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64Y1 - 분말 세제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세제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64Y1
KR200446464Y1 KR2020070019255U KR20070019255U KR200446464Y1 KR 200446464 Y1 KR200446464 Y1 KR 200446464Y1 KR 2020070019255 U KR2020070019255 U KR 2020070019255U KR 20070019255 U KR20070019255 U KR 20070019255U KR 200446464 Y1 KR200446464 Y1 KR 200446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etergent
outlet
container
outlet opening
cylind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391U (ko
Inventor
정근창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2020070019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6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분말 세제 용기 상부에 형성된 누름캡의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용기 내부에 있는 분말 세제를 배출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말 세제 배출 장치는,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을 따라 상하 구동되는 유출구 개폐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부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말 세제, 배출, 용기, 누름캡, 스푼, 구동축

Description

분말 세제 배출 장치{POWDER DETERGENT DISCHARGING APPARATUS}
본 고안은,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분말 세제 용기 상부에 형성된 누름캡의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용기 내부에 있는 분말 세제를 원하는 만큼 배출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습성이 있고, 흡습에 의해 품질이 손상되는 분말 상태의 제품, 예를 들면 세제류 등은 플라스틱으로 밀폐 제조된 용기나 종이로 밀폐 제작된 박스형태의 용기내에 넣어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말 세제 용기는, 세제의 사용시 미리 구비된 개량 스푼으로 분말 세제를 용기로부터 직접 떠내어 사용함에 따라 세제 사용시 포장된 용기의 뚜껑부를 개봉하여야 하고 개봉한 세제용기를 일정한 보관장소에 장기가 보관하게 되는바 이때 공기중의 습기 등이 분말세제에 흡습되어 세제분말이 결착 및 응고되어 세제의 재사용시에는 이를 다시 파쇄하여 사용함에 따르는 등 보관 상의 여러 가지 문제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분말 세제 용기 상부에 형성된 누름캡과 이에 연동된 구동축에 의해 용기 내부의 분말 세제를 원하는 만큼 배출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말 세제 용기에 투명창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투명창을 통해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는,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을 따라 상하 구동되는 유출구 개폐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부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상면 중앙홀에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 수직형성된 제 1 스프링을 갖는 제 1 누름캡과; 상기 제 1 누름캡의 제 1 스프링에 그 상단이 탄성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유출구 개폐부의 상측을 통해 결합되는 상하 구동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누름캡의 누름에 의해 상기 유출구 개폐부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유출구 하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상면의 일측 홀에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 수직형성된 제 2 스프링을 갖는 제 2 누름캡과; 상기 제 2 누름캡의 제 2 스프링에 그 상단이 탄성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 구동축과; 상기 제 1 구동축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중앙에는 힌지부가 형성된 수평 연결 레버와; 상기 수평 연결 레버의 타단에 그 하단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유출구 개폐부의 하측을 통해 결합되는 제 2 구동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누름캡의 누름에 의해 상기 유출구 개폐부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원하는 만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 세제 용기 하측부에는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스푼을 취출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외주연 일측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의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에 의하면, 분말 세제 등의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하거나 사용치 않을 시에는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분말 세제 용기 상부에 형성된 누름캡의 누름 동작과 이에 연동된 구동축의 동작에 의해 용기 내에 있는 분말 세제를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말 세제 용기 내의 분말 세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상부의 회전캡과 손잡이부를 분말 세제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분말 세제를 다시 채워 줌으로써 리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투명창을 통해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100) 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대략 사각통형의 분말 세제 용기(10)와,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3)와, 상기 유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13)를 개폐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유출구 개폐부(20)와, 상기 유출구 개폐부(20)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의 제 1 누름캡(30) 및 상하 구동축(21)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는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통형으로서, 상부는 상부캡(17)에 의해 하부는 하부캡(16)에 의해 커버되어 진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통 형상이지만,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및 하부캡(17)(16)에 의해 분리된 구조가 아니라 일체형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는 그 상측에 분말 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의 하측 중앙에는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소정크기를 갖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배럴(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의 하측 가장자리부터 상기 실린더 배럴(12)의 상단 가장자리까지는 경사면(11-1)이 형성되어 분말 세제가 실린더 배럴(12)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배럴(12)의 하단부에는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의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돋보기(도면 번호 미부여)를 갖는 투명창(1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15)을 통해 수용부(11)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고, 돋보기를 통해 확대해 보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해 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유출구 개폐부(20)는 밸브체 형상으로서 상기 실린더 배럴(12)의 내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유출구(13)를 통해 분말 세제를 원하는 만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출구 개폐부(20)의 구동 수단은, 상기 분말 세제 용기(10)의 상부캡(17)의 상면 중앙홀(18)에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 