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620B1 -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620B1
KR102135620B1 KR1020180058967A KR20180058967A KR102135620B1 KR 102135620 B1 KR102135620 B1 KR 102135620B1 KR 1020180058967 A KR1020180058967 A KR 1020180058967A KR 20180058967 A KR20180058967 A KR 20180058967A KR 102135620 B1 KR102135620 B1 KR 10213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tank
water
closing valve
automatic opening
carbo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945A (ko
Inventor
노종진
라병선
Original Assignee
노종진
세한에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진, 세한에스씨(주) filed Critical 노종진
Priority to KR102018005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6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8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B01F15/0254
    • B01F15/02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3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01F3/04815
    • B01F3/048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4Mixing of ingredients for non-alcoholic beverages; Dissolving sugar in water
    • B01F2215/00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카페 시스템에 적절히 내장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탄산수의 공급이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과 이산화탄소 가스가 주입되어 혼합되는 혼합탱크(1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연결되어 가스통(A)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혼합탱크(10)로 주입시키는 가스주입부(2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수도관의 물을 상기 혼합탱크(10)로 주입시키는 물주입부(30)와, 상기 물주입부(3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시키는 탄산수공급부(4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5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와, 상기 압력센서(60)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주입부(2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CARBONATED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UNMANNED CAFE SYSTEM}
본 발명은 무인 카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카페 시스템에 적절히 내장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탄산수의 공급이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판매자 없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무인 판매장치로서, 화폐투입/처리부를 통해 투입된 금액에 대응하여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품투출구로 투출함으로써, 상품을 판매하는 장치이다.
자동판매기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음료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크게 원료와 첨가물을 물과 혼합하여 액상으로 판매하는 것과, 음용할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판매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액상의 음료를 판매하는 대표적인 자동판매기에는 커피 자동판매기와, 과즙 음료 자동판매기가 대표적인 것으로, 대부분이 커피 전용 또는 과즙 음료 전용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최근에는 무인 카페와 같은 곳에는 구매자들의 선택이나 기호에 따라 커피음료나 과즙음료 등 여러 가지의 음료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다양한 음료가 판매되고 있고, 이러한 음료 중에서 시원한 음료의 경우에는 컵에 얼음이 자동으로 담겨서 판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과즙음료는 주로 탄산수가 사용되어 음료 자동판매기의 외측에 탄산수 제조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음료 자동판매기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사용됨으로써 취급 및 관리상 매우 불편하고, 음료 자동판매기와 연결이 불편하여 탄산수를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183231호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2012.09.10.) 공개특허 제2018-0022744호 "탄산수 제조 장치"(2018.03.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카페 시스템에 적절히 내장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의 불편함이 해소되도록 하면서 탄산수의 공급이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는,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주입된 이산화탄소와 물이 혼합되어 탄산수를 생성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스주입관과, 상기 가스주입관의 상단에 출구측이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을 단속하는 제1 자동개폐밸브와,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의 입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가스통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을 가지는 가스주입부와; 수도관에 일단이 연결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물 주입을 단속하는 제2 자동개폐밸브와,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탱크의 하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주입관을 가지는 물주입부와; 상기 물주입관의 관로상에 분지되게 연결되는 탄산수배출관과, 상기 탄산수배출관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탄산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3 자동개폐밸브와,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탄산수공급관을 가지는 탄산수공급부와; 상기 혼합탱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단이 연결되는 공기연결관과, 상기 공기연결관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4 자동개폐밸브와,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을 가지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혼합탱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 제1 자동개폐밸브, 제2 자동개폐밸브, 제3 자동개폐밸브 및 제4 자동개폐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 압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 제2 자동개폐밸브, 제3 자동개폐밸브 및 제4 자동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여 탄산수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며,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가스공급관의 하단에 부착되고 하단 둘레로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로 주입된 물속에 이산화탄소를 미세하게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기 혼합탱크는, 그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가스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통으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인 카페 시스템에 적절히 내장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탄산수의 공급이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무인 카페 시스템의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설치된 무인 카페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가 설치된 무인 카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탄산수 제조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탄산수 공급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무인 카페 시스템(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무인 카페 시스템(1)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음료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커피음료 배출기(2)와, 과즙음료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과즙음료 배출기(3)와, 커피음료나 과즙음료를 담기 위한 컵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컵 배출기(4)와, 컵에 담을 얼음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얼음 