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636Y1 - 복합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복합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636Y1
KR200294636Y1 KR2019980010757U KR19980010757U KR200294636Y1 KR 200294636 Y1 KR200294636 Y1 KR 200294636Y1 KR 2019980010757 U KR2019980010757 U KR 2019980010757U KR 19980010757 U KR19980010757 U KR 19980010757U KR 200294636 Y1 KR200294636 Y1 KR 200294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selling
noodle
ra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123U (ko
Inventor
이존홍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0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63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636Y1/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반제품화된 음용음료의 원료와 물을 저장하고서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물을 이용하여 간단히 조리되는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를 동시에 구비하고서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다양화시킬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종류의 상품과, 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복수개의 판매장치를 구비한 본체(100)와; 이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판매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214)와, 상품의 구입시 이용자가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작동기기들을 구비한 도어(200)로 이루어진 복합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컵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300)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400)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컵음료의 구입시 컵음료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음료구입장치(230)와, 컵라면의 구입시 컵라면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라면구입장치(2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자동판매기
본 고안은 복합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자동판매기에서 두 종류의 상품을 동시에 판매할 수 있도록 된 복합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음용식품류(飮用食品類)의 반제품화된 원료나, 컵라면과 같이 간단한 먹거리류의 완제품화된 식품류 및, 속옷이나 면도기등의 일회용품류의 편의용품을 다수개로 저장하고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낱개로 무인판매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하나의 자동판매기에 복수종류의 품목들을 무인판매할 수 있도록 된 복합자동판매기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인 바,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컵음료와 캔음료 또는 컵음료와 캔음료 및 복권등의 다종류의 품목을 동시에 무인판매하는 자동판매기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복합자동판매기중에서 커피나 국산차 종류의 음용음료와, 컵라면등의 식품류를 동시에 무인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는 없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복수종류의 상품들을 동시 판매하는 복합자동판매기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반제품화된 음용음료의 원료와 물을 저장하고서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물을 이용하여 간단히 조리되는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를 동시에 구비하고서 소비자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다양화시킬 수 있게 하는 복합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종류의 상품과, 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복수개의 판매장치를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판매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와, 상품의 구입시 이용자가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작동기기들을 구비한 도어로 이루어진 복합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컵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컵음료의 구입시 컵음료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음료구입장치와, 컵라면의 구입시 컵라면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라면구입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합자동판매기에서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복합자동판매기에서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의 컵라면적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의 컵라면투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컵라면투출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200-도어
230-컵음료구입장치 250-컵라면구입장치
