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992B1 -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992B1
KR101815992B1 KR1020160048598A KR20160048598A KR101815992B1 KR 101815992 B1 KR101815992 B1 KR 101815992B1 KR 1020160048598 A KR1020160048598 A KR 1020160048598A KR 20160048598 A KR20160048598 A KR 20160048598A KR 101815992 B1 KR101815992 B1 KR 10181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ispenser
discharge
discharge nozzle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307A (ko
Inventor
한기선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가 배출되어 질 때, 각 전용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지 않도록 도어에 마련되는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을 이종 음료 간에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음료버튼부 및 제2 음료버튼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마련되는 음료 디스펜서를 이종의 음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제1 디스펜서 및 제2 디스펜서; 상기 각 제1,2 디스펜서에서 제공되는 각 음료를 상기 취출구로 개별적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라인; 및 구매자로 하여금 상기 제1,2 음료버튼부를 선택함에 따라 그 선택된 제1,2 음료버튼부에 해당되는 컵을 제공하는 컵공급부;를 포함하는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자동판매기를 더욱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의 고유의 맛을 그대로 느끼면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Two kinds of vending machines for beverages}
본 발명은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가 배출되어 질 때, 각 전용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판매자 없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무인 판매장치로서, 화폐투입/처리부를 통해 투입된 금액에 대응하여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품투출구로 투출 함으로써, 상품을 판매하는 장치이다.
자동판매기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음료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크게 원료와 첨가물을 물과 혼합하여 액상으로 판매하는 것과, 음용 할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를 판매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본원에서는 액상으로 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액상의 음료를 판매하는 대표적인 자동판매기에는 커피 자동판매기와, 음료 자동판매기에 대표적인 것으로, 대부분이 각 음료를 전용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한편, 근래에 들어 구매자들의 선택이 다양해지면서 전용으로 제작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에서 다양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자동판매기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자동판매기에서 다양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886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커피 등의 서양차와 함께 꿀물차, 한방차 등의 동양차 및 서양차와 동양차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22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한차의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한차와 커피를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판매할 수 있는 한차 겸용 커피 자동판매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88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228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2는 하나의 자동판매기에서 커피 이외에 다른 음요를 섭취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였으나, 서로 다른 성분이 하나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가 배출되어 질 때, 각 전용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해결과제는 전용으로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노즐이 최소한의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복수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각 음료 간에 희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도어에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과 취출구 및 화폐 투입구 등을 포함하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음료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로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을 이종 음료 간에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음료버튼부 및 제2 음료버튼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마련되는 음료 디스펜서를 이종의 음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제1 디스펜서 및 제2 디스펜서; 상기 각 제1,2 디스펜서에서 제공되는 각 음료를 상기 취출구로 개별적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라인; 및 구매자로 하여금 상기 제1,2 음료버튼부를 선택함에 따라 그 선택된 제1,2 음료버튼부에 해당되는 컵을 제공하는 컵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라인은 각 제1,2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각각의 디스펜서 노즐, 상기 각 디스펜서 노즐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호스, 및 상기 연결호스의 끝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취출구 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배출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각 배출노즐은 취출구 측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마련된다.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 배출노즐은 동종 음료가 배출되는 각 배출노즐을 상부 또는 하부로 나란하게 배치한다.
상기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은 하부 측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의 끝단 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한다.
