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602Y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602Y1
KR200160602Y1 KR2019970011495U KR19970011495U KR200160602Y1 KR 200160602 Y1 KR200160602 Y1 KR 200160602Y1 KR 2019970011495 U KR2019970011495 U KR 2019970011495U KR 19970011495 U KR19970011495 U KR 19970011495U KR 200160602 Y1 KR200160602 Y1 KR 200160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main body
vending machine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990U (ko
Inventor
윤대룡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1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6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판매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컵받침대(15)가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컵받침대(15)의 일측부에는 컵(X)으로 토출된 음료의 수증기(Y)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가 설치되어져, 상기 수증기(Y)가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되므로 상기 수증기(Y)에 의해 음료배출노즐(18)의 입구(18a)가 막히는 현상이 제거되어 음료가 상기 컵받침대(15)내의 컵(X)으로 원활히 토출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본 고안은 컵을 사용하여 뜨거운 음료를 자동판매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받침대에 고정된 컵으로 뜨거운 음료의 투출시 음료수증기가 본체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음료배출노즐의 막힘현상이 제거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외관상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전방 일측부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도어(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0)의 외부에는, 상기 본체(10)에서 도어(20)의 개폐시 사용되도록 된 손잡이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음료를 구입하기 위해 동전을 투입시키도록 된 동전투입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음료를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이 부착된 음료선택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음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된 음료구입구(24)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투입된 동전의 액수와 음료의 판매가격만큼 그 차액이 반환되도록 된 동전반환구(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11)이 상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통(11)의 하측에는 가루원료를 보관하도록 된 다수개의 원료통(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료통(12)의 측부에는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상자(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컵상자(13)의 하부에는 컵투출통로(14)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15)가 설치됨은 물론, 이 컵하우징(15)의 하부에는 배출호스(16)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나 물을 임시저장하도록 된 배수통(1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커피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먼저 동전투입구(22)로 동전을 투입시킨 다음, 음료선택부(23)의 선택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상자(11)내에 저장보관되어 있던 컵(X)이 컵받침대(15)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컵받침대(15)내에 컵(X)이 공급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음료배출노즐(15)을 통해 상기 컵받침대(15)내에 위치된 컵(X)으로 기설정된 양만큼 토출되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음료토출이 완료된 컵(X)을 음료구입구(24)를 통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동전투입구(22)로 투입한 동전의 액수와 음료판매가격 만큼의 차액을 동전반환구(25)를 통해 반환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컵받침대(15)내에 공급된 컵(X)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원료나 물이 상기 컵(X)에 완전토출되지 못하고 컵(X)이외의 다른 부위로 토출되면, 상기 원료와 물은 배출호스(16)를 통해 배수통(17)으로 집수되며, 이는 자동판매기 관리자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컵받침대(15)내의 컵(X)으로 음료를 토출하게 되면, 상기 컵(X)으로 토출된 온수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 바, 종래의 자동판매기에는 상기 수증기를 배출시킬 만한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상기 수증기에 의해 음료배출노즐(18)의 입구(18a)가 막혀 음료가 원활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증기에 의해 상기 음료배출노즐(18)의 입구(18a)가 막혀버리게 되면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함은 물론, 상기 음료배출노즐(18)의 입구(18a)에 각종 세균들이 번식하게 되어 자동판매기 이용자의 건강에 해(害)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컵받침대의 소정부위에 컵으로 토출된 음료의 수증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수증기에 의해 음료배출노즐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제거하여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음료배출노즐의 입구에 세균의 번식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컵받침대에 위치된 컵으로 음료가 공급되는 상태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증기 배출장치가 컵받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증기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a : 수증기배출홀
11 : 급수통 12 : 원료통
13 : 컵상자 14 : 컵투출통로
15 : 컵받침대 15a : 수증기유입홀
16 : 배출호스 17 : 배수통
18 : 음료배출노즐 18a : 음료배출노즐의 입구
100 : 음료수증기 배출장치 110 : 모터
120 : 흡입팬 130 : 수증기안내수단
13 : 하우징 132 : 수증기배출호스
X : 컵 Y : 수증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컵이 적치된 컵상자로부터 공급받은 컵을 원료와 물을 받기 위해 고정시키도록 된 컵받침대를 갖춤과 더불어 이용자의 선택버튼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발생된 음료의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음료수증기배출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증기배출장치가, 상기 컵받침대의 일측부에는 컵받침대의 내측과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수증기안내수단이 설치됨과 더불어, 이 수증기안내수단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증기를 흡입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와 이 모터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증기 배출장치가 컵받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는 자동판매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11)이 상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통(11)의 하측에는 가루원료를 보관하도록 된 다수개의 원료통(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료통(12)의 