수직형성된 제 1 스프링(40)이 설치되는 제 1 누름캡(30)과; 상기 제 1 누름캡(30)의 제 1 스프링(40)에 그 상단이 탄성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유출구 개폐부(20)의 상측을 통해 결합되는 상하 구동축(2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상하 구동축(21)의 대략 중앙에는 수평 돌기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나란히 형성되어 상하 구동시에 내용물인 분말 세제가 결착 및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실제 사용시 사용자가 분말 세제 용기(10) 상부의 중앙홀(18)을 통해 노출된 제 1 누름캡(30)을 누르게 되면 이에 수직으로 탄성 연결된 상하 구동축(21)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유출구 개폐부(20)가 실린더 배럴(20)의 내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유출구(13)와 유출구 개폐부(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분말 세제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사각통형의 분말 세제 용기(10)의 하측부인 하부캡(16) 내에는 상기 유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개량 스푼(50)을 취출 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0) 내의 분말 세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상부캡(17)을 간단히 분말 세제 용기(10)의 수용부(11) 상단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말 세제 용기(10)의 수용부(11)에 분말 세제를 다시 채워 줌으로써 리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사용자가 제 1 누름캡(30)의 상부를 누르게 되면 이에 연동된 상하 구동축(21)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유출구 개폐부(20)가 실린더 배럴(20)의 내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유출구(13)와 유출구 개폐부(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분말 세제가 배출되어 지고 배출된 분말 세제는 개량 스푼(50)에 담겨지게 되고 사용자는 스푼(50)만을 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2a 참조).
여기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제 1 누름캡(30)을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 스프링(40)이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팽창하게 되어 제 1 누름캡(30), 상하 구동축(21) 및 유출구 개폐부(20)가 함께 상승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던 유출구(13)가 유출구 개폐부(2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되어진다(도 2b 참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200)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대략 사각통형의 분말 세제 용기(110)와, 상기 분말 세 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113)와, 상기 유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113)를 개폐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유출구 개폐부(120)와, 상기 유출구 개폐부(120)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서의 제 2 누름캡(130), 제 1 및 제 2 구동축(121)(123), 및 수평 연결 레버(122)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10)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사각통형으로서, 상부는 상부캡(117)에 의해 하부는 하부캡(116)에 의해 커버되어 진다.
또한, 상기한 분말 세제 용기(110)는 그 상측에 분말 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1)의 하측 중앙에는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소정크기를 갖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배럴(1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용부(111)의 하측 가장자리부터 실린더 배럴(112)의 상단 가장자리까지는 경사면(111-1)이 형성되어 분말 세제가 실린더 배럴(112)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의 부호 115는 수용부(111)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돋보기(도면 번호 미부여)를 갖는 투명창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출구 개폐부(120)의 구동 수단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분말 세제 용기(110)의 상면의 일측 홀(118)에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 수직형성된 제 2 스프링(140)을 갖는 제 2 누름캡(130)과; 상기 제 2 누름캡(130)의 제 2 스프링(140)에 그 상단이 탄성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11) 하측의 경사면(111-1)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 구동축(121)과; 상기 제 1 구동축(121)의 타단(하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중앙에는 힌지부(160)가 형성된 수평 연결 레버(122)와; 상기 수평 연결 레버(122)의 타단에 그 하단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유출구 개폐부(120)의 하측을 통해 결합되는 제 2 구동축(1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 연결 레버(122)의 중앙에 형성된 힌지부(160)는 양단에 연결된 2개의 수직 구동축인 제 1 및 제 2 구동축(121)(123)에 대해 시소와 같은 지렛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 1 구동축(121)의 하강 운동을 제 2 구동축(123)의 상승 운동으로 변환하게 한다. 이러한 힌지부(160)는 하부캡(116)에 지지대(도면 번호 미부여)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으나, 그 연결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해서, 사용자가 분말 세제 용기(10) 상면의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일측홀(118)을 통해 노출된 제 2 누름캡(130)의 상부를 누르게 되면 이에 연동된 수직 구동축인 제 1 구동축(121)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힌지부(160)에 의해 제 1 구동축(121)의 하단에 연결된 수평 연결 레버(122)의 일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는 하측으로 하강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도면에서 하측 단부)는 상승됨으로써, 상기 수평 연결 레버(122)의 타단부에 그 하단이 연결된 역시 수직 구동축인 제 2 구동축(123)이 상승함으로써, 이에 따라 유출구 개폐부(120)가 실린더 배럴(20)의 내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실린더 배럴(112)과 유출구 개폐부(120) 사이의 개방된 틈이 발생되어 그 틈을 따라 분말 세제가 하측의 유출구(113)를 통해 배출되어 지고 배출된 분말 세제는 개량 스푼(150)에 담겨지게 되 고 사용자는 스푼(150)만을 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3a 참조).
여기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제 2 누름캡(130)을 놓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2 스프링(30)이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팽창하게 되어 제 2 누름캡(130), 제 1 구동축(121) 및 수평 연결 레버(122)의 일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수평 연결 레버(122)의 타단부 및 제 2 구동축(123)은 반대로 하강하게 되어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던 유출구 개폐부(20)가 하강하게 되어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되어진다(도 3b 참조).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고안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본 고안에 따른 분말 세제 배출 장치
10, 110: 분말 세제 용기 11, 111: 수용부
12, 112: 실린더 배럴 13, 113: 유출구
14, 114: 스푼 취출부 15: 투명창
16, 116: 하부캡 17, 117: 하부캡
18: 분말 세제 용기의 상부 중앙홀
20: 유출구 개폐부 21: 상하 구동축
30: 제 1 누름캡 40: 제 1 스프링
50, 150: 개량 스푼 70: 바닥캡
118: 분말 세제 용기의 일측 홀
121: 제 1 구동축 122: 수평 연결 레버
123: 제 2 구동축 130: 제 1 누름캡
140: 제 2 스프링 160: 힌지부

