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49B1 -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49B1
KR101160649B1 KR1020110065319A KR20110065319A KR101160649B1 KR 101160649 B1 KR101160649 B1 KR 101160649B1 KR 1020110065319 A KR1020110065319 A KR 1020110065319A KR 20110065319 A KR20110065319 A KR 20110065319A KR 101160649 B1 KR101160649 B1 KR 10116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torage unit
container
l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890A (ko
Inventor
유현종
Original Assignee
유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종 filed Critical 유현종
Priority to KR102011006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085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은 속이 빈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금전통 유닛, 상기 금전통 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뚜껑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본체 배출유닛을 높이방향으로 포함하는 잔반용기 자판기를 벽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치하고(S10), 손님이 상기 잔반용기 자판기(100)로 가서 상기 금전통 유닛에 소정의 금전을 투입하고(S20),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의 누름버튼을 작동시켜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으로부터 용기본체를 취출하며(S30), 상기 뚜껑 보관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횡절개부를 통해 뚜껑을 취출하여(S40), 상기 용기본체에 잔반을 담고 뚜껑을 덮어서 잔반을 가져감으로써(S50), 음식점 등에서 남긴 반찬 등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점 주인에게 별도로 포장을 요구하지 않고 음식점내 별도의 넓은 수납 공간을 두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잔반용기를 입수하여 잔반을 포장해 갈 수 있다.

Description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RECEPTACLE FOR LEFTOVER FOOD DISPENSER}
본 발명은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반용기를 부피가 큰 용기본체와 뚜껑으로 분리하여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고, 그 보관된 용기본체와 뚜껑을 하나씩 인출하여 사람들이 잔반을 싸가져갈 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는 손님들에게 여러가지 반찬을 내놓게 되며, 손님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많은 양의 반찬을 항상 남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음식점에서는 새로운 손님들 식탁에 이전 손님들이 남긴 음식을 다시 놓고 싶은 유혹에 빠지게 되고, 실제로 음식점에서 새로운 손님들 식탁에 이전 손님들이 남긴 음식을 다시 놓아서 해당 관청의 단속이나 적발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례를 접한 경우에, 손님들은 반찬들이 이전 손님들이 남긴 반찬을 재사용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어서 더욱더 많은 반찬을 남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음식점에서 내놓은 반찬이 특별히 맛있어서 싸가지고 가고 싶은 경우조차도, 음식점 주인에게 별도로 반찬 포장을 요구해야 하며, 음식점 주인 또한 이러한 경우에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음식점에서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남은 반찬이지만 포장해 주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이러한 잔반을 담을 수 있는 잔반용기는 뚜껑이 꼭 필요하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넓은 수납 공간이 필요하며, 따라서 이러한 용기를 자동으로 분배할 수 있는 분배장치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악순환 속에서, 아프리카 등 빈민국에서는 3000원이면 한달을 먹고 살 수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음식물의 처리비용으로 연간 14 내지 15조가 낭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점 등에서 남긴 반찬 등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점 주인에게 별도로 포장을 요구하지 않고 음식점내 별도의 넓은 수납 공간을 두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잔반용기를 입수하여 잔반을 포장할 수 있도록 잔반용기를 간단히 제공할 수 있는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는 하나 이상의 용기본체를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수용하는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에 결합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뚜껑을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수용하며, 상기 적층된 하나 이상의 뚜껑을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추출구를 갖는 뚜껑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용기본체를 하나씩 배출시키는 용기본체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은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 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은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배출홀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판상부재와, 상기 판상부재 정면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구동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에 적층된 용기본체를 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형 절개부를 갖는 가이드 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양 옆에는 평 단면이 'ㄷ' 모양인 슬라이드바 한 쌍이 탄성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보관유닛은 "⊥" 자형 절개부가 형성된 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 자형 절개부는 상기 뚜껑의 하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종절개부와, 상기 종절개부와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이 하나씩 취출되도록 상기 뚜껑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횡절개부와, 상기 횡절개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횡절개부를 통해 취출되는 뚜껑을 지지하고 금전을 저장하기 위한 금전통 유닛의 상부를 덮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점 등에서 남긴 반찬 등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점 주인에게 별도로 포장을 요구하지 않고 음식점내 별도의 넓은 수납 공간을 두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잔반용기를 입수하여 잔반을 포장할 수 있는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배출유닛의 누름버튼을 누르기 전과, 