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16B1 -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16B1
KR102226316B1 KR1020140043968A KR20140043968A KR102226316B1 KR 102226316 B1 KR102226316 B1 KR 102226316B1 KR 1020140043968 A KR1020140043968 A KR 1020140043968A KR 20140043968 A KR20140043968 A KR 20140043968A KR 102226316 B1 KR102226316 B1 KR 10222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discharging
coffee
suppor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956A (ko
Inventor
박대진
Original Assignee
박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진 filed Critical 박대진
Priority to KR102014004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3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보관함(100)의 캡슐정량배출함(110)은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이 있고, 상기 캡슐보관통 전면 하단에는 통공으로 캡슐이탈구(115)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보관통 최하부에 위치한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Description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Device of output for a coffee capsule}
본 발명은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캡슐로 원두커피를 인출하는 커피머신기가 개발되었으나, 이의 캡슐을 1개씩 판매가능하도록 인출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면을 참조하면, 국내 공개특허 10-2012-0098617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체로 도면 1의 부호 1로 표시된,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는, 주입 장치(1)가 설치되는 에스프레소 머신 등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프레임(2), 주입 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캡슐(5)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상태로부터 분배 상태로 서로에 대해 또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로딩 및 언로딩 상태라는 표현은 주입 장치(1)로부터 캡슐(5)의 수동 또는 자동 삽입 또는 퇴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및 피스톤(4)이 배치되는 주입 장치(1)의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분배 상태"라는 표현은, 캡슐(5)을 통한 온수 또는 냉수를 여과하고 필요한 주입을 얻기 위한 위치로 서로에 대해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 피스톤(4), 및 캡슐(5)이 배치되는 주입 장치(1)의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 정확하게,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는,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2)에 조인트 식으로 결합되며, 피스톤(4)은 소정 미끄럼 방향(6)을 따라 필터 바스켓 홀더 실린더(3)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4)은, 실질적으로, 미끄럼 방향(6)을 따라 고정 프레임(2)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지지부재(7)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디스크형 몸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피스톤(4)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피스톤(4)과 피스톤 지지 부재(7) 사이에 삽입되는 2개의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수단(부호 미도시)에 의해 피스톤 지지 부재(7)의 맞대기 면(8)에 대해 맞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미설명 부호 5a는 캡슐테두리, 11은 립셉터클의 개방면, 12는 천공팁, 15는 배출덕트, 16은 제1이동수단, 17은 작동레버이다.
이러한 캡슐머신기에 적용되는 캡슐의 제작 형태는 도면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내 공개번호 10-2004-0021918(2004년03월11일 공개) 일회용 원두커피캡슐플레이트의 제작장치 및 원두커피캡슐플레이트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작된 도면과 같은 발명의 일회용 원두커피캡슐 수개의 원두커피분말(60)이 저장되는 보관홀(34)이 형성된 캡슐플레이트(32)가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캡슐플레이트(32)는 시트지(40)의 상부면과 캡슐플레이트(32)의 저면으로는 각각의 보관홀(34) 둘레부에 수 개의 절취홈(36)이 형성된다.
상기의 절취홈(36)은 각각의 보관홀(34)에 원두커피분말(60)이 보관된 캡슐플레이트(32)가 적정 갯수의 세트화로 절취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다른 절취홈(36)은 낱개로 분리 형성된 원두커피캡슐을 개봉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을 원두커피머신을 상가 또는 사무실에 두고 1개씩 판매하여 커피를 음료할 경우에는 무작정 커피를 무료로 할 경우에는 별론으로 하고, 유료로 할 경우에는 일일이 판매원이 대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의 캡슐을 1개씩 무인으로 판매가능할 수 있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가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의 캡슐을 1개씩 무인으로 판매가능할 수 있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캡슐보관함(100)의 캡슐정량배출함(110)은 캡슐을 보관하는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이 있고, 상기 캡슐보관통 전면 하단에는 통공으로 캡슐이탈구(115)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보관통 최하부에 위치한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배출수단은 최하부에 배치된 캡슐의 뒷편에 직선 운동의 작동간(174)이 형성된 솔레노이드(170)에 의하여 캡슐이탈구(115)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슐배출수단은 최하부에 배치된 캡슐의 하부에 컨베어시스템(190)을 형성하되 캡슐(A)의 하단에 컨베어밸트(191)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어밸트(191)는 지지축에 형성된 나선인 웜기어(194)와 회전모터(192)의 지축에 형성된 랙기어(193)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캡슐이탈구(115)로 캡슐(A)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정량배출함(110)의 하부에는 캡슐받침판(113)이 형성되어 캡슐을 받치고 있고, 상기 캡슐받침판(113)의 전방부에 둥근 원형홈부(11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신호는 지폐인식기(124)에 의한 선택버튼부(122)에 의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보관함(120)에은 