 진동 발생부(26)는 상기 토출튜브(22)에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 발생부(26)를 통과하는 주류에 거품이 발생되게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 발생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체(20)의 후면부에 상기 제1 공압 발생부(C1)의 출력을 제어하는 버튼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공압 발생부(C1)로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전류를 조정하는 것으로,
제1 공압 발생부(C1)의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공압을 높이면 상기 토출튜브(22)로 토출되는 주류의 양/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26)를 지나는 시간이 단축되어 거품의 조밀도가 떨어지게 생성되고,
반대로 제1 공압 발생부(C1)의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공압을 줄이면 상기 토출튜브(22)로 토출되는 주류의 양/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26)를 지나는 시간이 증가되어 거품이 보다 작고 조밀하게 생성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각 튜브 및 상기 장착부 살균을 위한 UV 소독수단을 구비하여 작동 전후 살균 기능으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며,
블루투스 연결수단을 구비해 본 발명의 작동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무선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종(異種)의 음료로써 맥주와 막걸리를 대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류 디스펜서의 구체적인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맥주나 막걸리 등의 주류가 저장된 용기(10)를 상기 장착부(21)에 수납 후 상기 토출튜브(22)와 급기튜브(24A) 및 배기튜브(24B)를 상기 용기(10)의 배출구(11)와 급기구(12A) 및 배기구(12B)에 연결한 다음, 뚜껑(20A)을 닫으면 상기 센싱수단(28)이 배출관(14) 또는 급기관(15)의 금속관에 접속되어 용기(10) 내 맥주의 온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주류가 설정 온도로 냉각된 후 사용자가 상기 레버(L)를 조작하면 상기 제1, 제2 공압 발생부(C1)(C2)의 각 전동모터가 작동되면서 공압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는 배기공을 폐쇄한 상태로 제2 공압 발생부(C2)의 전동모터에서 발생한 공압이 상기 배기튜브(24B)로 주입되면서 상기 배기구(12B)의 체크밸브가 폐쇄, 작동하고, 제1 공압 발생부(C1)의 공압만이 용기(10) 내로 주입되면서 용기(10) 내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용기(10) 내 압력이 증가되면 용기(10) 내 주류는 상기 배출관(14)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토출튜브(22)를 지나 상기 토출구(23)로 최종 토출되며, 이때 주류가 상기 토출관(22a)을 통과할 때 상기 진동 발생부(26)의 작동으로 거품이 생성된 채로 주류가 토출된다.
이때 상기 급기관(15)은 연장부(15a)가 용기(10)의 바닥부에 근접한 높이까지 연결되어 주류에 잠겨 있는 바, 막걸리와 같이 침전물이 있는 주류의 경우 상기 급기관(15)으로 주입되는 공압으로 인해 용기(10) 내 와류가 발생하여 침전물이 용기(10)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와류로 인해 부유되면서 막걸리 등과 섞인 상태로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주류의 토출 완료 후 사용자가 상기 레버(L)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면(또는 레버(L) 조작 없이 자동으로), 상기 제1 공압 발생부(C1)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로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 배기공이 개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가 개방되면, 상기 배기튜브(24B)에 채워진 공압이 솔레노이드 밸브(25)의 배기공으로 배기되면서 공기의 방향 전환으로 상기 배기구(12B)의 체크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의 배기공으로 공압이 배기되기 시작하면 상기 배기튜브(24B)에는 음압이 걸려서 용기(10) 내의 공기를 흡기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10) 내 음압의 작용으로 인해 토출튜브(22)에 남아 있던 잔존 주류는 상기 용기(10)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주류가 본체(20) 내 토출튜브(22) 상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종(異種)의 주류를 겸용으로 사용하더라도 토출튜브(22) 상에서 주류의 맛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잔존 주류의 변질이 발생하지 않아 주류 디스펜서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류 디스펜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배출구
12A : 급기구 12B : 배기구
13 : 마개 14 : 배출관
15 : 급기관 16 : 배기관
20 : 본체 21 : 장착부
22 : 토출튜브 23 : 토출구
24A : 급기튜브 24B : 배기튜브
25 : 솔레노이드 밸브 26 : 진동 발생부
C1, C2 : 공압 발생부 L : 레버

Claims (4)