300-컵음료판매장치 310-물공급수단
320-원료공급수단 400-컵라면판매장치
410-컵라면적재수단 420-컵라면투출수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자동판매기에서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자동판매기에서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복합자동판매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박스형상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전면에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본체(100)의 일측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20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구입시 화폐를 투입할 수 있는 지폐투입구(201)와 동전투입구(202)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화폐의 투입후 투입된 금액을 표시해 주는 금액표시부(203)와, 상품구입후 차액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반환버튼(204) 및, 이 동전반환버튼(204)의 조작에 의해 잔액이 배출되는 동전반환구(205)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206)와, 상기 본체(100)와의 잠금을 위한 열쇠(207) 및, 개폐를 위한 손잡이(208)가 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장치(209)와, 투입되는 화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기(211)와 코인메카(212) 및 투입된 화폐를 보관하는 돈통(213)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과 함께 자동판매기내 전장부품의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21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전/후면에는 컵음료구입장치(230)와 컵라면구입장치(25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컵음료구입장치(2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되는 컵음료의 종류를 진열시키는 컵음료상품진열대(231)와, 상기 컵음료상품진열대(231)에 진열된 컵음료중 이용자의 선택적인 구입을 위해 마련된 컵음료선택버튼(232), 컵음료의 판매중지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컵음료판매중지램프(233), 상기 컵음료선택버튼(232)의 작동에 의해 컵음료가 투출되는 컵음료투출구(234), 다수개의 컵이 적재되어 보관되는 컵박스(235) 및, 상기 컵박스(235)내의 컵을 낱개씩 투출하는 컵투출기(23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컵라면구입장치(250)는 판매되는 컵라면의 종류를 진열시키는 컵라면상품진열대(251)와, 이 컵라면상품진열대(251)에 진열된 컵라면중 이용자의 선택적인 구입을 위해 마련된 컵라면선택버튼(252), 컵라면의 판매중지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컵라면판매중지램프(253), 상기 컵라면선택버튼(252)의 작동에 의해 컵라면이 투출되는 컵라면투출구(254), 이 컵라면투출구(254)로 투출된 컵라면에 컵온수를 공급시키는 급수버튼(255)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컵음료선택버튼(23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컵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30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컵음료판매장치(300)의 측부에는 컵라면선택버튼(252)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컵음료판매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음료의 판매를 위해 물을 공급하도록 된 물공급수단(310)과, 음료의 원료를 공급하도록 된 원료공급수단(320), 상기 컵박스(235)로부터 투출된 컵이 고정되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330), 이 컵받침대(330)내의 음료찌꺼기를 배수호스(341)를 통해 공급받아 임시보관하도록 된 배수통(3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수단(310)은, 외부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물통(311)과, 이 물통(311)내의 냉수를 공급호스(312)를 매개로 공급받아 내부에서 가열된 상태의 온수를 저장하도록 된 온수통(3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수단(320)은, 다수 종류의 음용음료원료를 분리시켜 저장시키는 다수개의 원료통(321)과, 이 원료통(321)으로부터 투출되는 원료를 안내하는 원료슈트(322), 이 원료슈트(322)를 통해 투출된 원료와 상기 온수통(312)으로부터 투출된 온수를 혼합시키는 믹싱볼(323), 이 믹싱볼(323)에서 혼합된 음료를 상기 컵받침대(330)내의 재치된 컵내로 토출시키는 노즐(32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컵라면판매장치(4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컵라면을 종류별로 분리시켜 적재시키는 컵라면적재수단(410)과, 이 컵라면적재수단(410)에 적재된 컵라면을 컵라면선택버튼(252)의 작동에 따라 투출시키는 컵라면투출수단(420)과, 이 컵라면투출수단(420)에 의해 투출된 컵라면이 컵라면투출구(254)로 투출되도록 안내하는 컵라면슈트(4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컵라면적재수단(4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컵라면을 층상으로 다수개씩 적재시키도록 형성된 랙크(411)와, 상기 랙크(411)의 전면부에 일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크(411)를 개폐시키도록 된 랙크도어(4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컵라면투출수단(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크(41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봉형상의 바아(421)와, 이 바아(421)의 둘레로 끼워져 설치되면서 양선단이 각각 바아(421)상에 고정되는 나선형상의 스파이럴바아(422), 이 스파이럴바아(422)의 상단에 캠(423)과 함께 층상으로 고정된 