누름버튼을 누른 후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취출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VI-VI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취출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분해 사시도이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취출유닛의 누름버튼을 누르기 전과, 누름버튼을 누른 후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100)는 원통 형상의 속이 빈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상부에 배치되는 금전통 유닛(120), 상기 금전통 유닛(120) 상부에 배치되는 뚜껑 보관유닛(130),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으로부터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을 높이방향으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금전통 유닛(120)에 소정의 동전을 투입 후,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을 작동시켜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으로부터 용기본체(B)를 얻고, 상기 뚜껑 보관유닛(130)으로부터 상기 뚜껑 보관유닛(130) 하부의 횡취출구(133b)를 통해 뚜껑(C)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본체(B)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바닥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상기 개구부 주위에는 플랜지부(B1, B2...)가 손잡이로도 이용되고 뚜껑(C)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덧달려있다.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은 양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용기본체(B)에 대응하는 원통형상 관부재(111)로 구성되어 상단부(113)를 통해서 내부공간(111a)에 개구부가 상방으로 가도록 상기 용기본체(B)의 플랜지부(B1, B2...)가 겹쳐져 복수개의 용기본체(B)가 배치되고, 하단부(115)가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의 가이드 관부재(145)와 연결된다.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의 상단부(113)는 상기 금전통 유닛(120)의 하부 플랜지부(121)가 뚜껑처럼 덮어서 결합된다.
상기 금전통 유닛(120)은 상기 하부 플랜지부(121)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간막이(122a)가 형성되고, 상기 간막이(122a) 상부에 상부 플랜지부(123)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123)가 이루는 공간내에 상기 상부 플랜지부(123)에 형성된 금전투입구(120a)를 통해서 금전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23)가 이루는 공간에 금전이 찼을 때, 상기 상부 플랜지부(123) 위에 결합되는 상기 뚜껑보관유닛(130)을 들어내고 금전을 쉽게 옮길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랜지부(121)에는 제 1 절개부(121a)를 가져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의 상단부(113)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뚜껑 보관유닛(130)은 내부공간(131a)에 뚜껑(C)의 개방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수용되는 원통형상 관부재(131)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131)의 정면에는 "⊥" 자형 절개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 자형 절개부(133)는 상기 뚜껑(C)의 하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종절개부(133a)와 상기 종절개부(133a)와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131)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C)이 하나씩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C)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횡절개부(133b)를 포함한다.
상기 종절개부(133a)를 따라 상기 뚜껑(C)의 손잡이(C-1)가 배치되어 상기 종절개부(133a)는 상기 뚜껑(C)을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수평하게 배치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횡절개부(133a)를 통해 상기 뚜껑(C)이 취출될 때, 그 반동으로 상방의 뚜껑(C)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상방의 용기뚜겅(C)을 받치는 고정부재(134)가 상기 횡절개부(133b) 바로 상방에 대향하여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4)는 상기 뚜껑 보관유닛(130)의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131) 하부, 상기 횡절개부(133b) 바로 상방에 대향하여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131)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요홈부(134a)와 상기 요홈부(134a)에 의해 내방으로 탄성 돌출된 돌출부(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131)의 하부, 즉 상기 횡절개부(133a)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받침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35)는 상기 횡절개부(133a)를 통해 취출되는 상기 뚜껑(C) 중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뚜껑(C)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받침부(135)의 하부플랜지부(135a)가 상기 금전통 유닛(120)의 상부 플랜지부(123)에 뚜껑처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은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의 내부공간(111a)과 연통되게 배출홀(141a)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판상부재(141)와, 상기 판상부재(141)의 배출홀(141a)에 결합되어 상기 판상부재(141) 정면에 형성된 누름버튼(143)의 구동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통(110)에 적층된 용기본체(B)를 외부로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형 절개부(145a)를 갖는 가이드 관부재(145)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의 가이드 관부재(145)는 상기 누름버튼(143)이 장착되도록 일측면 중앙에 안내홈(143a)이 형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누름버튼(143)을 눌렀을 때 상기 안내홈(143a)을 따라 상기 누름버튼(143)이 가이드 관부재(145) 내방으로 수평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143)의 일측단에 플런저(143b)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143b)에 대응되게 안내홈(143a)의 내측 선단에 멈춤부(143c)를 돌출 형성하여 후설하는 스프링(143d)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143)이 상기 가이드 관부재(145)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누름버튼(143)의 상기 플런저(143b) 양 옆에는 평 단면이 'ㄷ' 모양인 슬라이드바(143e) 한 쌍이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에 적층된 최하위의 용기본체(B)를 상기 누름버튼(143)를 눌렀다 노을 때 상기 스프링(143d)의 탄성력에 의하여 왕복운동하여 하방으로 인출시킨다.