상기 컵공급부는 취출구의 상부 측에 이종 음료 각각에 해당되는 각각의 컵이 적치되는 제1,2 호퍼, 상기 제1,2 호퍼의 밑면에 그 제1,2 호퍼의 개폐부에 의해 상기 취출구 측으로 각각의 컵을 가이드 하는 각각의 가이드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가이드홀더의 하부는 상기 취출구 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가 배출되어 질 때, 각 전용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기를 더욱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의 고유의 맛을 그대로 느끼면서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용으로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노즐이 최소한의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취출구에서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복수의 배출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각 음료 간에 희석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 음료의 특유의 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닫친 상태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또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배출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가 닫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배출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또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여닫히는 도어(110)에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112)과 취출구(114) 및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화폐 투입구(116) 등을 포함하며, 본체 케이스(110A)의 내부에 음료 디스펜서(120)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자동판매기(100)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또는 음료수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커피 또는 음료수가 배출되어 질 때, 각 전용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각 음료의 고유 맛을 상실시키지 않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상기 도어(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112)을 이종 음료 간에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음료버튼부(112A) 및 제2 음료버튼부(112B)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A)에 마련되는 음료 디스펜서(120)를 이종의 음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제1 디스펜서(120A) 및 제2 디스펜서(120B)와; 상기 각 제1,2 디스펜서(120A)(120B)에서 제공되는 각 음료를 상기 취출구(114)로 개별적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라인(10); 및 구매자로 하여금 상기 제1,2 음료버튼부(112A)(112B)를 선택함에 따라 그 선택된 제1,2 음료버튼부(112A)(112B)에 해당되는 컵을 제공하는 컵공급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종 음료는 통상적인 커피와 탄산음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음료버튼부 및 제2 음료버튼부는 커피 또는 탄산음류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각각의 음료버튼으로 구성되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디스펜서는 공지된 커피 디스펜서이며, 제2 디스펜서는 공지된 탄산음료 디스펜서이다.
그에 따라 구매자가 취향에 따라 제1,2 음료버튼부 중 원하는 음료버튼을 누름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제1,2 디스펜서가 작동하게 되고, 그 제1,2 디스펜서에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된 각 연결라인 중의 해당되는 연결라인을 통하여 컵공급부에 의해 취출구에 공급되어 있는 컵으로 해당 음료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음료는 상기 각 제1,2 디스펜서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라인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배출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다른 음료가 배출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됨으로 의한 일부의 다른 음료와도 희석됨 없이 선택된 음료 자체만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로 인해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의 고유의 맛을 상실시키지 않고 섭취할 수 있음으로써, 구매자로 하여금 음료 섭취에 따른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종 음료를 구매자의 음료 선택에서부터 배출까지 전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 고유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연결라인(10)은 각 제1,2 디스펜서(120A)(120B)에 연결되는 각각의 디스펜서 노즐(12)과, 상기 각 디스펜서 노즐(12)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호스(14), 및 상기 연결호스(14)의 끝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취출구(114) 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배출노즐(16)을 포함한다.
디스펜서 노즐은 제1,2 디스펜서의 각 배출구 측에 호환성을 가지는 통상적인 구조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배출노즐(16)은 취출구(114) 측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장착 브래킷(18)에 유동성 없이 끼움방식 또는 브래킷 고정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로 인해 연결라인이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음료를 개별적으로 각각 원활하게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출노즐(16)은 취출구(114) 측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 배출노즐은 동종 음료가 배출되는 각 배출노즐을 상부 또는 하부로 나란하게 배치한다. 또, 상기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은 하부 측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의 끝단 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배출노즐은 하나의 취출구 측으로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종 음료를 동일선상의 나란한 위치에 위치한 후 상하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부의 배출노즐은 하부의 배출노즐에 비해 더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각 배출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가 전혀 접촉됨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배출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각 음료는 그 음료 고유의 맛을 상실하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컵공급부(20)는 취출구(114)의 상부 측에 이종 음료 각각에 해당되는 각각의 컵이 적치되는 제1,2 호퍼(22)(22A), 상기 제1,2 호퍼(22)(22A)의 밑면에 그 제1,2 호퍼(22)(22A)의 개폐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취출구(114) 측으로 각각의 컵을 가이드 하는 각각의 가이드홀더(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 호퍼에 적치되는 컵은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다.
개폐부는 공지된 것으로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나 기어 전달방식 등에 의해 제,2 호퍼의 밑면을 개폐하면서 하부로 컵을 낙하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이면 족하다.
아울러, 컵공급부는 제1,2 음료버튼부와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제1,2 음료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개폐부를 개폐하여, 컵이 취출구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다.
