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696Y1 -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696Y1
KR200157696Y1 KR2019970017435U KR19970017435U KR200157696Y1 KR 200157696 Y1 KR200157696 Y1 KR 200157696Y1 KR 2019970017435 U KR2019970017435 U KR 2019970017435U KR 19970017435 U KR19970017435 U KR 19970017435U KR 200157696 Y1 KR200157696 Y1 KR 200157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supply
container
raw material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352U (ko
Inventor
오동식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17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96Y1/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측부에 컵투출통로(515)가 장착된 컵상자(5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자(510)의 일측부에는 커피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커피원료통(5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피원료통(520)의 일측부에는 국산차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국산차원료통(5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국산차원료통(530)의 일측부에는 내부에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5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통(540)의 일측면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550) 및 모터(56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믹싱볼(570)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컵상자(510)와 커피원료통(520)과 국산차원료통(530) 및 급수통(540)의 하부에는 판매되는 음료가 담겨지는 컵을 이송시키기 위한 컵이송수단(580)이 설치되어져, 음료의 판매시간 및 자판기 이용자의 음료구입 시간이 단축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온수의 수증기에 원료통의 투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제거되어 위생상태가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본 고안은 커피나 국산차등 컵음료를 자동판매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의 판매시간이 단축되어 자판기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됨은 물론, 판매되는 음료의 위생상태가 향상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음료를 판매하도록 된 자동판매기는 외관상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2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0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100)에서 도어의 개폐시 사용되도록 된 손잡이(211)가 설치되어 있고, 음료를 구입하기 위해 동전을 투입시키도록 된 동전투입구(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음료를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이 부착된 음료선택부(213)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음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된 음료구입구(214)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음료의 판매가격만큼 그 차액이 반환되도록 된 동전반환구(2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전투입구(212)를 통해 투입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동전슈트(2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동전슈트(231)의 하부에 배설되어 투입된 동전이 정화(正貨)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된 코인메카(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반환구(215)로 반환되는 거스름돈을 보관하도록 된 거스름통(233)이 상기 코인메카(232)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스름통(233)의 하측에는 상기 거스름통(233)에서 상기 동전반환구(215)로 이동되는 동전을 가이드하도록 된 동전가이드(234)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동전투입구(212)로 투입된 동전이 덕트(235)를 통해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적재되는 돈통(2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커피나 국산차를 판매하기 위한 음료판매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음료판매장치(30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온수가 보관됨은 물론 양측부에 제1밸브(311) 및 제2밸브(312)가 장착된 급수통(310)이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통(310)의 일측부에는 커피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커피원료통(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피원료통(320)의 하부에는 온수와 커피원료를 혼합하도록 된 제1믹싱볼(3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통(310)의 타측부에는, 국산차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다수개의 국산차원료통(3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국산차원료통(340)의 하부에는 온수와 국산차의 원료를 혼합하도록 된 다수개의 제2믹싱볼(3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국산차원료통(340)의 측부에는 내부에 컵이 보관됨은 물론 하측부에 컵투출통로(365)가 장착된 컵상자(360)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급수통(310)의 하부에는 상기 컵투출통로(365)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37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밸브(311)에는 제1믹싱볼(330)로 상기 급수통(310)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급수호스(32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믹싱볼(330)에는 온수와 커피원료가 혼합된 커피음료를 상기 컵받침대(370)내의 컵으로 투출시키기 위한 제1투출호스(335)가 설치됨은 물론, 상기 제2밸브(312)에는 제2믹싱볼(350)로 상기 급수통(310)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급수호스(34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믹싱볼(350)에는 온수와 국산차의 원료가 혼합된 국산차음료를 상기 컵받침대(370)내의 컵으로 투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2투출호스(35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커피나 국산차 등의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먼저 동전투입구(212)로 동전을 투입시킨 다음, 음료선택부(213)의 커피 또는 국산차의 선택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컵상자(360)내에 보관되어 있던 컵이 컵받침대(37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컵받침대(370)내로 컵이 공급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제1/제2투출호그(335,355)를 통해 상기 컵받침대(370)내에 위치된 컵으로 기설정된 양만큼 토출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음료토출이 완료된 컵을 음료구입구(214)를 통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전투입구(212)로 투입한 동전의 액수와 음료판매가격 만큼의 차액을 동전반환구(215)를 통해 