1,000원권 및 5,000원권과 10,000원권을 인식할 수 있는 지폐인식기(124)를 설치하고, 그 상단에 선택버튼부(122)를 설치하며, 상기 선택버튼부(122)는 상단에 캡슐보유표시부(122a)가 캡슐의 종류별(커피A, 커피B, 커피C, 커피D, 커피E 등)로 잔류 보유량이 있을 경우에는 빨간불이 들어오게 하고, 수요자의 선택에 의하여 누를 수 있는 선택버튼((12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캡슐예비보관함(150)에는 구획을 짓되, 포장용기(200)는 원통형 용기 아래에 착탈이 가능한 스티커(210)를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슐정량배출함(110)은 격간부(114)와 구획부(114a)(114b)(114c)(114d)를 형성하되, 이를 캡슐받침판(113)까지 형성하고, 최하단부에는 캡슐(A)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캡슐이탈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슐예비보관함(150)에는 구획을 짓되, 포장용기(200)는 원통형 용기 아래에 착탈이 가능한 스티커(210)를 부착하여 보관 후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넣을 경우에는 이를 꺼내어, 하부에 부착된 스티커를 떼어내고,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예비보관함(150)에는 구획을 짓되, 걸림대(300)는 상부에 걸림고리(310)를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320)을 형성하여, 그 위에 캡슐을 올려 보관하고 있다가 이를 꺼내어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하나하나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슐예비보관함(150)에는 구획을 짓되, 비닐포장지(400)는 원통형으로 제작하되 여기에 캡슐을 넣고 보관하다가 이를 꺼내어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하나하나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종류의 원두커피를 선택에 의하여 이의 캡슐을 1개씩 구입가능하여, 무인 판매가 가능하며, 구입자가 기기에 직접 종류별로 원액을 짜서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의 제작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으로,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의 인출 작동상태의 제1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으로,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의 인출 작동상태의 제 2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의 개략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3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으로,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의 인출 작동상태의 제1 실시예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으로,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의 인출 작동상태의 제 2실시예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의 개략 배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슐보관함(100)은 전면에 캡슐정량배출함(110)과, 현금보관함(120)과, 물품보관함(130)으로 구획되어 제작될 수 있다.
원두커피의 캡슐의 형상은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부면은 구멍이 뚫어지면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압력은 하부면에 형성된 좁은 통공을 통하여 원두커피원액이 조금씩 배출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슐정량배출함(110)은 크게는 캡슐을 보관하는 팽팽한 투명비닐지로 내부가 보이는 원통형상의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이 있고, 그 전면에는 캡슐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캡슐 1개가 인출될 수 있도록 여우 공간을 마련하였고, 상기 원통형상의 투명한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을 지지하도록 격간부(114)를 마련하여 그 구획을 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구획부로서 캡슐받침판(113)이 형성되어 캡슐을 받치고 있으며, 그 아래에 캡슐배출구(140)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캡슐배출뚜껑(142)을 열어 캡슐을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원통형상의 투명한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의 구조 대신에 이를 격간부(114)에 이어 후방에 구획부(114a)(114b)(114c)(114d)를 형성하되, 이를 투명체로서 캡슐받침판(113)까지 형성하고, 최하단부에는 캡슐(A)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캡슐이탈구를 형성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캡슐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실시예로서 상기 캡슐배출구(140) 뒤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70)의 작동간(174)의 작동간밀대부(174a)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172)의 탄발력을 이기고, 앞으로 밀 경우에는 캡슐(A)을 원텃치에 의하여 캡슐정량배출함(110) 내의 격벽(150a) 측하부에 캡슐이탈구(115)로 캡슐(A)이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슐받침판(113)의 전면에는 원형홈부(113a)가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강약에 따라 캡슐 배출의 정확도를 구조적으로도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작동이 강할 경우에는 상기 원형홈부(113a)는 다소 작게 형성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작동이 약할 경우에는 상기 원형홈부(113a)는 다소 크게 형성하거나 배출거리를 조정하여, 그 정확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슐이탈구(115)의 크기는 캡슐 자체보다는 크되 위에 있는 캡슐이 동시에 빠져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d) 만큼 여유있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캡슐배출방법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로서 상기 캡슐받침판(113) 대신에 해당하는 곳곳에 대응하여 컨베어시스템(190)을 형성하되 캡슐(A)의 하단에 컨베어밸트(191)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어밸트(191)는 지지축에 형성된 나선인 웜기어(194)에 대응하여 격벽(150a) 뒷편에 형성된 회전모터(192)의 지축에 형성된 랙기어(193)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컨베어밸트(191)에 놓여진 1개의 캡슐(A)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캡슐예비보관함(150)은 격벽(150a)(150b)(150c)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전방의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과 크기가 맞게 형성하여 동종의 예비 캡슐을 보관하여도 좋을 것이다.