상기 슬라이드바(143e)의 상단에는 최하위의 용기본체(B)의 인출됨과 동시에 대기중인 용기본체(B)의 플랜지(B1)를 지지하는 지지바(143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바(143e)를 누름버튼(143)에 연결하므로서, 외부의 힘에 의해 누름버튼(143)을 눌렀을 때 상기 슬라이드바(143e)가 판상부재(141)의 상부면에서 도면상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에 적층된 용기본체(B)을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뚜껑 보관유닛(140)의 상단부는 덮개(150)으로 덮여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관을 좋게 할 수 있으며, 고정구(160)가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 후방에 결합되어 소정의 공간에 잔반용기 자판기(100)를 설치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취출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VI-VI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의 취출유닛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용기본체 보관유닛 및 뚜껑 보관유닛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용기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각형으로 다르며, 이러한 사각형 용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닛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100')의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금전통 유닛(120'), 뚜껑 보관유닛(130'), 배출유닛(14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용기를 보관하고 배출하기 위하여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100')는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이 사각형 용기본체(B')에 대해서는 사각형 용기본체(B')가 회전하지 못하므로, 슬라이드 바의 왕복운동으로 쉽게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사각형 용기본체(B')의 플랜지(B1')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은 판상부재(141')에 누름버튼(143')이 결합되며, 상기 누름버튼(143')이 작동판(143a')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판(143a')의 양측단에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웜기어(143b')와 구동기어(143c')를 두어 상기 판상부재(141') 상에서 누름버튼(143')에 의해 상기 작동판(143a')이 전,후진될 때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층 수납된 용기본체(B)의 플랜지(B1')에 걸쳐지게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B1')에 걸쳐지는 구동기어(143c')와 상기 웜기어(143b')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웜기어(143b')의 회전력을 구동기어(143c')로 전달하여 걸쳐진 최하위의 용기본체(B')가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는 원통 형상의 속이 빈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상부에 배치되는 금전통 유닛(120), 상기 금전통 유닛(120) 상부에 배치되는 뚜껑 보관유닛(130),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으로부터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을 높이방향으로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금전통 유닛(120)에 소정의 동전을 투입 후,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140)을 작동시켜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110)으로부터 용기본체(B)를 얻고, 상기 뚜껑 보관유닛(130)의 횡절개부(133b)로부터 뚜껑(C)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은 속이 빈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금전통 유닛, 상기 금전통 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뚜껑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본체 배출유닛을 높이방향으로 포함하는 잔반용기 자판기를 벽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치하고(S10), 손님이 상기 잔반용기 자판기(100)로 가서 상기 금전통 유닛에 소정의 금전을 투입하고(S20),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의 누름버튼을 작동시켜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으로부터 용기본체를 취출하며(S30), 상기 뚜껑 보관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횡절개부를 통해 뚜껑을 취출하여(S40), 상기 용기본체에 잔반을 담고 뚜껑을 덮어서 잔반을 가져감으로써(S50), 음식점 등에서 남긴 반찬 등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점 주인에게 별도로 포장을 요구하지 않고 음식점내 별도의 넓은 수납 공간을 두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잔반용기를 입수하여 잔반을 포장해 갈 수 있다.