하부스프라켓(424), 이 하부스프라켓(424)과 체인(도시안됨)을 매개로 연동되게 설치된 상부스프라켓(425) 및, 이 상부스프라켓(425)과 회전축이 고정되면서 랙크(4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427)상에 장착된 구동모터(42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컵라면슈트(430)는 컵라면투출수단(420)에 의해 투출된 컵라면을 컵라면투출구(254)로 투출되게 안내하는 부재로서, 좌/우측 측면판(431)과, 이 측면판(431)을 고정시키는 저면판(432) 및, 이 저면판(432)의 전방으로 상기 측면판(431)의 전면부와 결합되는 전면판(433)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복합자동판매기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컵음료가 판매되는 과정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컵음료를 구입하기 위해 지폐투입구(201) 또는 동전투입구(212)로 돈을 투입시킨 다음, 컵음료상품진열대(231)에 진열된 컵음료의 종류를 보고 컵음료선택버튼(232)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컵박스(235)내에 적재된 컵이 컵받침대(330)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받침대(330)내로 컵이 공급되면 콘트롤박스(214)의 제어에 의해 원료통(321)에 보관된 원료가루와 온수통(313)에 보관된 온수가 믹싱볼(323)로 토출되어 혼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믹싱볼(323)에서 혼합이 완료된 음료는 노즐(324)을 통해 상기 컵받침대(330)에 재치된 컵으로 토출되게 되며, 상기 컵받침대(330)내의 컵으로 음료의 토출이 종료되게 되면, 자동판매기의 이용자는 음료토출이 완료된 컵을 컵음료투출구(234)를 통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컵음료의 구입이 완료되면 이용자는 지폐투입구(201) 또는 동전투입구(202)로 투입한 투입금액과 컵음료 판매가격과의 차액을 돌려 받게 되는 바, 즉, 이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동전반환버튼(204)을 눌러주게 되면, 코인메카(212)에 적재된 동전중 반환금액에 해당되는 금액만이 콘트롤박스(214)의 제어에 의해 돈통(213)으로 투출되게 되면, 이때 이용자는 상기 돈통(213)으로 투출된 반환금액을 동전반환구(205)룰 통해 반환받게 된다.
또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컵받침대(330)내에 공급된 컵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음료가 상기 컵으로 완전토출되지 못하고 컵이외의 다른 부위로 토출되게 되면, 상기 음료의 찌꺼기는 배수호스(341)를 통해 배수통(340)으로 집수되게 되며, 이는 자동판매기의 관리자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다음으로, 컵라면이 판매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컵라면을 구입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지폐투입구(201) 또는 동전투입구(202)로 돈을 투입시킨 다음, 컵라면상품진열대(251)에 진열된 컵라면의 종류를 보고 컵라면선택버튼(252)을 눌러주게 되면, 컵라면적재수단(410)의 랙크(411)내에 적재된 컵라면중 최하단에 위치된 컵라면이 컵라면슈트(430)를 통해 컵라면투출구(254)로 투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컵라면이 컵라면투출구(254)로 투출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가 컵라면선택버튼(252)을 눌러주게 되면, 콘트롤박스(214)의 제어에 의해 컵라면투출수단(420)의 구동모터(426)가 90°로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모터(426)의 회전에 따라 상부스프라켓(425)이 회전하며, 이 상부스프라켓(425)과 체인을 매개로 연결된 하부스프라켓(424)이 동시에 연동되는 한편, 이 하부스프라켓(424)과 연결된 바아(421)가 회전하면서 이에 고정된 스파이럴바아(422)가 회전되면서 이 스파이럴바아(422) 사이에 적재된 최하층의 컵라면이 컵라면슈트(430)로 투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캠(423)은 구동모터(426)가 90°회전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도시안됨)를 일회씩 온/오프시켜 주게 되고, 이 마이크로스위치의 온/오프신호는 다시 콘트롤박스(214)로 입력되며, 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콘트롤박스(214)는 컵라면자동판매에 대한 정상동작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컵라면선택버튼(252)을 눌러주게 되면, 랙크(411)내의 스파이럴바아(422)가 구동모터(426)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파이럴바아(422)의 매 피치 사이에 적재된 다수개의 컵라면중 최층에 적재된 컵라면부터 낱개로 컵라면슈트(430)로 투출되어 이용자는 컵라면투출구(254)를 통해 컵라면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라면투출구(254)로 컵라면이 투출되면 이용자는 컵라면투출구(254)에서 컵라면을 꺼내 뚜껑을 개봉하고서 이를 컵음료투출구(234)내로 수납시킨 후 급수버튼(255)을 눌러주게 되면, 온수통(313)에 저장된 뜨거운 물이 노즐(324)을 통해 컵라면내로 급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컵라면의 구입이 완료되면, 이용자는 지폐투입구(201) 또는 동전투입구(202)로 투입한 투입금액과 컵라면 판매가격과의 차액을 돌려 받게 되는 바, 이 과정은 컵음료판매과정에서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컵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가 하나의 본체내에서 동시에 구비됨에 따라, 소비자의 상품구입시 선택의 폭이 다양화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한 자동판매기의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복수종류의 상품과, 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복수개의 판매장치를 구비한 본체와; 이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판매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와, 상품의 구입시 이용자가 작동시키는 다수개의 작동기기들을 구비한 도어로 이루어진 