상기 캡슐예비보관함(150)의 구조는 격벽이 없도록 하여 별개의 포장된 캡슐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캡슐예비보관함(150)의 아래 부분에는 솔레노이드(1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70)의 작동이나 캡슐이 걸릴 경우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후방개폐문(14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현금보관함(120)은 우선 1,000원권 및 5,000원권과 10,000원권을 인식할 수 있는 지폐인식기(124)를 설치하고, 그 상단(또는 하단)에 선택버튼부(122)를 설치하며, 상기 선택버튼부(122)는 상단에 캡슐보유표시부(122a)가 캡슐의 종류별(커피A, 커피B, 커피C, 커피D, 커피E 등)로 잔류 보유량이 있을 경우에는 빨간불이 들어오게 하고, 수요자의 선택에 의하여 누를 수 있는 선택버튼((122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1,000원권을 넣을 경우에는 1회, 1캡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을 사용하게 되면, 5,000원권일 경우에는 5회(또는 6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빨간불의 신호가 나타나게 됨으로써, 수요자가 간이식으로 원두캡슐을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10,000원권일 경우에는 10회(또는 12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빨간불의 신호가 나타나게 됨으로써, 수요자가 간이식으로 원두캡슐을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지폐인시기가 부착된 전방부를 개폐하여 수리 등을 할 수 있도록 개폐문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더구나, 뒷면에 현금 인출을 위하여 별개의 개폐문(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품보관함(130)은 상기 현금보관함(120)의 하부에 설치하여 간편한 소품을 넣어 관리할 수 있도록 공간을 둘 수 있다.
다음은 캡슐을 보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a)(b)는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캡슐예비보관함에 들어가는 보관상태의 개략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슐예비보관함(150)에는 구획을 지어 제작할 수 있는 바, 여기에 보관되는 캡슐의 포장형태를 개발하였다.
도 7의 포장용기(200)는 원통형 용기 아래에 착탈이 가능한 스티커(210)를 부착하여 보관 후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넣을 경우에는 이를 꺼내어, 하부에 부착된 스티커를 떼어내고,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넣으면 쉽게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걸림대(300)는 상부에 걸림고리(310)를 형성하고, 하부에 받침대(320)을 형성하여, 그 위에 캡슐을 올려 보관하고 있다가 이를 꺼내어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하나하나 넣으면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30은 연결부이다.
도 9의 비닐포장지(400)는 원통형으로 제작하되 여기에 캡슐을 넣고 보관하다가 이를 꺼내어 해당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에 하나하나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캡슐보관함
110 : 캡슐정량배출함
120 : 지폐인식기
130 : 물품보관함
150 ; 캡슐예비보관함
170 : 솔레노이드

Claims (11)

  1. 캡슐보관함(100)의 캡슐정량배출함(110)은 그 전면에는 캡슐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캡슐 1개가 인출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마련하였고, 원통형상의 투명한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을 지지하도록 격간부(114)를 마련하여 그 구획을 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구획부로서 캡슐받침판(113)이 형성되어 캡슐을 받치고 있으며, 그 아래에 캡슐배출구(140)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캡슐배출뚜껑(142)을 열어 캡슐을 꺼내어 사용하게 되고, 캡슐배출구(140) 뒤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70)의 작동간(174)의 작동간밀대부(174a) 작동에 의하여 스프링(172)의 탄발력을 이기고, 앞으로 밀 경우에는 캡슐(A)을 원텃치에 의하여 캡슐정량배출함(110) 내의 격벽(150a) 측하부에 캡슐이탈구(115)로 캡슐(A)이 빠져나오게 되며, 상기 캡슐보관통 전면 하단에는 통공으로 캡슐이탈구(115)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보관통 최하부에 위치한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배출수단은 최하부에 배치된 캡슐의 뒷편에 직선 운동의 작동간(174)이 형성된 솔레노이드(170)에 의하여 캡슐이탈구(115)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슐정량배출함(110)의 하부에는 캡슐받침판(113)이 형성되어 캡슐을 받치고 있고, 상기 캡슐받침판(113)의 전방부에 둥근 원형홈부(113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2. 삭제