110, 110' : 용기본체 보관유닛
120, 120' : 금전통 유닛
130, 130' : 뚜껑 보관유닛
140, 140' : 용기본체 배출유닛
150, 150': 덮개 유닛
160, 160; : 고정구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용기본체를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수용하는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에 결합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뚜껑을 개구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수용하며, 상기 적층된 하나 이상의 뚜껑을 하나씩 추출할 수 있는 추출구를 갖는 뚜껑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용기본체를 하나씩 배출시키는 용기본체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은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 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은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배출홀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판상부재와, 상기 판상부재 정면에 형성된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구동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에 적층된 용기본체를 외부로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자형 절개부를 갖는 가이드 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양 옆에는 평 단면이 'ㄷ' 모양인 슬라이드바 한 쌍이 탄성 구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보관유닛은 "⊥" 자형 절개부가 형성된 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 자형 절개부는 상기 뚜껑의 하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종절개부와, 상기 종절개부와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이 하나씩 취출되도록 상기 뚜껑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횡절개부와, 상기 횡절개부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횡절개부를 통해 취출되는 뚜껑을 지지하고 금전을 저장하기 위한 금전통 유닛의 상부를 덮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잔반용기 자판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은 양단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관부재로 이루어지는 잔반용기 자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전통 유닛은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과 상기 뚜껑 보관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 플랜지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간막이가 형성되고, 상기 간막이 상부에 상부 플랜지부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가 이루는 공간내에 상기 상부 플랜지부에 형성된 금전투입구를 통해서 금전이 투입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는 상기 뚜껑 보관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부는 부분적으로 절개되며,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단부와 결합되는 잔반용기 자판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절개부 바로 상방에 상기 횡절개부에 대향하여 상기 원통형상 관부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내방으로 탄성 돌출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잔반용기 자판기.
  7. 삭제
  8. 삭제
  9. 속이 빈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금전통 유닛, 상기 금전통 유닛 상부에 배치되는 뚜껑 보관유닛,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본체 배출유닛을 높이방향으로 포함하는 잔반용기 자판기를 벽면에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치하고,
    상기 용기본체 배출유닛의 누름버튼을 작동시켜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으로부터 용기본체를 취출하고,
    상기 뚜껑 보관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횡절개부를 통해 뚜껑을 꺼내고,
    상기 용기본체에 잔반을 담고 뚜껑을 덮어서 잔반을 포장하는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은 양단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상의 관부재로 이루어지는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보관유닛은 양단부가 개방되고 사각형상의 관부재로 이루어지는 잔반용기 자판기 이용방법.
KR1020110065319A 2010-08-06 2011-07-01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16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19A KR101160649B1 (ko) 2010-08-06 2011-07-01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46 2010-08-06
KR20100008246 2010-08-06
KR1020110065319A KR101160649B1 (ko) 2010-08-06 2011-07-01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890A KR20120013890A (ko) 2012-02-15
KR101160649B1 true KR101160649B1 (ko) 2012-07-02

Family

ID=4583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319A KR101160649B1 (ko) 2010-08-06 2011-07-01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11Y1 (ko) 2004-01-10 2004-03-25 김동근 컵공급장치
KR200424391Y1 (ko) 2006-06-08 2006-08-22 차승호 컵 자동 배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11Y1 (ko) 2004-01-10 2004-03-25 김동근 컵공급장치
KR200424391Y1 (ko) 2006-06-08 2006-08-22 차승호 컵 자동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890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2936C (en)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refilling operation
ES2226531B1 (es) Procedimiento, maquina y pack para la elaboracion y expedicion de bebidas calientes y frias.
CA2348096C (en) Dispenser for liquid applicator
US20140053950A1 (en) Sustainable Bulk Liquid Dispensing Device
MX2014009111A (es) Dispensador de utensilios.
WO2013106549A1 (en) System for dispensing substances into a washing machine
US8727178B1 (en) Condiment packet dispenser
KR101160649B1 (ko) 잔반용기 자판기 및 그 이용방법
KR20150091956A (ko) 원두커피 캡슐 인출장치
CN110313831B (zh) 饮料制备机
US9010585B1 (en) Dry ingredient dispensing unit
KR20100000379U (ko) 이쑤시개 사탕 케이스
EP0432116A1 (en) A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ox for cutlery
CN217039702U (zh) 配料机
CN114041697A (zh) 配料机
KR200446464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CZ309538B6 (cs) Zařízení pro manipulaci a výdej sypkého, tekutého a práškového zboží
EP4046559A1 (en) Dispenser with automatic refilling, particularly for hygiene products and products for cleaning surfaces and the like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CN219720425U (zh) 一种出餐机及餐饮设备
JP2008178534A (ja) リッドディスペンサー
RU39259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упаковки,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бора одноразовой посуды
KR200420462Y1 (ko) 자판기
CZ2019611A3 (cs) Zařízení pro manipulaci a výdej sypkého, tekutého a práškového zboží
ES1059826U (es) Dispositivo para contener y dispensar detergente liquido y para depositar los principales utensilios de limpieza.(estropajo, baye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