Claims (6)

  1. 상측에 분말 세제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측 중앙에 상기 분말 세제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말 세제 용기와,
    상기 실린더 배럴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을 따라 상하 구동되는 유출구 개폐부와,
    상기 유출구 개폐부를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상면의 일측 홀에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 수직형성된 스프링을 갖는 누름캡과,
    상기 누름캡의 스프링에 그 상단이 탄성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의 하면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 구동축과,
    상기 제 1 구동축의 타단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중앙에는 힌지부가 형성된 수평 연결 레버와,
    상기 수평 연결 레버의 타단에 그 하단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유출구 개폐부의 하측을 통해 결합되는 제 2 구동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누름캡의 누름에 의해 상기 유출구 개폐부가 상기 실린더 배럴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분말 세제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세제 용기 하측부에는 상기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분말 세제를 수용하는 스푼을 취출할 수 있는 스푼 취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세제 용기의 외주연 일측에는 돋보기를 갖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창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남아 있는 분말 세제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2020070019255U 2007-11-30 2007-11-30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200446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55U KR200446464Y1 (ko) 2007-11-30 2007-11-30 분말 세제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55U KR200446464Y1 (ko) 2007-11-30 2007-11-30 분말 세제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91U KR20090005391U (ko) 2009-06-03
KR200446464Y1 true KR200446464Y1 (ko) 2009-10-30

Family

ID=4129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255U KR200446464Y1 (ko) 2007-11-30 2007-11-30 분말 세제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83B1 (ko) * 2020-03-12 2022-05-09 안예진 자동 스위치식 세제용기
CN115838041A (zh) * 2022-06-29 2023-03-24 深圳晶泰科技有限公司 加粉桶、粉桶装置、粉末分配设备及粉末分配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9645U (ko) 1975-04-08 1976-10-19
JPS55122687U (ko) 1979-02-24 1980-09-01
KR940020692U (ko) * 1993-02-04 1994-09-17 박제열 분말체의 정량 유출장치
KR100588530B1 (ko) * 2003-10-10 2006-06-13 방운성 일정량 배출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9645U (ko) 1975-04-08 1976-10-19
JPS55122687U (ko) 1979-02-24 1980-09-01
KR940020692U (ko) * 1993-02-04 1994-09-17 박제열 분말체의 정량 유출장치
KR100588530B1 (ko) * 2003-10-10 2006-06-13 방운성 일정량 배출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91U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MX2014000905A (es) Atomizador portable y rellenable para crema.
KR20170101646A (ko) 리필 화장품 용기
KR20130003678A (ko) 팝업식 드로퍼
KR200446464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US20010035436A1 (en) Double opening container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170128733A (ko) 혼합용 마개장치
JP4315514B2 (ja) 液体定量注出機構
KR200446463Y1 (ko) 분말 세제 배출 장치
KR200448112Y1 (ko) 고점도 내용물 정량 토출 화장품 용기
KR200458644Y1 (ko) 조립형 용기
JP4880769B2 (ja) 任意割合吐出容器
KR200458646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8108Y1 (ko) 개폐커버를 구비한 음료용기
JP4553657B2 (ja) 定量注出器
KR200456824Y1 (ko) 화장품용기 보관함
KR200363733Y1 (ko) 혼합용 뚜껑
EP3153433B1 (en) Lid for a waste receptacle
KR200301193Y1 (ko) 리필용 비닐팩
WO2006054322A1 (en) Plastic bottles and containers with cups incorporated
KR10174294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20210127460A (ko) 텀블러용 알약보관장치
KR20140068045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