  3. 캡슐보관함(100)의 캡슐정량배출함(110)은 그 전면에는 캡슐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캡슐 1개가 인출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마련하였고, 원통형상의 투명한 캡슐보관통(111A)(111B)(111C)(111D)(111E)을 지지하도록 격간부(114)를 마련하여 그 구획을 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구획부로서 캡슐받침판(113)이 형성되어 캡슐을 받치고 있으며, 그 아래에 캡슐배출구(140)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캡슐배출뚜껑(142)을 열어 캡슐을 꺼내어 사용하게 되고, 상기 캡슐보관통 전면 하단에는 통공으로 캡슐이탈구(115)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공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슐보관통 최하부에 위치한 캡슐(A)을 배출할 수 있는 캡슐배출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캡슐배출수단은 최하부에 배치된 캡슐의 하부에 컨베어시스템(190)을 형성하되 캡슐(A)의 하단에 컨베어밸트(191)를 형성하고, 상기 컨베어밸트(191)는 지지축에 형성된 나선인 웜기어(194)와 회전모터(192)의 지축에 형성된 랙기어(193)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캡슐이탈구(115)로 캡슐(A)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43968A 2014-04-14 2014-04-14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KR10222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68A KR102226316B1 (ko) 2014-04-14 2014-04-14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68A KR102226316B1 (ko) 2014-04-14 2014-04-14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56A KR20150091956A (ko) 2015-08-12
KR102226316B1 true KR102226316B1 (ko) 2021-03-11

Family

ID=5405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968A KR102226316B1 (ko) 2014-04-14 2014-04-14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7929B (zh) * 2018-05-31 2021-04-20 广东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胶囊掉落装置及方法
WO2019227850A1 (zh) * 2018-05-31 2019-12-05 广东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胶囊掉落装置、胶囊掉落方法及胶囊咖啡机
CN108478003A (zh) * 2018-05-31 2018-09-04 广东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胶囊咖啡机
CN108478011A (zh) * 2018-05-31 2018-09-04 广东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具有打奶功能的胶囊咖啡机
JP6912846B2 (ja) * 2019-04-11 2021-08-04 有限会社nendo コーヒー飲料の提供システム及びコーヒー豆の粉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07Y1 (ko) * 2002-06-20 2002-10-04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개별포장상품 자동판매기의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75B1 (ko) * 2009-04-24 2011-03-09 한정숙 떡류 및 제과점 빵류의 자동 판매기
KR101303829B1 (ko) * 2011-09-26 2013-09-05 이지용 캡슐 원두커피 즉석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07Y1 (ko) * 2002-06-20 2002-10-04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개별포장상품 자동판매기의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56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316B1 (ko)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RU2404700C2 (ru) Кофеварка эспрессо
US9439532B2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with multi-chambered basket units
KR20160015430A (ko) 캡슐형상 제품의 자판기
US9687106B2 (en) Beverage makers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10339748B1 (en) Vending machine having mechanisms for executing locking, indexing and dispensing operations
KR102289621B1 (ko) 컵 및 식품캡슐 자판기
JP5544973B2 (ja) 自動販売機
TW201424642A (zh) 用於存放包裝盒內含煙品的裝置
US9159183B2 (en) Vending device
US2159603A (en) Coin vending machine
KR100852672B1 (ko) 냉장고용 곡물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FR2633423A1 (fr) Distributeur a prepaiement pour des articles conditionnes dans des emballages
KR20110016650A (ko) 물품 자동공급기의 카트리지형 단위포장체 공급모듈 및 그를 사용한 녹차용 벤딩머신
JP5565052B2 (ja) 自動販売機
FR2745934A1 (fr) Appareil distributeur d'objets, tels que par exemple des recipients contenant des produits alimentaires
WO2005004685A1 (en) Dosing device for ground products
JP2004537388A (ja) 菓子等の販売装置
JPH05166043A (ja) 自動販売機のコインボックス構造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JPH11161842A (ja) 重量物および嵩物商品用自動販売機
EP4338138A1 (en) Automatic beverage vending machine
US984416A (en) Cash-register.
KR101160649B1 (ko)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JP2019063256A (ja) 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