그에 따라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제1,2 호퍼에 해당되는 컵 또한 취출구 측으로 개폐부와 가이드홀더를 통하여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각 가이드홀더(24)의 하부는 상기 취출구(114) 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는, 하나의 취출구로 제1,2 호퍼에 적치된 각각의 컵을 원활하게 안내시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0 : 연결라인 12 : 디스펜서 노즐
14 : 연결호스 16 : 배출노즐
18 : 장착 브래킷 20 : 컵공급부
22 : 제1 호퍼 22A : 제2 호퍼
24 : 가이드홀더
100 : 자동판매기
100A : 본체 케이스 110 : 도어
112 : 음료 선택버튼 112A : 제1 음료선택버튼
112B : 제2 음료선택버튼 114 : 취출구
116 : 화폐 투입구 120 : 음료 디스펜서
120A : 제1 디스펜서 120B : 제2 디스펜서

Claims (7)

  1. 도어에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과 취출구 및 화폐 투입구 등을 포함하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음료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로서,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복수의 음료 선택버튼을 이종 음료 간에 구획되도록 마련되는 제1 음료버튼부 및 제2 음료버튼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마련되는 음료 디스펜서를 이종의 음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각의 제1 디스펜서 및 제2 디스펜서;
    상기 각 제1,2 디스펜서에서 제공되는 각 음료를 상기 취출구로 개별적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하고, 각 제 1,2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각각의 디스펜서 노즐, 상기 각 디스펜서 노즐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호스, 상기 연결호스의 끝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취출구 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각각의 연결라인;
    구매자로 하여금 상기 제1,2 음료버튼부를 선택함에 따라 그 선택된 제1,2 음료버튼부에 해당되는 컵을 제공하며, 취출구의 상부 측에 이종 음료 각각에 해당되는 각각의 컵이 적치되는 제1,2 호퍼, 상기 제 1,2 호퍼의 밑면에 그 제 1,2 호퍼의 개폐부에 의해 상기 취출구 측으로 각각의 컵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가이드홀더의 하부는 상기 취출구 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각각의 가이드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노즐은 취출구 측에 다단으로 적층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 배출노즐은 동종 음료가 배출되는 각 배출노즐을 상부 또는 하부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은 하부 측에 나란하게 위치한 각 배출노즐의 끝단 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6. 삭제
  7. 삭제
KR1020160048598A 2016-04-21 2016-04-21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KR10181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598A KR101815992B1 (ko) 2016-04-21 2016-04-21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598A KR101815992B1 (ko) 2016-04-21 2016-04-21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07A KR20170120307A (ko) 2017-10-31
KR101815992B1 true KR101815992B1 (ko) 2018-01-08

Family

ID=6030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598A KR101815992B1 (ko) 2016-04-21 2016-04-21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813A (ja) * 2011-07-14 2013-02-04 N & W Global Vending Spa 飲料自動販売機
JP6042315B2 (ja) 2012-12-04 2016-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成長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813A (ja) * 2011-07-14 2013-02-04 N & W Global Vending Spa 飲料自動販売機
JP6042315B2 (ja) 2012-12-04 2016-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成長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07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592953T3 (en) Automatic distributor for juices which are produced from fresh fruit
KR101815992B1 (ko)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US4911332A (en) Cream and sugar dispenser
US6352174B1 (en) Carton dispensing machine
JP2002230637A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0694184B1 (ko) 음료자동판매기
KR200173870Y1 (ko) 과일 자동 판매기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0294636Y1 (ko) 복합자동판매기
KR200383255Y1 (ko) 자동판매기
KR20140132145A (ko) Lcd 동영상 겸용 미니 자판기
KR200433137Y1 (ko) 차의 내용물이 든 컵을 이용한 무인판매기
JP5526830B2 (ja) 自動販売機
KR200175722Y1 (ko) 팝콘 자동판매기
KR100222437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100277189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 장치
KR100234643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 방법
KR20040070548A (ko) 자동판매기
KR200205131Y1 (ko) 라면 및 커피 자동 판매기의 판매장치
KR100234641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감지 방법
JP4900526B2 (ja) 飲料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922109B2 (ja) 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送装置
KR19990032406A (ko) 자동판매기의 전원공급 장치
JP5565110B2 (ja) 自動販売機
JPH0855277A (ja) 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