반환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컵받침대(370)내에 공급된 컵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원료나 물이 상기 컵에 완전토출되지 못하고 컵 이외의 다른 부위로 토출되면, 상기 원료와 물은 배출호스를 통해 배수통으로 집수되며, 이는 자동판매기 관리자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판매장치(300)에 의하면, 상기 원료통(320,340)의 원료와 상기 급수통(310)에서 급수된 온수가 각각의 믹싱볼(330,350)에 의해 혼합되는 과정을 경유한 다음, 컵받침대(370)내에 위치된 컵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자판기의 이용자가 음료를 최종 구입하는 시간이 지연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급수통(310)의 온수가 각각의 원료통(320,340)에 장착된 믹싱볼(330,350)로 공급되므로, 상기 원료통(320,340)의 원료투출구에 잔존되어 있던 원료가 온수의 수증기에 의해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로인해 상기 원료투출구에는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자판기 이용자의 건강에 해(害)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의 판매가 일자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판매장치를 재배치함은 물론, 이에 따른 컵의 이동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컵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어져, 원료통의 원료와 급수통의 온수가 각각의 믹싱볼에 의해 혼합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음료의 판매시간 및 자판기 이용자의 음료구입 시간이 단축됨음 물론, 이로 인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가 수증기가 원료통의 원료투출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원료투출구에 잔존되어 있던 원료의 굳음현상에 제거되어 상기 원료투출구의 세균번식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 인해 자판기의 위생상태가 향상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온수가 보관되도록 된 급수통과, 커피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커피원료통과, 국산차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국산차원료통과, 내부에 컵이 보관됨은 물론 하측부에 컵투출통로가 장착되도록 된 컵상자와, 상기 컵투출통로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상자와 커피원료통과 국산차원료통 및 급수통이 본체의 내부에서부터 음료구 입구의 방향으로 일자판매라인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컵상자와 커피원료통과 국산차원료통 및 급수통의 하부에는 컵이송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통의 일측부에는, 급수통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호스의 내부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믹싱볼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이송수단은, 모터의 동력을 매개로 회전작동되도록 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밸트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롤러와, 상기 밸트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컵투출통로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고정시키도록 된 다수개의 컵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어 내측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음료판매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도어
214 : 음료구입구 500 : 음료판매장치
510 : 컵상자 515 : 컵투출통로
520 : 커피원료통 530 : 국산차원료통
540 : 급수통 550 : 급수호스
560,581 : 모터 570 : 믹싱볼
580 : 컵이송수단 582 : 구동롤러
583 : 벨트 584 : 종동롤러
585 : 컵받침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음료판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음료판매장치(500)는, 본체(100: 제1도에 도시됨)의 내부에서부터 음료구입구(214: 제1도에 도시됨)의 방향으로 일자판매라인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컵이 보관됨은 물론 하측부에 컵투출통로(515)가 장착된 컵상자(5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컵상자(510)의 일측부에는 커피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커피원료통(5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피원료통(520)의 일측부에는 국산차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국산차원료통(530)이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국산차원료통(530)의 일측부에는 내부에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5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통(540)의 일측부에는, 상기 급수통(540)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5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호스(550)의 내부에는 모터(56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믹싱볼(5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상자(510)의 커피원료통(520)과 국산차원료통(530) 및 급수통(540)의 하부에는 판매되는 음료가 담겨지는 컵을 이송시키기 위한 컵이송수단(58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컵이송수단(580)은, 모터(581)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도록 된 구동롤러(582)와, 이 구동롤러(582)의 회전력에 의해 동기구동되도록 벨트(583)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롤러(584)와, 상기 벨트(583)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컵투출통로(515)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음료구입구(214)를 통해 이용자가 구입할 때까지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된 다수개의 컵받침대(58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음료판매장치(500)의 모든 작동은 기설정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예를들면, 컵과 원료와 온수가 공급되는 시간, 믹싱볼 회전시간 및, 컵이송수단의 이송시간 등.)
이하, 본 고안 음료판매장치(5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제4도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커피나 국산차 등의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동전투입구(212)로 동전을 투입시킨 다음, 음료선택부(213)의 커피 또는 국산차의 선택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제4도의 컵상자(510)내에 보관되어 있던 컵이 X부위에 위치된 컵받침대(585)로 컵이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받침대(585)로 컵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모터(581)가 구동되어 벨트(583)가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X부위에 위치된 컵은 상기 벨트(583)의 이동에 의해 커피원료통(520) 및 국산차원료통(530)을 거쳐 믹싱볼(570)을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믹싱볼(570)의 하부에 원료가 적재된 컵이 위치되게 되면, 급수통(540)의 온수가 급수호스(550)을 통해 상기 컵으로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믹싱볼(570)이 모터(560)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컵에 적재된 원료와 온수를 혼합시키게 된다.