  1. 주류가 저장되며, 주류용 배출구와 공압용 급기구와 배기구를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가 탈착되는 장착부, 상기 배출구와 토출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의 주류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급기구와 급기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로 공압을 주입하는 제1 공압 발생부, 상기 배기구와 배기튜브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 음압을 발생시키는 제2 공압 발생부, 상기 토출튜브의 소정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공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로 토출되는 주류에 거품이 생성되면서 토출되고,
    상기 제2 공압 발생부를 통해 상기 토출튜브에 잔존하는 주류를 상기 용기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급기구에는 각각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근접하게 길게 연장 연결된 배출관과 급기관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 공압 발생부의 공압이 상기 급기관으로 공급될 때 상기 용기 내의 주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과 급기관 중 하나 이상은 열전도성의 금속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금속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싱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 내 주류의 실시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디스펜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튜브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접하는 일부가 경질 소재의 토출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디스펜서.


KR1020200183118A 2020-12-24 2020-12-24 주류 디스펜서 KR10222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18A KR102227748B1 (ko) 2020-12-24 2020-12-24 주류 디스펜서
PCT/KR2021/001136 WO2022139064A1 (ko) 2020-12-24 2021-01-28 주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18A KR102227748B1 (ko) 2020-12-24 2020-12-24 주류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48B1 true KR102227748B1 (ko) 2021-03-15

Family

ID=7513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118A KR102227748B1 (ko) 2020-12-24 2020-12-24 주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7748B1 (ko)
WO (1) WO202213906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00U (ko) * 1990-01-24 1991-10-02
JP2000085890A (ja) * 1998-09-04 2000-03-28 Zojirushi Corp 飲料注出装置
JP2002019894A (ja) * 2000-07-05 2002-01-23 Fujitsu General Ltd 酒サーバ
JP2014046986A (ja) * 2012-09-04 2014-03-17 Hotsukan Kogyo Kk 生ジュースの販売器
JP2019127324A (ja) * 2018-01-19 2019-08-01 フジテクノ株式会社 発泡性飲料の注出方法、および、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JP2020059532A (ja) * 2018-10-11 2020-04-16 有限会社サイバープロ 飲料ボトルキャップ、洗浄水容器キャップ、飲料保管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500U (ko) * 1990-01-24 1991-10-02
JP2000085890A (ja) * 1998-09-04 2000-03-28 Zojirushi Corp 飲料注出装置
JP2002019894A (ja) * 2000-07-05 2002-01-23 Fujitsu General Ltd 酒サーバ
JP2014046986A (ja) * 2012-09-04 2014-03-17 Hotsukan Kogyo Kk 生ジュースの販売器
JP2019127324A (ja) * 2018-01-19 2019-08-01 フジテクノ株式会社 発泡性飲料の注出方法、および、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JP2020059532A (ja) * 2018-10-11 2020-04-16 有限会社サイバープロ 飲料ボトルキャップ、洗浄水容器キャップ、飲料保管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064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578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раздачи напитка
EP1991094B2 (en) Drinking vessel fillable from the botto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therein
KR102613814B1 (ko) 음료 공급 장치
EP3670435B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276053A3 (en) Post-mix flavoured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KR102227748B1 (ko) 주류 디스펜서
CN220800692U (zh) 饮料用容器及香料盒
US20220289550A1 (en) A Beverage Dispense Apparatus and Method Relating to Same
JP2019127324A (ja) 発泡性飲料の注出方法、および、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JPH10507725A (ja) ガスアクチュエータアッセンブリ
KR101434901B1 (ko)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KR102584753B1 (ko) 에어레이팅 조절 기능을 갖는 전동 디스펜서
WO2003070071A1 (en) Dispensing machine
JP2012510290A (ja) 発泡飲料の製造装置
JP2002225991A (ja) 発泡飲料流出用のバルブ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JP2000085890A (ja) 飲料注出装置
JP3126202U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2135620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JP3232065U (ja) 酒類の提供装置
JP2017197254A (ja) 飲料充填装置
JP2020192505A (ja) 店舗又は家庭用の飲料炭酸化装置
WO2023172203A2 (en) Drink dispensing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EP4341198A1 (en) A beverage dispense apparatus
JP2024060991A (ja) 超音波清浄維持装置及び飲料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