배출기(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무인 카페 시스템(1)은 이용자가 음료 선택하고 결제를 한 후에 상기 컵 배출기(4)를 통해 컵을 받고 상기 컵을 상기 얼음 배출기(5)에 끼워서 얼음을 받은 후에 상기 얼음이 든 컵을 상기 커피음료 배출기(2)나 과즙음료 배출기(3)에 끼워 커피음료나 과즙음료를 받아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탄산수 제조 장치(3a)는 상기 과즙음료 배출기(3)에 내장되어 상기 과즙음료 배출기(3)에서 제조되는 과즙음료에 탄산수를 공급하여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과 이산화탄소 가스가 주입되어 혼합되는 혼합탱크(1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연결되어 가스통(A)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혼합탱크(10)로 주입시키는 가스주입부(2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수도관의 물을 상기 혼합탱크(10)로 주입시키는 물주입부(30)와, 상기 물주입부(3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시키는 탄산수공급부(4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5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와, 상기 압력센서(60)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주입부(20)를 포함하는 제반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탱크(10)는 내부가 중공되고 밀폐된 수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주입된 이산화탄소와 물이 혼합되어 탄산수를 생성하고 탄산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탱크(10)는 그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보호커버(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11)는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단과 하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혼합탱크(10)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이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스주입관(21)과, 상기 가스주입관(21)의 상단에 출구측이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을 단속하는 제1 자동개폐밸브(22)와,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의 입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가스통(A)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23)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가스통(A)에 저장된 고압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주입관(21)은 상기 가스통(A)에서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가스주입관(21)을 개방시켜 상기 혼합탱크(10)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거나 상기 가스주입관(21)을 폐쇄시켜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스공급관(23)은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와 혼합탱크(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의 물속으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가스공급관(23)의 하단에 부착되고 하단 둘레로 다수의 배기공(25)이 형성되는 분사노즐(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배기공(25)을 통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주입된 물속에 이산화탄소를 미세하게 분사시켜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 보다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가스공급관(23)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26)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통(A)으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주입부(30)는 수도관에 일단이 연결되는 물공급관(31)과, 상기 물공급관(31)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물 주입을 단속하는 제2 자동개폐밸브(32)와,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32)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탱크(10)의 하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주입관(33)을 포함한다.
상기 물주입부(30)는 수도관이나 정수기의 배수관 등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공급관(31)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외부의 물을 공급받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32)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물공급관(31)을 개방시켜 상기 혼합탱크(10)로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물공급관(31)을 폐쇄시켜 물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물주입관(33)은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32)와 혼합탱크(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산수공급부(40)는 상기 물주입관(33)의 관로상에 분지되게 연결되는 탄산수배출관(41)과, 상기 탄산수배출관(41)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탄산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3 자동개폐밸브(42)와,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탄산수공급관(43)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수공급부(4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에서 물과 이산화탄소 가스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즉 상기 과즙음료 배출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산수배출관(41)은 상기 혼합탱크(10)와 제3 자동개폐밸브(4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탱크(10) 내부에 생성된 탄산수를 상기 혼합탱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탄산수배출관(41)을 개방시켜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상기 물주입관(33)을 거쳐 외부로 탄산수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탄산수배출관(41)을 폐쇄시켜 탄산수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산수공급관(43)은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에서 외부로 탄산수를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배출부(5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단이 연결되는 공기연결관(51)과, 상기 공기연결관(51)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4 자동개폐밸브(52)와,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53)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배출부(5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물의 주입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이산화탄소 가스가 물에 보다 원활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연결관(51)은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상단에 모인 공기를 상기 혼합탱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는 상기 컨트롤러(70)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공기연결관(51)을 개방시켜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공기연결관(51)을 폐쇄시켜 공기의 배출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관(53)은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센서(6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7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압력센서(60), 제1 자동개폐밸브(22), 제2 자동개폐밸브(32), 제3 자동개폐밸브(42) 및 제4 자동개폐밸브(5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 제2 자동개폐밸브(32), 제3 자동개폐밸브(42) 및 제4 자동개폐밸브(52)의 개폐를 조절하여 탄산수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며,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70)는 제2 자동개폐밸브(3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물공급관(31)과 물주입관(33)을 통해 상기 혼합탱크(10)로 물을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압력센서(60)로부터 전송되는 압력 정보에 따라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설정된 양만큼 물을 주입하게 된다.