측부에는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상자(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컵상자(13)의 하부에는 컵투출통로(14)를 통해 공급받은 컵을 재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받침대(15)가 설치됨은 물론, 이 컵하우징(15)의 하부에는 배출호스(16)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나 물을 임시저장하도록 된 배수통(1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컵받침대(15)의 일측부에는, 상기 컵받침대(15)내에 고정된 컵(X)으로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토출되는 온수에 의해 발생된 음료의 수증기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전원을 매개로 구동되도록 된 모터(110)와, 이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컵받침대(15)내의 수증기(Y)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팬(120) 및, 이 흡입팬(12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Y)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수증기(Y)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된 수증기안내수단(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모터(110)는 수증기안내수단(130)의 일측에 고정되어 공기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증기안내수단(130)은, 상기 모터(110)와 흡입팬(120)을 감싸 보호함은 물론 상기 컵받침대(15)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증기흡입홀(15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하우징(131)과, 일측끝단부가 상기 하우징(131)과 연통됨은 물론 타측끝단부는 본체(10)에 형성된 수증기배출홀(10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수증기배출호스(132)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 컵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동판매기의 사용자가 커피 등의 뜨거운 음료를 공급받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동전투입구(22)로 동전을 투입시킨 다음, 음료선택부(23)의 선택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컵상자(11)내에 저장보관되어 있던 컵(X)이 컵받침대(15)로 공급됨은 물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가 도5에 도시된 음료배출노즐(18)을 통해 상기 컵받침대(15)내에 고정된 컵(X)으로 기설정된 양만큼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X)으로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토출되는 온수에 의해 발생된 음료의 수증기(Y)는 흡입팬(120)의 흡입력에 의해 수증기흡입홀(15a)을 지나 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하우징(131)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Y)는 수증기배출호스(132)를 지나 본체(10)에 형성된 수증기배출홀(10a)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컵받침대(15)내의 컵(X)으로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발생된 수증기(Y)가 음료수증기 배출장치(100)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모두 배출되어져, 상기 수증기(Y)에 의해 음료배출노즐(18)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제거되므로 음료가 원활히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컵받침대의 일측부에는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발생된 수증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료수증기 배출장치가 설치되어져, 상기 수증기에 의해 음료배출노즐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음료가 원활히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컵이 적치된 컵상자(13)로부터 공급받은 컵(X)을 원료와 물을 받기 위해 고정시키도록 된 컵받침대(15)를 갖춤과 더불어 이용자의 선택버튼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토출시 발생된 음료의 수증기(Y)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음료수증기배출장치(100)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증기배출장치(100)가, 상기 컵받침대(15)의 일측부에는 컵받침대의 내측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수증기안내수단(130)이 설치됨과 더불어, 이 수증기안내수단의 내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증기를 흡입하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터(110)와 이 모터(1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흡입팬(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안내수단(130)이, 상기 모터(110)와 흡입팬(120)을 감싸 보호함은 물론 상기 컵받침대(15)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증기흡입홀(15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하우징(131)과, 일측끝단부가 상기 하우징(131)과 연통됨은 물론 타측끝단부는 본체(10)에 형성된 수증기배출홀(10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수증기배출호스(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2019970011495U 1997-05-21 1997-05-21 자동판매기 KR200160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495U KR200160602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495U KR200160602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90U KR19980066990U (ko) 1998-12-05
KR200160602Y1 true KR200160602Y1 (ko) 1999-11-15

Family

ID=195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495U KR200160602Y1 (ko) 1997-05-21 1997-05-21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6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9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WO2011029747A1 (en) Machine for multiple beverage dispensing, particularly for coffee and/or still water and/or hot and/or chilled beverages
KR200160602Y1 (ko) 자동판매기
KR100991543B1 (ko) 냉장고의 얼음 또는 물 취출장치
JP2001019095A (ja) 飲料ディスペンサ又は該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給水容器
KR200157696Y1 (ko) 자동판매기의 음료판매장치
KR200196113Y1 (ko) 자동판매기용 스틱박스조립체의 스틱박스뚜껑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20210046988A (ko) 음료 추출장치.
KR102524867B1 (ko) 얼음 토출 기능을 갖는 커피 자동판매기
KR200257877Y1 (ko) 커피 자동판매기
KR200163003Y1 (ko) 자동판매기의 누설원료 집진구조
KR200159081Y1 (ko) 세이크 슬러시머신
JP447778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188071Y1 (ko) 커피 배출기
KR19990054809A (ko) 자동판매기용 음료배출노즐의 음료맺힘방지장치 및 방법
KR200159357Y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200162570Y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KR19990004350U (ko) 자동판매기
KR0128770Y1 (ko) 자동판매기용 공기흡입기
KR19990004351U (ko) 복합 자동판매기의 내측도어
KR200176799Y1 (ko)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JPH0562799B2 (ko)
KR101054794B1 (ko) 1회용 컵음료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