복합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컵음료를 판매하는 컵음료판매장치와, 이 컵음료판매장치에서 사용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라면을 판매하는 컵라면판매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컵음료의 구입시 컵음료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음료구입장치와, 컵라면의 구입시 컵라면판매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컵라면구입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음료구입장치와 컵라면구입장치는, 각각의 상품을 종류별로 분리시켜 진열하는 컵음료/컵라면상품진열대와, 이 컵음료/컵라면상품진열대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하기 위한 컵음료/컵라면선택버튼, 이 컵음료/컵라면선택버튼의 작동에 따라 컵음료/컵라면를 투출시키는 컵음료/컵라면투출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음료판매장치가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투출된 컵을 고정시키는 컵받침대 및, 이 컵받침대의 하부로 투출된 음료를 포집하는 배수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이 외부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통과, 이 물통으로부터 공급된 냉수를 가열시켜 온수로 보관하는 온수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이 각종 차의 원료를 분리해서 보관하는 다수개의 원료통과, 이 원료통으로부터 투출되는 원료를 안내하는 원료슈트 및, 이 원료슈트를 통해 투출된 원료와 온수통으로부터 투출된 온수를 혼합시키는 믹싱볼, 이 믹싱볼에서 혼합된 음료를 상기 컵받침대에 재치된 컵내로 토출시키는 노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판매장치가, 다수 종류의 컵라면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적재시키는 컵라면적재수단과, 이 컵라면적재수단에 적재된 컵라면을 컵라면선택버튼의 작동에 따라 선별적으로 투출시키는 컵라면투출수단, 이 컵라면투출수단에 의해 투출된 컵라면을 컵라면투출구에 안내하는 컵라면슈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적재수단은 컵라면을 층상으로 적재시키도록 적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랙크와, 이 랙크의 전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랙크를 개폐시키는 랙크도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컵라면투출수단은 랙크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와, 이 바아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매 피치사이에 컵라면을 적재하는 나선형상의 스파이럴바아, 컵라면의 판매시 스파이럴바아를 적정각도로 회전시키도록 바아와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자동판매기.
KR2019980010757U 1998-06-20 1998-06-20 복합자동판매기 KR200294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57U KR200294636Y1 (ko) 1998-06-20 1998-06-20 복합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57U KR200294636Y1 (ko) 1998-06-20 1998-06-20 복합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23U KR20000001123U (ko) 2000-01-25
KR200294636Y1 true KR200294636Y1 (ko) 2002-12-20

Family

ID=6951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757U KR200294636Y1 (ko) 1998-06-20 1998-06-20 복합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6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004B1 (ko) * 2019-12-13 2020-01-23 기창남 내부 온풍 공급 기능이 개선된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23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765A (en) Vending mechanism of vending machine
KR100274437B1 (ko) 자동판매기 구동방법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KR20110009678U (ko) 회전식 자판기
JP2002230637A (ja) 飲料自動販売機
KR200173870Y1 (ko) 과일 자동 판매기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KR100292340B1 (ko) 자동판매기
KR200433137Y1 (ko) 차의 내용물이 든 컵을 이용한 무인판매기
JP5488075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101815992B1 (ko)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JP5526830B2 (ja) 自動販売機
KR100277189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 장치
KR19990074019A (ko)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100234642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200269086Y1 (ko) 건어자판기
JP3123642B2 (ja) 原料パック手動セット型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19990004352U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JP5564970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296370Y1 (ko) 가열식품 자동판매기
KR100234643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 방법
KR940001637B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취출장치
JP5521593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28110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