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32)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여 물의 주입을 중지시키고,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의 압력을 낮추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런 상태로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70)는 제1 자동개폐밸브(2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가스주입관(21)과 가스공급관(23)을 통해 상기 가스통(A)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상기 혼합탱크(10)로 유입시켜 상기 혼합탱크(10)에 채워진 물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혼합시킨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60)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의 압력을 낮추면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채워진 물에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과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수회 반복한 후에 마지막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 탄산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탄산수배출관(41)과 탄산수공급관(43)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탄산수의 공급이 완료되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도 5를 통해 위에서 설명한 탄산수 생성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혼합탱크
11 : 보호커버
20 : 가스주입부
21 : 가스주입관 22 : 제1 자동개폐밸브
23 : 가스공급관 24 : 분사노즐
25 : 배기공 26 : 역류방지밸브
30 : 물주입부
31 : 물공급관 32 : 제2 자동개폐밸브
33 : 물주입관
40 : 탄산수공급부
41 : 탄산수배출관 42 : 제3 자동개폐밸브
43 : 탄산수공급관
50 : 공기배출부
51 : 공기연결관 52 : 제4 자동개폐밸브
53 : 공기배출관
60 : 압력센서
70 : 컨트롤러
A : 가스통

Claims (3)

  1. 내부가 중공되고, 내부에 주입된 이산화탄소와 물이 혼합되어 탄산수를 생성하는 혼합탱크(1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가스주입관(21)과, 상기 가스주입관(21)의 상단에 출구측이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을 단속하는 제1 자동개폐밸브(22)와,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의 입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이산화탄소 가스가 저장된 가스통에 연결되는 가스공급관(23)을 가지는 가스주입부(20)와;
    수도관에 일단이 연결되는 물공급관(31)과, 상기 물공급관(31)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물 주입을 단속하는 제2 자동개폐밸브(32)와, 상기 제2 자동개폐밸브(32)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탱크(10)의 하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물주입관(33)을 가지는 물주입부(30)와;
    상기 물주입관(33)의 관로상에 분지되게 연결되는 탄산수배출관(41)과, 상기 탄산수배출관(41)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탄산수 공급을 단속하는 제3 자동개폐밸브(42)와, 상기 제3 자동개폐밸브(42)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탄산수공급관(43)을 가지는 탄산수공급부(4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일단이 연결되는 공기연결관(51)과, 상기 공기연결관(51)의 타단이 입구측에 연결되고 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4 자동개폐밸브(52)와, 상기 제4 자동개폐밸브(52)의 출구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53)을 가지는 공기배출부(50)와;
    상기 혼합탱크(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와;
    상기 압력센서(60), 제1 자동개폐밸브(22), 제2 자동개폐밸브(32), 제3 자동개폐밸브(42) 및 제4 자동개폐밸브(52)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 압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자동개폐밸브(22), 제2 자동개폐밸브(32), 제3 자동개폐밸브(42) 및 제4 자동개폐밸브(52)의 개폐를 조절하여 탄산수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며, 생성된 탄산수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압력센서(60)로부터 전송되는 압력 정보에 따라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설정된 양만큼 물을 주입한 후에,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채워진 물에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과 상기 혼합탱크(10)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수회 반복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혼합탱크(10)는,
    그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는 보호커버(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가스공급관(23)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스통으로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부(20)는,
    상기 가스공급관(23)의 하단에 부착되고 하단 둘레로 다수의 배기공(25)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탱크(10)의 내부로 주입된 물속에 이산화탄소를 미세하게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3. 삭제
KR1020180058967A 2018-05-24 2018-05-24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13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67A KR102135620B1 (ko) 2018-05-24 2018-05-24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67A KR102135620B1 (ko) 2018-05-24 2018-05-24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45A KR20190133945A (ko) 2019-12-04
KR102135620B1 true KR102135620B1 (ko) 2020-07-21

Family

ID=6900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67A KR102135620B1 (ko) 2018-05-24 2018-05-24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7168A (ja) * 2015-11-13 2017-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水素含有水生成装置および水素含有水の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31B1 (ko) 2010-09-27 2012-09-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
KR20150121751A (ko) * 2014-04-21 2015-10-3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김치냉장고용 탄산수 공급장치
KR101875128B1 (ko) * 2017-08-21 2018-07-05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891B1 (ko) 2018-02-2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7168A (ja) * 2015-11-13 2017-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水素含有水生成装置および水素含有水の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45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7480B (zh) 在控制压力下准备饮料的方法和设备
US20130189400A1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onizer
CN208144910U (zh) 一种饮料机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6220451B2 (ja) 炭酸水混合装置
CN107074423A (zh) 用于从包袋中制备食物或饮料的系统
JP2013533178A (ja) ボトル類等の貯蔵容器からの飲料分配装置のための蛇口
KR200482767Y1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2135620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1898024B1 (ko)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JP2016059372A (ja) 容器入りコーヒー飲料、容器入り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コーヒー用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コーヒーサーバー装置
KR102457236B1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80126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과즙음료 제조 장치
CN110367818B (zh) 咖啡萃取装置及咖啡萃取方法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13218A (ko) 음료 제조기
WO2013154716A1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onizer
JP3126202U (ja) 飲料自動販売機
US11708547B2 (en) Beverage maker
KR102227748B1 (ko) 주류 디스펜서
JP4466255B2 (ja) 炭酸水製造装置
KR102481819B1 (ko) 음료 제조기
JP4033064B2 (ja) 飲料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