다음, 원료와 온수가 혼합되어 커피 또는 국산차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벨트(583)가 제어부의 신호에 재차 이동되어 음료구입구(214 : 제1도에 도시됨)내로 상기 컵을 이송시키게 되는 바, 이때 자판기의 이용자는 제어부에 의해 발생되는 컵투출신호를 보고 음료가 들어있는 컵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료의 판매가 일자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본 고안의 음료판매장치(50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통(320,340)의 원료와 급수통(310)의 온수가 각각의 믹싱볼(330,350)에 의해 혼합되는 종래의 음료판매장치(300)보다 판매라인과정이 줄어들게 되므로, 음로의 판매시간 및 자판기 이용자의 음료구입 시간이 단축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게 된다.
또한, 급수통(540)의 온수공급이 판매라인의 맨끝공정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본 고안의 음료판매장치(50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의 수증기에 의해 원료통(320,340)의 원료투출구가 막혀 상기 원료투출구에 세균이 번식되는 종래의 음료판매장치(300)보다, 위생상태가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자동판매기는, 컵상자와 커피원료통과 국산차원료통 및 급수통으로 이루어진 음료판매장치가 본체의 내부에서부터 음료구입구의 방향으로 일자판매라인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됨은 물론, 상기 음료판매장치의 하부에는 판매음료가 담겨진 컵을 음로구입구르 이송시키기 위한 컵이송수단이 설치되어져, 음료의 판매시간 및 자판기 이용자의 음료구입 시간이 단축되어 이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온수의 수증기에 의해 원료통의 투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제거되어 위생상태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온수가 보관되도록 된 급수통과, 커피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커피원료통과, 국산차의 가루원료가 보관되도록 된 국산차원료통과, 내부에 컵이 보관됨은 물론 하측부에 컵투출통로가 장착되도록 된 컵상자와, 상기 컵투출통로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상자(510)와 커피원료통(520)과 국산차원료통(530) 및 급수통(540)이 본체(100)의 내부에서부터 음료구입구(214)의 방향으로 일자판매라인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통(540)의 일측면에는 원료가 담겨진 컵으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5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550)의 내부에는 모터(56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상기 컵에 담겨진 원료와 온수를 혼합하도록 된 믹싱볼(570)이 설치됨은 물론, 상기 컵상자(510)와 커피원료통(520)과 국산차원료통(530) 및 급수통(540)의 하부에는 모터(581)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컵이송수단(5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수단(580)이, 모터(581)의 동력을 매개로 회전작동되도록 된 구동롤러(582)와, 이 구동롤러(582)의 회전력에 의해 동기구동되도록 벨트(583)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롤러(584)와, 상기 벨트(584)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컵투출통로(515)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고정시키도록 된 다수개의 컵받침대(58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19970017435U 1997-07-01 1997-07-01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0157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435U KR200157696Y1 (ko) 1997-07-01 1997-07-01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435U KR200157696Y1 (ko) 1997-07-01 1997-07-01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52U KR19990004352U (ko) 1999-02-05
KR200157696Y1 true KR200157696Y1 (ko) 1999-10-01

Family

ID=1950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435U KR200157696Y1 (ko) 1997-07-01 1997-07-01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79B1 (ko) * 2002-01-14 2004-06-12 이재학 칵테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41B1 (ko) * 2015-11-06 2017-03-15 김선홍 커피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79B1 (ko) * 2002-01-14 2004-06-12 이재학 칵테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352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KR100274437B1 (ko) 자동판매기 구동방법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JP2000298769A (ja) 飲料提供装置
KR100234642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판매 방법
KR100292340B1 (ko) 자동판매기
JPS62171096A (ja) カツ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2288734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0234643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 방법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JPH10172044A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0277189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 장치
KR200162570Y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KR101815992B1 (ko) 이종 음료용 자동판매기
KR19990074019A (ko)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200238056Y1 (ko) 자동판매기의원료혼합장치
KR100234641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감지 방법
KR19990004350U (ko) 자동판매기
KR100224299B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JP3854491B2 (ja) 自動販売機
KR200160602Y1 (ko) 자동판매기
KR19980075857A (ko) 자동판매기용 스틱투출장치
KR19990028110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혼합장치
JP4510986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54809A (ko) 자동판매기용 음료배출노즐의 음료맺힘방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